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733B1 -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 교통서비스 요청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 Google Patents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 교통서비스 요청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733B1
KR101111733B1 KR1020110057022A KR20110057022A KR101111733B1 KR 101111733 B1 KR101111733 B1 KR 101111733B1 KR 1020110057022 A KR1020110057022 A KR 1020110057022A KR 20110057022 A KR20110057022 A KR 20110057022A KR 101111733 B1 KR101111733 B1 KR 10111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ation
user device
car
information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학
박준식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5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기기로부터 경로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경로검색요청에 따라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는 단계,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사용자 기기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경로에 포함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제공방법이 공개된다.

Description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 교통서비스 요청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Transport service method, transport service system, transport request method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방법은 교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종류의 교통수단을 연계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개인통행의 급증에 따라 교통혼잡 및 환경오염과 같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전 지구적 기후변화와 에너지 고갈 문제들이 불거지게 되면서 개인통행 위주의 도로교통 시스템에 대한 문제의식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개발, 무동력 비탄소 교통수단의 이용 활성화, 고속철도의 성능 고급화 및 네트워크의 확장, 대중교통중심의 지역개발을 위한 복합환승센터의 구축과 같이 녹색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실천방안들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현대의 교통시스템은 크게 개인교통과 대중교통으로 나눌 수 있다. 대중교통은 교통시스템의 운영효율을 향상시키고 시스템의 총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해 개인교통은 개인의 효용은 최대화시킬 수 있지만 도로의 혼잡, 온실가스 배출과 에너지소비 증가 등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개인소유의 자가용 승용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차량의 소유 및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지만 이용시간은 불과 하루에 한두 시간에 불과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시간 동안은 차량을 주차장에 세워두게 된다. 즉, 차량의 이용효율이 매우 낮으며 주차를 위해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자가용 승용차를 이용함에 있어서는 도로의 교통혼잡으로 지정체가 발생하여 통행시간이 증가하고 운전자들은 피로와 짜증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자가용 승용차 이용을 고수하는 것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함에 따른 불편함이 더 크게 느껴지기 때문일 것이다. 자가용 승용차는 언제나 원하는대로 바로 이용할 수 있고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된 쾌적한 통행을 할 수 있지만,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려면 정확한 승하차지점과 노선에 대한 정보를 파악해야하고, 정해진 운행 스케줄에 맞춰야하는 번거로움과 기다림이 필요하며, 접근과 환승을 위해 많은 거리를 걸어서 이동해야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개인소유의 자가용 승용차 이용자들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멀게만 느껴지기 때문에,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면서도 자가용 승용차 이용을 쉽게 포기하지 못하는 것이다.
차량을 운전하지 못하거나 차량을 소유하고 유지관리하는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대중교통수단만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람들도 차량 운전이 가능해지고 차량을 소유하고 유지관리하는 비용을 감당할 수 있게 되면 개인의 효용을 높이기 위해 차량을 구입하려고 한다.
교통 환경은 석유에너지를 사용하는 개인교통수단의 사용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이는 자유로움과 사생활을 영유하려는 개인의 욕구 충족과는 반대되는 외부환경의 변화이기 때문에 강제적인 규제와 제어방안 없이는 실현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개인의 욕구실현을 최소한으로 제한하면서 사회 전체를 위한 공공의 이익을 실현할 수 있는 신개념의 교통시스템 구상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미래 교통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
승용차는 개인에 대한 효용은 크지만 시스템 차원에서의 효용은 낮기 때문에 개인 승용차 보유비용 절감이 필요하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교통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핵심전략으로 전기차의 개발 및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합 운영하는 통합교통체계 구축을 통하여 교통시스템 전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개인소유의 자가용 승용차 이용자들이 대중교통수단 이용을 멀게 느끼지 않고, 얼마든지 자가용 승용차의 이용을 포기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대중교통수단만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굳이 차량을 구입하려고 하지 않게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이용자 비용절감, 및/또는 교통혼잡완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교통수단을 융합한 교통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새로운 공유기반 연계교통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새로운 형태의 통합운송서비스 사업모델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과제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미래를 위한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교통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교통혼잡비용과 통행비용을 절감하고 교통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단순하게 강제적으로 개인교통수단 이용을 규제하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는 개인의 자유실현을 침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실현 가능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바람직한 방안이 될 수 없다. 따라서 개인의 자율적인 의지와 자신의 효용 추구를 위해서 개인교통수단 이용을 자제하고 대중교통수단 이용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는 공용자동차와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과 같은 보완적인 교통수단을 포함하고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된 공유기반의 통합 교통운영체계를 통해 가능할 것이다.
공유기반의 통합 교통운영체계는 공용자동차와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을 통해 개인교통수단과 대중교통수단의 간격을 채우고 모든 교통수단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통행경로와 경로 내의 단위 교통수단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개인교통수단 이용자들은 공용자동차,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 기존의 대중교통수단이 조합된 통행경로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소유한 승용차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더 저렴한 비용으로 동일한 효용을 가져다줄 수 있는 통행방법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개인교통수단 이용자들이 자가용 승용차 이용을 더 쉽게 포기할 수 있게 된다. 대중교통수단 이용자들은 필요할 때만 공용자동차와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자가용 승용차를 구입하지 않아도 충분한 효용을 누릴 수 있다. 즉, 모든 교통 자원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켜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모든 통행자들에게 더 저렴한 비용으로 원하는 바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교통 자원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공유기반의 통합 교통운영체계는 다음과 같은 특징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첫째, 예약이 가능한 교통수단(공용자동차,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 철도, 항공 등)과 예약이 불가능한 교통수단(지하철, 버스)들을 통합한 통합 여행 플랜(Intermodal Journey Plan)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통합 여행 플랜뿐만 아니라 예약이 가능한 교통수단을 바로 예약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여 정보(여행 플랜, Journey Plan)와 수단(여행 통행권, Journey Pass)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여행 중 여행정보(환승정보 및 예약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사용자가 단일 결제수단(모바일 기기 및 통행권)으로 예약된 교통수단 및 예약이 불필요한 교통수단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섯째, 각각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발생한 요금을 CTS에서 합산하여 사용자에게 단일 청구할 수 있다.
