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699B1 -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699B1
KR101113699B1 KR1020110038974A KR20110038974A KR101113699B1 KR 101113699 B1 KR101113699 B1 KR 101113699B1 KR 1020110038974 A KR1020110038974 A KR 1020110038974A KR 20110038974 A KR20110038974 A KR 20110038974A KR 101113699 B1 KR101113699 B1 KR 101113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device
spatial information
fram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영
Original Assignee
(주)비엔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엔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비엔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11003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IS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지리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리정보DB; 데이터 및 DB테이블의 양식을 생성하고, 모바일 기기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프레임서버로 전송하는 프레임제작모듈;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 및 선택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제작모듈에서 생성된 양식에 삽입한 후 중첩하여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프레임서버; 및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제공되는 공간정보데이터를 조회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지리정보DB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 위에 상기 프레임서버로부터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중첩한 공간정보영상을 상기 프레임서버로 재전송하는 클라이언트엔진모듈; 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현장에서 필요한 공간 정보를 조회, 입력 및 편집할 수 있고, 서버와 공간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엔진을 개발하며, 현장 사용자와의 공간정보 처리를 위한 서버 개발 및 GUI 구성을 통해 손쉽게 현장조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현장조사 시스템의 개발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Development System For Spatial Information Frame Making Tool Connecting Mobile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현장에서 필요한 공간 정보를 조회, 입력 및 편집할 수 있고, 서버와 공간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엔진을 개발하며, 현장 사용자와의 공간정보 처리를 위한 서버 개발 및 GUI 구성을 통해 손쉽게 현장조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현장조사 시스템의 개발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스마트폰)의 확산에 따라 기본적인 컨텐츠 뿐 아니라, 다양한 공간정보, 위치기반 서비스 등 이동성 및 유동성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 라이프로 소비자가 변화하고 있다.
또한, 국가 공공정보 개방을 계기로 이를 이용한 신기술 개발 및 일반 국민을 위한 서비스 확대가 가속되고 있어,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각종 공간정보 및 공공서비스를 강화함으로써 국민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Windows CE에 기반한 PDA용 현장조사 S/W이 일부 개발되어 왔지만, 최근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공간정보 관련 업무용 S/W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다.
점차 업무를 수행하는 플랫폼이 데스크탑에서 점차 모바일 기기로 옮겨가고 있고, 정부에서도 주도적으로 스마트워크를 추진하고 있는 현 상황을 고려 하였을 때, 데스크탑 위주의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 정보 시스템) S/W 국내시장은 그 수요가 극히 제한될 수 있는 레드오션에 진입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S/W개발과 같은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외국기술의 도입보다는 국내 연구개발을 통해 제품개발을 수행하는 것이 외화절감 및 모바일 기술력 강화 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에서는 모바일 산업의 육성과 더불어 '스마트'를 화두로 한 업무환경 구축과 관리방식 등을 정책방향으로 수립하고 적극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 업무환경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원천기술의 개발 및 보유가 중요해졌으며, 모바일 기반의 각종 융합서비스 개발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주요 기술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유선 인터넷망과 Web을 통해 제공되던 사회 전반의 각종 서비스가 급속하게 모바일로 대체될 전망이며, 공공영역의 WebGIS 서비스도 점차 모마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무선통신 위치정보의 취득, 이동성 등의 특징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공간정보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게 되면 외국산 S/W 구입에 따른 외화를 절감할 수 있고, 기술 축적에 따른 수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 패드(PC) 사용의 확산으로 인하여 모바일 업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각종 인프라가 구축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각종 모바일 컨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보급도 동반하여 증가하고 있다.
