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271B1 -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271B1
KR101116271B1 KR1020110091196A KR20110091196A KR101116271B1 KR 101116271 B1 KR101116271 B1 KR 101116271B1 KR 1020110091196 A KR1020110091196 A KR 1020110091196A KR 20110091196 A KR20110091196 A KR 20110091196A KR 101116271 B1 KR101116271 B1 KR 101116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active waste
primary container
container
treatment apparatus
wast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화 filed Critical 이정화
Priority to KR102011009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4Disposal of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75Disposal of medical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20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병원 등에서 배출되는 중, 저준위의 방사성 폐기물의 부피를 감소시키면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사성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된 방사성 폐기물이 분쇄되도록 상호 맞닿는 복수 개의 롤러부재가 구비된 분쇄부와, 분쇄된 방사성 폐기물이 일정 부피로 압축되도록 피스톤부재와 헤드부재가 구비된 압축부와, 압축된 방사성 폐기물이 1차로 적재되도록 1차 용기가 구비된 제1 적재부와, 상기 1차 용기가 적재되는 2차 용기가 구비된 제2 적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파라핀이 사용되지 아니하므로 처리 비용이 절감되며,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 용량이 증대되고, 구성이 단순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RADIOACTIVE WASTE}
본 발명은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 병원 등에서 배출되는 중, 저준위의 방사성 폐기물의 부피를 감소시키면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성 폐기물은 핵에너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방사성물질로서, 원자력시설이나 방사성물질을 다루는 작업장 또는 실험실에서 나오는 폐기물, 핵분열생성물, 냉각수, 냉각가스 등의 누출 물질 뿐만 아니라 실험이나 작업에 사용된 공구, 헝겊, 종이, 세척수 등이 있다.
이러한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은 폐기물이 고체, 액체, 기체 인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그 중 고체폐기물은 불연물(不燃物)과 가연물로 나누어 가연물은 소각한 후 재를 불연물과 함께 드럼통에 넣고, 이것을 콘크리트로 굳힌 후 깊은 바다 또는 땅 속에 묻어서 처리하고 있다.
방사성 폐기물은 방사능 준위에 따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과 저준위 방사성폐기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은 핵연료로 사용하고 난 후의 핵연료와 이것의 재처리과정에서 나오는 폐기물로 95% 이상을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중에서 비교적 방사능 준위가 높은 것을 중준위 폐기물로 구별하기도 한다.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대부분은 베타선이나 감마선을 내는 베타/감마 폐기물이며 어느 정도 이상 세기의 알파선을 내는 것을 알파폐기물이라고 한다. 그리고 알파폐기물 중에 초우라늄원소를 포함하는 것을 초우라늄폐기물이라고 한다.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은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원이나 보수요원이 사용한 장갑?덧신?작업복?걸레?각종 교체부품, 관련 산업체?병원?연구기관에서 나오는 고체폐기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통에 넣고, 콘크리트로 굳힌 후 깊은 바다 또는 땅 속에 묻어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방사성 폐기물을 별도의 처리 없이 용기에 담아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부피가 커져 드럼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드럼통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고 드럼통이 쌓이는 저장 공간이 그만큼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소, 병원 등에서 배출되는 중, 저준위의 방사성 폐기물의 부피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파라핀 용액을 사용해서 고형화시켜서 처리하는 기술에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방법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한 개의 드럼통에 적재된 방사성 폐기물을 고형화시키기 대략 40㎏ 정도의 파라핀이 투입되는데, 투입되는 파라핀의 투입양이 적지 않으므로 처리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방사성 폐기물이 적재된 드럼통을 처리하기 위해 드럼통의 무게는 약 200㎏ 정도로 제한되는데, 파라핀의 투입량이 대략 40㎏ 정도 되므로 한 개의 드럼통에 적재 가능한 방사성 폐기물의 양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파라핀이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내부에서 응고될 경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형화시키지 않고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사성 폐기물 처리 용량이 증대된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이 