또한, 통합교통체계 구축을 위하여,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을 활용할 수 있다. 확산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 중 하나인 스마트폰의 등장에 따라, 기존에는 소비의 주체에 머물렀던 개별 이용자들이 정보의 생산과 소비의 공동주체(프로슈머)로 탈바꿈되었다. 개별 이용자들이 정보의 프로슈머로 진화하게 됨에 따라 수많은 정보가 분산 처리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분산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환경이 창출되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컴퓨팅 자원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용자 중심의 편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시스템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교통 분야에도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개인 승용차를 보유하는 대신에, 분산된 자원을 공유하여 시스템 차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교통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자동차 공동이용시스템, 자전거 공동이용시스템과 같이 하나의 수단을 대상으로 한 운영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개인교통수단과 대중교통수단을 포괄한 전체 교통시스템 자원을 공유하여 운영하는 새로운 교통시스템의 운영방안이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분산된 교통시스템 자원을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전체 교통시스템 자원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교통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기기로부터 경로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위의 경로검색요청에 따라,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위의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는 단계, 위의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위의 사용자 기기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위의 선택된 경로에 포함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각 단계는 한 개의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여러 개의 장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실행되고 네트워크에 의해 통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된 경로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교통수단 각각의 출발시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에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상기 출발시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적절한 시점에 교통수단 탑승을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로검색 결과목록은 예약 가능한 경로와 예약 불가능한 경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현재는 예약 불가능한 경로이더라도 사용자는 다음 여행 시에 이 예약 불가능한 경로에 대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로검색요청은, 출발지에 관한 정보, 도착지에 관한 정보, 출발시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상기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교통수단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하는 교통수단을 스스로 지정함으로써 다양한 대안 경로 중 사용자에게 적합한 것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경로검색 결과목록은 하나 이상의 경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경로 각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교통수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약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경로에 포함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을 예약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교통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선택된 경로가 제외된 다른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기기의 지리적 위치정보 또는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로부터 가공된 정보를 상기 예약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예약된 교통수단의 운전자는 상기 사용자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탑승에 대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약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기기의 지리적 위치정보 또는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로부터 가공된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택시와 같은 교통수단의 운전자는, 상기 사용자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만남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된 경로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경로에 포함된 각각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발생한 과금 정보를 상기 각각의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합산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사용자가 한 번의 여행을 통해 여러 번 비용을 납부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선택된 경로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선택된 경로를 벗어난 경우, 새로운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은 정류장이 정해진 교통수단 또는 정류장이 정해지지 않은 교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차는 정류장이 정해진 교통수단이며, 택시 중 일부는 정류장이 정해지지 않은 교통수단이다.
이때, 상기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 및 상기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은 각각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 및 상기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은 공유 승용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기기로부터 경로검색요청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수신부, 위의 경로검색요청에 따라,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생성하도록 되어있는 처리부, 및 위의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위의 수신부는 위의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위의 사용자 기기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위의 처리부는 위의 선택된 경로에 포함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을 예약하도록 되어 있다. 위의 수신부, 처리부, 송신부는 한 개의 장치에 통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나, 다르게는 여러 개의 장치에 분산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교통서비스 요청방법은, 사용자 기기에서 경로검색요청을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에게 송신하는 단계,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위의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위의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하나 이상의 경로를 선택하여 위의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위의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위의 선택된 경로에 포함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의 예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각 단계는 하나의 사용자 기기 내에서 모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사용자 기기는, 경로검색요청을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송신부, 및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위의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위의 송신부는 위의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경로를 위의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고, 위의 수신부는 위의 선택된 경로에 포함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의 예약정보를 위의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위의 송신부 및 수신부는 위의 사용자 기기 내에 제공되는 ASIC, 반도체 메모리, CPU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교통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기기로부터 경로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위의 경로검색요청에 따라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위의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는 단계, 위의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위의 사용자 기기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위의 선택된 경로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위의 선택된 