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196B1 - Vehicle fo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ir stream developing drag force during driving - Google Patents

Vehicle fo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ir stream developing drag force during dri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196B1
KR101111196B1 KR1020090074695A KR20090074695A KR101111196B1 KR 101111196 B1 KR101111196 B1 KR 101111196B1 KR 1020090074695 A KR1020090074695 A KR 1020090074695A KR 20090074695 A KR20090074695 A KR 20090074695A KR 101111196 B1 KR101111196 B1 KR 10111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hicle
air
drag force
gener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6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7157A (en
Inventor
신상용
Original Assignee
신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용 filed Critical 신상용
Priority to KR102009007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196B1/en
Publication of KR20110017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1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1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6Converting flow of air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03D3/0436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for shielding one side of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2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moving objects, e.g.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d Moto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은 차량의 외부 패널을 구성하는 일 패널과, 일 패널과 상호 틸팅되어 연결되며, 일 패널보다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 패널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타 패널과, 타 패널의 일 측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팬(fan)과, 회전축에 결합되어 팬의 회전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와, 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causing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one panel constituting an outer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panel is tilted with each other. Another panel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located below one panel, a fan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ther panel and rotating along the rotation axis, and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to rotate the fa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and a batter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enerator for storing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generator.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은 주행시 발생 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은 차량의 주행시 저항력으로 작용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감소시켜 차량의 주행시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induc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induc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By reducing the flow of air causing the drag force acting as a resistance when driving the vehicl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umption of unnecessary energy when the vehicle is running.

차량, 드래그 포스, 다운포스, 와류, 팬, 블레이드 Vehicle, drag force, downforce, vortex, fan, blade

Description

주행시 발생 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VEHICLE FO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IR STREAM DEVELOPING DRAG FORCE DURING DRIVING}VEHICLE FO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IR STREAM DEVELOPING DRAG FORCE DURING DRIVING}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차량의 주행시 유체역학적으로 발생되는 저항력을 이용하여 풍력발전을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relates to a technology for generating wind power by using a hydrodynamically generated resistance force when driving a vehicle.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주행시 차량의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며, 차량의 모양과 속도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드래그 포스(drag force)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풍력발전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Specifically, the electric energy act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uses a flow of air that causes a drag force, the size of which is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hape and speed of the vehicle, as a power source. It relates to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for generating a.

차량이 주행시 공기와 접하는 차량의 외부패널에는 공기저항이 발생된다. 종래에도 이러한 공기저항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장치가 있었으나, 종래의 장치는 차량에 돌출되어 설치됨으로 차량의 공기저항을 증가시켜 차량의 연료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Air resistance is generated on the outer panel of the vehicl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air when the vehicle is driving.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 device for generating power using such air resistance, but the conventional device has a problem of lower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by increasing the air resistance of the vehicle by being protruded to the vehicle.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단지 공기저항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뿐 차량의 공기저항, 특히 차량의 진행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드래그 포스를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This conventional technology only generates electric energy using air resistance, but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reduce the air resistance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the drag force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 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cause th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차량의 주행시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드래그 포스(drag force)를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First,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produce electricity by using a flow of air that generates a drag force that act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direction when the vehicle is running.

둘째, 드래그 포스를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감소시켜 차량의 연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Second, to reduce the flow of air to generate a drag force to increase the fuel economy of the vehicle.

셋째,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용된 바람의 방향을 전환시켜 브레이크를 작동시 발생되는 높은 열을 냉각시켜 제동거리를 감소시키고, 브레이크 패드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ird, to reverse the direction of the wind used to produce electricity to cool the high heat generated when operating the brake to reduce the braking distance, an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rake pad or brake lining.

넷째, 드래그 포스를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별도의 배터리부에 충전시키고, 차량의 전기적 장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Fourth, by using the flow of air to generate a drag force, the generated electrical energy is to be charged to a separate battery unit, and to be used in the electrical device of the vehicle.