각종 사물과 정보의 상당수는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모바일 업무환경이 보편화됨에 따라 모바일 기술이 다루는 대상이 되는 각종 정보와 업무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서비스와 응용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에서는 구글어스와 같은 기본적인 지도정보뿐 아니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기능을 이용한 증강 현실, 검색엔진의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LBS(Location Based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관련 S/W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이 도입되면서 지리정보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출시되고 있으나, 기존의 WebGIS를 대체할만한 모바일용 엔진은 개발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이에 정부는 모바일 산업 육성, 공공정보의 민간 활용 등을 위한 각종 제도를 추진하고 있으며, IT강국으로 재도약하기 위해서 각 부문의 모바일 관련기술 개발이 시급함을 토로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현장에서 필요한 공간 정보를 조회, 입력 및 편집할 수 있고, 서버와 공간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엔진을 개발하며, 현장 사용자와의 공간정보 처리를 위한 서버 개발 및 GUI 구성을 통해 손쉽게 현장조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현장조사 시스템의 개발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서버에서 공간정보 및 정의된 데이터 입력 양식과 내용을 사용자에게 빠르게 전송하고, 현장업무를 수행중인 사용자가 서버로 송신하는 자료를 동시 처리하며 자료 이력 관리와 자료 머지(Merge) 기능을 빠르게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클라이언트 접속 및 동시 처리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 사용자가 손쉽게 공간정보를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고, 모바일 GIS서버에서 제공하는 대용량의 벡터/래스터 자료의 중첩과 OpenAPI를 활용한 외부 맵 연동기능을 부가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생성, 조회, 편집 및 공유가 가능한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에 보급된 WebGIS 엔진 대신 모바일에 최적화된 최고 효율의 엔진을 제작하여, 네비게이션 목적의 지도 제공이 아닌 특정 주제도(主題圖, thematic map) 목적의 GIS DB를 제공하며, 대용량의 GIS DB를 저사양의 모바일 기기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정부 기관, 지방자치단체, 연구 기관 사이트 등 기존의 WebGIS DB를 손쉽게 모바일용 DB로 변환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방 및 공유를 위한 OpenAPI로 확대 및 발전이 가능하여 일반 개발자들의 GIS DB자료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로 단순히 GIS DB를 서비스하는 것뿐 아니라, 사용자 정보(위치, 사진, 바코드 등 정형화 되어 있지 않은 모든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 정보를 쉽게 분류하고, DB를 최적화하여 다시 서비스 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GIS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위성영상, 항공사진, 벡터 및 래스터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도록 변환하여 가공한 지리정보데이터를 지리정보DB에 저장하는 데이터변환모듈; 데이터 및 DB테이블의 양식을 생성하고, 모바일 기기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프레임서버로 전송하는 프레임제작모듈;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 및 선택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제작모듈에서 생성된 양식에 삽입한 후 중첩하여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프레임서버; 및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제공되는 공간정보데이터를 조회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지리정보DB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 위에 상기 프레임서버로부터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중첩한 공간정보영상을 상기 프레임서버로 재전송하는 클라이언트엔진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엔진모듈은, 실시간으로 프레임서버에 접속하여 공간정보영상을 송수신하며, 수신한 공간정보영상을 저장해두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는 심볼, 사진 및 음성메모와, 거리, 면적계산, 현위치찾기, 좌표찾기, 하이퍼링크 연계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프레임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엔진모듈로부터 전송된 공간정보영상을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고, 상기 프레임제작모듈은, 데이터를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에 저장하도록 상기 데이터를 해석 및 변환하고, 모바일 기기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동작이 가능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양식을 더 생성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엔진모듈은,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서 공개된 지도데이터를 지리정보DB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프레임서버는, 다수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요청되는 공간정보데이터 및 공간정보영상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해당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A) 데이터변환모듈이 GIS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위성영상, 항공사진, 벡터 및 래스터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도록 변환하여 가공한 지리정보데이터를 지리정보DB에 저장하는 단계; (B) 프레임제작모듈은 데이터 및 DB테이블의 양식을 생성하고, 모바일 기기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프레임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프레임서버가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 및 선택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제작모듈에서 생성된 양식에 삽입한 후 