KR101117161B1 -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161B1
KR101117161B1 KR1020090057115A KR20090057115A KR101117161B1 KR 101117161 B1 KR101117161 B1 KR 101117161B1 KR 1020090057115 A KR1020090057115 A KR 1020090057115A KR 20090057115 A KR20090057115 A KR 20090057115A KR 101117161 B1 KR101117161 B1 KR 101117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electrode
current
cable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535A (ko
Inventor
김태동
김현숙
김정호
유세걸
유재환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서울전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전력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전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16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6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waves, fields or rays, e.g. sound waves, microwaves, electric waves, magnetic fields, light 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를 이용하여 나무 조직 속에 기생하는 병해충을 방제할 때, 전류가 나무에 부분적으로 흐르지 않고 대전류에 의한 자장의 원리에 의해서 나무 전체에 걸쳐 전류 및 열의 영향을 받도록 하여 전류에 의한 병해충의 완전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방법은, 나무에 전극봉을 박아 상.하로 (+)전극부와 (-)전극부를 형성하고, (+)전극부 및 (-)전극부의 각 전극봉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극부와 (-)전극부 사이에 나무의 나이테를 따라 대전류가 회전하면서 흐르게 함으로써 나이테의 주위에 형성된 자장에 의해 나무 속의 수분이 병해충이 기생하는 나무 조직의 구멍 속으로 침투되게 하여 수분을 타고 전달된 전류 및, 전류에 의한 열에 의해 병충해의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무, 병해충, 전극부, 전극봉, 고정클램프,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

Description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Electric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pest control}
본 발명은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를 이용하여 나무 조직 속에 기생하는 병해충을 방제할 때, 전류가 나무에 부분적으로 흐르지 않고 대전류에 의한 자장의 원리에 의해서 나무 전체에 걸쳐 전류 및 열의 영향을 받도록 하여 전류에 의한 병해충의 완전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충해는 병해와 충해로 나뉘어진다. 병해는 곡물, 채소, 과수, 꽃, 임목 등 농작물을 포함한 모든 유용식물이 병균에 의하여 고사 및 부패되어 수확량이 줄어들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말하고, 충해는 벌레에 의해 식해(食害), 흡수해(吸收害) 등을 입는 것을 말하며, 식물에 피해를 주는 벌레는 해충이라고 한다.
이러한 병충해의 방제는 보편적으로 산림에 식재된 나무에 구멍을 뚫어 주사 기를 이용하여 천공된 나무 구멍에 직접 방제액을 주입하는 방법과, 항공기 등을 이용하여 산림의 나무에 방제액을 살포하는 방법이 있다.
나무에 방제액을 직접 주입하는 방법은 방제액을 살포하는 방법보다 방제 효과가 높은 데 반해,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방제액 접촉에 따른 작업자의 상해 위험이 있고, 방제액을 살포하는 방법은 작업이 안전하고 간편할 뿐 아니라 많은 인력이 필요없는데 반해, 나무에 방제액을 직접 주입하는 방법보다 방제 효율이 떨어지고 살포된 방제액에 의해 방제 대상지역의 주변 농가 등에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 제847900호 "이동식 병충해 방제 장치"를 제안한 바 있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장착되는 배터리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고, 방제 장치에 필요한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기와; 상기 전원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구동용 전원을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승압시키기 위한 직류전압 승압기와; 사용자의 고압 발생 스위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조작부와; 고압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고압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와; 상기 조작부에 의해 고압발생 조작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고압 제어 플로그램을 인출하고, 그 인출한 고압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고압 발생을 제어하며, 검출되는 출력 전류 레벨에 따라 상기 고압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직류 전압 승압기에서 승압된 직류 전압을 고압 전 단계의 고주파 전압으로 상승시키고, 그 상승시킨 고주파 전압으로 고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고압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또한, 상기 이동식 병충해 방제장치는, 상기 고압 발생기와 연결되어 발생한 고압을 병충해 방제 대상의 나무게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과, 상기 병충해 방제 대상의 나무를 접지와 연결하기 위한 접지케이블을 더 포함한다.