다섯째, 차량이 주행시 발생되는 공기저항을 공기역학적으로 이용하여 다운포스를 증가시켜 접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Fifth, the air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driving is aerodynamically used to increase downforce by increasing downforc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은 차량의 외부 패널을 구성하는 일 패널과, 일 패널과 상호 틸팅되어 연결되며, 일 패널보다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 패널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타 패널과, 타 패널의 일 측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팬(fan)과, 회전축에 결합되어 팬의 회전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와, 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한다.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causing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one panel constituting an outer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panel is tilted with each other. Another panel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located below one panel, a fan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ther panel and rotating along the rotation axis, and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to rotate the fan. A 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and a batter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enerator for storing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generator.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일 패널과 타 패널이 만나는 면은 호(弧) 형상으로 형성되는 라운딩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rface where one panel and the other panel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cause th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of a rounded portion formed in an arc shape Do.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팬은 타 패널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n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causing th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utside of the other panel of the air causing th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It is desirable to use the flow as power.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팬은 타 패널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 패널의 개구된 일 측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팬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n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hat causes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wer is disposed inside another panel,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pened side of the other panel is It is desirable to rotate the blade of the fan.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팬의 블레이드는 타 패널의 개구된 일 측을 통해 돌출배치되는 구조 또는 타 패널의 개구된 일측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blade of the fan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cause th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jected through the open side of the other panel or the opening of the other panel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ny one of the structures arrange | positioned inside one side.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에는 일 패널 또는 타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를 팬의 블레이드로 흐르게 하는 공기유도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causing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wer, an air induction part is formed on one side of one panel or the other panel to allow air to flow to the blade of the fan.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with.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공기유도부는 일 패널 또는 타 패널의 일측에서 패널의 일부가 함몰 절개되어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induction part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causing th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by cutting a part of the panel in one side or one side of the other panel. Do.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공기유도부는 일 패널 또는 타 패널의 일측에서 패널의 일부가 돌출 절개되어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air induction part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hat causes th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by cutting a part of the panel at one side of the panel or the other panel. Do.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공기유도부는 일 패널 또는 타 패널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배치된 플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air induction part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causing th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one panel or the other panel.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일 패널이 트렁크게이트인 경우, 팬은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고, 트렁크에는 일 측이 팬과 연통되고, 타 측이 차체 하부면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팬을 회전시킨 공기가 트렁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이송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one panel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causing drag force generated when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unk gate, a fan is installed in the trunk, and one side of the trunk is a fa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transfer part is formed so that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air rotating the fa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runk.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공기이송부의 타 측은 차량 바퀴의 브레이크 패드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side of the air transport unit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causing th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ward the brake pad or the brake lining of the vehicle wheel.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 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은 차량의 주행시 저항력으로 작용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감소시켜 차량의 주행시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causing drag force generated when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wer source reduces unnecessary energy when driving the vehicle by reducing the flow of air causing drag force acting as a resistive force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 effect is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또한, 차량의 주행시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저항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duce electrical energy by using the resistance of the air to cause a drag force when driving the vehicle.

또한, 차량의 주행시 발열 부위에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를 이동시켜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oled by moving the air causing the drag force to the heating portion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또한, 차량의 주행시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용된 바람의 방향을 전환시켜 풍력전기의 발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generation of wind electricity by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wind used to produce electricity when driving the vehicle.

