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637B1 - Controlling method of water supply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trolling method of water suppl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637B1
KR101114637B1 KR1020090084886A KR20090084886A KR101114637B1 KR 101114637 B1 KR101114637 B1 KR 101114637B1 KR 1020090084886 A KR1020090084886 A KR 1020090084886A KR 20090084886 A KR20090084886 A KR 20090084886A KR 101114637 B1 KR101114637 B1 KR 101114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output unit
supply device
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6996A (en
Inventor
최고봉
유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637B1/en
Publication of KR2011002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9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6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7Electronic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이 시작되고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기설정된 패턴의 신호가 출력되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초기화 과정의 안정적인 수행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water supply apparatus that output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pattern while an operation is started and an initialization process is perform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being performed, and stable performance of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possible.

물 공급 장치, 정수, 초기화 Water supply, water purification, initialization

Description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of water supply apparatus}Controlling method of wat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water supply device.

일반적으로 물 공급 장치는, 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배출시키거나, 생수통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물 공급 장치의 내부에는 상기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된다. In general, the water supply device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to discharg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discharge the water stored in the bottled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devic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device for heating or cooling the water.

그리고, 상기 물 공급 장치에는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 입력부와,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포함된다. The water supply device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by a user to discharge hot water or cold wat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한편,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 공급 장치의 경우에는, 내부에 물을 정화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discharg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plurality of filters for purifying water are provided inside.

본 발명은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water supply device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that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being performed.

그리고, 본 발명은 초기화 과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that the initializ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은, 본체로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본체에 구비된 입력부 표면의 정전 용량을 감지하여 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정전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 및 기준 정전 용량을 설정하는 과정 중에, 상기 기준 용량을 설정하는 과정을 알리기 위한 기 설정된 패턴의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as described above, the step of applying power to the main body; Setting a reference capacitance for determining whether a signal is input by sensing a capacitance of the surface of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reference capacitance, outputt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pattern for informing the process of setting the reference capacitance from the output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물 공급 장치가 초기화 과정에 있음을 더욱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물 공급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안정적인 작동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이 수행된다.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출력부를 통하여 초기화 과정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 공급 장치가 초기화 과정에 있음을 더욱 쉽게 인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re easily recognize that the water supply apparatus is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In more detail,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an initialization process for reaching a stable operating state is performed. While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performed, a signal indicating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Thus, the user can more easily recognize that the water supply is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그리고, 입력부의 신호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 정전 용량이 최적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물 공급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입력부를 통하여 신호 입력 여부의 기준이 되는 기준 정전 용량이 자동 설정된다. 이때, 기준 정전 용량은, 초기화 과정에서 입력부의 정전 용량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화 과정을 의미하는 신호가 출력되므로, 초기화 과정 중에 사용자가 입력부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정전 용량이 최적으로 초기화될 수 있고, 물 공급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ference capacitance for sensing the signal input of the input unit may be initialized optimally. In more detail,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a reference capacitance, which is a reference of whether a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s automatically set. At this time, the reference capacitance is set to the capacitance of the input unit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ignal representing an initialization process is output, the user may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input unit during the initialization process. Thus, the reference capacitance can be initialized optimally, and stabl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is enabl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물의 흐름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입력부 및 출력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제어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water in a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물 공급 장치(1)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각종 부품을 포함하는 본체(10)와, 작동 제어를 위한 신호가 입력 및 출력되는 조작부(20)를 포함한다. 1 to 4, the water supply device 1 includes a main body 10 including various components for purifying water, and an operation unit 20 to which signals for operation control are input and output. .

상기 조작부(2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부(20)의 하방에는, 온수 배출을 위한 온수 배출 조작부(151)와, 냉수 배출을 위한 냉수 배출 조작부(1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배출 조작부(151)의 상방에는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온수취출구(153)가 구비되고, 상기 냉수 배출 조작부(152)의 상방에는 냉수가 배출되기 위한 냉수취출구(154)가 구비된다. The operation unit 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below the operation unit 20, a hot water discharge operation unit 151 for discharging hot water and a cold water discharge operation unit 152 for discharging cold water are provided. A hot water outlet 153 is provided above the hot water discharge operation unit 151 to discharge hot water, and a cold water outlet 154 is provided above the cold water discharge operation unit 152 to discharge cold water.