이같이 상기 이동식 병충해 방제 장치는 나무에 전기적인 충격을 인가하여 나무의 조직 속에 기생하고 있는 병해충의 정상적인 성장을 억제시켜 성장 밀도를 낮추고, 더 나아가 완전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관건이 되는 것은, 전기적인 충격에 의해 나무 조직속에 기행하고 있는 병충해에 대한 완전 방제가 현실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으로서, 통상, 나무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전류가 흐르는 곳에서만 병충해의 방제가 이루어지고, 전류가 흐르지 않은 곳은 방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적인 충격에 의한 나무의 완전 방제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류를 이용하여 나무 조직 속에 기생하는 병해충을 방제할 때, 전류가 나무에 부분적으로 흐르지 않고 대전류에 의한 자장의 원리에 의해서 나무 전체에 걸쳐 전류 및 열의 영향을 받도록 하여 전류에 의한 병해충의 완전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무에 전류를 인가할 때, 보다 많은 전류가 나무에 흐르게 하면서 인가된 전류가 나무 전체에 걸쳐 확산될 수 있도록 하고, 전극봉을 나무에 박을 때 보다 용이하게 전극봉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무에 고전압을 인가시키기 위해 나무에 다수 박힌 전극봉에 전기연결선을 연결할 때, 그 연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무에 박힌 다수의 전극봉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기연결선에 고전압 케이블을 직접 연결하기 어려울 때 보다 적합하게 고전압 케이블을 전기연결선에 간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나무에 전극봉을 박아 상.하로 (+)전극부와 (-)전극부를 형성하고, (+)전극부 및 (-)전극부의 각 전극봉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극부와 (-)전극부 사이에 나무의 나이테를 따라 대전류가 회전하면서 흐르게 함으로써 나이테의 주위에 형성된 자장에 의해 나무 속의 수분이 병해충이 기생하는 나무 조직의 구멍 속으로 침투되게 하여 수분을 타고 전달된 전류 및, 전류에 의한 열에 의해 병충해의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무에 박혀 상.하로 (+)전극부와 (-)전극부를 형성하는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들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연결선과; 상기 전기연결선을 전극봉에 접촉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전기연결선에 접속되어 고전압을 인가시키는 고전압 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류를 이용하여 나무 조직 속에 기생하는 병해충을 방제할 때, 전류가 나무에 부분적으로 흐르지 않고 대전류에 의한 자장의 원리에 의해서 나무 전체에 걸쳐 전류의 영향을 받도록 하여 전류에 의한 병해충의 완전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류에 의한 병충해의 방제 효율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봉을 나사못 또는 드릴 나사못으로 형성하고, 전기연결 선을 편조선으로 구성하여 나무에 전류를 인가할 때, 보다 많은 전류가 나무에 흐르게 하면서 인가된 전류가 나무의 단면 전체에 걸쳐 확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무에 대한 전극봉 설치의 용이성 확보는 물론 전류 인가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클램프를 이용하여 나무에 다수 박힌 전극봉에 전기연결선을 접촉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극봉에 대한 전기연결선의 연결작업이 보다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전압 케이블을 전기연결선과 함께 전극봉에 직접 연결하기 어려울 때, 별도의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전압 케이블을 전기연결선에 간접적으로 접속 및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병충해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병충해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은, 나무(100)의 상.