단순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한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사성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된 방사성 폐기물이 분쇄되도록 상호 맞닿는 복수 개의 롤러부재가 구비된 분쇄부와, 분쇄된 방사성 폐기물이 일정 부피로 압축되도록 피스톤부재와 헤드부재가 구비된 압축부와, 압축된 방사성 폐기물이 1차로 적재되도록 1차 용기가 구비된 제1 적재부와, 상기 1차 용기가 적재되는 2차 용기가 구비된 제2 적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적재부에는 방사성 폐기물 압축 시 상기 1차 용기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발생하는 응력을 지지하도록 상기 1차 용기 외주면을 둘러싸는 실린더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1차 용기의 상단 둘레에는 상기 1차 용기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 또는 절곡되는 상부 걸림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용기에는 상기 1차 용기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덮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부재 상단에는 상기 덮개부재 인입 시 상기 상부 걸림면이 상기 덮개부재에 의해 상기 1차 용기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모따기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헤드부재의 선단에 위치하며, 상기 덮개부재의 둘레에는 상기 헤드부재의 후단 방향으로 만곡 또는 절곡되는 하부 걸림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 하단에는 방사성 폐기물 압축 시 상기 1차 용기 하단을 지지하는 게이트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게이트부재에는 상기 1차 용기가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슬라이드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1차 용기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때 상기 1차 용기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난 상기 상부 걸림면은 상기 실린더부재 내주면을 따라 상기 1차 용기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걸림면 및 상기 하부 걸림면은 상호 맞닿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재 선단에는 자성이 발생하는 자석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재는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파라핀이 사용되지 아니하므로 처리 비용이 절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파라핀이 사용되지 아니하므로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 용량이 증대된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이 단순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내부로 방사성 폐기물이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압축부에 의해 방사성 폐기물이 1차 용기 내부로 압축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방사성 폐기물이 적재된 1차 용기가 2차 용기 내부로 적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1차 용기 내부에 폐기물을 적재한 후 밀폐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내부로 방사성 폐기물이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압축부에 의해 방사성 폐기물이 1차 용기 내부로 압축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방사성 폐기물이 적재된 1차 용기가 2차 용기 내부로 적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에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 시 파라핀을 사용했다. 파라핀은 방사성 폐기물에 의해 2차적으로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분쇄된 방사성 폐기물을 고형화시킴으로써 보관용기에 쉽게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파라핀을 사용할 경우 처리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파라핀이 차지하는 공간 때문에 처리할 수 있는 방사성 폐기물의 양이 감소하게 되며, 전체 무게 또한 증가하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성 폐기물(10)이 투입되는 투입부(100)와, 투입된 방사성 폐기물(10)이 분쇄되도록 상호 맞닿는 복수 개의 롤러부재(210)가 구비된 분쇄부(200)와, 분쇄된 방사성 폐기물(10)이 일정 부피로 압축되도록 피스톤부재(310)와 헤드부재(320)가 구비된 압축부(300)와, 압축된 방사성 폐기물(10)이 1차로 적재되도록 1차 용기(410)가 구비된 제1 적재부(400)와, 상기 1차 용기(410)가 적재되는 2차 용기(510)가 구비된 제2 적재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투입부(100)는 방사성 폐기물(10)이 투입되는 부분으로 방사성 폐기물(10)이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호퍼(hoppe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입부(100)는 내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투입된 방사성 폐기물(10)이 하부로 슬라이딩되면서 분쇄부(200)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투입부(100)로 투입되는 방사성 폐기물(10)은 원자력발전소, 병원 등에서 발생되는 중, 저준위 고체 폐기물로서 작업복, 장갑, 신발, 휴지, 기타 비금속 방사능 오염물질이 주를 이룬다.