이때, 온수 및 냉수를 취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온수 배출 조작부(151)를 가압하면 상기 온수취출구(153)로 온수가 배출되고, 상기 냉수 배출 조작부(152)를 가압하면 상기 냉수취출구(154)로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a method of extracting hot water and cold water, for example, when a user presses the hot water discharge operation unit 151,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hot water outlet 153, and pressurizes the cold water discharge operation unit 152. Cold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cold water outlet 154.

상기 본체(10)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11)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11)는, 걸러내기 위한 오염 물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111,112,113,114)가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includes at least one filter 11 for purifying water. The filter 11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filters 111, 112, 113, and 114 according to the contaminants for filtering.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필터(11)를 통하여 정화된 물이 저장되기 위한 저장부(131,132,133)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31,132,133)는, 상기 필터(11)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이 저장되기 위한 저수조(131)와, 상기 정화된 물이 가열되어 온수로 저장되는 온수조(133)와, 상기 정화된 물이 냉각되어 냉수로 저장되는 냉수조(13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ncludes storage units 131, 132, and 133 for storing purified water through the filter 11. The storage unit 131, 132, 133 may include a reservoir 131 for storing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1, a hot water tank 133 in which the purified water is heated and stored as hot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Water includes a cold water tank 132 is cooled and stored as cold water.

상기 필터(11) 및 저장부(131,132,133)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배관(100)으로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100)의 입구는 원수가 공급될 수 있는 장치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관(100)의 입구는 상수도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수도관으로부터 직접 원수가 상기 배관(100)으로 유입될 수 있 다. 또한, 상기 배관(100)의 입구가 원수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 용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저장 용기에 저장된 원수가 유입될 수도 있다. 물론, 상수도관 또는 저장 용기의 원수가 유입되기 위한 수압이 부족한 경우에는, 원수를 배관(100)으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펌프가 추가될 수도 있다.The filter 11 and the storage units 131, 132, and 1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pe 100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In addition, the inlet of the pipe 100 is connected to a device that can be supplied with raw water. For example, the inlet of the pip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In this case, raw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pipe 100 directly from the water supply pipe. In addition, the inlet of the pipe 10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raw water. In such a case, raw water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may be introduced. Of course, when the water pressure for the raw water in the water supply pipe or storage vessel is insufficient, a separate pump for forcibly flowing the raw water to the pipe 100 may be added.

상기 배관(100) 상의 일측에는, 상기 배관(100) 내부의 물 유동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101)가 구비된다. 또한, 배관(1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량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센서(102)가 설치될 수도 있다. One side on the pipe 100, the valve 10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flow in the pipe 100 is provided. In addition, a flow rate sensor 102 may be installed to detect a flow amount of water flowing in the pipe 100.

그리고, 상기 필터(1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오염 물질과 함께 걸러진 물이 생활 용수로 배출되기 위한 배수관(103)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103)의 일측에는 상기 생활 용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배수저항(104)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Then, from at least one of the filters 11, a drain pipe 103 for discharging the water filtered together with the contaminants into the living water is connected. In addition, one side of the drain pipe 103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rain resistance 104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for living.

한편, 상기 저수조(131)에는,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12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수위 센서(121)는,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가 제 1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하측 수위 센서(123)와,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상측 수위 센서(1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기준수위는 상기 제 1 기준수위보다 높은 수위에 해당한다. 즉, 상기 상측 수위 센서(124)는 상기 하측 수위 센서(123)보다 높게 위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servoir 131, the water level sensor 121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131 is provided. More specifically, the water level sensor 121, the lower level sensor 123 for detect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13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level, and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13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level. It includes an upper water level sensor 124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In this case, the second reference level corresponds to a level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level. That is, the upper water level sensor 124 is located higher than the lower water level sensor 123.

그리고, 상기 저수조(131)에는, 상기 저수조(131)로 유입되는 물을 기계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플로트 스위치(122)가 구비된다. 상기 플로트 스위치(122)는, 상 기 저수조(131)의 물에 부유하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저수조(131)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ervoir 131 is provided with a float switch 122 for mechan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reservoir 131. The float switch 122 may be operated in such a manner as to block or open the water flowing into the reservoir 131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at switch 122 floating in the water of the reservoir 131 rises or falls.