또한, 차량의 주행시 공기유도부를 통하여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를 팬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운포스를 증가시켜 차량의 주행시 접지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moving the air causing the drag force to the fan through the air induction portion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down force when driving the vehicle by increasing the downforc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Hereinafter,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drag force generated when driv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이하 '풍력발전 시스템 차량'라 함)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풍력발전 시스템 차량의 개략도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시 공기 저항으로 인해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drag force)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10)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차량의 외부 패널을 구성하는 일 패널(110)과, 일 패널(110)과 상호 틸팅되어 연결되며, 일 패널(110)보다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 패널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타 패널(120)과, 타 패널(120)의 일 측에 설치되며, 회전축(220)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10)를 갖는 팬(fan, 200)과, 회전축(220)에 결합되어 팬(200)의 회전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300)와, 발전기(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기(300)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도면 미도시)로 이루어진다.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flow of air causing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vehicle”) i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which is a schematic diagram, electric energy is generated by using a flow of air 10 that causes a drag force generated due to air resistance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reby forming an external panel of the vehicle. One panel 110 and one panel 110 to be til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locat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than the one panel 110, the other panel 120 and lower than the one panel 110, the other panel 1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an,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210) rotating along the rotating shaft 220 (fan, 200),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20 to generate electrical energy during the rotation of the fan 200 Generator 300 to mak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enerator 300 is made of a battery unit (not shown) for storing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generator 300.

드래그 포스라 함은 차량(100)과 같은 주행체가 공기와 같은 유체 내에서 이동할 때 발생되는 유체의 저항력 중 주행체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유체의 저항력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유체와 접하는 단면의 형상이 급격하게 변형되는 지점에서 와류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Drag force refers to a resistance force of a fluid act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moving direction of a traveling body among the resistance forces of a fluid generated when a traveling body such as the vehicle 100 moves in a fluid such as air. At the point where the shape of is rapidly deformed, it appears in the form of vortex.

이러한 드래그 포스를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10)은 차량(100)의 일 패널(110)과 일 패널(120)에 틸팅 되어 연결되는 타 패널(120) 사이의 경계면(111) 또는 모서리에서 주로 발생된다. 즉, 일 패널(110)을 타고 유동하다가 타 패널(120)과 만나는 경계면(111)과 같은 변곡점에서 드래그 포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The flow of air 10 generating the drag force is mainly generated at the interface 111 or the corner between one panel 110 of the vehicle 100 and the other panel 120 that is tilted and connected to the one panel 120. do. That is, the drag force is generated at the inflection point such as the interface 111 that flows on the one panel 110 and meets the other panel 120.

이러한 드래그 포스는 일반적으로 무정형의 유체의 유동, 즉 와류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This drag force generally appears in the form of an amorphous fluid, ie vortex.

이러한 드래그 포스를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10)은 일 패널(110)과 타 패널(120)의 경계면(111)에서 발생되어 타 패널(120)로 유동하며, 와류가 드래그 포스로 형성되어, 주행체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을 주행체에 가하게 되므로 주행체의 진행시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주행체의 에너지를 더 소모시키게 된다.The flow of air 10 generating the drag force is generated at the interface 111 between the one panel 110 and the other panel 120 and flows to the other panel 120, and the vortex is formed by the drag force to travel. Since the for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ieve is applied to the traveling body, it acts as a resistance force when the traveling body progresses, thereby consuming more energy of the traveling body.

차량(100)의 경우, 드래그 포스를 유발시키는 공기의 흐름(10)은 차량(100)의 루프패널(110)과, 차량(100)의 운전석을 기준으로 후방 방향에 루프패널(110)과 연결되는 후방 패널(120)의 경계면 또는 모서리와, 루프패널(11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패널(도면 미도시)과 후방패널(120)의 경계면(111)에서 주로 발생된다. In the case of the vehicle 100, the air flow 10 causing the drag force is connected to the roof panel 110 in the rear direction based on the roof panel 110 of the vehicle 100 and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100. It is mainly generated at the boundary surface or the edge of the rear panel 120, the side panel (not shown) formed on the side of the roof panel 110 and the boundary surface 111 of the rear panel 120.