경로에 포함된 각각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발생한 과금 정보를 위의 각각의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합산하여 위의 사용자에게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기기로부터 경로검색요청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수신부, 위의 경로검색요청에 따라,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생성하도록 되어있는 처리부, 및 위의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때, 위의 수신부는 위의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위의 사용자 기기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위의 선택된 경로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위의 선택된 경로에 포함된 각각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발생한 과금 정보를 위의 각각의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합산하여 위의 사용자에게 비용을 청구하도록 되어 있는 과금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각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에 기재된 특징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교통수단을 융합한 교통체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온실가스 감축, 이용자 비용절감, 및/또는 교통혼잡완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욕구실현을 최소한으로 제한하면서 교통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회적 관점에서, 개인교통 이용자들의 감소로 인해 도로혼잡감소, 차량통행량감소,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공용자동차와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이 연계됨으로써 대중교통서비스에 대한 운영효율과 서비스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대중교통 이용률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교통 자원의 이용효율과 교통 시스템의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통행자의 관점에서 개인교통수단 이용자들의 통행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대중교통수단 이용자들의 교통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개인의 효용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어, 전체 통행자의 통행 자유도와 효용을 향상시키고 통행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통합교통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의 아키텍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의 프레임워크(frame work)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서비스 요청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전통적인 승객수송체계는 승용차를 이용한 개인통행과 지하철 및 버스 등을 이용한 대중교통체계로 양분되는데, 교통문제, 환경문제, 경제적 이유, 사회적 요구, 기술의 발전 등에 힘입어 개인교통과 대중교통의 중간 또는 틈새를 메우기 위한 대안적인 교통운영체계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운영체계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자전거-쉐어링(Bicycle Sharing), 카-쉐어링(Car Sharing), 'Mobility-on-Demand', 수요대응형 교통(Demand Responsive Transport), 'Mobility Service', 'Mobility Management', 통합 여객 운송(Intermodal Passenger Transport)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클라우드 교통 서비스(이하, 'CTS', Cloud Transport Service)는 기존의 서비스를 모두 포괄하면서 첨단 정보통신기술 및 차량기술을 접목시킬 수 있는 교통운영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승용차, 철도, 버스, 항공, 자전거 등 모든 통행수단을 포괄할 수 있으며, 이들 수단 간의 연계환승체계를 포괄할 수 있다. 또한 통행예약시스템, 정보제공시스템, 통합 여행 플래너(Intermodal Journey Planner), 자원관리시스템, 과금시스템 등의 서브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자기 소유의 승용차가 있는지 사람이든지, 없는 사람이든지, 여러 대의 승용차 또는 버스 등을 운영하는 사업자든지 관계없이 누구나 CTS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 한편, CTS의 이용요금으로써 자신이 이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이러한 CTS는 크게 과금시스템, 서비스 소프트웨어,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기반시설(infrastructure)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과금시스템은 사용한 만큼만 요금을 지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서비스 소프트웨어는 예약시스템, 정보제공시스템, 자원관리시스템, 및/또는 과금산출시스템을 포함하는 통합 여행 플래너로서 제공될 수 있는데, 이 통합 여행 플래너는 PC 또는 스마트폰 등에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플랫폼은 제공되는 인프라 교통수단들에 대한 통합 운영 및 관리는 물론, 이를 위한 제반 시설들과의 통합 연계 및 외부 센터들과의 정보연계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Plug & Play' 방식의 통합 운영 및 관리 플랫폼일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기반시설은 승용차, 전기차, 철도, 버스, 항공, 자전거 등 개인교통수단과 대중교통수단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운영자가 제공하는 각종 교통수단들을 빌려 쓰거나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통합교통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의 (a)와 같이 각각의 개별 교통 시스템, 즉 자동차, 자전거, 철도, 고속버스, 도시철도, 시내버스, 항공기와 같은 각각의 교통 시스템이 별도로 제공되었다. 또한, 개인 소유 자동차의 경우 공동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이 거의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각각의 교통 시스템은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운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의 (b)와 같이 개별 교통 시스템이 하나의 시스템, 즉 CTS에 의해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CTS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출발지-목적지간 최단시간소요 연계교통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또는 출발지-목적지간 최저비용소요 연계교통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각 연계교통은 정기적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일회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는 CTS 사용자가 설정한 통행 기종점을 연결하는 통행경로를 탐색하여 교통정보 및 교통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행 기종점은 교통 네트워크의 노드, 주요 POI(Point of Interest), 지도상의 좌표, 주소 등을 나타내며, 통행경로는 기점과 종점을 연결하는 모든 단위수단통행의 연결경로를 나타내며, 통행경로를 구성하는 단위수단통행으로는 자동차, 대중교통, 도보 등을 들 수 있다. CTS를 통하여 최소 비용 순으로 통행(교통)경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통행(교통)수단을 예약할 수 있다.
이러한 통행 수단에는 공유 승용차와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과 같은, 전통적인 대중교통수단과 개인교통수단의 중간을 보완해줄 수 있는 보완교통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공유 승용차란 개인 또는 법인 소유의 승용차로서 여러 명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승용차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를 이용하면, 종래에 개인교통수단을 이용하던 이용자는 개인의 효용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통행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종래에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던 이용자는 동일한 또는 약간의 비용 증가로 이동편의를 크게 향상시켜 대중교통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는 다양한 교통시스템을 통합한 것인데, 이러한 다양한 교통시스템은 항공사, 철도운영기관, 도시철도 운영기관, 고속버스/시외버스/시내버스 운영기관,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 사업자, 렌터카 사업자, 공용 자동차 운영기관, 공용자전거 운영기관, 및 자가용을 소유한 개인 등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첫째, 대중교통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 통행자(Captive rider: 자가 교통수단이 없는 대중교통 이용자)에게 공유 승용차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대중교통 통행시간이 승용차 통행시간보다 많이 소요되는 경우 통행시간을 단축하려 할 때, 무거운 짐을 옮길 때, 기상상황이 좋지 않을 때, 그리고 몸이 불편할 때와 같은 상황에 직면한 때에, 통행 편의성 향상을 위해 통행자(captive rider)에게 공유 승용차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의 부상, 음주, 주차공간 미확보와 같은 물리적 이유로 인해 승용차의 주행이 불가능한 상황에는 CTS가 제공하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넷째, 차가 막히는 시간대에 통행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그리고 장거리 통행시 통행 편의성 향상을 위해 CTS가 제공하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의 아키텍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 아키텍처(100)는 크게 인프라(Infrastructure, 기반 시설)(200), 인프라(200)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술적 지원 요소(300), 및 서비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프라(200)는 정보 제공자(information provider)(210) 및 수단 제공자(mode provider)(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제공자(210)는, 예를 들어 항공 정보센터(211), 철도 정보센터(212), 버스 정보센터(213), 도시철도 정보센터(214), 택시 정보센터(215),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 정보센터(216), 렌터카 정보센터(217), 공용자동차 정보센터(218), 공용자전거 정보센터(219)들이 될 수 있다. 