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235B1 -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235B1
KR101115235B1 KR1020080069471A KR20080069471A KR101115235B1 KR 101115235 B1 KR101115235 B1 KR 101115235B1 KR 1020080069471 A KR1020080069471 A KR 1020080069471A KR 20080069471 A KR20080069471 A KR 20080069471A KR 101115235 B1 KR101115235 B1 KR 101115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mp
base plate
distance measuring
unit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872A (ko
Inventor
임채영
Original Assignee
임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영 filed Critical 임채영
Priority to KR1020080069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23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15Objects of complex shape, e.g. examined with use of a surface follower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22Dark field detection
    • G01N2021/8825Separate detection of dark field and bright fiel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시료가 수용되는 슬럼프 콘이 안착되는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상에 또는 상기 베이스판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높이가 적어도 상기 슬럼프 콘의 높이보다 큰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되는 레이저 거리측정부재로 구성된 거리측정부와;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값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 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를 계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 의해 계산된 슬럼프의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와 플로워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시중에 저가로 유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베이스판부, 거리측정부, 연산부, 디스플레이부

Description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APPARATUS FOR TESTING SLUMP OF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시료가 수용되는 슬럼프 콘이 안착되는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상에 또는 상기 베이스판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높이가 적어도 상기 슬럼프 콘의 높이보다 큰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되는 레이저 거리측정부재로 구성된 거리측정부와;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값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 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를 계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 의해 계산된 슬럼프의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 및 시험실 등에서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질기(consistency)를 측정하기 위해, 또한 콘크리트의 운반, 타설에 대한 작업성의 양부, 즉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추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슬럼프와 플로워를 측정하는 시험을 거친다.
여기서, 슬럼프는 슬럼프 콘에 프래시 콘크리트 즉, 젖어있는 상태의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충전시킨 후 탈형 했을 때 자중에 의해 프래시 콘크리트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현상을 의미하며,
플로워는 상기 슬럼프 콘에 프래시 콘크리트를 충전시킨 후 탈형 했을 때 자중에 의해 프래시 콘크리트의 높이가 점차 낮아질 시 프래시 콘크리트의 하단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편, 프래시 콘크리트의 슬럼프와 플로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슬럼프 콘 내부에 프래시 콘크리트를 1/3씩 3층으로 넣으면서 막대기 등으로 상기 슬럼프 콘 내부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고르게 섞은 후 상기 슬럼프 콘을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탈형시킨 상태에서 프래시 콘크리트의 슬럼프와 플로워를 측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작업자가 매번 줄자를 사용하여 프래시 콘크리트의 슬럼프와 플로워를 측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하게 프래시 콘크리트의 슬럼프와 플로워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프래시 콘크리트를 골고루 섞을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슬럼프 수치를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슬럼프 측정기와; 디지털 카메라 및 촬영된 각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개수의 픽셀로 구분하고 각 이미지마다 슬럼프 판과 프래시 콘크리트 간의 경계선 상의 픽셀의 위치를 분석하여 프래시 콘크리트의 슬럼프와 플로워를 측정하는 컴퓨터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플로워 자동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슬럼프 측정기는 프래시 콘크리트의 슬럼프만을 측정하여 정확한 수치로 표시할 수 있을 뿐 프래시 콘크리트의 플로워를 측정할 수 없고, 상기 컴퓨터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플로워 자동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대폭 증가됨에 따라 시중에 고가로 유통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구입하여 사용하기가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와 플로워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시중에 저가로 유통될 수 있는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시료가 수용되는 슬럼프 콘이 안착되는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상에 또는 상기 베이스판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높이가 적어도 상기 슬럼프 콘의 높이보다 큰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되는 레이저 거리측정부재로 구성된 거리측정부와;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값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 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를 계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 의해 계산된 슬럼프의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거리측정부에는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부재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저 