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596B1 -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 Google Patents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596B1
KR101113596B1 KR1020100055202A KR20100055202A KR101113596B1 KR 101113596 B1 KR101113596 B1 KR 101113596B1 KR 1020100055202 A KR1020100055202 A KR 1020100055202A KR 20100055202 A KR20100055202 A KR 20100055202A KR 101113596 B1 KR101113596 B1 KR 101113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image data
button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467A (ko
Inventor
윤양택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00055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59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07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interpolation, e.g. bilinear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24Filte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며, 원하는 영상을 쉽게 검출하고,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통해 저시력자나 노약자와 같은 사용자들이 검출된 영상을 확대, 색상 변환, 정지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으로 전환하되, 영상데이터를 이진화 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 되도록 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확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크기가 작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다.
둘째, 입력부가 마우스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셋째, 피사체에 마우스 형 입력부를 밀착 이동시키기 때문에 피사체의 읽고자 하는 위치를 직관적으로 인지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다.
넷째,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색상, 밝기, 대비도, 배율 및 심도가 조절되고, 노이즈와 미세떨림이 제거된 이진화 영상을 출력하기 때문에 다양한 시각 장애인들의 요구에 맞는 영상의 제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Video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ouse Type Input device}
본 발명은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며, 원하는 영상을 쉽게 검출하고,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통해 저시력자나 노약자와 같은 사용자들이 검출된 영상을 확대, 색상 변환, 정지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으로 전환하되, 영상데이터를 이진화 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 되도록 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시각장애자라 함은 갖가지 안질환으로 인하여 시력을 잃고 광각까지도 상실하여 명암을 구별하는 일조차 할 수 없게 된 상태를 가리키나, 명암의 구별을 아는 정도 및 눈앞에 있는 손의 움직임을 아는 정도의 심한 약시를 가진 사람도 시각장애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시각 장애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저시력자들은 수정체, 홍채, 망막, 시신경계의 약화의 원인으로 일반적인 안경이나 렌즈로는 문자 또는 그림 등의 피사체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이다.
영상확대장치는 이러한 저시력자나 노약자들의 시력을 보완해 주기 위해 작은 글씨의 책이나 약병, 수표나 화폐 등과 같이 보기 어려운 피사체의 영상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기존의 영상확대장치는 탁상형 제품과 휴대용 제품이 있다. 탁상형 제품은 주로 모니터 아래쪽에 읽을 대상물을 놓고 좌우로 움직여가면서 모니터를 통해 내용을 읽음으로 대상물을 움직여야 하고, 공간적으로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휴대용 영상확대장치도 공지된바 있지만, 크기가 작은 책 한권정도이고, 배터리와 내장된 액정모니터로 작동이 되기 때문에 휴대하고 다니기는 편하지만 다른 제품에 비해서 확대해서 볼 수 있는 배율이나 한꺼번에 볼 수 있는 영역에 제한되는 단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기존의 영상확대장치는 단순히 영상을 확대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시각 특성에 따른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매질혼탁, 어두울 때 명암의 구분이 어려운 야맹증, 시야의 중심이 왜곡되어 보이지 않는 터널시야, 눈부심을 느끼는 수명(羞明), 안구가 불수의적으로 떨리는 안구진탕, 특정 색을 구별 못하는 색맹이나 색약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따랐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휴대가 간편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장치 및 시각매체의 인지와 정보획득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영상확대장치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소형이며, 사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갖고, 피사체에 마우스형 입력장치를 밀착 이동시켜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확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획득된 영상의 색상, 밝기, 고대비, 배율 및 심도조절이 가능하고, 획득된 영상을 노이즈 및 미세떨림이 제거된 이진화 영상으로 출력하게 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확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확대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입력부(100)와, 상기 입력부(10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모니터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입력부(100)는, 마우스(Mouse) 형상의 프레임(110); 직하면(直下面)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렌즈부(120); 상기 프레임(1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렌즈부(12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영상데이터로 전환하는 COMS센서부(130); 촬영 시 피사체를 밝게 비추도록 상기 렌즈부(120)의 주변에 배치되는 LED조명부(140); 