이 밖에, 자동차를 소유한 개인이 자신이 제공한 자동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교통수단 제공자(230)는, 예를 들어 항공사(231), 철도운영기관(232), 버스 운영기관(233), 도시철도 운영기관(234), 택시 운영기관(235),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 사업자(236), 렌터카 사업자(237), 공용자동차 운영기관(238), 공용자전거 운영기관(239)들이 될 수 있다. 이 밖에, 자동차를 소유한 개인이 자신이 제공한 자동차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항공 정보센터(211), 철도 정보센터(212), 버스 정보센터(213), 도시철도 정보센터(214), 택시 정보센터(215),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 정보센터(216), 렌터카 정보센터(217), 공용자동차 정보센터(218), 및 공용자전거 정보센터(219)는 각각, 항공사(231), 철도운영기관(232), 버스 운영기관(233), 도시철도 운영기관(234), 택시 운영기관(235),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 사업자(236), 렌터카 사업자(237), 공용자동차 운영기관(238), 및 공용자전거 운영기관(239)이 자체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별개의 사업 주체가 이들 운영기관을 대행하여 정보센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기술적 지원 요소(300)는 동적 경로 계획(dynamic route planning)(311), 사용자 프로파일링(user profiling)(312), 멀티 플랫폼(multi platform)(313), 및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314)와 같은, 정보 공유 서비스(410)를 위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술적 지원 요소(300)는 과금 관리부(charging management)(321), 모바일 결제부(mobile paymet)(322), 자동차 쉐어링 장치(car-sharing device)(323), 쉐어링 관리부(sharing management)(324)와 같은, 수단 공유 서비스(420)를 위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 지원 요소(300) 중 예약 시스템(330)은 정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지원 요소들과 수단 공유 서비스를 위한 지원 요소들을 연계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서비스(400)는 정보 공유 서비스(410)와 수단 공유 서비스(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보 공유 서비스(410)는 여행 플래너(Journey Planner)(411)를 제공할 수 있고, 수단 공유 서비스(420)는 여행 통행권 관리부(Journey Pass Manager)(421)를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 기반 시설(100)은 크게 정보 공유(501)와 수단 공유(502)의 두 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의 프레임워크(frame work)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1)는 크게 송수신부(10), 과금 관리부(20), 통합 여행 플래너(intermodal journey planner)(411), 여행 통행권 관리부(journey pass manager)(421), 사용자 정보 관리부(user information manager)(431), 정보센터(information center)(220), 및 예약센터(reservation center)(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0)는 통합 여행 플래너(411) 및 여행 통행권 관리부(421)에 의해 생성된 여행 플랜(Journey Plan)(412) 및 티켓(ticket)(422)을 사용자 어플리케이션(user application)(30)을 통해 사용자 기기(user device)(3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는 과금 관리부(20)와 과금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합 여행 플래너(411)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431), 정보센터(220), 예약센터(240)와 연결되어 통합 여행 플랜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여행 통행권 관리부(421)는 예약센터(240)와 연결되어 여행 통행권, 즉 티켓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431)는 사용자 DB(441)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여 통합 여행 플래너(411)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과금 관리부(20)는 송수신부(10)로부터 과금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32)에게 요금청구서(423)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센터(220)는 통합 여행 플래너(411)와 스케줄 인프라 DB(451), 정보 제공자(21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예약센터(240)는 통합 여행 플래너(411), 여행 통행권 관리부(421), 예약 DB(461), 및 수단 제공자(2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항공 정보센터(211), 철도 정보센터(212), 버스 정보센터(213), 도시철도 정보센터(214), 택시 정보센터(215),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 정보센터(216), 렌터카 정보센터(217), 공용자동차 정보센터(218), 공용자전거 정보센터(219), 및 도로교통 정보센터(221)와 같은 정보 제공자(210)는 정보센터(220)와 수단 및 관련 인프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때 개인 승용차 소유주도 여기에 동참할 수 있다. 도로교통 정보센터(221)는 영리기관이 아닐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국가에서 운영하는 공공기관일 수 있다.
항공사(231), 철도운영기관(232), 버스 운영기관(233), 도시철도 운영기관(234), 택시 운영기관(235),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 사업자(236), 렌터카 사업자(237), 공용자동차 운영기관(238), 및 공용자전거 운영기관(239)와 같은 수단 제공자(230)는 예약센터(240)와 예약현황 및 티켓을 전자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에 개인 승용차의 소유자도 참여할 수 있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 및 사용자 기기(31)의 사용자(32)는 CTS 시스템의 소비자이고, 송수신부(10), 과금 관리부(20), 통합 여행 플래너(411), 여행 통행권 관리부(321), 사용자 정보 관리부(431), 정보센터(220), 예약센터(240)를 포함하는 CTS 네트워크는 CTS 서비스의 제공자/운영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CTS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 등을 이용하여 웹 서비스를 통해 CTS에 접속하여(단계 S401), 경로 관련 정보를 입력(단계 S402)한 후 경로를 선택 및 예약(단계 S403)할 수 있다. 이때, CTS는 최적의 경로를 포함하는 한 개 이상의 여행 플랜(journey plan)을 제공할 수 있는데, 제공된 경로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CTS는 사용자가 선택한 수단을 예약해줌으로써 통합 교통수단, 즉 여행 통행권(Journey Pass)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CTS는 최적의 경로 및 통합 교통수단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예약 및 여행의 상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여행의 전체 여정을 관리할 수 있다. 그 후, 실제로 교통수단을 이용(단계 S404)한 후 목적지에 도착하면(단계 S405) CTS의 이용이 종료된다. CTS 이용시 사용자는 하나의 결제수단(예컨대, 카드 또는 모바일 기기)을 이용하여 예약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의 웹 서비스를 통하여 CTS에 접속하는 단계(S40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웹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는 미리 회원가입을 할 수 있다. 이때 CTS에서는 사용자의 여러 관련정보를 미리 수집할 수 있다. 관련정보로는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ing) 관련 정보, 개인자동차를 공유하기 위한 관련 정보가 있다. 이때 개인자동차를 공유로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차량 공유기기를 설치유도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예약하기 위해 PC,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사용자(End User)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실행해 "CTS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접속(로그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도 3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CTS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도 3의 CTS의 일 구성요소, 예컨대 송수신 인터페이스(10)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PC, 모바일기기 등 각종 기기를 지원하는 멀티 플랫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Multi Platform End User Application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경로 관련 정보 입력 단계(S402)에서는 경로를 검색하기 위한 출발지, 도착지 등 관련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현재 이동하려는 경로가 '즐겨찾기'에 존재하는 경우와, 현재 이동하려는 경로가 새로운 경로인 경우에 상이한 프로세스를 거칠 수 있다.