즉, 투입부(100)로 투입되는 방사성 폐기물(10)은 고체 폐기물로서 처리 전에는 일정한 부피가 있게 되므로 부피를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투입부(100)로 투입된 고체 상태인 방사성 폐기물(10)은 분쇄부(200)를 경유하면서 분쇄되어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방사성 폐기물(10) 분쇄를 위해 분쇄부(200)에는 상호 맞닿는 복수 개의 롤러부재(210)가 구비된다. 분쇄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롤러부재(210)에는 복수 개의 돌기(미도시)와 홈(미도시)이 각각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돌기와 홈의 형상, 롤러부재(210) 크기 등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분쇄부(200)를 경유하면서 분쇄된 방사성 폐기물(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부(300)로 이동하게 된다. 압축부(300)는 방사성 폐기물(10)을 1차 용기(410)가 구비된 제1 적재부(400)로 밀어 넣으면서 압축시킬 수 있도록 피스톤부재(310)와 헤드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피스톤부재(310)는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유압 등에 의해 고압의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300)는 1차 용기(410) 내부에 분쇄된 방사성 폐기물(10)이 최대한 적재될 때까지 방사성 폐기물(10)을 1차 용기(410)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압축하는 과정을 수 회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용기(410) 내부에 방사성 폐기물(10)이 최대한 적재되면 1차 용기(410)를 밀폐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적재부(500)에 구비된 2차 용기(510) 내부로 1차 용기(410)를 적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1차 용기(410)와 2차 용기(510)를 사용해서 방사성 폐기물(10)을 적재할 경우, 파라핀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처리 비용이 절감되고, 종전 파라핀이 차지한 공간에 방사성 폐기물(10)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처리 용량도 증가하게 되며, 전체적인 무게도 감소(1차 용기(410)는 약 10㎏ 정도임)되는 이점이 있다.
1차 용기(410)에 방사성 폐기물(10)이 적재되면서 압축될 때 1차 용기의 (410)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응력으로 인해 1차 용기(410)가 파손되지 않도록 1차 용기(410)를 지지하는 실린더부재(420)가 구비된다. 실린더부재(420)는 1차 용기(4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1차 용기 내부에 폐기물을 적재한 후 밀폐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단계를 통해 1차 용기(410)가 자동으로 밀폐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1차 용기(410)의 밀폐를 위해 1차 용기(410)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덮개부재(430)가 마련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용기(410)의 상단 둘레에는 1차 용기(4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 또는 절곡된 상부 걸림면(411)이 형성되고, 실린더부재(420) 상단에는 1차 용기(4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모따기면(421)이 형성되며, 덮개부재(430) 둘레에는 헤드부재(320)의 후단 방향으로 만곡 또는 절곡되는 하부 걸림면(431)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1차 용기(410) 밀폐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용기(410)의 상부 걸림면(411)과 덮개부재(430)의 하부 걸림면(431) 맞닿게 된다. 이후 방사성 폐기물(10) 압축을 위해 헤드부재(320)를 이동시키면 덮개부재(430)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걸림면(411)은 하부 걸림면(431)에 의해 1차 용기(4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헤드부재(320)가 계속해서 이동하면서 방사성 폐기물(10)을 압축하게 되면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걸림면(411)은 모따기면(421)에 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헤드부재(320)가 방사성 폐기물(10)을 최대한 압축한 후 1차 용기(410) 내부에서 인출되는 과정에서도 덮개부재(430)가 상부 걸림면(411)에 걸리지 않게 되어 원활한 압축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1차 용기(410) 내부에 적재된 방사성 폐기물(10)의 양이 1차 용기(410)에 적재될 수 있는 한계치에 도달하게 되면 덮개부재(430)를 1차 용기(410)에 끼움 결합해서 1차 용기(410)를 밀폐해야 한다. 이는 헤드부재(320)를 통해 1차 용기(410)가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가능하다. 즉,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용기(410)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이동하면 모따기면(421)에 밀착된 상부 걸림면(411)도 이동하게 된다. 즉, 상부 걸림면(411)은 실린더부재(420)의 내주면을 따라 1차 용기(4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려들어오게 되고, 결국 상부 걸림면(411)과 하부 걸림면(431)은 상호 맞닿으며 일렬로 배열된다.