상기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영상데이터를 PC로 전송하는 전송부(150);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UI부(User Interface Part, 1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UI부(160)는, 상기 출력부(2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제 1버튼(161)과, 상기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2버튼(162)과, 상기 영상의 고대비를 조절하기 위한 제 3버튼(163)과, 상기 영상의 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제 4버튼(164)을 포함하되, 상기 제 4버튼(164)은 배율의 미세 조절을 위해 휠 버튼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부(120)는, 심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I부(160)는, 상기 렌즈부(120)의 심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5버튼(165)이 더 구비되되, 상기 제 5버튼(165)은 심도의 미세조절을 위해 휠 버튼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UI부(160)의 제 4버튼(164)은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5버튼(165)은 상기 프레임(1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영상의 배율조절과, 상기 렌즈부(120)의 심도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확대장치의 출력부(200)는, 상기 전송부(150)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적재시키는 영상획득모듈(210); 상기 영상데이터의 휘도신호를 통해 최대 픽셀(pixel) 휘도 값 및 최소 픽셀 휘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최대 픽셀 휘도 값 및 상기 최소 픽셀 휘도 값을 통해 임계치를 산출하는 임계치산출부(250); 상기 임계치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이진화 영상을 생성하는 이진화부(260); 상기 이진화 영상을 모니터로 출력하는 화면출력부(2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200)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미세 떨림을 제거하는 노이즈필터부(22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200)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 해상도에 맞게 확대하는 확대필터부(230); 상기 UI부(150)를 통해 입력받은 신호에 의해 상기 영상데이터의 밝기(Brightness) 및 고대비(Contrast)를 적용하고, 이진 영상 생성을 위해 색상을 적용하는 색상필터부(240); 를 포함하며, 상기 확대필터부(230) 및 색상필터부(240)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대하고, 밝기 및 고대비를 적용한 후에 상기 영상데이터를 이진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확대필터부(230)는 이중선형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확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크기가 작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다.
둘째, 입력부가 마우스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셋째, 피사체에 마우스 형 입력부를 밀착 이동시키기 때문에 피사체의 읽고자 하는 위치를 직관적으로 인지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다.
넷째,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색상, 밝기, 대비도, 배율 및 심도가 조절되고, 노이즈와 미세떨림이 제거된 이진화 영상을 출력하기 때문에 다양한 시각 장애인들의 요구에 맞는 영상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확대장치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의 입력부 상부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입력부 하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입력부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출력부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흐름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확대장치는 입력부(100)와 출력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0)는 피사체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고, 데이터화 하여 상기 출력부(200)로 전송하며, 상기 출력부(200)는 PC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부(100)에서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기본적으로 확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입력 값에 상기 영상데이터를 보정하고, 이진화 하여 모니터 상에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100)는 프레임(110), 렌즈부(120), COMS센서부(130), LED조명부(140), 전송부(150) UI부(User interface part, 160) 및 전송케이블(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0)은 컴퓨터에 사용되는 마우스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입력부(100)의 몸체 역할을 수행하며, 하면에는 렌즈부(120) 및 LED조명부(140)가 구비되며, 상면 및 측면에는 UI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는 COMS센서부(130) 및 전송부(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송케이블(170)을 통해 상기 출력부(200)와 연결된다.
상기 렌즈부(120)는 직하면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1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20)는 근접촬영을 위해 접사렌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사렌즈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렌즈부(120)는 후술되는 UI부(160)의 제어에 의해 심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20)는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COMS센서부(13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COMS센서부(130)는 상기 렌즈부(120)에서 획득된 물리적인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COMS센서부(13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영상데이터화 된다. 일예로 상기 영상은 상기 COMS센서부(130)를 통해 VGA(640*480), YUV422, 30f/s, Progressive 등과 같은 포맷으로 영상데이터와 될 수 있다.