또한, 트렁크(140)가 형성된 차량(100)의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풍력발전시스템 차량의 다른 개략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포스를 유발시키는 공기의 흐름(10)은 트렁크(140)의 도어 기능을 하는 트렁크게이트(150)의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절곡된 면(160), 트렁크게이트(150)가 트렁크를 폐쇄시킨 경우, 차량(100)의 후미등이 설치된 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면에 발생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vehicle 100 in which the trunk 140 is formed, as shown in FIG. 5, which is another schematic view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 10 causing the drag force 10. ) Is a surface 160 bent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unk gate 150 that functions as a door of the trunk 140, when the trunk gate 150 closed the trunk, the tail light of the vehicle 100 is installed It is generated in the plane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plane.

팬(200)은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것으로, 차량(100)의 후방에 위치한 타 패널(120)에 설치되어 일 패널(110)과 타 패널(120)의 경계면에서 발생되어 타 패널(120)로 이동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시키는 공기의 흐름(1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The fan 200 is rotated by using a flow of air, and is installed in the other panel 120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0, and is gener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one panel 110 and the other panel 120 to generate another panel ( It is rotated by a flow of air 10 causing a drag force to move to 120.

이때, 팬(200)의 블레이드(210)에 맞닿는 공기는 대체적으로 차량의 하부 방향으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차량의 주행시 접지력을 증가시키는 다운포스(down force)를 발생시킨다. At this time, the air contacting the blades 210 of the fan 200 generally forms a flow of air directed toward the lower direction of the vehicle, thereby generating a down force that increases the traction force when the vehicle runs.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패널(110)과 타 패널(120)이 만나는 면, 즉 경계면(111)은 호 형상으로 라운딩부(111a)를 형성하는 경우, 경계면(111)에서 발생되는 와류를 타 패널(120)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nel 110 and the other panel 120 meet each other, that is, the boundary surface 111 forms the rounding part 111a in an arc shape, the boundary surface Vortex generated in the (111) can be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panel (120).

따라서 경계면(111)에 라운딩부(111a)가 형성되는 경우, 타 패널(120)에 설 치된 팬(200)은 보다 많은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과 맞닿게 되어 회전이 원활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rounding part 111a is formed on the interface 111, the fan 200 installed in the other panel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w of air causing more drag force, thereby smoothly rotating.

타 패널(120)에 설치되는 팬(200)은 타 패널(12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패널(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fan 200 installed on the other panel 12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other panel 120, 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other panel 120 as shown in FIG. 1,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타 패널(120)의 내부에 팬(200)이 배치되는 경우, 타 패널(120)에는 드래그 포스를 발생시키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151)가 형성되며, 팬(200)은 팬(200)의 블레이드(210)가 개구부(151)를 통해 유입되는 드래그 포스를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1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When the fan 200 is disposed inside the other panel 120, an opening 151 is formed in the other panel 120 to allow air to generate a drag force, and the fan 200 includes the fan 200. Blade 210 is installed to be rotated by the flow of air 10 to generate a drag force flowing through the opening 151.

이때, 팬(200)의 블레이드(210)는 개구부(151)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패널(120)의 외부로 돌출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blade 210 of the fan 20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rear panel 120 as shown in FIG. 1 through the opening 151.

이러한 팬(200)의 설치 위치는 후방패널(120)의 상부, 하부, 좌우측 어느 곳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an 200 may be installed at any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anel 120.

또한, 발전시스템 차량의 다른 일 실시예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패널(110) 또는 후방패널(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드래그 포스를 유발시키는 공기의 흐름(10)을 팬(200)의 블레이드(210) 방향으로 유도하는 공기유도부(1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ower generation system vehicle, a flow of air 10 formed on one side of the roof panel 110 or the rear panel 120 to induce drag force may be applied to the fan 200. An air induction part 112 that guides in the direction of the blade 210 may be formed.

공기유도부(112)는 차량(100)의 주행시 드래그 포스를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 름(10)을 타 패널(120)에 설치된 팬(200)의 블레이드(210)로 향하도록 하여, 팬(200)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The air induction unit 112 directs the flow of air 10 that generates the drag force when the vehicle 100 runs toward the blade 210 of the fan 200 installed in the other panel 120, and the fan 200. To increase the number of revolutions.