우선, 현재 이동하려는 경로가 '즐겨찾기'에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CTS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기존에 사용했던 경로들의 목록(즐겨찾기)"을 요청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접속시간을 파악하여 기존 시간대에 사용했던 경로들을 우선적으로 제시하여 반복적인 통행(통근)의 이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즐겨찾기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자 프로파일링(User Profiling)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반복적인 통행시 매번 예약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하여, 장기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제공된 즐겨찾기에서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다음, 현재 이동하려는 경로가 새로운 경로인 경우에, 사용자는 출발지와 도착지, 예상 출발시간 등 관련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선호하는 교통수단을 선정하고, 중간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의 경로를 선택 및 예약하는 단계(S403)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입력받은 관련정보를 "CTS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보내 경로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CTS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각 수단의 스케줄 정보와 예약가능 현황을 CTS 스케줄 예약 센터(Schedule Reservation Center)에서 읽어와 사용자 맞춤형 최적 경로들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맞춤형 최적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사용자 특성정보를 구축할 수 있고, 유고 상황 시 예약 스케줄 변경에 유연한 동적 경로 계획(Dynamic Route Plan) 로직을 구축할 수 있으며, 최적 경로에 예약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버퍼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최적 경로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 수단 스케줄 및 예약현황을 수집 및 관리하는 "CTS 정보센터/예약 센터(Information Center/Reservation Center)"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해당 경로, 이용수단, 환승 횟수, 예상 도착시간 등 경로검색 결과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해당 경로의 주변 행사 및 사고로 인한 혼잡 등의 유고상황이 반영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된 경로들을 비교 후 이용 경로를 선택(예약)할 수 있다.
"CTS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선택된 경로에 해당되는 수단 중 예약이 필요한 수단 공급자 혹은 중계자(CTS Schedule Reservation Center)에게 예약 관련정보를 제공하여 수단 예약을 처리할 수 있다. 예약 불가 시에는 즉시 사용자에게 통보해 차선의 경로를 제시할 수 있다. 예약을 위하여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받아 인증할 수 있다.
도 4의 교통수단 이용 단계(S404)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예상 출발시간 또는 각 교통수단의 승차시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부터 각 수단의 이용안내정보 및 예약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기기(End User Device)에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통보받을 수 있다.
또한, 예약된 수단의 예약시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에 사용자에게 예약 취소 및 예약 스케줄 변경을 위한 안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예약된 교통수단 공급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특히 교통수단 공급자가 시간에 민감한 택시와 같은 경우에 더 유용하다. 그리고 유고상황으로 인한 연착 및 경로 이탈의 경우를 대비해 교통수단 승차 및 하차시, 현재 시각과 위치 정보들을 반영해 변경된 경로 및 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단 변경으로 인한 예약 취소 및 예약 스케줄 변경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일된 하나의 교통카드 및 모바일 결제체계를 이용하여 수단이용시 즉각 요금을 계상하고, 월별 요금을 사용자에게 청구하는 방식의 단일화된 요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교통수단 이용 단계(S404)는 아래와 같은 다섯 가지 상황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첫째, CTS 사용자가 예약 불가능한 대중교통, 예컨대 시내버스, 지하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예약이 필요없는 대중교통 이용시 CTS 사용자에게 교통수단 이용정보만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탑승 정류장 위치, 예상 승차시간 등을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제공하는 교통수단 이용안내의 도움을 받아 개인결제수단을 이용하여 탑승할 수 있다. 이때 개인결제수단은 교통카드 및 모바일 결제 장치일 수 있다.
둘째, CTS 사용자가 예약 가능하고 정류장이 정해진 대중교통, 예컨대 철도, 항공, 공용 자전거, 렌터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교통수단 공급자는 예약된 시간에 정해진 좌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제공하는 교통수단 이용안내의 도움을 받아 예약된 시간 및 좌석에 탑승할 수 있다. 다인이 예약하는 경우에는 자리를 연속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셋째, CTS 사용자는 예약이 가능하고 정류장이 정해지지 않은 대중교통, 예컨대 택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택시 승차지역 예정 도착시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전에 인근 택시 운영회사에게 예약정보를 넘겨줘 예약을 하고, 예약 스케줄 변동을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택시 운영회사에게 넘겨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제공하는 교통수단 이용안내의 도움을 받아 택시 승차지역 예정 도착시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전에 인근 택시 운영회사에게 예약정보를 넘겨주는 것을 수락하고, 예약된 시간 및 장소에서 탑승할 수 있다.