이후, 헤드부재(320)가 1차 용기(410) 내부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 헤드부재(320)만 이동하게 되고, 헤드부재(320) 선단에 위치한 덮개부재(430)는 상부 걸림면(411)에 걸리게 되면서 1차 용기(410)를 밀폐하는 것이다.
1차 용기(410)의 인입, 인출을 위해 실린더부재(420) 하단에는 게이트부재(440)가 설치된다. 게이트부재(440)는 1차 용기(410)가 관통하는 관통공(441)과 이러한 관통공(441)을 개폐하는 슬라이드벽(4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압축부(300)에 의해 방사성 폐기물(10)이 압축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벽(442)이 관통공(441)을 폐쇄하며 1차 용기(410)의 후단을 지지하는 상태가 되고, 1차 용기(410)가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벽(442)이 이동하며 관통공(441)을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드벽(442)은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이동하면서 관통공(44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헤드부재(320)가 1차 용기(410) 내부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덮개부재(430)가 헤드부재(320)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헤드부재(320) 선단에는 자석부재(3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자석부재(321)로서 자성의 발생을 단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자석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전자석을 사용할 경우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제조비용 및 운전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재(321)로서 영구자석을 사용한다. 영구자석은 자성의 발생을 단속적으로 조절할 수는 없으나, 비용이 저렴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운전비용의 상승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영구자석을 사용해도 1차 용기(410)의 밀폐 과정에서 덮개부재(430)의 하부 걸림면(431)이 상부 걸림면(411)에 걸리게 되면서 덮개부재(430)가 1차 용기(410)로부터 이탈 가능하기 때문에 1차 용기(410)의 원활한 밀폐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방사성 폐기물 100 : 투입부
200 : 분쇄부 210 : 롤러부재
300 : 압축부 310 : 피스톤부재
320 : 헤드부재 321 : 자석부재
400 : 제1 적재부 410 : 1차 용기
411 : 상부 걸림면 420 : 실린더부재
421 : 모따기면 430 : 덮개부재
431 : 하부 걸림면 440 : 게이트부재
441 : 관통공 442 : 슬라이드벽
500 : 제2 적재부 510 : 2차 용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방사성 폐기물(10)이 투입되는 투입부(100);
    투입된 방사성 폐기물(10)이 분쇄되도록 상호 맞닿는 복수 개의 롤러부재(210)가 구비된 분쇄부(200);
    분쇄된 방사성 폐기물(10)이 일정 부피로 압축되도록 피스톤부재(310)와 헤드부재(320)가 구비된 압축부(300);
    압축된 방사성 폐기물(10)이 1차로 적재되도록 1차 용기(410)가 구비된 제1 적재부(400);
    상기 1차 용기(410)가 적재되는 2차 용기(510)가 구비된 제2 적재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재부(400)에는 방사성 폐기물(10) 압축 시 상기 1차 용기(4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발생하는 응력을 지지하도록 상기 1차 용기(410) 외주면을 둘러싸는 실린더부재(420)가 구비되며,
    상기 1차 용기(410)의 상단 둘레에는 상기 1차 용기(4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 또는 절곡되는 상부 걸림면(4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용기(410)에는 상기 1차 용기(410)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덮개부재(430)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부재(420) 상단에는 상기 덮개부재(430) 인입 시 상기 상부 걸림면(411)이 상기 덮개부재(430)에 의해 상기 1차 용기(4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모따기면(4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430)는 상기 헤드부재(320)의 선단에 위치하며,
    상기 덮개부재(430)의 둘레에는 상기 헤드부재(320)의 후단 방향으로 만곡 또는 절곡되는 하부 걸림면(4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420) 하단에는 방사성 폐기물(10) 압축 시 상기 1차 용기(410) 하단을 지지하는 게이트부재(440)가 설치되며,
    상기 게이트부재(440)에는 상기 1차 용기(410)가 관통하는 관통공(441)과, 상기 관통공(441)을 개폐하는 슬라이드벽(44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용기(410)가 상기 관통공(441)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때 상기 1차 용기(4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난 상기 상부 걸림면(411)은 상기 실린더부재(420) 내주면을 따라 상기 1차 용기(4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림면(411) 및 상기 하부 걸림면(431)은 상호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320) 선단에는 자성이 발생하는 자석부재(3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재(321)는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110091196A 2011-09-08 2011-09-08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116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196A KR101116271B1 (ko) 2011-09-08 2011-09-08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196A KR101116271B1 (ko) 2011-09-08 2011-09-08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271B1 true KR101116271B1 (ko) 2012-03-15