상기 저수조(131)의 하방에는, 상기 저수조(131)의 물이 유입되어 냉각 및 저장되기 위한 냉수조(132)가 구비된다. 상기 냉수조(132)에는, 상기 냉수조(132)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냉각기는,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물을 냉각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냉매 사이클을 이루기 위하여, 압축기, 응축기, 팽창부, 증발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와, 상기 냉수조(132)의 물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냉수조(132)의 물이 냉각되게 된다. Below the reservoir 131, a cold water tank 132 is provided for cooling, storing, and inflowing water from the reservoir 131. The cold water tank 132 is provided with a cooler (not shown) for cooling the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132. In this case, the cooler may be a method of cooling water using a refrigerant cycle. In this case, to achieve the refrigerant cycle,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unit, an evaporator may be further provided. As the heat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evaporator and the water of the cold water tank 132, the water of the cold water tank 132 is cooled.

또한, 상기 저수조(131)의 하방에는, 상기 저수조(131)의 물이 유입되어 가열 및 저장되기 위한 온수조(133)가 구비된다. 상기 온수조(133)에는, 상기 온수조(133)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열기는, 예를 들면,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하는 히터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tank 133 is provided below the water storage tank 131 so that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131 flows in and is heated and stored. The hot water tank 133 is provided with a heater (not shown) f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33. In this case, the heater may be, for example, a heater that generates heat when electricity is applied.

여기서, 상기 온수조(133) 및 냉수조(132)가 상기 저수조(131)에 비하여 하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온수조(133) 및 냉수조(132)의 물이 자동적으로 채워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온수조(133)에 유입된 물이 가열되어 온수로 변화하게 되면, 상기 저수조(131)의 물과의 밀도차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131)로 상승하려는 경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수가 상기 저수조(131)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저수조(131)와 온수조(133) 사이에 체크 밸브(105)가 설치될 수 있다.Here, since the hot water tank 133 and the cold water tank 132 are located below the water storage tank 131, the water of the hot water tank 133 and the cold water tank 132 can be automatically filled. In addition, whe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tank 133 is heated to change to hot water, a tendency to rise to the water storage tank 131 may occur due to a density difference with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tank 131. In this case, a check valve 105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eservoir 131 and the hot water tank 133 in order to prevent the hot water from flowing back into the reservoir 131.

그리고, 상기 냉수조(132) 및 온수조(133)는 냉수 및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상기 냉수취출구(152) 및 온수취출구(151)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냉수조(132) 및 온수조(133)에는 각각 냉수 온도 센서(142) 및 온수 온도 센서(141)가 구비된다. 상기 냉수 온도 센서(142)는 상기 냉수조(132)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온수 온도 센서(141)는 상기 온수조(13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한다. The cold water tank 132 and the hot water tank 133 ar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outlet 152 and the hot water outlet 151 for discharging cold water and hot water. In addition, the cold water tank 132 and the hot water tank 133 are provided with a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142 and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141, respectively. The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142 detects a temperature of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132.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141 detects a temperature of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33.

한편, 상기 조작부(20)는,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 버튼(210)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 버튼(220)과, 소비 전력을 낮추기 위하여 선택하는 절전 버튼(230)과, 필터 교체 시기를 표시하기 위한 청정 표시부(240)와, 냉수를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속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연속 버튼(250)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unit 20, hot water button 210 for selecting the hot water discharge function, cold water button 220 for selecting the cold water discharge function, power saving button 230 for selecting to lower the power consumption and , A clean display unit 240 for displaying a filter replacement time, and a continuous button 250 for selecting a continuous mode for continuously discharging cold water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온수 버튼(210), 절전 버튼(230), 청정 표시부(240), 연속 버튼(250) 및 냉수 버튼(220)은 순차적으로 수평을 이루게 배치된다. The hot water button 210, the power saving button 230, the clean display unit 240, the continuous button 250, and the cold water button 220 are sequentially arranged horizontally.

또한, 상기 조작부(20)는, 온수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수 온도 표시부(260)와, 냉수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냉수 온도 표시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260)는 상기 온수 버튼(210)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냉수 온도 표시부(270)는 상기 냉수 버튼(220)의 상방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20 includes a hot water temperature display unit 260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a cold water temperature display unit 270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The hot water temperature display unit 260 is located above the hot water button 210, and the cold water temperature display unit 270 is located above the cold water button 220.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260) 및 냉수 온도 표시부(270)는, 독립적으로 점등될 수 있는 다수개의 표시부(262,264,266,272,274,2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260)의 표시부(262,264,266) 중 점등되는 표시부(262,264,266)의 개수가 많을 수록 온수의 온도가 더욱 높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온도 표시부(270)의 표시부(272,274,276) 중 점등되는 표시부(272,274,276)의 개수가 많을 수록 냉수의 온도가 더욱 낮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260) 및 냉수 온도 표시부(270)는 각각 3개의 표시부(262,264,266,272,274,276)를 포함한다. The hot water temperature display unit 260 and the cold water temperature display unit 2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262, 264, 266, 272, 274 and 276 that may be independently turned on. In this case, for example, as the number of the display units 262, 264, 266 that are turned on among the display units 262, 264, 266 of the hot water temperature display unit 260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ay be higher.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the display units 272, 274, 276 that are turned on among the display units 272, 274, 276 of the cold water temperature display unit 270 may mea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is low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t water temperature display unit 260 and the cold water temperature display unit 270 include three display units 262, 264, 266, 272, 274 and 276, respectively.