하부에 (+)전극부(110)와 (-)전극부(120)를 형성하고, (+)전극부(110)와 (-)전극부(120)에 고전압 케이블(40)을 각각 연결하여 나무에 고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전극부(110) 및 (-)전극부(120)는 전극봉(10)을 나무에 박아 형성 한 것으로서, 나무의 직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나무에 보다 큰 대전류에 의한 자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 전극부마다 사방향의 4개 이상으로 전극봉(10)을 나무에 박아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렇게 복수개의 전극봉(10)이 나무에 박히는 경우에는 전기연결선(20)을 이용하여 전극봉(10)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렇게 나무에 사방향으로 4개 이상의 전극봉(10)을 박아 고전압을 인가시키게 되면, 나무의 단면 전체에 걸쳐 고전압이 인가되어 대전류에 의한 자장을 형성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고 1개 내지 3개의 전극봉으로 구성하게 되는 경우에는 직경이 작은 나무는 상관없으나 직경이 큰 나무는 상기 1개 내지 3개의 전극봉만으로는 나무의 둘레 전체, 즉 전체 단면에 걸쳐 고전압이 인가되지 못하게 되어 자장 형성이 어려울 수 있는데 기인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나무에 다수의 전극봉(10)이 박히고, 전극봉(10)들이 전기연결선(20)에 의해 서로 연결된 후에는, 전기연결선(20)에 고전압 케이블(40)을 연결 및 접속시켜 상기 고전압 케이블(40) 및 전기연결선(20)을 통하여 나무에 다수 박힌 전극봉(10), 즉 (+)전극부(110) 및 (-)전극부(120)에 고전압 전류를 동시에 인가시키게 된다.
이같이 (+)전극부(110) 및 (-)전극부(120)에 고전압 전류가 인가되면, 인가된 고전압 전류에 의해서 (+)전극부(110)와 (-)전극부(120) 사이에 대전류가 나무의 나이테를 따라 회전하면서 흐르게 되고, 나이테 주위에 자장(磁場)이 형성됨으로써 나이테 주변의 나무 조직 속에 있는 수분이 자장의 영향을 받아 병해충이 기 생하고 있는 작은 구멍 속으로 이동 및 침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극부(110)와 (-)전극부(120)의 사이를 흐르는 대전류와, 대전류에 의해 발생한 열은 수분을 타고 병해충이 기생하고 있는 구멍 속으로 전달됨으로써 구멍 속의 병해충 및 곰팡이 등의 병원(病原)을 나무 전체에 걸쳐 박멸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구멍 속의 병해충 등은 내부 수압의 상승으로 수분과 함께 구멍 밖으로 나와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전류에 의한 병해충의 완전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상, 전류는 끝이 뾰족한 부분을 통해 나오려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전극봉은, 일반 대못을 사용하는 것보다 나사산이 형성된 길이가 긴 나사못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나사못을 사용하게 되면 전류가 나사못 주변으로 나와 나무에 확산 및 전달됨으로써 보다 큰 전류를 나무에 흘려 보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극봉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기연결선(20)을 편조선(21), 즉 가늘고 긴 수많은 와이어를 서로 엮어서 밴드(band)처럼 납작하게 만든 선을 사용하게 되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단면적이 커져 각 전극봉에 보다 큰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병해충 방지를 위한 전류 인가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나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나무에 박히는 전극봉(10)과, 상기 전극봉(10)이 복수개로 나무에 박힌 경우 전극봉(10)들을 서로 전기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연결선(20) 및, 상기 전기 연결선(20)에 접속되는 고전압 케이블(40), 그리고 전기연결선(20)을 전극봉(10)에 접촉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램프(30)로 구성된다.