이러한 공기유도부(112)는 풍력발전 시스템 차량의 공기유도부(112)가 도시된 도 3과 같이 공기유도부(112)는 루프패널(110) 또는 후방패널(12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배치된 플레이트(112a)로 이루어져, 차량(100)의 주행시 경계면(111)에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10)을 타 패널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The air induction part 112 is an air induction part 112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vehicle, as shown in FIG. 3, the air induction part 112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roof panel 110 or the rear panel 120. ), The air flow 10 generating the drag force generated at the boundary surface 111 when the vehicle 100 is driven may be changed in another panel direction.

이러한 공기유도부(112)는 도 3에 도시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공기유도부(112)를 형성하는 플레이트(112a)는 유선형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루프패널(110)과 후방패널(120)의 경계면(111)에 이격하여 설치되었다.The air induction part 112 may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in addition to the shape shown in FIG. 3, but the plate 112a forming the air induction part 112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streamlined cross section so that the roof panel It was installed on the boundary surface 111 between the 110 and the rear panel 120.

또한, 풍력발전 시스템 차량의 일 실시예에 의한 루프패널의 개략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도부(112)는 루프패널(110) 또는 후방패널(120)의 일측에서 패널의 일부가 함몰 절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루프패널(110) 또는 후방패널(120)의 일측에서 패널의 일부가 돌출 절개되어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which is a schematic view of a roof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vehicle, the air induction part 112 cuts a portion of the panel recessed at one side of the roof panel 110 or the rear panel 120. A portion of the panel may be protruded and cut out from one side of the roof panel 110 or the rear panel 120 to extend.

이러한 공기유도부(112)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시키는 공기의 흐름(10)을 후방패널(120)에 설치된 팬(200)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air induction part 112 is for causing the flow of air 10 causing the drag force to flow to the fan 200 installed in the rear panel 120, which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풍력발전 시스템 차량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략도인 도 5를 참조하면 팬(200)은 차량(100)의 트렁크(14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 which is a schematic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vehicle, the fan 200 may be installed in the trunk 140 of the vehicle 100.

팬(200)이 차량(100)의 트렁크(140)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차량 트렁크(140)의 트렁크게이트(150)의 상부면 또는 상부면으로부터 차량의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면(160)에는 팬(200)의 블레이드(210)가 트렁크게이트(150)의 상부 방향 또는 차량(10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151)가 형성된다. When the fan 200 is installed inside the trunk 140 of the vehicle 100, the surface 160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trunk gate 150 of the vehicle trunk 140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160. The opening 151 is formed so that the blade 210 of the fan 200 may protrude upward of the trunk gate 150 or rearward of the vehicle 100.

트렁크(140)에 팬(200)이 설치되는 경우, 팬(200)의 회전축(220)은 트렁크(140)의 내부에 설치되고, 팬(200)의 블레이드(210)의 끝 부분은 개구부(151)를 통해 트렁크게이트(150)의 상부면 또는 차량의 후미등이 설치되는 트렁크게이트(150)의 상부면으로부터 차량의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면(160)에 돌출된다. When the fan 200 is installed in the trunk 140, the rotating shaft 220 of the fan 200 is installed inside the trunk 140, and the end of the blade 210 of the fan 200 is an opening 151.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unk gate 15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trunk gate 150 is install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trunk gate 150 is install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vehicle.

이러한 개구부(151)에는 차량(100)의 주행시 트렁크게이트(150)의 상면에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시키는 공기의 흐름(10)을 개구부(151)를 통해 돌출된 블레이드(210)로 유도할 수 있도록 호(弧) 형상의 라운딩부(1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ning 151 may induce a flow of air 10 causing a drag force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unk gate 150 when the vehicle 100 is driven to the blade 210 protruding through the opening 151. It is preferable that an arc-shaped rounding part 152 is formed.