이때, 상기 조작부(20)는, 신호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201)와, 각종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02)가 중첩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출력부(202)는 상기 다수개의 버튼(210,220,230,250) 및 표시부(240)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도안을 시각적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입력부(201)는 상기 출력부(202)의 문자 또는 도안에 대응되는 지점을 통하여 터치 방식으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20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unit 20 is composed of an input unit 201 for receiving a signal input and an output unit 202 for outputting various signals. That is, the output unit 202 outputs a text or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uttons 210, 220, 230, 250 and the display unit 240 as a visual signal. The input unit 201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output unit 202 so that a signal may be input through a point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or a drawing of the output unit 202.

여기서, 상기 입력부(201)는, 상기 입력부(201)의 표면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상기 입력부(201)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으로부터 신호 입력을 감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의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20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 용량과, 사용자의 접촉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20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 용량는 달라진다. 그 이유는 인체가 전하를 전달 및 저장 가능한 도전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201)의 표면 정전 용량을 기준으로,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가 있다면 사용자에 의한 접촉 즉, 신호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Here, the input unit 201 detects a signal input from a user's contact with the input unit 201 in a manner of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surface of the input unit 201. In more detail, the capacitan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put unit 201 in the absence of the user's contact and the capacitan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put unit 201 in the state of the user's contact are different. This is because the human body is a conducto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storing charge. Therefore, based on the surface capacitance of the input unit 201 in the absence of user contact, if there is a change in the capacitanc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ntact by the user, that is, a signal input.

한편, 상기 물 공급 장치(1)는, 상기 입력부(201)로부터 입력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출력부(202)로 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16)를 포함한다. 그리 고, 상기 물 공급 장치(1)는,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작동 제어에 관련하여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1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201), 출력부(202), 제어부(16) 및 메모리부(19)는, 상호 간에 제어 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Meanwhile, the water supply device 1 includes a control unit 16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unit 201 and transmitting an output signal to the output unit 202.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device 1 includes a memory unit 19 capable of storing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In this case, the input unit 201, the output unit 202, the control unit 16 and the memory unit 19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control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 및 메모리부와 같은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전장 부품이 설치되기 위한 전장부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equipment for installing electrical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such as the control unit and the memory un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초기화 과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itialization process in a first embodiment of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의 초기화 과정에서 출력부의 신호 출력 방법을 보인 플로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의 초기화 과정에서 출력부의 신호 출력 모습을 보인 조작부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의 초기화 과정에서 출력부의 신호 출력 모습을 보인 조작부의 정면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a signal output method of the output unit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gnal output of the output unit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the operation unit showing the state,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operation unit showing the output state of the signal output unit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물 공급 장치(1)의 오프된 상태에서 온되면 즉, 상기 물 공급 장치(1)로 전원이 공급되면, 입력부(201)의 초기화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입력부(201)의 초기화 과정은, 사용자의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201)의 표면의 정전 용량을 감지하여 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정전 용량으로 입력되는 과정이다. 5 to 7, when the power supply is turned on in the off state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that is,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1, an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input unit 201 is performed.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input unit 201 is a process of inputting a reference capacitance to detect a capacitance of the surface of the input unit 201 and determine whether a signal is input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user contact.

초기화 과정 중에, 사용자가 초기화 과정이 수행 중인 상태를 인지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초기화 과정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있게 되면 상기 기준 정전 용량이 사용자의 접촉이 있는 상태의 정전 용량으로 입력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During the initialization process, the user needs to be aware of the state in which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being performed. The reason is that when the user touches the initializing process, the reference capacitance may be input to the capacitance in the state where the user touches.