상기 전극봉(10)은 나사산(11A)을 갖는 길이가 긴 나사못(11)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류는 통상 끝이 뾰족한 부분을 통해 나오려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반 대못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못 주변으로 전류가 흘러 나오지 못하게 되는데 반해, 상기 나사못(11)의 경우에는 나사산(11A)을 통하여 전류가 나사못(11)의 주변으로 전류가 흘러나와 확산 및 전달됨으로써 나무에 보다 많은 전류를 흘려 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극봉(1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의 드릴(12A)과 나사산(12B)이 형성된 길이가 긴 드릴 나사못(12)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사못(11)이 갖는 전기적인 특성, 즉 나사산에 의해 나사못 주변으로 전류가 나와 확산 및 전달되는 특성 뿐만 아니라 선단부의 드릴(12A) 및, 나무 천공시 발생되는 나무 가루, 즉 나무 밥이 나사산(12B)을 타고 외부로 나오는 기능적인 특성에 의해 전극봉을 나무에 박아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간편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클램프(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상.하부 고정편(31A)(31B)의 배면을 수직의 연결편(31C)으로 일체로 형성한 전도성 금속 재질의 클램프 몸체(31)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 몸체(31)는 나무에 박힌 전극봉(10)의 머리에 클램프 몸체(31)를 걸어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전극봉 걸이홈(36)과, 상기 전극봉 걸이홈(36)에 걸린 전극봉(10)의 머리에 전기연결선(20)을 압입 고정하는 전선압입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전선압입부(32)는 클램프 몸체(31)의 상부 고정편(31A)을 나선봉(33)이 수직으로 관통하여 나선 결합되고, 상기 나선봉(33)의 상단 및 하단부에 각각 원형의 연결링(34) 및 압입편(35)이 구비된 것인데, 이때, 상기 전기연결선(20)을 편조선(21)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편조선(21)의 측면부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압입편(35)의 전.후 하방으로 한 쌍의 지지턱(35A)(35B)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전극봉 걸이홈(36)은 클램프 몸체(31)의 하부 고정편(31B) 중간부에 전방 개구형의 홈으로 형성되고, 그 폭은 나사못(11)의 직경보다 다소 크고 나사못의 머리보다 작게 형성되어 나사못의 삽입은 가능하면서 머리는 홈에 걸리도록 하여 나사못에 클램프 몸체(31)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극봉(10)을 구성하는 다수의 나사못(11)을 나무에 박아 설치한 후, 상기 나사못(11)의 머리에 클램프 몸체(31)의 하부 고정편(31B)에 형성된 전극봉 걸이홈(36)을 걸어 연결시킨다.
그런 다음, 나사못(11)의 머리에 전기연결선(20)을 구성하는 편조선(21)을 위치시킨 후, 전선압입부(32)를 구성하는 나선봉(33)을 연결링(34)의 회전조작에 의해 하강시켜 나선봉(33)의 하단부에 형성된 압입편(35)이 편조선(21)을 나사못(11)의 머리에 압착되게 함으로써 전극봉(10)과 전기연결선(20)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압입편(35)의 전.후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턱(35A)(35B)은 편조선(21)의 양측면부를 이탈되지 않게 지지하게 된다.
이때, 고전압 케이블(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클램프(30)를 이용하여 전극봉(10)에 전기연결선(20)을 연결할 때, 상기 전기연결선(20)과 함께 직접 연결할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를 이용하여 고전압 케이블(40)을 전기연결선(20)에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첨부도 도 6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는 전도성 금속 재질의 클램프 바디(51)로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바디(51)는 일측 및 타측부에 각각 전기연결선(20)이 연결 및 접속되는 전기연결선 접속부(52)와 고전압 케이블(40)이 연결 및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55)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연결선 접속부(52)는 전기연결선(20)의 단부에 형성되는 아이링(22)을 끼울 수 있는 나선돌부(53)를 클램프 바디(51)에 일체로 형성하여 너트(54)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접속부(55)는 클램프 바디(51)의 좌.우측을 관통하고 전방향으로 개방된 케이블 삽입홈(56)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삽입홈(56)의 하부측 클램프 바디(51)를 나사봉(57)이 수직으로 관통하여 나선 결합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나사봉(57)의 상.하단부에 각각 스파이크(57A) 및 조작링(57B)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삽입홈(56)에 고전압 케이블(40)을 삽입한 후, 나사봉(57)의 하단부에 구비된 조작링(57B)의 회전 조작으로 나사봉(57)을 상승시킴으 로써 나사봉(57)의 상단부에 구비된 스파이크(57A)가 케이블 삽입홈(56)에 삽입된 고전압 케이블(40)을 물어 고정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클램프 바디(51)에 고전압 케이블(40)을 연결 및 접속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도 5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도 1은 사방향의 전극봉(10)에 모두 고정클램프(30)가 적용되어 일측 고정클램프(30)에 고전압 케이블(40)을 직접 연결한 것이데 반하여, 도 5는 사방향의 전극봉(10) 중에 어느 하나의 전극봉(10)에 고정클램프(30)와 별개인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를 적용하고, 나머지 전극봉(10)에 대해서는 상기한 고정클램프(30)를 적용 및 사용한 것에 차이가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봉(10)에 연결되는 일측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의 경우에는 전극봉(10)과 전기연결선(2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타측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는 전기연결선(20)과 고전압 케이블(4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상의 차이로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는 한 쌍의 복수개로 구비된다.