이러한 라운딩부(152)는 개구부(151)의 개구된 면을 트렁크(140)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므로, 차량(100)의 주행시 트렁크게이트(150)의 상면에서 발생된 드래그 포스를 유발시키는 공기의 흐름은 라운딩부(152)를 따라 팬(200) 방향으로 전환된다.Since the rounding part 152 is formed by bending the opened surface of the opening 151 toward the trunk 140, air of the air causing the drag force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unk gate 150 when the vehicle 100 is driven is formed. The flow is diverted along the rounding 152 toward the fan 200.

이때, 블레이드(210)는 트렁크게이트(150)의 상면에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 를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10)과 맞닿아 회전하게 되며, 차량의 하부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다운포스를 발생시켜 차량의 접지력을 증가시킨다. At this time, the blade 210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flow of air 10 generating the drag force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unk gate 150, induces the flow of air flowing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vehicle downforce To increase the traction of the vehicle.

또한, 트렁크게이트(150)의 상면에는 차량(100)의 주행시 트렁크(140)에 설치된 팬(200)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호(弧) 형상의 공기유도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rc-shaped air induction part 153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unk gate 150 to be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fan 200 installed in the trunk 140 when the vehicle 100 runs.

이러한 공기유도부(153)의 형상은 앞에서 살펴본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shape of the air induction part 153 will be omitted for the purpose of avoiding overlap as described above.

차량(100)의 트렁크(140) 내부에 팬(200)이 설치되는 경우, 차량(100)의 주행속도가 증가 되면, 개구부(151)를 따라 트렁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증가하게 되어 트렁크(14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When the fan 200 is installed inside the trunk 140 of the vehicle 100,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100 is increased,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trunk along the opening 151 is increased so that the trunk ( 140)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따라서, 트렁크(140) 내부와 차량(100) 외부와의 압력차이가 발생되어 공기는 트렁크(14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Therefore,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trunk 140 and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0 is generated,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air does not flow into the trunk 140.

따라서, 트렁크(140)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200)을 회전시킨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팬(200)과 연통되고, 타측이 차체 하부면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공기이송부(1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trunk 140 has an air transfer part formed so that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an 200 and the other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air rotated in the fan 200 is discharged. 141 is preferably formed.

이러한 공기이송부(141)는 중공형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팬(200)의 하부를 감싸고 차량(100)의 차체 하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The air transfer part 141 is formed in a hollow conical shape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fan 200 and communicat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100.

이때, 공기이송부(141)의 타측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5에 도시된 차량 바퀴의 브레이크 패드(170)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170)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air transfer unit 141 is preferably formed to face the brake pad 170 or the brake lining 170 of the vehicle wheel shown in Figure 5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차량(100)를 감속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동장치의 일종인 브레이크 패드(170)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170)은 제동시 마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In general, the brake pad 170 or the brake lining 170, which is a kind of brake device used to decelerate the vehicle 100, generates heat by friction during braking.

이러한 열은 차량의 제동성능을 감소시키므로 차량(100)에는 일반적으로 제동장치의 열을 방열시키는 별도의 방열장치를 추가 구비하고 있다.Since the heat reduces the brak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the vehicle 100 generally includes an additional heat dissipation device for dissipating heat of the braking device.

이러게 추가 구비된 방열장치는 차량(100)의 주행시 차량의 제동성능을 유지시켜주나 자체 하중에 의해 차량 전체의 무게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전체적인 연비를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The additional heat dissipation device maintains the brak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100 is driven, but increases the weight of the entire vehicle by its own loa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fuel economy.