따라서, 후술할 과정과 같이, 상기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출력부(202)를 통하여 상기 초기화 과정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가 출력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온수 버튼(210), 절전 버튼(230), 청정 표시부(240), 연속 버튼(250), 냉수 버튼(220)을, 제 1 출력부(202), 제 2 출력부(202), 제 3 출력부(202), 제 4 출력부(202), 제 5 출력부(202)라고 칭한다. Therefore, as described later, while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performed, a signal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02.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hot water button 210, the power saving button 230, the clean display unit 240, the continuous button 250, the cold water button 220, the first output unit 202, and the second output unit 202. ), The third output unit 202, the fourth output unit 202, and the fifth output unit 202.

보다 상세히,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작동이 시작되면, 먼저, 경과 시간이 초기화된다.(S11) 이때, 상기 경과 시간은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작동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경과 시간이 초기화되는 것은, 상기 경과 시간이 해당 시점으로부터 다시 기산됨을 의미한다. In more detail, when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starts, first, the elapsed time is initialized (S11). At this time, the elapsed time is a time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starts. it means. And, the initializing of the elapsed time means that the elapsed time is calculated again from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다음으로, 상기 경과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 이하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S12), 상기 제 1 출력부(202)가 점등된다.(S13) Next, during the time when the elapsed time corresponds to the first reference time or less (S12), the first output unit 202 is turned on. (S13)

그리고,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제 1 기준 시간을 넘어서게 되면(S12), 상기 제 1 출력부(202)가 소등되고(S14), 상기 경과 시간이 제 2 기준 시간을 넘어서기 전까지(S15), 상기 제 2 출력부(202)가 점등된다.(S16)When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time (S12), the first output unit 202 is turned off (S14), and before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time (S15). The second output unit 202 is turned on. (S16)

그리고,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제 2 기준 시간을 넘어서게 되면(S15), 상기 제 2 출력부(202)가 소등되고(S17), 상기 경과 시간이 제 3 기준 시간을 넘어서기 전까지(S18), 상기 제 3 출력부(202)가 점등된다.(S19)When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time (S15), the second output unit 202 is turned off (S17), and before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third reference time (S18). The third output unit 202 is turned on. (S19)

그리고,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제 3 기준 시간을 넘어서게 되면(S18), 상기 제 3 출력부(202)가 소등되고(S20), 상기 경과 시간이 제 4 기준 시간을 넘어서기 전까지(S21), 상기 제 4 출력부(202)가 점등된다.(S22)When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third reference time (S18), the third output unit 202 is turned off (S20), and before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fourth reference time (S21). The fourth output unit 202 is turned on. (S22)

그리고,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제 4 기준 시간을 넘어서게 되면(S21), 상기 제 4 출력부(202)가 소등되고(S23), 상기 경과 시간이 제 5 기준 시간을 넘어서기 전까지(S24), 상기 제 5 출력부(202)가 점등된다.(S25)When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fourth reference time (S21), the fourth output unit 202 is turned off (S23), until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fifth reference time (S24). The fifth output unit 202 is turned on. (S25)

마지막으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제 5 기준 시간을 넘어서게 되면(S24), 상기 제 5 출력부(202)가 소등된다.(S26)Finally, when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fifth reference time (S24), the fifth output unit 202 is turned off. (S26)

즉, 상기 입력부(201)의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상술한 방법으로 상기 제 1 출력부(202), 제 2 출력부(202), 제 3 출력부(202), 제 4 출력부(202), 제 5 출력부(202)가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출력부(202), 제 2 출력부(202)가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되는 모습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모습과 같다. 보다 상세히, 도 6과 같이 상기 제 1 출력부(202)가 점등된 상태에서, 제 1 기준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제 1 출력부(202)가 소등되고 제 2 출력부(202)가 점등되게 된다.That is, while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input unit 201 is performed, the first output unit 202, the second output unit 202, the third output unit 202, and the fourth output unit 202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 The fifth output unit 202 is sequentially turned on and off. For example,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output unit 202 and the second output unit 202 are sequentially turned on and off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S. 6 and 7. More specifically,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output unit 202 is turned on as shown in FIG. 6, after the first reference time has elapsed, the first output unit 202 is turned off as shown in FIG. 7 and the second output unit ( 202 is turned on.