넷째, CTS 사용자는 개인소유 승용차 및 공용 승용차와 같은 공유 승용차에 승차할 수 있다. 여기서 공용 승용차는 여러 명의 개인이 함께 소유하는 자동차이거나 또는 법인이 소유하는 자동차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개인소유 승용차에 그 승용차의 소유주가 승차하는 경우에, 소유자는 승용차 공유를 위해 설치된 장치(이하, 공유기기)에 교통카드 및 모바일기기 등을 접촉하여 소유자임을 인증함과 동시에 차량 공유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CTS 사용자가 타인소유 승용차 및 공용 승용차에 승차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경로 예약시 CTS는 타인소유 승용차의 공유기기에 예약정보를 송출하고, 타인소유 승용차의 공유기기는 차량 외부 디스플레이에 예약된 차량임을 표시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제공하는 교통수단이용 안내의 도움을 받아 예약된 타인소유 승용차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타인소유 승용차 외부의 공유기기 입력기를 통해 예약 사용자임을 인증한 후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다섯째, CTS 사용자는 개인소유 승용차 및 공용 승용차와 같은 공유 승용차에서 하차할 수 있다.
이 중 개인소유 승용차에서 이 승용차의 소유주가 하차할 때에, 이 소유주가 자신의 승용차의 공유를 원하는 경우에는 공유기기에 공유관련정보를 입력한 후 하차할 있다. 예를 들어 개인소유 승용차를 회수하여야 하는 시간, 즉 공유가능시간을 입력하거나, 공유요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공유기기는 공유관련정보를 CTS에 송신할 수 있으며, CTS는 공유관련정보를 이용해 다른 사용자가 CTS를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CTS 사용자가 타인소유 승용차 또는 공용 자동차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하차 후에 공유기기가 공유관련정보를 CTS에 송신하고, CTS는 공유관련정보를 이용해 다른 사용자가 CTS를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타인소유 승용차의 경우 이러한 프로세스는, CTS 사용자가 타인소유 승용차에 설정된 공유시간 이내에 하차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의 목적지에 도착 단계(S405)에서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CTS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게 현재 이용한 경로 및 여행 정보를 즐겨찾기에 반영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이 정보는 사용자 프로파일링(user profiling)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501)에서 CTS(1)는 사용자 기기(31)로부터 '경로검색요청'을 수신하고, 단계(S502)에서 CTS(1)는 '경로검색요청'에 따라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S503)에서 CTS(1)는 사용자 기기(31)에게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31)는 수신된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특정 '선택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 P501). 단계(S504)에서 CTS(1)는 사용자 기기(31)로부터 '선택 경로'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505)에서 CTS(1)는 '선택 경로'에 포함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을 예약할 수 있다. 단계(S506)에서 CTS(1)는 '교통수단 예약 정보'를 사용자 기기(31)에게 송신할 수 있다.
CTS(1)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교통수단 예약 정보' 및 '선택 경로'에 포함된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여행을 할 수 있다. 이때, 각 교통수단에 탑승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요금지불수단을 지참해야하는데, 이 요금지불수단은 사용자 기기(31)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 기기(31)는 이 요금지불수단을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CTS(1)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31)와 별도로 제공되는 요금지불수단을 지참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S507)에서 CTS(1)는 사용자 기기(31)에게 위의 '선택 경로'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교통수단 각각의 출발시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에 각 교통시간의 출발시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S508)에서 CTS(1)는 사용자 기기(31)의 지리적 위치정보로부터 가공된 정보를 위의 예약하는 단계에서 예약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29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지리적 위치정보로부터 가공된 정보는, 사용자 기기(31)의 지리적 위치 그 자체이거나, 또는 사용자 기기(31)가 현재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위의 예약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의 대기 지점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일 수 있다. 여기서, 위의 예약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은, 예를 들어 택시와 같이 승하차 지점이 일정하게 정해지지 않은 교통수단일 수 있다.
또한, 단계(S509)에서는, 단계(S505)에서 위의 '선택 경로'에 포함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을 예약할 수 없는 경우에, '선택 경로'가 제외된 다른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사용자 기기(31)에게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기기(31)에서 새로운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S510)에서 사용자 기기(31)가 '선택 경로'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벗어난 경우 새로운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사용자 기기(3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기기(31)에서 새로운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507) 내지 단계(S510)는 그 선후관계가 사정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단계(S511)에서는 '선택 경로'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선택 경로'에 포함된 각각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발생한 과금 정보를 각각의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합산하여 사용자에게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은 예컨대, 도 3의 정보 제공자들(211 ~ 219, 221)일 수 있다.
위의 '경로검색요청'은 목적지, 도착지, 및 출발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로검색요청'은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교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31)를 통해 자신이 선호하는 교통수단을 입력하고, CTS(1)는 이를 반영하여 최적의 '경로검색 결과목록' 을 사용자 기기(3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로검색 결과목록'은 하나 이상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경로는 이동 루트가 서로 다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교통수단의 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호하는 교통수단으로써 택시와 버스를 입력하였다고 하더라도, '경로검색 결과목록'의 각 경로에 할당된 택시 및 버스의 이동거리와 이동 루트를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은 정류장이 정해진 교통수단 또는 정류장이 정해지지 않은 교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 및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은 각각 사용자 기기(31)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공유 승용차는 예약이 가능할 수도 있고 예약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 및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은 공유 승용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의해 설명한 교통서비스 제공방법은, 도 3의 CTS(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CTS(1)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 또는 임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개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S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CTS(1)는 사용자 기기(31)로부터 '경로검색요청'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수신부(601), '경로검색요청'에 따라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생성하도록 되어있는 처리부(602), 및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사용자 기기(31)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송신부(6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601)는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사용자 기기(31)에 의해 선택된 '선택 경로'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처리부(602)는 '선택 경로'에 포함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을 예약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수신부(601), 송신부(603)는 도 3의 송수신부(10)를 포함하는 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처리부(602)는 도 3의 통합 여행 플래너(411), 여행 통행권 관리부(421), 사용자 정보 관리부(431), 송수신부(10), 정보센터(220), 및 예약센터(240) 등과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CTS(1)는 '선택 경로'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선택 경로'에 포함된 각각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발생한 과금 정보를 각각의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 예컨대 정보 제공자(605)로부터 수신하고 합산하여 사용자에게 비용을 청구하는 과금부(6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602)와 과금부(604)는 예컨대, CTS(1)외부의 정보 제공자(605)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수신부(601), 송신부(603), 과금부(604), 및 처리부(602)는 단일 장치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장치에 구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보 제공자(605)는 도 2 및 도 3의 정보 제공자(2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서비스 요청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S701)에서 사용자 기기(31)가 '경로검색요청'을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에게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술한 CTS일 수 있다.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경로검색요청을 기초로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P701). 단계(S702)에서는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703)에서는,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하나 이상의 '선택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S704)에서는 '선택 경로'를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에게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선택 경로'에 포함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을 예약할 수 있다(단계 P702). 그 다음, 단계(S705)에서는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선택 경로'에 포함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의 예약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31)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교통수단 예약 정보' 및 '선택 경로'에 포함된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여행을 할 수 있다.