상기 LED조명부(140)는 상기 프레임(11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렌즈부(120)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렌즈부(120)가 피사체의 영상 획득이 용이하도록 피사체를 밝게 비추기 위함이다. 상기 LED조명부(140)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발광다이오드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송부(15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송부(150)는 모듈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COMS센서부(130)의 영상데이터를 출력부(200)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UI부(160)에서 입력되는 값을 상기 렌즈부(120) 또는 출력부(200)로 전송시키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 UI부(16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UI(160)는 사용자의 입력 값을 버튼의 클릭 또는 휠 버튼의 롤링을 통해 받아들여 상기 전송부(15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UI부(160)는 제 1버튼(161), 제 2버튼(162), 제 3버튼(163), 제 4버튼(164) 및 제 5버튼(16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버튼(161)은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 버튼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 1버튼(161)은 상기 출력부(2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색상을 변경 시키도록 클릭을 통해 상기 전송부(150)에 입력 값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 2버튼(162)은 상기 제 1버튼(161)과 이웃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제 1버튼(161)이 좌측에 상기 제 2버튼(162)은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버튼(161)은 상기 출력부(2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밝기를 변경 시키도록 클릭을 통해 상기 전송부(150)에 입력 값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 3버튼(163)은 상기 프레임(110)의 측면에 버튼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 3버튼(163)은 상기 출력부(2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고대비(Contrast)를 변경 시키도록 클릭을 통해 상기 전송부(150)에 입력 값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 4버튼(164)은 상기 제 1버튼(161)과 제 2버튼(16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버튼(164)은 휠 버튼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4버튼(164)은 상기 출력부(2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배율(Zoom)을 조절하도록 상기 전송부(150)에 입력 값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4버튼(164)은 휠 버튼의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4버튼(164)의 롤링을 통해 입력 값을 전달하게 되는 데, 이는 배율(Zoom)을 더욱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5버튼(165)은 상기 제 3버튼과 이웃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5버튼은 휠 버튼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5버튼(165)은 상기 렌즈부(120)를 회동시켜 상기 렌즈부(120)의 심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5버튼(165)은 휠 버튼의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5버튼(165)의 롤링을 통해 상기 렌즈부(120)의 심도를 조절하게 되는 데, 이는 상기 심도를 더욱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UI부(160)의 상기 제 4버튼(164)은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 위치하고, 제 5버튼(165)은 상기 프레임(110)의 측면에 위치하여 영상의 배율조절과, 렌즈부(120)의 심도조절을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영상의 배율은 사용자의 검지를 통해 조절 가능하며, 심도조절은 사용자의 엄지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여 실시간으로 배율조절과 심도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전송케이블(170)은 상기 전송부(150)에서 전달되는 영상데이터 및 UI부(160)에서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 값을 상기 출력부(20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입력부(100)와 출력부(200)를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출력부(200)로부터 상기 입력부(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00)의 별도의 전원 없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입력부(100)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프레임(110)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며, 프레임(110)이 마우스형으로 이루어지고, UI부(160)가 사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원하는 입력 값을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사체에 마우스 형 프레임(110)을 밀착 이동시키기 때문에 피사체의 읽고자 하는 위치를 직관적으로 인지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출력부(200)는 영상획득모듈(210), 노이즈필터부(220), 확대필터부(230), 색상필터부(240), 임계치산출부(250), 이진화부(260) 및 화면출력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획득모듈(210)은 상기 전송케이블(170)을 통해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노이즈필터부(220)는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해 일반적인 영상노이즈인 가우시안 노이즈 및 salt & pepper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노이즈필터부(220)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미세 떨림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노이즈필터부(220)는 제 N-1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블록이미지 및 제 N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블록이미지 간의 차영상(difference image)을 산출한다. 상기 산출된 상기 차영상을 이용하여 소정의 프레임 간 지연시간에 따른 움직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이즈필터부(220)는 제 N-1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블록이미지 및 제 N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블록이미지를 이치화시켜 XNOR연산 등에 의해 모션벡터를 추정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프레임 간 지연시간에 따른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이즈필터부(230)는 상기 움직임 정도가 선정된(predetermined) 값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제 N-1프레임의 영상데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움직임 정도가 상기 선정된 값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제 N프레임의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이즈필터부(230)는 상기 움직임 정도가 선정된(predetermined) 값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제 N-1프레임의 영상데이터를 유지함으로써 후술되는 영상 이진화에 의한 미세한 떨림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노이즈필터부(230)는 소정의 프레임 간 지연시간에 따른 움직임이 미세하여 움직임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을 경우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확대필터부(230)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모니터의 출력 해상도에 맞게 확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확대필터부(230)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이중선형 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을 통해 확대하게 된다.