이때, 상기 제 1 기준 시간, 제 2 기준 시간, 제 3 기준 시간, 제 4 기준 시간, 제 5 기준 시간은, 상기 입력부(201)의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데 필요한 시간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201)의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5초라고 가정하면, 상기 제 1 기준 시간, 제 2 기준 시간, 제 3 기준 시간, 제 4 기준 시간, 제 5 기준 시간 각각이 1초씩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third reference time, the fourth reference time, and the fifth reference time may vary according to a time required for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input unit 201.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time required to perform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input unit 201 is 5 seconds,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third reference time, the fourth reference time, and the fifth reference time Each may be sequentially lit for 1 second.

상기 물 공급 장치(1)에 의하면,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device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is being performed.

그리고,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20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201)를 통한 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전 용량이 최적으로 자동 감지 및 입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ile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is performed, the user may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input unit 201.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ference capacitanc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01 can be automatically detected and input optimal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2실시예의 초기화 과정에서 출력부의 신호 출력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초기화 과정에서 다수개의 출력부가 일괄적으로 점등 및 소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Hereinafter, the signal output method of the output unit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 plurality of output units are turned on and off in a batch during the initialization process.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2실시예의 초기화 과정에서 출력부의 신호 출력 방법을 보인 플로차트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a signal output method of the output unit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물 공급 장치(1)의 작동이 시작되면, 즉, 상기 물 공급 장치(1)에 전원이 공급되면, 먼저 경과 시간이 초기화된다.(S31)Referring to FIG. 8, when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starts, that is,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1, the elapsed time is first initialized (S31).

다음으로, 단위 시간이 초기화된다.(S32) 여기서, 단위 시간은 후술할 다수개의 출력부(202)가 일괄적으로 점등된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의미한다.Next, the unit time is initialized. (S32) Here, the unit time means a time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plurality of output units 202 to be described later are turned on collectively.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출력부(202) 즉, 제 1 출력부(202), 제 2 출력부(202), 제 3 출력부(202), 제 4 출력부(202), 제 5 출력부(202)가 일괄적으로 점등된다.(S33) 여기서, 제 1 출력부(202), 제 2 출력부(202), 제 3 출력부(202), 제 4 출력부(202), 제 5 출력부(202)는 각각, 온수 버튼(210), 절전 버튼(230), 청정 표시부(240), 연속 버튼(250), 냉수 버튼(220)과 대응된다.The plurality of output units 202, that is, the first output unit 202, the second output unit 202, the third output unit 202, the fourth output unit 202, and the fifth output unit 202. ) Is collectively lit. (S33) Here, the first output unit 202, the second output unit 202, the third output unit 202, the fourth output unit 202, the fifth output unit ( The 202 corresponds to the hot water button 210, the power saving button 230, the clean display unit 240, the continuous button 250, and the cold water button 22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단위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을 넘어서면 즉, 상기 출력부(202)가 점등된 시점으로부터 제 1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S34), 상기 출력부(202)는 일괄적으로 소등된다.(S35) When the unit tim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time, that is, when the first reference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output unit 202 is turned on (S34), the output unit 202 is turned off collectively. (S35)

그리고, 상기 단위 시간이 제 2 기준 시감을 넘어서면 즉, 상기 출력부(202)가 점등된 시간으로부터 제 2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S36), 상기 경과 시간이 제 3 기준 시간을 넘어서기 전까지는(S37) 상기 단위 시간을 초기화하는 단계부터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32)When the unit tim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time, that is, when the second reference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output unit 202 is turned on (S36), until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third reference time. (S37) Repeatedly performed from the step of initializing the unit time (S32).

이때, 상기 제 1 기준 시간 및 제 2 기준 시간은 상기 출력부(202)가 점등 및 소등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이는 상기 출력부(202)가 점멸되는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시간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 기준 시간은 상기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기준 시간이 5초이고, 상기 제 1 기준 시간 및 제 2 기준 시간이 각각 0.5초이면, 상기 초기화 과정 동안 상기 출력부(202)가 5회 일괄적으로 점멸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first reference time and the second reference time means a time for which the output unit 202 is kept on and off, depending on whether the output unit 202 is rapidly or slowed down. It can be preset at various times. The third reference time means a time taken for the initialization process to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third reference time is 5 seconds and the first reference time and the second reference time are each 0.5 seconds, the output unit 202 blinks five times during the initialization process.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시간 동안, 상기 다수개의 출력부(202)가 일괄적으로 반복해서 점멸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 장치(1)가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output units 202 may be repeatedly blinked in a batch during the time that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performed.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water supply device 1 is performing an initialization process.