중첩하여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D) 클라이언트엔진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제공되는 공간정보데이터를 조회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지리정보DB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 위에 상기 프레임서버로부터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중첩한 공간정보영상을 상기 프레임서버로 재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실시간으로 프레임서버에 접속하여 공간정보영상을 송수신하며, 수신한 공간정보영상을 저장해두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는 심볼, 사진 및 음성메모와, 거리, 면적계산, 현위치찾기, 좌표찾기, 하이퍼링크 연계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프레임서버는, 상기 (D)단계로부터 전송된 공간정보영상을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고, 상기 (B)단계는, 데이터를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에 저장하도록 상기 데이터를 해석 및 변환하고, 모바일 기기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동작이 가능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양식을 더 생성하며, 상기 (D)단계는,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서 공개된 지도데이터를 지리정보DB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프레임서버는, 다수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요청되는 공간정보데이터 및 공간정보영상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해당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현장에서 필요한 공간 정보를 조회, 입력 및 편집할 수 있고, 서버와 공간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엔진을 개발하며, 현장 사용자와의 공간정보 처리를 위한 서버 개발 및 GUI 구성을 통해 손쉽게 현장조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현장조사 시스템의 개발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서버에서 공간정보 및 정의된 데이터 입력 양식과 내용을 사용자에게 빠르게 전송하고, 현장업무를 수행중인 사용자가 서버로 송신하는 자료를 동시 처리하며 자료 이력 관리와 자료 머지(Merge) 기능을 빠르게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클라이언트 접속 및 동시 처리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 사용자가 손쉽게 공간정보를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고, 모바일 GIS서버에서 제공하는 대용량의 벡터/래스터 자료의 중첩과 OpenAPI를 활용한 외부 맵 연동기능을 부가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생성, 조회, 편집 및 공유가 가능한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보급된 WebGIS 엔진 대신 모바일에 최적화된 최고 효율의 엔진을 제작하여, 네비게이션 목적의 지도 제공이 아닌 특정 주제도(主題圖, thematic map) 목적의 GIS DB를 제공하며, 대용량의 GIS DB를 저사양의 모바일 기기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정부 기관, 지방자치단체, 연구 기관 사이트 등 기존의 WebGIS DB를 손쉽게 모바일용 DB로 변환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 및 공유를 위한 OpenAPI로 확대 및 발전이 가능하여 일반 개발자들의 GIS DB자료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로 단순히 GIS DB를 서비스하는 것뿐 아니라, 사용자 정보(위치, 사진, 바코드 등 정형화 되어 있지 않은 모든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 정보를 쉽게 분류하고, DB를 최적화하여 다시 서비스 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의 기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에서 데이터 분할의 예시를 나타낸 영상.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의 활용 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의 기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에서 데이터 분할의 예시를 나타낸 영상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의 활용 예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현장에서 필요한 공간 정보를 조회, 입력, 편집하고, 서버와 공간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클라이엔트 엔진 개발, 현장 사용자와의 공간정보 처리를 위한 서버 개발, GUI 구성을 통해 손쉽게 현장조사시스템 구축을 할 수 있는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의 업무보다는 보다 기본적인 프레임워크 구축, 전자야장(electric field note), 쌍방향 자료 송수신, 협업이 가능, 클라이언트 엔진의 편집 기능이 있으며,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다양한 지도의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네비게이션용 지도 자체보다는 정부 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각종 주제도(主題圖, thematic map)를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GPS 위치 정확도보다는 서버와의 자료 송수신, 속성조회 및 협업이 필요한 모바일 업무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되며, 복잡한 GIS 기능보다는 실제 현장에서보다 필요한 야장(field note) 형태의 자료 입력 및 조회 기능에 더 주안점을 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은 지리정보DB(110), 프레임제작모듈(120), 프레임서버(130), 클라이언트엔진모듈(140), 데이터변환모듈(150)을 포함한다.
지리정보DB(110)는 GIS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지리정보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변환모듈(150)은 상기 GIS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위성영상, 항공사진, 벡터 및 래스터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200)에 제공하도록 변환하여 가공한 지리정보데이터를 상기 지리정보DB(110)로 전송하며, 전송된 지리정보데이터는 지리정보DB(110)에 더 저장된다.
이때 가공된 지리정보데이터는 외부에서 사용 가능한 이미지(예를들면, jpg, png등) 혹은 KML등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제작모듈(120)은 데이터 및 DB테이블의 양식을 생성하고, 모바일 기기(200)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프레임서버(130)로 전송한다.