상기 색상필터부(240)는 확대된 영상데이터에 대해 상기 UI부(160)에서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 값을 전달받아 밝기 및 고대비를 적용시키게 된다.
상기 임계치산출부(250)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휘도신호를 통해 최대 픽셀(pixel) 휘도 값 및 최소 픽셀 휘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최대 픽셀 휘도 값 및 상기 최소 픽셀 휘도 값을 통해 임계치를 산출한다. 상기 임계치는 해당 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최대 픽셀 휘도 값 및 최소 픽셀 휘도 값의 평균값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치산출부(250)는 산출된 임계치에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받은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영상 이진화를 위한 임계치로 이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중치를 통해 상기 이진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중치에 따라 달리하는 상기 이진화 영상의 배경색 영역을 통해 상기 이진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진화부(260)는 상기 임계치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이진화 영상을 생성한다. 즉, 상기 이진화부(260)는 해당 픽셀의 휘도 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해당 픽셀의 색상을 배경색으로 구현하고, 상기 해당 픽셀의 휘도 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해당 픽셀의 색상을 글자색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이진화부(260)는 상기 UI부(16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 값에 따라 설정된 배경색 및 글자색을 영상 이진화를 위한 색상으로 이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설정된 상기 배경색 및 상기 글자색이 각각 검정색 및 녹색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진화부(260)는 상기 임계치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배경색 및 상기 글자색이 각각 검정색 및 녹색인 이진화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270)는 상기 이진화부(260)를 통해 최종 결정된 영상데이터를 모니터에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출력부(200)를 통해 깨끗하고 선명한 이진화 영상을 제공하여 황반변성, 안구진탕 등으로 인해 휘어져 보이거나, 퍼져 보이는 현상 및 영상 이진화에 의한 미세 떨림 현상을 제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사체 또는 시각매체에 대한 집중력 및 인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책이나 신문, 사진 등을 확대해 볼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게 상기 이진화 영상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학습, 재활 및 정보 접근의 도구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흐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는 입력부(100)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와, 상기 획득된 영상을 데이터화 하는 단계(S2)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는 출력부(200)를 통해 상기 입력부(100)의 영상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S3)와, 상기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노이즈 및 미세 떨림을 제거하는 단계(S4)를 수행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대하는 단계(S5)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확대된 영상데이터에 밝기, 고대비 및 색상을 적용시키는 단계(S6)와, 영상을 이진화하고 보간하는 단계(S7)를 거친 후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S7).
이진화 방식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진화 영상을 생성한 후에 확대하게 되는데 이는 연산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한 이진화 영상은 위신호(aliasing)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을 이중선형 보간법을 통해 확대한 후에 확대된 영상데이터에 대해 이진화 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위신호 현상을 감소시킨 점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입력부
110 : 프레임 120 : 렌즈부
130 : CMOS센서부 140 : LED조명부
150 : 전송부 160 : UI부
170 : 전송케이블
200 : 출력부
210 : 영상획득모듈 220 : 노이즈필터부
230 : 확대필터부 240 : 색상필터부
250 : 임계치산출부 260 : 이진화부
270 : 모니터부

Claims (9)

  1. 피사체의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입력부(100)와, 상기 입력부(10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모니터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200)를 포함하는 영상 확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0)는,
    마우스(Mouse) 형상의 프레임(110);
    직하면(直下面)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렌즈부(120);
    상기 프레임(1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렌즈부(12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영상데이터로 전환하는 COMS센서부(130);
    촬영 시 피사체를 밝게 비추도록 상기 렌즈부(120)의 주변에 배치되는 LED조명부(140);
    상기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영상데이터를 PC로 전송하는 전송부(150);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UI부(User Interface Part, 160);
    를 포함하되,
    상기 UI부(160)는,
    상기 출력부(2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제 1버튼(161)과, 상기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2버튼(162)과, 상기 영상의 고대비를 조절하기 위한 제 3버튼(163)과, 상기 영상의 배율을 조절하고 배율의 미세 조절을 위해 휠 버튼 형태로 되는 제 4버튼(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20)는,
    심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UI부(160)는,