또한, 상기 초기화 과정 중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201)를 접촉하는 것이 방 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입력부(201)의 기준 정전 용량은 더욱 안정적으로 초기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may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input unit 201 during the initialization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ference capacitance of the input unit 201 can be initialized more stably.

한편,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종류에 따라, 상기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방법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오조립을 최소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by changing the display method indicating that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isassembly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예를 들어, 상기 물 공급 장치(1)가 스탠드형 및 데스크형으로써 2가지의 종류라고 가정하면, 스탠드형 물 공급 장치(1)에 조립되는 스탠드형 전용 부품과 데스크형 물 공급 장치(1)에 조립되는 데스크형 전용 부품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water supply device 1 is of two types, a stand type and a desk type, a stand type part and a desk type water supply device 1 assembled to the stand type water supply device 1 are provided. There may be dedicated parts for the desk type that are assembled in the.

이러한 경우에, 상기 스탠드형 전용 부품과 데스크형 전용 부품 각각에 내장되는 초기화 표시 방법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탠드형 전용 부품은 스탠드형 전용 전장부이고, 상기 데스크형 전용 부품은 데스크형 전용 전장부이며, 상기 스탠드형 전용 전장부와 데스크형 전용 전장부에는 서로 다른 초기화 표시 패턴이 기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탠드형 전용 전장부 및 데스크형 전용 전장부를 각각, 제 1 형 전장부 및 제 2 형 전장부라고 칭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itialization display method embedded in each of the stand-only part and the desk-only part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stand type dedicated part may be a stand type dedicated electric part, the desk type dedicated part may be a desk type exclusive electric part, and the stand type dedicated electric part and the desk type dedicated electric part may have different initialization display patterns. Can be set. In this case, the stand-type dedicated electric parts and the desk-type dedicated electric part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type electric part and a second type electric part, respectively.

그러면, 상기 스탠드형 물 공급 장치(1)의 케이스에 데스크형 전용 부품이 조립되는 경우에는, 외형은 스탠드형 물 공급 장치(1)임에도 불구하고 초기화 과정 수행 중에 데스크형 부품에 대응되는 표시 방법이 출력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데스크형 물 공급 장치(1)의 케이스에 스탠드형 전용 부품이 조립되는 경우에는, 외형은 데스크형 물 공급 장치(1)임에도 불구하고 초기화 과정 수행 중에 스탠드형 전용 부품에 대응되는 표시 방법으로 출력 표시 방법이 출력될 수 있다. Then, when the desk-type dedicated parts are assembled to the case of the stand-type water supply device 1, the display method corresponding to the desk-type parts during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performed despite the appearance of the desk-type water supply device 1. Can be output. On the contrary, when the stand type parts are assembled in the case of the desk type water supply device 1, the display method corresponding to the stand type parts during the initialization process despite the appearance of the desk type water supply device 1. The output display method can be output.

따라서,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케이스 및 부품을 조립한 후에,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초기화 과정을 의미하는 표시 방법이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종류에 적합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오조립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after assembling the case and parts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display method that represents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is suitable for the type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As a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water supply device (1) is assembled incorrectly.