또한, 단계(S706)에서 사용자 기기(31)는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위의 '선택 경로'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교통수단 각각의 출발시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에 각 교통시간의 출발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S707)에서 사용자 기기(31)는 자신의 지리적 위치정보를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르게는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기기(31)의 위치를 스스로 수집할 수 있다.
도 7에서 '경로검색요청'은 목적지, 도착지, 및 출발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경로검색 결과목록'은 하나 이상의 경로 및 하나 이상의 경로 각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교통수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은 정류장이 정해진 교통수단 또는 정류장이 정해지지 않은 교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설명한 교통서비스 요청방법은 도 5에 설명한 교통서비스 제공방법에 대응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7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 의한 교통서비스 요청방법은 도 3의 사용자 기기(3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31)의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기기(31)는 '경로검색요청'을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송신부(801), 및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수신부(8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신부(801)는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선택 경로'를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고, 수신부(802)는 '선택 경로'에 포함된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의 예약정보를 교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기(3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04)와 송신부(801), 수신부(802)를 연결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8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801), 수신부(802), 및 처리부(803)는 안테나 또는 반도체 칩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도체 칩은 ASIC, FPGA, CPU 등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804)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 각종 출력 장치와 터치 패널 등과 같은 각종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31)는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 및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의 잠금장치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포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개폐장치가 사용자 기기(31)에 내장될 수도 있고, 사용자 기기(31)가 별도의 개폐장치를 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교통서비스 제공방법의 변형예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31)로부터 '경로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경로검색요청'에 따라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들과 예약 불가능한 교통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사용자 기기(31)에게 송신하는 단계,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사용자 기기(31)에 의해 선택된 '선택 경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 경로'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선택 경로'에 포함된 각각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발생한 과금 정보를 각각의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합산하여 사용자에게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도 3의 CTS(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정교화하기 위하여, 특정 지역의 자전거 공동이용 시스템의 운영현황 및 특성분석에 기반하며 이용자를 증가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들이 필요한지를 분석할 수 있고, 지역별 자동차 공동이용 시스템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이용수요 증가를 위한 요구사항들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단일 교통수단 또는 단일 교통 시스템에 대한 주차장 및 충전소 등의 최적배치문제, 차량 이동경로 탐색문제, 차량의 재배치문제 등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강할 수 있다.
종래에는 지하철(도시철도)과 시내버스 또는 광역버스를 통합하여 과금하는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었으나, 이들 교통수단은 예약이 불가능한 교통수단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약이 가능한 교통수단들을 예약이 가능하지 않은 교통수단들과 통합하여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기기’는 휴대형 또는 비휴대형의 통신 기기일 수 있다. 즉, 통신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PDA,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등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공유 승용차 및 다른 종류의 교통수단을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버에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기기로부터 출발지, 도착지, 및 출발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로검색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승용차 및 상기 공유 승용차와 환승되는 상기 다른 종류의 교통수단을 포함하는 통행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행경로를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상기 통행경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행경로에 포함된 상기 공유 승용차를 예약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통행경로에 포함된 상기 공유 승용차는 예약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유 승용차가 예약 가능한지 여부는, 상기 공유 승용차의 공유를 위해 상기 공유 승용차에 설치된 장치에 입력된 공유가능시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한 예약가능 현황을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종류의 교통수단은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행경로는 상기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행경로에 포함된 상기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을 예약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된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이 상기 예약된 교통수단의 예약 스케쥴을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예약된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승용차에 설치된 장치가 상기 공유 승용차의 예약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공유 승용차에 설치된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하는 단계에서 상기 공유 승용차를 예약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통행경로가 제외된 다른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된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경로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통행경로에 포함된 각각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발생한 과금 정보를, 상기 통행경로에 포함된 상기 다른 종류의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 및 상기 공유 승용차의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합산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통행경로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통행경로를 벗어난 경우, 새로운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가능한 교통수단은 정류장이 정해진 교통수단 또는 정류장이 정해지지 않은 교통수단을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승용차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 포함된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13. 삭제
  14. 공유 승용차 및 다른 종류의 교통수단을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으로서,
    사용자 기기로부터 출발지, 도착지, 및 출발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검색요청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수신부;
    상기 경로검색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승용차 및 상기 공유 승용차와 환승되는 상기 다른 종류의 교통수단을 포함하는 통행경로 및 상기 통행경로를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처리부; 및
    상기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상기 통행경로를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통행경로에 포함된 상기 공유 승용차는 예약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행경로를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통행경로에 포함된 상기 공유 승용차를 예약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공유 승용차가 예약 가능한지 여부는, 상기 공유 승용차의 공유를 위해 상기 공유 승용차에 설치된 장치에 입력된 공유가능시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한 예약가능 현황을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행경로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통행경로에 포함된 각각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발생한 과금 정보를, 상기 통행경로에 포함된 상기 다른 종류의 교통수단의 관리시스템 및 상기 공유 승용차의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합산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을 청구하도록 되어 있는,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
  16. 사용자 기기가, 공유 승용차 및 다른 종류의 교통수단을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버에게 교통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으로서,
    경로검색요청을 상기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버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공유 승용차 및 상기 공유 승용차와 환승되는 상기 다른 종류의 교통수단을 포함하는 통행경로를 갖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상기 통행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서버에게 송신함으로써 상기 공유 승용차를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행경로에 포함된 상기 공유 승용차는 예약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유 승용차가 예약 가능한지 여부는, 상기 공유 승용차의 공유를 위해 상기 공유 승용차에 설치된 장치에 입력된 공유가능시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한 예약가능 현황을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서비스 요청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검색요청은 출발지에 관한 정보, 도착지에 관한 정보, 및 출발시간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요청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종류의 교통수단은 정류장이 정해진 교통수단 또는 정류장이 정해지지 않은 교통수단을 포함하는, 교통서비스 요청방법.