이는 도 3에서와 같이, 선택된 영역의 영상과 벡터를 피라미드 형태로 추출하여 분할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제작모듈(120)은, 데이터를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에 저장하도록 상기 데이터를 해석하고 변환하고,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양식을 더 생성하며, 상기 GUI는 모바일 기기(200)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동작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컨트롤에 대한 각각의 연산이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컨트롤은 list/button/edit 등의 다양한 컨트롤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으로, 컨트롤에 미리 정의된 연산을 자동으로 연결하여 GUI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RDBMS는 RDB를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이 설치된 시스템을 말하며, 키(key)와 값(value)들의 간단한 관계를 테이블화 시킨 매우 간단한 원칙의 전산정보 데이터베이스이다.
다시말해, 상기 프레임제작모듈(120)은, 구축하고자 하는 데이터 입력 양식(Form) 및 DB Table을 정의하고, 이를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할 수 있는 개발 모듈로써, 각종 원본 데이터를 RDBMS에 저장하도록 데이터를 해석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Feature 속성을 분해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며, MS Windows 기반에서 동작하며 각종 GUI 메뉴를 통해 손쉽게 Work flow을 결정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간 데이터의 특성 상 데이터 전체를 모바일 기기(200)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공간데이터를 공간 특성에 맞춰 분해하고 별도로 저장하여 모바일 기기(200)에 의해 선택된 현재 관심 있는 영역만 전송한다.
프레임서버(130)는,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입력 및 선택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제작모듈(120)에서 생성된 양식에 삽입한 후 중첩하여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200)로 제공한다.
다시말해, 프레임서버(130)는, 정의된 데이터 입력 폼과 내용을 모바일 기기(200)로 전송하고, 그 모바일 기기(200)의 사용자가 그 내용을 추가하거나, 갱신할 때 생성되는 데이터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 사용자가 현장에서 필요한 공간정보파일(SHP, DXF등)을 사전에 모바일 기기(200)에 저장하거나, 현장업무를 마친 이후의 작업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프레임서버(130)는, 모바일 기기(200)에서 전송하는 편집된 데이터와 현재 저장된 최신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도출하고, 그 내용을 정의된 Frame에 기반하여 처리하기도 한다.
또한, 프레임서버(130)는, 편집 가능한 내용을 차등 관리하고, 별도의 유저DB와 Data Frame DB를 링크시키는 사용자 권한 관리 및 보안 모듈과, 다수의 Client 접속 및 동시 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송수신 모듈과, /선/면의 Vector 데이터를 Point 및 Index 기반 하에 비교하고, 변경 내용을 History로 별도 관리하는 Feature Vector 비교 및 이력관리 모듈과, Feature 속성을 String 기반 하에 비교하고, 변경 내용을 History로 별도 관리하는 Feature 속성 비교 및 이력관리 모듈과, Vector 데이터를 Point 및 Index 기반 하에 Merge하고, Index 기반 하에 Point 변경 상황을 비교하며, Index 수 기반 하에 전체 Feature 모양을 비교하는 Vector Merge 모듈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엔진모듈(140)은, 상기 모바일 기기(200)로 제공되는 공간정보데이터를 조회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서버(130)로 전송하며, 상기 지리정보DB(110)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 위에 상기 프레임서버(130)로부터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중첩한 공간정보영상을 상기 프레임서버(130)로 재전송한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엔진모듈(140)은 실시간으로 프레임서버(130)에 접속하여 공간정보영상을 송수신하며, 수신한 공간정보영상을 상기 클라이언트엔진모듈(140)에 저장해두고, 상기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는 심볼, 사진 및 음성메모와, 거리, 면적계산, 현위치찾기, 좌표찾기, 하이퍼링크 연계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입력 및 선택된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서버(130)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클라이언트엔진모듈(140)은,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서 공개된 외부지도데이터(예를들면, google map, ms-bing map등 공개된 엔진)를 지리정보DB(110)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서버(130)는, 상기 클라이언트엔진모듈(140)로부터 전송된 공간정보영상을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2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서버(130)는, 다수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요청되는 공간정보데이터 및 공간정보영상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해당 모바일 기기(2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 클라이언트엔진모듈(140)은, 모바일 기기(200)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작업자를 위한 클라이언트 엔진으로서 사용자는 현장에서 필요시 서버에 필요한 데이터 프레임 및 메타데이터를 모바일 기기(200)에서 직접 활용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GIS 서버에서 제공하는 자체 벡터/래스터(위성, 항공사진)와 연동하는 데이터 표현기술과 외부 맵(구글맵, MS Bing Map)등의 매쉬업 기반 데이터 표현 기술 필요하고, 사용자는 사전에 모바일 기기(200)에 저장해 두었거나, 실시간으로 전송받은 공간정보영상 위에 중첩 표시할 수 있고, 다양한 레이어에 대한 On/Off 가능하며, 사용자는 점/선/면을 추가하고, 속성 및 속성정보를 부여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취득한 다양한 공간정보를 E-mail이나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 타 사용자에게 실시간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방법은 먼저, GIS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지리정보데이터를 지리정보DB(110)에 저장한다(S100).