    상기 렌즈부(120)의 심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5버튼(165)이 더 구비되되, 상기 제 5버튼(165)은 심도의 미세조절을 위해 휠 버튼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버튼(164)은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5버튼(165)은 상기 프레임(1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영상의 배율조절과, 상기 렌즈부(120)의 심도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200)는,
    상기 전송부(150)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적재시키는 영상획득모듈(210);
    상기 영상데이터의 휘도신호를 통해 최대 픽셀(pixel) 휘도 값 및 최소 픽셀 휘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최대 픽셀 휘도 값 및 상기 최소 픽셀 휘도 값을 통해 임계치를 산출하는 임계치산출부(250);
    상기 임계치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이진화 영상을 생성하는 이진화부(260);
    상기 이진화 영상을 모니터로 출력하는 화면출력부(2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200)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미세 떨림을 제거하는 노이즈필터부(22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200)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 해상도에 맞게 확대하는 확대필터부(230);
    상기 UI부(150)를 통해 입력받은 신호에 의해 상기 영상데이터의 밝기(Brightness) 및 고대비(Contrast)를 적용하고, 이진 영상 생성을 위해 색상을 적용하는 색상필터부(240); 를 포함하며,
    상기 확대필터부(230) 및 색상필터부(240)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대하고, 밝기 및 고대비를 적용한 후에 상기 영상데이터를 이진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필터부(230)는 이중선형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KR1020100055202A 2010-06-11 2010-06-11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KR101113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202A KR101113596B1 (ko) 2010-06-11 2010-06-11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202A KR101113596B1 (ko) 2010-06-11 2010-06-11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467A KR20110135467A (ko) 2011-12-19
KR101113596B1 true KR101113596B1 (ko) 2012-02-22

Family

ID=4550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202A KR101113596B1 (ko) 2010-06-11 2010-06-11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926B1 (ko) * 2012-01-26 2014-02-25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CN115798400B (zh) * 2023-01-09 2023-04-18 永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处理的led显示控制方法、装置及led显示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90B1 (ko) * 2004-10-08 2006-06-30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
KR100844390B1 (ko) 2004-11-11 2008-07-07 주식회사 더존씨앤티 광센서 일체형 바코드 인식기 겸용 마우스
KR20080068487A (ko) * 2007-01-19 2008-07-23 구영욱 화상촬상 기능을 갖는 마우스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90B1 (ko) * 2004-10-08 2006-06-30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
KR100844390B1 (ko) 2004-11-11 2008-07-07 주식회사 더존씨앤티 광센서 일체형 바코드 인식기 겸용 마우스
KR20080068487A (ko) * 2007-01-19 2008-07-23 구영욱 화상촬상 기능을 갖는 마우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467A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691B1 (ko) 전자 영상 표시 장치를 맞춤제작하는 방법
KR101180317B1 (ko) 멀티 손잡이를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US9491418B2 (en) Method of providing a digitally represented visual instruction from a specialist to a user in need of said visual instruction, and a system therefor
CN111095077B (zh) 具有自适应显示器的电子设备
RU2672502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роговицы
CN107749289B (zh) 亮度调节方法、装置、亮度调节系统和增强现实设备
WO2004066097A3 (en) Gaz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20140176690A1 (en) Magnification system
CN104076512A (zh) 头部佩戴型显示装置以及头部佩戴型显示装置的控制方法
CN110352033A (zh) 用眼睛追踪装置确定眼睛睁开度
CN108428375A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教学辅助方法及设备
CN110140166B (zh) 用于向计算机提供免手工输入的系统
JP2015176588A (ja) 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5164235A (ja) 画像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3148599A (ja) 表示装置
KR101359926B1 (ko)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US20100321526A1 (en) Portable Video Magnifying Apparatus
KR101113596B1 (ko)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CN201928318U (zh) 带有放大镜功能的手机
KR100954884B1 (ko) 영상 이진화 장치
JP2006238094A (ja) 拡大視器具
KR101413543B1 (ko)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KR101589707B1 (ko) 펜 타입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EP3143598A1 (en) Method of providing a digitally represented visual instruction from a specialist to a user in need of said visual instruction, and a system therefor
EP3441847A1 (en) Controller for use in a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