거리측정부재로부터 측정된 값을 기준으로 콘크 리트 시료의 평균 슬럼프를 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부의 상부면에는 격자형상 또는 동심원상의 플로워 측정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판부는 자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리측정부의 지지부재의 하단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부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평부재의 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축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부상에 또는 베이스판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거리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값에 의해 연산부가 상기 베이스판부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를 계산하기 때문에 종래처럼 줄자를 사용하여 슬럼프를 측 정할 필요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보다 정확하게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시중에 저가로 유통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계산된 슬럼프 값을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 값을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측정부에 레이저 거리측정부재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연산부가 상기 복수의 레이저 거리측정부재로부터 측정된 값을 기준으로 콘크리트 시료의 평균 슬럼프를 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기 때문에 보다 더욱 정확하게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플로워 측정 표시부로 인해 콘크리트 시료의 플로워 값 또한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플로워 측정 표시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면에 격자형상 또는 동심원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더욱 정확하게 콘크리트 시료의 플로워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주위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됨으로써, 주위온도에 따른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와 플로워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판부가 자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리측정부의 지지부재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부재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베이스판부에서 상기 거리측정부의 지지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거리측정부의 수평부재의 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베이스판부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의 상부방향에 상기 수평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지지부재(310)에서 수평부재(330)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판부(10), 거리측정부(30), 연산부 및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베이스판부(10)는 슬럼프와 플로워를 측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시료가 수용되는 슬럼프 콘이 안착되는 것으로써,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또는 상기 베이스판부(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거리측정부(3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판부(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슬럼프 콘이 안착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거리측정부(30)는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또는 상기 베이스판부(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또는 상기 베이스판부(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높이가 적어도 상기 슬럼프 콘의 높이보다 큰 지지부재(310)와; 상기 지지부재(310)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재(330)와; 상기 수평부재(330)에 형성되는 레이저 거리측정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330)의 단부가 상기 지지부재(3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부재(3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3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판(333)과; 상기 수평판(333)의 단부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 상기 지지부재(310)의 상부 내주연에 형성된 암기어(311)와 맞물림 결합되는 수기어(337)가 형성되는 수직축(3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가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을 상승시킬 시 상기 수직축(335)의 수기어(337)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암기어(311)에서 이탈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이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의 상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이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을 하강시킬 시 상기 수직축(335)의 수기어(337)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암기어(311)에 맞물림 결합되고, 이로 인해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수평판(333)이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리측정부(30)의 수평부재(330)의 단부가 상기 지지부재(3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의 상부방향에 상기 수평부재(330)를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부재는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의 상부와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 하부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연산부로 측정된 값을 출력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거리측정부(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또는 상기 베이스판부(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연산부는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를 계산하는 것으로써, 상 기 거리측정부(30)로부터 측정된 값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를 계산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상기 연산부(50)에 의해 계산된 슬럼프의 값을 숫자 등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작업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70)가 