Family

ID=4614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196A KR101116271B1 (ko) 2011-09-08 2011-09-08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2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20B1 (ko) 2013-03-07 2015-03-30 이정화 방사성 폐기물의 압축저장장치 및 방법
KR101506722B1 (ko) 2013-12-27 2015-03-30 이정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의 방법
KR101589954B1 (ko) * 2014-12-23 2016-01-29 한국원자력연구원 용융된 방사성물질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 다단계 화학공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9Y2 (ja) * 1987-02-06 1994-01-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廃棄物の圧縮減容装置
JPH0654358B2 (ja) * 1986-05-22 1994-07-20 三菱原子燃料株式会社 フイルタ素材の圧縮成形方法
KR20080052925A (ko) * 2006-12-08 2008-06-12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폐기물 처리용 드럼 압축기
JP2011080873A (ja) 2009-10-07 2011-04-21 S.P.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放射性廃棄物用減容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358B2 (ja) * 1986-05-22 1994-07-20 三菱原子燃料株式会社 フイルタ素材の圧縮成形方法
JPH06799Y2 (ja) * 1987-02-06 1994-01-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廃棄物の圧縮減容装置
KR20080052925A (ko) * 2006-12-08 2008-06-12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폐기물 처리용 드럼 압축기
JP2011080873A (ja) 2009-10-07 2011-04-21 S.P.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放射性廃棄物用減容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20B1 (ko) 2013-03-07 2015-03-30 이정화 방사성 폐기물의 압축저장장치 및 방법
KR101506722B1 (ko) 2013-12-27 2015-03-30 이정화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의 방법
KR101589954B1 (ko) * 2014-12-23 2016-01-29 한국원자력연구원 용융된 방사성물질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 다단계 화학공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408B1 (ko)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116271B1 (ko)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310305B1 (ko)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977660B1 (ko) 방사성 폐기물 보관용기
JP2013164330A (ja) 放射性廃棄物の収納容器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放射性廃棄物の収納方法
KR200230624Y1 (ko) 방사성오염된폐필터격납용기
KR101229562B1 (ko) 방사성 폐기물을 최적화 압축하는 폐기물 드럼
Šimić Assessing the Scale of the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Problem: A Review of European Union and International Reporting
KR101434458B1 (ko) 방사성 폐기물 포장 용기
Dogaru et al. TREATMENT OF SOLID RADIOACTIVE WASTE BY SUPERCOMPACTION
Howard et al. Considerations for Disposition of Dry Cask Storage System Materials at End of Storage System Life
US Atomic Energy Commission. Working Group on Compaction et al. Compaction of Radioactive Solid Waste: A Report to the General Manager's Task Force on AEC Operational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June 1970
US4950086A (en) Structure having radioactive plant components
Aronsson Shallow land repository for very low level waste at Ringhals
KR101046449B1 (ko) 방사성폐기물 포장용기
KR101743204B1 (ko) 중,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압축처리기의 재팽창방지구
JPS61213699A (ja) 固体廃棄物の圧縮減容化処理法
Lee et al. Development of Multi-Purpose Containers for Managing LLW/VLLW from D&D
Martell Safety of sealed source disposal
van Leeuwe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future CO 2 emissions
LEE et al. Concepts of Retrieval Processes for Deposited Disposal Canisters and Bentonite Blocks
Kopytov et al. Nuclear power plant site lifetime
Mecham Improved method for storage of solid waste
KR100841673B1 (ko) 원자력 발전소용 방사성 오염필터 저장용기
US9514852B2 (en) Method to reduce the volume of boiling water reactor fuel channels for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