보다 상세히,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케이스 종류 및 조립되는 부품의 종류가 서로 맞지 않는 경우에는, 초기화 과정 중에 상기 케이스 종류에 적합하지 않는 표시 방법이 출력된다. 그러면, 조립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상기 물 공급 장치(1)가 오조립된 것을 인지하고, 이를 바로 잡을 수 있다. 결국, 상기 물 공급 장치(1)가 오조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case type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and the type of parts to be assembled do not match with each other, a display method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case type is output during the initialization process. Then, the worker performing the assembly work can recognize that the water supply device 1 is incorrectly assembled and can correct it. As a result, misassembly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can be minimiz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such,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물의 흐름을 보인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wat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조작부를 보인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por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제어 구성도.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의 초기화 과정에서 출력부의 신호 출력 방법을 보인 플로차트.5 is a flowchart showing a signal output method of the output unit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의 초기화 과정에서 출력부의 신호 출력 모습을 보인 조작부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an operation unit showing a signal output state of the output unit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의 초기화 과정에서 출력부의 신호 출력 모습을 보인 조작부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an operation unit showing a signal output state of the output unit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제2실시예의 초기화 과정에서 출력부의 신호 출력 방법을 보인 플로차트.8 is a flowchart showing a signal output method of the output unit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본체로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Applying power to the main body; 본체에 구비된 입력부 표면의 정전 용량을 감지하여 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정전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 및 Setting a reference capacitance for determining whether a signal is input by sensing a capacitance of the surface of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기준 정전 용량을 설정하는 과정 중에, 상기 기준 용량을 설정하는 과정을 알리기 위한 기 설정된 패턴의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reference capacitance, 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pattern for informing the process of setting the reference capacitance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상기 입력부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초기화되는 과정이 수행되는 시간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The predetermined time is a control method of a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s the time when the process of initializing the input unit is operable is perform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입력부는, 접촉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방식 입력부이고,The input unit is a touch type input unit that receives a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caused by contact,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상기 터치 방식 입력부에서 신호 입력 여부의 기준이 되는 기준 정전 용량이 자동 설정되는 과정이 수행되는 시간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The preset time is a control method of a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time as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reference capacitance as a reference whether or not the signal input from the touch type input unit is perform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는 다수개로 구비되고,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is provided in plurality, 상기 출력부에 대응되는 입력부를 터치하는 방법으로 상기 출력부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는 중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And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overlap each other so that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unit can be input by touching an in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output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력부는 다수개로 구비되고,The output unit is provided in plurality, 상기 기설정된 패턴의 신호는, 상기 다수개의 출력부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output in such a manner that the plurality of output parts sequentially flash one by 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설정된 패턴의 신호는, 상기 출력부가 반복적으로 점멸되는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output in such a way that the output unit repeatedly flashes.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출력부는 다수개로 구비되고,The output unit is provided in plurality, 상기 기설정된 패턴의 신호는, 상기 출력부가 일괄적으로 동시 점멸되는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output in such a manner that the output unit is blinking at the same time collectively.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7, 상기 다수개의 출력부는 온수 버튼, 절전 버튼, 청정 표시부, 연속 버튼, 냉수 버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The plurality of output unit is a control method of a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t water button, a power saving button, a clean display unit, a continuous button, a cold water butt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작동 제어를 위한 전장 부품이 설치되기 위한 전장부를 더 포함하고,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for installing electronic components for operation control, 상기 전장부의 종류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패턴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lectric part.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출력부는 다수개로 구비되고, The output unit is provided in plurality, 상기 전장부의 종류는 제 1 형 및 제 2 형 전장부를 포함하고,The type of electric parts includes a first type and a second type electric parts, 제 1 형 전장부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다수개의 출력부가 순차적으로 점멸되고,When the first type electric component is mounted, the plurality of output units are sequentially flashed for the preset time, 제 2 형 전장부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다수개의 출력부가 반복적으로 동시에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When the second typ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the plurality of outputs repeatedly blink simultaneously for the predetermined time.
KR1020090084886A 2009-09-09 2009-09-09 Controlling method of water supply apparatus KR1011146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86A KR101114637B1 (en) 2009-09-09 2009-09-09 Controlling method of water suppl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86A KR101114637B1 (en) 2009-09-09 2009-09-09 Controlling method of water suppl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96A KR20110026996A (en) 2011-03-16
KR101114637B1 true KR101114637B1 (en) 2012-03-05

Family

ID=4393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886A KR101114637B1 (en) 2009-09-09 2009-09-09 Controlling method of water suppl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63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96A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877B1 (en) Control method of cooking apparatus
CN103968552B (en) A kind of electric heater and its control method
US8674267B2 (en) Steam cooker
CA2954613C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electric water heater
KR101114637B1 (en) Controlling method of water supply apparatus
JP5195326B2 (en) Water heater
JP5851143B2 (en) Heat source equipment
KR101114764B1 (en) Water supply apparatus
CN208952434U (en) A kind of temperature control system of shower bath
KR101402430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cool and hot water capable of extracting fixed quantity
CN104110870A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water heater
KR101491886B1 (en) Water purifier
KR101135819B1 (en) Water supply apparatus
KR20100131803A (en) Hot water discharg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KR100666130B1 (en) Control device of providing warm water with a instantaneous heating method and method there of
KR101175865B1 (en) Rain gauge having test device for power supply and driving heater
CN105180458A (en) Rural-specific-market-oriented water heater with hot water quantity display function and control method of rural-specific-market-oriented water heater
CN104596086A (en) Gas water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43741B1 (en) Water supply apparatus
KR101115834B1 (en) Water supply apparatus
KR102042565B1 (en) water purifier and comtrol method thereof
JP3931795B2 (en) Water heater
JP2003166748A (en) Heat-pump type hot water supply device
JP3931728B2 (en)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KR101788993B1 (en)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