따라서 이 경우 공기이송부(141)의 타 측을 브레이크 패드(170)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17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팬(200)을 회전시킨 공기를 브레이크 패드(170)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170)으로 흐르게 하여 브레이크 패드(170)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170)을 냉각시킬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case, the other side of the air transfer unit 141 is directed toward the brake pad 170 or the brake lining 170 so that the air rotated by the fan 200 flows to the brake pad 170 or the brake lining 170. Thus, the brake pad 170 or the brake lining 170 may be cooled.

이러한 공기이송부(141)는 제동장치를 방열시키기 위한 별도의 방열장치를 제거하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방열장치와 같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뒷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 패드(170)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170)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The air transfer unit 141 may be installed by removing a separate heat dissipation device for dissipating the braking device, may be installed as a separate heat dissipation device, as shown in Figure 4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installed so as to face the brake pad 170 or the brake lining 170 formed on the rear wheel of (100).

이러한 공기이송부(14)의 형태에 따라 차량(100)의 앞바퀴를 향하도록 변형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t is apparent that it can be deformed to face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ir transfer unit 14.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inducing dra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wer source.

도 2는 본 발명이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공기유도부와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 equipped with an air induction unit and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induc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공기유도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air induction part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ower of air that causes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루프패널의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oof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다른 개략도이다. FIG. 5 is another schematic view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ower of air that causes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공기의 흐름 100 : 차량10: flow of air 100: vehicle

110 : 루프패널, 일 패널 111 : 경계면110: roof panel, one panel 111: boundary surface

111a : 라운딩부 112 : 공기유도부111a: rounding part 112: air induction part

120 : 타 패널, 후방패널 140 : 트렁크120: other panel, rear panel 140: trunk

141; 공기이송부 150 : 트렁크게이트141; Air transfer unit 150: trunk gate

151 : 개구부 152 : 라운딩부151: opening 152: rounding

153 : 공기유도부 153: air induction part

170 :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라이닝 200 : 팬170: brake pads, brake lining 200: fan

210 : 블레이드 220 : 회전축210: blade 220: rotation axis

300 : 발전기300: generator

Claims (11)

차량의 외부 패널을 구성하는 일 패널; One panel constituting an outer panel of the vehicle; 상기 일 패널과 상호 틸팅되어 연결되며, 일 패널보다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 패널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타 패널;Another panel tilted and connected to the one panel and positioned at a rear of the vehicle than the one panel and positioned below the one panel; 상기 타 패널의 일 측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팬(fan);A fan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ther panel and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rotating along a rotation axis;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팬의 회전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A generato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generate electrical energy when the fan rotates; And 상기 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And a batter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enerator to store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generator, where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es the flow of air to caus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일 패널과 타 패널이 만나는 면은 호(弧) 형상으로 형성되는 라운딩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시 발생 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The surface where the one panel and the other panel meet is formed of a rounded portion formed in an arc shap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induc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팬은 타 패널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The fan is a vehicle having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induce a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utside the other panel as a pow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팬은 타 패널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 패널의 개구된 일 측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팬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The fan is disposed inside the other panel, 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open side of the other panel rotates the blades of the fan. Vehicle equipped with a power gener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팬의 블레이드는 상기 타 패널의 개구된 일 측을 통해 돌출배치되는 구조 또는 상기 타 패널의 개구된 일측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The blade of the fan is a structure which is arranged either protruding through the open one side of the other panel or a structure disposed inside the opened one side of the other panel to induce a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A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ir flow as a power sour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 패널 또는 타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를 상기 팬의 블레이드로 흐르게 하는 공기유도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anel or the other panel,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induce a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duction portion for flowing air to the blade of the fan is further provided as a power This equipped vehicl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공기유도부는 일 패널 또는 타 패널의 일측에서 패널의 일부가 함몰 절개되어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The air induction unit is a vehicle having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cause a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anel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one panel or one side of the other panel indenta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공기유도부는 일 패널 또는 타 패널의 일측에서 패널의 일부가 돌출 절개되어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The air induction unit is a vehicle having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induce a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 of the panel is protruded and forme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anel or the other pane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공기유도부는 일 패널 또는 타 패널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배치된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The air induction unit is a vehicle having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induc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one panel or the other panel.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일 패널이 트렁크게이트인 경우,If the one panel is a trunk gate, 상기 팬은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고, The fan is installed inside the trunk, 트렁크에는 일 측이 상기 팬과 연통되고, 타 측이 차체 하부면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팬을 회전시킨 공기가 트렁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이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시 발생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The trunk is formed with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an, the other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the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transport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air rotating the fa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runk Vehicle equipp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cause power.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공기이송부의 타 측은 차량 바퀴의 브레이크 패드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시 발생 되는 드래그 포스를 유발하는 공기의 흐름을 동력으로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이 구비된 차량.The other side of the air transfer unit is provided with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low of air to induce a drag force generated during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face the brake pad or brake lining of the vehicle wheel.
KR1020090074695A 2009-08-13 2009-08-13 Vehicle fo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ir stream developing drag force during driving KR1011111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695A KR101111196B1 (en) 2009-08-13 2009-08-13 Vehicle fo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ir stream developing drag force during dri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695A KR101111196B1 (en) 2009-08-13 2009-08-13 Vehicle fo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ir stream developing drag force during driv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157A KR20110017157A (en) 2011-02-21
KR101111196B1 true KR101111196B1 (en) 2012-02-22