예를 들어, 숫자 등으로 표시하는 슬럼프의 값을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공지된 led 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산부(50)에 의해 계산된 슬럼프의 값을 숫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3 내지 도 6은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제어부(10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슬럼프를 측정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작업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부(10)에 콘크리트 시료(5)가 수용된 슬럼프 콘(7)을 안착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부(10)의 상부방향으로 상기 슬럼프 콘(7)을 들어올려 탈형시킬 경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5)는 자중에 의해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시료(5)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부재(도 5의 35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5)의 상부와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 하부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연산부로 측정된 값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는 레이저를 이용해 거리 등을 검출하는 센서로써, 예를 들어 크게,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 하부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시료(5)의 상부로 레이저를 출사하는 레이저 발진부와; 콘크리트 시료(5)의 상부에 부딪쳐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는 레이저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발진부와 레이저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산부(50)는 예를 들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거리측정부(30)의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콘크리트 시료(5)의 슬럼프를 자동계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산부(50)는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에 내장된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된 공지된 연산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콘크리트 시료(5)의 슬럼프를 자동계산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콘크리트 시료(5)의 슬럼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50)가 자동계산한 콘크리트 시료(5)의 슬럼프는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70)로 출력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70)가 콘크리트 시료(5)의 슬럼프 값을 숫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70)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거리측정부(30)의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 하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 하부에 상기 거리측정부(30)의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가 복수개 형성될 경우 상기 연산부(50)는 상기 복수의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로부터 측정된 값을 기준으로 콘크리트 시료(5)의 평균 슬럼프를 자동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70)에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거리측정부(30)에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연산부(50)가 상기 복수의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로부터 측정된 값을 기준으로 콘크리트 시료(5)의 평균 슬럼프를 자동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70)에 출력하기 때문에 보다 더욱 정확하게 콘크리트 시료(5)의 슬럼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수평부재(330)의 수평판(333) 하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는 상기 수평판(333)의 하부에 복수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거리측정부(30)의 지지부재(31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또는 상기 베이스판부(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데, 특히 상기 지지부재(310)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부(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의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 중 어느 하나(도 6의 351)는 상기 수평판(333)의 하부면과 상기 베이스판부(10)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연산부(50)로 측정된 값을 출력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측정부(30)의 지지부재(310)가 상기 베이스판부(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경우 그 높이는 상기 거리측정부(30)의 지지부재(310)가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구비된 때 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거리측정부(30)의 지지부재(310) 높이가 상이할 경우 상기 연산부(50)에 의해 계산된 슬럼프 값에 오차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 중 어느 하나(351)가 상기 수평판(333)의 하부면과 상기 베이스판부(10)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연산부(50)로 측정된 값을 출력하게 될 경우 상기 연산부(50)는 나머지 복수의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부재(도 6의 353)가 출력하는 값과 상기 복수의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중 어느 하나(351)가 출력하는 값을 기준으로 콘크리트 시료(5)의 평균 슬럼프를 자동계산하기 때문에 상기 연산부(50)에 의해 계산된 슬럼프 값에 오차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베이스판부(10)의 상부면에 격자형상 또는 동심원상의 플로워 측정 표시부(90)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부(10)의 상부면에는 격자형상 또는 동심원상의 플로워 측정 표시부(90)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상기 베이스판부(10)의 상부방향으로 상기 슬럼프 콘(7)을 들어올려 탈형시킬 경우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5)는 자중에 의해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됨과 동시에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시료(5)의 하면 면적이 점차 넓어지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격자형상 또는 동심원상의 플로워 측정 표시부(90)상에는 각각 숫자 등으로 이루어진 표시부가 일정간격으로 별도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자형상 또는 동심원상의 플로워 측정 표시부(90)상에 숫자로 