이때, 상기 GIS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위성영상, 항공사진, 벡터 및 래스터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200)에 제공하도록 변환하여 가공한 지리정보데이터를 상기 지리정보DB(110)로 전송하며, 전송된 지리정보데이터는 지리정보DB(110)에 더 저장된다.
그 다음, 데이터 및 DB테이블의 양식을 생성하고, 모바일 기기(200)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프레임서버(130)로 전송한다(S200).
이때, 상기 (S200)단계는 데이터를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에 저장하도록 상기 데이터를 해석하고 변환하고,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양식을 더 생성하며, 상기 GUI는 모바일 기기(200)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동작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컨트롤에 대한 각각의 연산이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DBMS에 관한 설명은 위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 다음, 프레임서버(130)가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입력 및 선택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S200)단계에서 생성된 양식에 삽입한 후 중첩하여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200)로 제공한다(S300).
그 다음, 상기 모바일 기기(200)로 제공되는 공간정보데이터를 조회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서버(130)로 전송하며, 상기 지리정보DB(110)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 위에 상기 프레임서버(130)로부터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중첩한 공간정보영상을 상기 프레임서버(130)로 재전송한다(S400).
이때, 상기 (S400)단계는 실시간으로 프레임서버(130)에 접속하여 공간정보영상을 송수신하며, 수신한 공간정보영상을 저장해두고, 상기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는 심볼, 사진 및 음성메모와, 거리, 면적계산, 현위치찾기, 좌표찾기, 하이퍼링크 연계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입력 및 선택된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서버(130)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S400)단계는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서 공개된 외부지도데이터(예를들면, google map, ms-bing map등 공개된 엔진)를 지리정보DB(110)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서버(130)는, 상기 (S400)단계로부터 전송된 공간정보영상을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200)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서버(130)는, 다수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요청되는 공간정보데이터 및 공간정보영상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해당 모바일 기기(2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110 : 지리정보DB
120 : 프레임제작모듈 130 : 프레임서버
140 : 클라이언트엔진모듈 150 : 데이터변환모듈
200 : 모바일 기기

Claims (12)

  1. GIS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위성영상, 항공사진, 벡터 및 래스터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도록 변환하여 가공한 지리정보데이터를 지리정보DB에 저장하는 데이터변환모듈;
    데이터 및 DB테이블의 양식을 생성하고, 모바일 기기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프레임서버로 전송하는 프레임제작모듈;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 및 선택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제작모듈에서 생성된 양식에 삽입한 후 중첩하여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프레임서버; 및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제공되는 공간정보데이터를 조회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지리정보DB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 위에 상기 프레임서버로부터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중첩한 공간정보영상을 상기 프레임서버로 재전송하는 클라이언트엔진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엔진모듈은,
    실시간으로 프레임서버에 접속하여 공간정보영상을 송수신하며, 수신한 공간정보영상을 저장해두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는 심볼, 사진 및 음성메모와, 거리, 면적계산, 현위치찾기, 좌표찾기, 하이퍼링크 연계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프레임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엔진모듈로부터 전송된 공간정보영상을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고,
    상기 프레임제작모듈은,
    데이터를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에 저장하도록 상기 데이터를 해석 및 변환하고, 모바일 기기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동작이 가능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양식을 더 생성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엔진모듈은,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서 공개된 지도데이터를 지리정보DB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서버는,
    다수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요청되는 공간정보데이터 및 공간정보영상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해당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A) 데이터변환모듈이 GIS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위성영상, 항공사진, 벡터 및 래스터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도록 변환하여 가공한 지리정보데이터를 지리정보DB에 저장하는 단계;