즉, 일측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는 먼저, 나무에 박힌 전극봉(10)에 클램프 바디(51)를 나사봉(57)및, 스파이크(57A) 등으로 구성된 케이블 접속부(55)를 이용하여 연결한 후, 전기연결선(20)의 아이링(22)을 클램프 바디(51)의 나선돌부(53)에 끼우고 너트(54)로 조여 클램프 바디(51)에 전기연결선(20)을 접속 및 연 결하게 된다.
그리고, 클램프 바디(51)에 접속된 전기연결선(20)은 고정클램프(30)에 의해서 나무 둘레를 따라 박힌 나머지 전극봉(10)들과 연결 및 접속된 후 나무를 한 바퀴 돌아와 상기한 일측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의 전극봉(10)에 함께 연결된 다음, 다시 타측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의 전기연결선 접속부(52)에 연결 및 접속되고, 상기 타측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의 케이블 접속부(55)에 고전압 케이블(40)이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되는 것이다.
이같이 사방향 전극봉(10)에 모두 고정클램프(30)를 적용하지 않고 고정클램프(30)와 별개인 한 쌍의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을 적용하는 것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램프(30)에 직접 고전압 케이블(40)을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보다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기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병충해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 및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의 본 발명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정클램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전극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 구조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극봉 11:나사못
11A,12B:나사산 12:드릴 나사못
12A:드릴 20:전기연결선
21:편조선 22:아이링
30:고정클램프 31:클램프 몸체
31A,31B:상.하부 고정편 31C:연결편
32:전선압입부 33:나선봉
34:연결링 35:압입편
35A,35B:지지턱 36:전극봉 걸이홈
40:고전압 케이블 50:케이블 접속용 클램프
51:클램프 바디 52:전기연결선 접속부
53:나선돌부 54:너트
55:케이블 접속부 56:케이블 삽입홈
57:나사봉 57A:스파이크
57B:조작링 110,120:(+),(-)전극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나무에 박혀 상.하로 (+)전극부(110)와 (-)전극부(120)를 형성하는 전극봉(10)과; 상기 전극봉(10)들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연결선(20)과; 상기 전기연결선(20)을 전극봉(10)에 접촉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클램프(30)와; 상기 전기연결선(20)에 접속되어 고전압을 인가시키는 고전압 케이블(40);로 구성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30)는, 서로 평행한 상.하부 고정편(31A)(31B)의 배면을 수직의 연결편(31C)으로 일체로 형성한 클램프 몸체(31)와;
    상기 클램프 몸체(31)의 상부 고정편(31A)을 나선봉(33)이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 고정편(31A)에 나선 결합되고, 상기 나선봉(33)의 상.하단부에 각각 연결링(34) 및 압입편(35)이 일체로 형성된 전선압입부(32)와;
    상기 클램프 몸체(31)의 하부 고정편(31B)에 전방 개구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전극봉(10)의 헤드에 걸어 연결될 수 있게 한 전극봉 걸이홈(3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압입부(32)는, 압입편(35)의 전.후 하방으로 한 쌍의 지지턱(35A)(35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장치.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케이블(40)은, 클램프 바디(51)의 일측에 전기연결선(20)이 연결 및 접속되는 전기연결선 접속부(52)가 형성되고, 클램프 바디(51)의 타측부에는 고전압 케이블(40)이 연결 및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55)가 형성된 케이블 접속용 클램프(50)에 의해서 전기연결선(20)에 접속 및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연결선 접속부(52)는, 전기연결선(20)의 단부에 형성되는 아이링(22)이 끼워져 연결될 수 있도록 클램프 바디(51)에 일체로 나선돌부(53)를 형성하여 너트(54)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케이블 접속부(55)는 클램프 바디(51)의 좌.우측을 관통하고 전방향으로 개방된 케이블 삽입홈(56)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삽입홈(56)의 하부측 클램프 바디(51)를 나사봉(57)이 수직으로 관통하여 나선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나사봉(57)의 상.하단부에 각각 스파이크(57A) 및 조작링(57B)이 구비되어 상기 조작링(57B)의 회전조작에 의해 케이블 삽입홈(56)에 삽입된 고전압 케이블(40)을 스파이크(57A)가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장치.