이 루어진 표시부가 일정간격으로 별도로 더 구비될 경우 점차 넓어지는 콘크리트 시료(5)의 하면 면적, 즉 플로워 값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격자형상 또는 동심원상의 플로워 측정 표시부(90)상에는 점차 넓어지는 콘크리트 시료(5)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센서(도 7의 150)가 복수개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격자형상 또는 동심원상의 플로워 측정 표시부(90)에 복수개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상기 접촉센서(150)는 점차 넓어지는 콘크리트 시료(5)의 하면과 접촉하여 그 신호를 상기 연산부(50)로 출력하게 되고, 상기 연산부(50)는 상기 접촉센서(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된 공지된 상기 연산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콘크리트 시료(5)의 플로워를 자동계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50)가 자동계산한 플로워는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70)로 출력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70)가 콘크리트 시료(5)의 플로워 값을 숫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70)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부(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플로워 측정 표시부(90)로 인해 콘크리트 시료(5)의 플로워 값 또한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플로워 측정 표시부(90)가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면에 격자형상 또는 동심원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콘크리트 시료(5)의 플로워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부(70)가 숫자 등으로 표시하는 슬럼프 값과 플로워 값은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통해 USB 등의 이동형 저장매체에 유선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와 상기 USB 등의 이동형 저장매체는 근거리 무선통신 예를 들어, 공지된 블루투스 통신을 행할 수 있는데, 이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70)가 숫자 등으로 표시하는 슬럼프 값과 플로워 값이 USB 등의 이동형 저장매체에 무선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위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도 7의 1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70)에는 상기 온도센서(17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숫자 등으로 표시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170)는 예를 들어, 상기 거리측정부(30)의 지지부재(310) 또는 수평부재(330)에 구비되어 주위 온도를 측정하여 그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70)로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0)가 주위 온도를 숫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70)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위 온도를 측정하는 상기 온도센서(17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70)에 표시됨으로써, 작업자가 주위 온도에 따른 콘크리트 시료(5)의 슬럼프와 플로워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판부(10)는 자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리측정 부(30)의 지지부재(310)의 하단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도 5의 313)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부(10)는 철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베이스판부(10)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베이스판부(10)가 강알칼리인 콘크리트와 지속적으로 접촉되어도 부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여기서, 콘크리트 시료(5)가 수용되는 상기 슬럼프 콘(7) 또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강알칼리인 콘크리트 시료(5)를 수용하는 상기 슬럼프 콘(7)이 부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판부(10)가 자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리측정부(30)의 지지부재(310)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재(313)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베이스판부(10)에서 상기 거리측정부(30)의 지지부재(31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상기 거리측정부(30)로부터 측정된 값에 의해 상기 연산부(50)가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5)의 슬럼프를 계산하기 때문에 종래처럼 줄자를 사용하여 슬럼프를 측정할 필요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보다 정확하게 콘크리트 시료(5)의 슬럼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시중에 저가로 유통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연산부(50)에 의해 계산 된 슬럼프 값을 디스플레이부(70)가 숫자 등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콘크리트 시료(5)의 슬럼프 값을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지지부재에서 수평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베이스판의 상부면에 격자형상 또는 동심원상의 플로워 측정 표시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콘크리트 시료, 7; 슬럼프 콘,
10; 베이스판부, 30; 거리측정부,
310; 지지부재, 311; 암기어,
313; 고정부재, 330; 수평부재,
333; 수평판, 335; 수직축,
337; 수기어, 350; 레이저 거리측정부재,
50; 연산부, 70; 디스플레이부,
90; 플로워 측정 표시부, 100; 제어부,
110; 전원공급부, 130; 메모리,
150; 접촉센서, 170; 온도센서.

Claims (6)

  1. 콘크리트 시료(5)가 수용되는 슬럼프 콘(7)이 안착되는 베이스판부(10)와;
    상기 베이스판부(10)상에 또는 상기 베이스판부(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높이가 적어도 상기 슬럼프 콘(7)의 높이보다 큰 지지부재(310)와, 상기 지지부재(310)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재(330)와, 상기 수평부재(330)에 형성되는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로 구성된 거리측정부(30)와;
    상기 거리측정부(30)로부터 측정된 값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10) 상에 놓여진 콘크리트 시료(5)의 슬럼프를 계산하는 연산부(50)와;
    상기 연산부(50)에 의해 계산된 슬럼프의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리측정부(30)에는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연산부(50)는 상기 복수의 레이저 거리측정부재(350)로부터 측정된 값을 기준으로 콘크리트 시료(5)의 평균 슬럼프를 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70)에 출력하고,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70)에는 상기 온도센서(17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표시되고,