Family

ID=4377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695A KR101111196B1 (en) 2009-08-13 2009-08-13 Vehicle fo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ir stream developing drag force during dri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1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786B1 (en) 2012-11-30 2014-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ir drag reduction device for railway vehicles using a rotating bod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7142A (en) * 2016-11-22 2017-01-25 嘉兴市智行汽车技术有限公司 Wind kinetic energy generation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288A (en) 2004-01-22 2005-08-04 S X L Corp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integrated with roof
KR20090051668A (en) * 2007-11-19 2009-05-22 쯔네오 노구찌 Subsidiary power supply apparatus for automobile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288A (en) 2004-01-22 2005-08-04 S X L Corp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integrated with roof
KR20090051668A (en) * 2007-11-19 2009-05-22 쯔네오 노구찌 Subsidiary power supply apparatus for automobile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786B1 (en) 2012-11-30 2014-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ir drag reduction device for railway vehicles using a rotating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157A (en) 201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3403B2 (en) Wind turbine systems and air channels in vehicles for enhancing energy generation, cooling, and aerodynamics
JP5676540B2 (en) In-vehicle wind power generator
JP4098534B2 (en) Mobile cooling system
ES2385247T3 (en) Vehicle comprising a brake system to use the vehicle&#39;s air resistance to produce energy
KR101111196B1 (en) Vehicle fo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ir stream developing drag force during driving
JP5208012B2 (en) Electric car
CN105857093A (en) Automobile wind collecting and power generating system
CN105835689B (en) Fuel tank for automobile
JP5207957B2 (en) Vehicle with wind power generation mechanism
CN105922998B (en) Rail vehicle pod and rail vehicle
CN106120585A (en) A kind of silencing energy economizer type bridge paravent
JP5152362B2 (en) Running wind rectifier for wheels
JP6958955B1 (en) Vehicles and rotors
JP5637388B2 (en) In-vehicle wind power generator
WO2011099379A1 (en) Power generation turbine
KR101146089B1 (en) Wind power generator for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CN207292168U (en) A kind of vehicle
KR102103409B1 (en) Electric Vehicle including wind power generator
CN102407779B (en) Power generation device for power motor vehicle
JP2011057172A (en) Tire warmer
KR20140137866A (en) Wi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for Vehicles
CN201501503U (en) Electric motorcar assisted by wind power
CN218718357U (en) Brake drum with fan ribs
JP2007283979A (en) Straightening device for vehicle
CN102133905A (en) Wind resistance redu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