KR1020090057115A 2009-06-25 2009-06-25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 KR101117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115A KR101117161B1 (ko) 2009-06-25 2009-06-25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115A KR101117161B1 (ko) 2009-06-25 2009-06-25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535A KR20100138535A (ko) 2010-12-31
KR101117161B1 true KR101117161B1 (ko) 2012-03-07

Family

ID=4351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115A KR101117161B1 (ko) 2009-06-25 2009-06-25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274B1 (ko) * 2011-03-11 2015-01-14 서울전력주식회사 병충해방제를 위한 전류인가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127A (ja) 2002-10-21 2004-05-20 Muneyoshi Kayo 電流式松くい虫駆除法
KR100695595B1 (ko) 2001-09-04 2007-03-14 에이리쓰 덴시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소나무 고사예방 처리장치 및 소나무 고사예방 처리장치의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95B1 (ko) 2001-09-04 2007-03-14 에이리쓰 덴시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소나무 고사예방 처리장치 및 소나무 고사예방 처리장치의 사용방법
JP2004141127A (ja) 2002-10-21 2004-05-20 Muneyoshi Kayo 電流式松くい虫駆除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535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8045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radicating soil-borne pests using variable controlled electric current
KR100847900B1 (ko) 이동식 병충해 방제 장치
US3826035A (en) Method of exterminating insect and animal agricultural pests from infected objects such as plants
JP2011505117A5 (ko)
CN205756720U (zh) 一种烟草种植用诱虫捕虫装置
KR101117161B1 (ko)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류 인가방법 및 장치
CN102550526B (zh) 一种土壤电子杀虫机
US201601986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igh voltage treatment of soil and plant
US200301501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adicating soil borne pests
JP6409175B2 (ja) 電気とめさし器
US20150045856A1 (en) Lice egg removal tool
CN106538313A (zh) 一种果树防护网装置
US9924823B2 (en) Grounded christmas tree
CN205667097U (zh) 一种智能控制力输出的农业机具
RU2650690C2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остимуляции жизнедеятельности растений
CN202436007U (zh) 一种土壤电子杀虫机
KR20120103808A (ko) 병충해방제를 위한 전류인가방법 및 그 장치
CN204047738U (zh) 一种鼢鼠地箭
CN210841275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田间杀虫灯
JP2018007577A (ja) 止め刺し器および止め刺し方法
JPWO2018173186A1 (ja) 植物育成促進システム
CN204762983U (zh) 一种电流杀烟草根结线虫的装置
KR20120085839A (ko) 니들 농법
KR20040036930A (ko) 해충에 의한 소나무 고사 예방법과 소나무 고사예방처리장치
WO2015194355A1 (ja) 開花制御方法および電気刺激付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