    (B) 프레임제작모듈은 데이터 및 DB테이블의 양식을 생성하고, 모바일 기기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프레임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프레임서버가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 및 선택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제작모듈에서 생성된 양식에 삽입한 후 중첩하여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D) 클라이언트엔진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제공되는 공간정보데이터를 조회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프레임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지리정보DB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 위에 상기 프레임서버로부터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를 중첩한 공간정보영상을 상기 프레임서버로 재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실시간으로 프레임서버에 접속하여 공간정보영상을 송수신하며, 수신한 공간정보영상을 저장해두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는 심볼, 사진 및 음성메모와, 거리, 면적계산, 현위치찾기, 좌표찾기, 하이퍼링크 연계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프레임서버는,
    상기 (D)단계로부터 전송된 공간정보영상을 편집 및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고,
    상기 (B)단계는,
    데이터를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에 저장하도록 상기 데이터를 해석 및 변환하고, 모바일 기기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동작이 가능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양식을 더 생성하며,
    상기 (D)단계는,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서 공개된 지도데이터를 지리정보DB에 저장된 지리정보데이터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방법.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서버는,
    다수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요청되는 공간정보데이터 및 공간정보영상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해당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038974A 2011-04-26 2011-04-26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3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974A KR101113699B1 (ko) 2011-04-26 2011-04-26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974A KR101113699B1 (ko) 2011-04-26 2011-04-26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699B1 true KR101113699B1 (ko) 2012-02-27

Family

ID=4584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974A KR101113699B1 (ko) 2011-04-26 2011-04-26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6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46B1 (ko) * 2013-08-14 2015-06-09 한영수 공공 지리정보시스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 획득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561A (ko) * 2005-12-02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매핑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4974A (ko) * 2009-07-09 2011-0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561A (ko) * 2005-12-02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매핑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4974A (ko) * 2009-07-09 2011-0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46B1 (ko) * 2013-08-14 2015-06-09 한영수 공공 지리정보시스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 획득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990B1 (ko) 객체 기반의 3d 도시 모델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CN101706809B (zh) 多源地图数据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09446281B (zh) 基于ArcGIS的在线智能制图系统构建方法、系统与制图方法
Gill et al. Getting virtual 3D landscapes out of the lab
WO2021096944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ynamically updating a dashboard of multiple processes and operations across platforms
CN109462736B (zh) 一种基于bim+gis建模的路桥工程建设视频会议管理方法及系统
CN110914870B (zh) 图像网络的注释生成
US20210303748A1 (en)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Augmented Reality for Design Collaboration
CN114730256A (zh) 用于分布式低代码/无代码计算环境的计算机化的系统和方法
WO20160816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nalyzing data and creating a spatial and/or non-spatial graphical display based on the aggregated data
Neene et al. Development of a mobile GIS property mapping application using mobile cloud computing
Yang et al. A comprehensive and up-to-date web-based interactive 3D emergency response and visualization system using Cesium Digital Earth: taking landslide disaster as an example
CN105976268A (zh) 一种基于移动gis平台的电网规划处理方法
US20240104120A1 (en) Geographically Referencing an Item
CN105786994A (zh) 一种基于地理信息的油气田勘探开发信息集成系统及方法
Abdalla et al. Mobile GIS and location-based services (LBS)
KR101113699B1 (ko)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068093A1 (en) Augmentecture software application including team viewing
CN101482827A (zh) 移动地理信息系统中嵌入企业业务模块的方法
Liu et al. An IoT‐Based Intelligent Geological Disaster Application Using Open‐Source Software Framework
Rashidan et al. GeoPackage as future ubiquitous GIS data format: a review
Bi et al. Research on CIM basic platform construction
Liu et al. Study on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mpatible with VGI and crowdsourcing
KR102474133B1 (ko)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
KR100989094B1 (ko) Gis 정보 화면 다분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