    상기 베이스판부(10)는 자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리측정부(30)의 지지부재(310)의 하단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부(10)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13)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재(330)의 단부가 상기 지지부재(310)의 상부에 축고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재(330)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판(333)과;
    상기 수평판(333)의 단부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 상기 지지부재(310)의 상부 내주연에 형성된 암기어(311)와 맞물림결합되는 수기어(337)가 형성되는 수직축(335);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판부(10)의 상부면에는 격자형상 또는 동심원상의 플로워 측정 표시부(90)가 형성되고,
    상기 플로워 측정 표시부(90)에 콘크리트 시료(5)와 접촉하는 접촉센서(150)가 복수개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69471A 2008-07-17 2008-07-17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 KR101115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471A KR101115235B1 (ko) 2008-07-17 2008-07-17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471A KR101115235B1 (ko) 2008-07-17 2008-07-17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72A KR20100008872A (ko) 2010-01-27
KR101115235B1 true KR101115235B1 (ko) 2012-02-15

Family

ID=4181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471A KR101115235B1 (ko) 2008-07-17 2008-07-17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2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0463A (zh) * 2018-05-21 2018-10-19 中测测试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混凝土塌落度检测装置及使用方法
CN112067796A (zh) * 2020-09-28 2020-12-11 温州市克微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检测砼坍落度并调整的浇筑设备
KR102235712B1 (ko) 2020-09-25 2021-04-05 주식회사 삼표산업 콘크리트 슬럼프 예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712B1 (ko) * 2013-01-31 2013-07-31 삼표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이동식 슬럼프테스트 및 플로우테스트 장치
KR101860092B1 (ko) * 2016-10-31 2018-05-21 (주)제이스코리아 굳지 않은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 장치 및 방법
DE102019001313A1 (de) * 2019-02-23 2020-08-27 Züblin Spezialtiefbau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Ermittlung mindestens einer Kenngröße von Frischbeton
CN114274305B (zh) * 2021-12-08 2023-11-28 重庆茂侨科技有限公司 一种取样成型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33A (ja) * 1992-06-25 1994-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797862A (ja) * 1993-09-29 1995-04-11 Okumura Corp 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とコンクリートの性状測定装置
KR100836464B1 (ko) * 2007-03-14 2008-06-09 (주)대우건설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플로 자동측정장치 및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33A (ja) * 1992-06-25 1994-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797862A (ja) * 1993-09-29 1995-04-11 Okumura Corp 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とコンクリートの性状測定装置
KR100836464B1 (ko) * 2007-03-14 2008-06-09 (주)대우건설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플로 자동측정장치 및 측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0463A (zh) * 2018-05-21 2018-10-19 中测测试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混凝土塌落度检测装置及使用方法
KR102235712B1 (ko) 2020-09-25 2021-04-05 주식회사 삼표산업 콘크리트 슬럼프 예측 시스템
CN112067796A (zh) * 2020-09-28 2020-12-11 温州市克微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检测砼坍落度并调整的浇筑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72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235B1 (ko) 콘크리트 슬럼프의 측정장치
KR101860092B1 (ko) 굳지 않은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 장치 및 방법
US8020271B2 (en) Self-raising form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874757B1 (ko) 구조물 기울기 측정장치
KR100753774B1 (ko) 수위계의 표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KR20130106138A (ko) 적설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방법
KR20090059304A (ko) 콘크리트 플로우 테스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컨시스턴시 측정방법
KR101705710B1 (ko) 측량 데이터의 오차 보정을 위한 레벨기기
CN108414057A (zh) 一种非接触式水位计检测校准装置
CN105841752A (zh) 一种精确测量过水断面流量的多功能测量装置及其方法
JP2010261298A (ja) 出来形管理システム及び出来形管理方法
KR101308987B1 (ko) 레이져 센서를 이용한 시설물의 2, 3차원 계측 및 안전진단관리 시스템
KR100836644B1 (ko) 측량 기준점과 수준점 매설에 따른 지반침하상태의 시각적계측을 위한 시스템
CN114858071B (zh) 一种预制混凝土构件叠合面粗糙度的测量装置及方法
KR20130114397A (ko) 수두차이의 검측을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방법
CN209027460U (zh) 一种水平位移监测装置
CN207351523U (zh) 基于静态液位的液位报警开关检测装置及其报警线的标定装置
KR20100033212A (ko) 연약지반 침하 계측방법
JP5898468B2 (ja) 水中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装置
CN111322999B (zh) 基于红外线传感器的可周转装配式定位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280251B1 (ko) 한 쌍의 수두측정부재 간의 수두차이의 검측을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방법
KR101027332B1 (ko) 계란의 난백 높이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1291712B1 (ko) 이동식 슬럼프테스트 및 플로우테스트 장치
CN212227967U (zh) 一种手持式建筑墙面平整度自检装置
KR100416639B1 (ko) 컨테이너 셀가이드의 측정시스템 및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