  19. 출발지, 도착지, 및 출발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검색요청을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버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송신부; 및
    공유 승용차 및 상기 공유 승용차와 환승되는 다른 종류의 교통수단을 포함하는 통행경로를 포함하는 경로검색 결과목록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공유 승용차를 예약하기 위하여, 상기 경로검색 결과목록 중 상기 통행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통행경로에 포함된 상기 공유 승용차는 예약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유 승용차가 예약 가능한지 여부는, 상기 공유 승용차의 공유를 위해 상기 공유 승용차에 설치된 장치에 입력된 공유가능시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한 예약가능 현황을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 승용차는 상기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KR1020110057022A 2011-06-13 2011-06-13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 교통서비스 요청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KR101111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022A KR101111733B1 (ko) 2011-06-13 2011-06-13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 교통서비스 요청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022A KR101111733B1 (ko) 2011-06-13 2011-06-13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 교통서비스 요청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733B1 true KR101111733B1 (ko) 2012-02-16

Family

ID=4584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022A KR101111733B1 (ko) 2011-06-13 2011-06-13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 교통서비스 요청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73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641B1 (ko) 2018-08-23 2019-03-12 장승현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과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연동하여 주차 예약 및 이동 경로 탐색을 위한 교통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US10663970B2 (en) 2018-01-02 2020-05-26 Lg Electronics Inc.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i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111222822A (zh) * 2020-01-07 2020-06-02 贵阳货车帮科技有限公司 货源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1099020B2 (en) * 2019-05-28 2021-08-24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intermodal route computations
KR102368630B1 (ko) * 2020-11-27 2022-03-02 유카네트웍스 주식회사 서비스형 모빌리티를 이용한 통합 교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6033A (ko) * 2021-08-17 2023-02-2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0521A (ko) * 2005-09-13 2007-03-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대중교통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32463A (ko) * 2008-09-18 2010-03-26 임윤재 대중교통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의 대중교통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0521A (ko) * 2005-09-13 2007-03-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대중교통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32463A (ko) * 2008-09-18 2010-03-26 임윤재 대중교통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의 대중교통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3970B2 (en) 2018-01-02 2020-05-26 Lg Electronics Inc.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i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1957641B1 (ko) 2018-08-23 2019-03-12 장승현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과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연동하여 주차 예약 및 이동 경로 탐색을 위한 교통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US11099020B2 (en) * 2019-05-28 2021-08-24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intermodal route computations
CN111222822A (zh) * 2020-01-07 2020-06-02 贵阳货车帮科技有限公司 货源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222822B (zh) * 2020-01-07 2023-04-07 贵阳货车帮科技有限公司 货源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368630B1 (ko) * 2020-11-27 2022-03-02 유카네트웍스 주식회사 서비스형 모빌리티를 이용한 통합 교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6033A (ko) * 2021-08-17 2023-02-2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600488B1 (ko) * 2021-08-17 2023-11-0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ganzo et al.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Principles of system design, operations planning and real-time control
Wirasinghe et al. Bus rapid transit–a review
Newell Some issues relating to the optimal design of bus routes
De Cea et al. Transit assignment for congested public transport systems: an equilibrium model
Camacho et al. Pervasive technology and public transport: Opportunities beyond telematics
Wang et al. Interchange between metro and other modes: Access distance and catchment area
Aziz et al. Examining suitability of the integrated public transport system: A case study of Lahore
KR101111733B1 (ko)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 교통서비스 요청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JP7245441B2 (ja) 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CN101692271A (zh) 多交通方式综合诱导方法
Shaheen et al. Mobility and the sharing economy: industry developments and early understanding of impacts
KR20120108435A (ko) M버스를 중심으로 노선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예약방법
JP2020071778A (ja) 車両派遣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方法
Wirasinghe et al. Route layout analysis for express buses
Qiu et al. An exploration of the demand limit for flex-route as feeder transit services: a case study in Salt Lake City
Pečar et al. Transportation problems and their potential solutions in smart cities
Ceder Integrated smart feeder/shuttle transit service: simulation of new routing strategies
Torrisi et al. Introducing a mobility on demand system beyond COVID-19: Evidences from users’ perspective
KR20170136451A (ko)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Su et al. The multimodal trip planning system of intercity transportation in Taiwan
Chen et al. Exploring the operational performance discrepancies between online ridesplitting and carpooling transportation modes based on DiDi data
Shen et al. Fare strategy for flex-route transit services: Case study in Los Angeles
Bobyl et al. Rail passenger hubs
Chaturvedi et al. A multi-modal ride sharing framework for last mile connectivity
Cavallaro et al. Public transport in transnational peripheral area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