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852B1 -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 - Google Patents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852B1
KR101110852B1 KR1020090039920A KR20090039920A KR101110852B1 KR 101110852 B1 KR101110852 B1 KR 101110852B1 KR 1020090039920 A KR1020090039920 A KR 1020090039920A KR 20090039920 A KR20090039920 A KR 20090039920A KR 101110852 B1 KR101110852 B1 KR 10111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orage tank
cryogenic liquid
woven
liqui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998A (ko
Inventor
윤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9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85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involving reinforc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5Aerog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 극저온 액체가 수용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내면층과, 내면층의 외측을 감싸는 직조체층과, 직조체층의 외측을 감싸는 외면층을 포함하되, 직조체층은 다수의 와이어가 다공성 판상으로 직조되어 형성되고, 내면층, 직조체층 및 외면층은 서로 접합되는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를 제공함으로써,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의 제작에 적은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높은 구조적 강도를 얻을 수 있고, 직조체층의 다공성에 의해 높은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직조체층에 단열재를 충전시키면 더욱 높은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극저온,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직조체

Description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STORAGE TANK FOR CRYOGENIC LIQUID AND SHIP HAVE THE SAME}
본 발명은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 저장탱크의 제작에 적은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높은 구조적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극저온 액체의 예로는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 액체질소, 액체산소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다양한 지역으로 원거리 수송되어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는 액화천연가스를 극저온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천연가스는 가정용 연료, 대중교통 수단의 연료, 발전용 또는 산업용 가스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막대한 양의 천연가스가 세계 여러 지역으로 수송되고 있는데, 거리가 비교적 가까울 경우에는 파이프라인을 설치하여 천연가스를 수송하고, 거리가 멀 경우에는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선박으로 운반하고 있다.
천연가스를 액화시켜서 액화천연가스로 만들면 부피가 600분의 1로 감소되어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양이 증가되므로 운반효율이 향상된다. 그러나, 액화천연 가스의 끓는점은 1기압 하에서 섭씨 영하 162도 정도의 극저온이다. 따라서, 액화천연가스가 기화되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키면서 목적지까지 운반하는 데에는 단열이 잘 된 저장탱크가 사용된다. 이러한 저장탱크는 선박에 설치되어, 대량의 액화천연가스를 내부에 수용하게 된다.
선박에 설치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프랑스의 Gas Transport사, Technigaz사 및 두 회사의 선박부문 합병회사인 GTT사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저장탱크 형식인 멤브레인(membrane)방식 저장탱크와, 국제해사기구(IMO)가 발행한 IGC(International Code for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Ships carrying liquefied gases in bulk)에 Type A, Type B 및 Type C로 구분된 독립탱크방식의 저장탱크로 크게 구분된다. 이에 관해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멤브레인방식 저장탱크가 설치된 선박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A로 표시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100)의 선체(110) 내에 멤브레인방식 저장탱크(150)가 설치된다.
선체(110)는 외측선체(111) 및 내측선체(113)로 구성되는 이중선체구조로서, 외측선체(111) 및 내측선체(113) 사이에는 선체(110)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강판(115) 및 보강재(117)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외측선체(111) 및 내측선체(113) 사이의 공간에는 선박(100)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130)가 형성된다.
멤브레인방식 저장탱크(150)는 선체(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내측선체(113)의 내측에 지지체(151)들이 설치되고, 지지체(151)들 위에는 플라이우드(152)가 설치된다. 플라이우드(152) 위에는 2차 단열층(153)이 적층되고, 2차 단열층(153)의 틈새에는 플랫 조인트(flat joint, 154)가 삽입된다. 그 위에는 알루미늄 판재 양면에 유리섬유를 입힌 트리플렉스(triplex) 복합층이 액체 및 가스의 통과를 막는 2차 방벽(155)으로써 적층된다. 2차 방벽(155) 위에는 다시 1차 단열층(156)이 적층되고, 그 위에 액화천연가스와 직접 접촉되는 1차 방벽(157)이 적층된다.
여기서, 1차 방벽(157)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鋼)으로 제작되는데, 액화천연가스와의 접촉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에 대비하기 위해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멤브레인방식의 저장탱크 중에는 1차 방벽으로서 온도가 크게 변화해도 수축 및 팽창이 매우 작은 니켈 합금강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멤브레인방식의 저장탱크(도 1의 150 참조)는 제작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액화천연가스의 유동에 의한 슬로싱(sloshing) 현상에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파고가 높은 해역을 운항하는데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도 3에는 독립탱크방식 저장탱크가 설치된 선박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B로 표시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선박(200)의 선체(210) 내에 독립탱크방식 저장탱크(250)가 설치된다. 독립탱크방식 저장탱크(250)는 선체(210) 외부에서 별도로 제작되어 선체(210)에 탑재되는데, 선체(210) 내측 하부에는 저장탱크(25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체(220)가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독립탱크방식 저장탱크(250)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선체(210) 내에 설치된 지지체(220)에 의해 저장탱크(250)가 지지되고 있다. 이때, 선체(210)는 외측선체(211) 및 내측선체(213)로 구성되는 이중선체구조이다.
한편, 저장탱크(250)의 외측면에는 단열패널(260)이 부착되어, 저장공간(255)에 적재된 액화천연가스에 저장탱크(250)의 외부의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독립탱크방식의 저장탱크(250)는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얻기 위하여 알루미늄합금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다소 두껍게 제작된다. 그리고, 저장탱크(250)는 단열패널(260)의 설치, 보수 및 관리를 위해 선체(210)내에 내측선체(213)와 간격을 형성하며 설치된다.
따라서, 독립탱크방식의 저장탱크(250)는 멤브레인방식의 저장탱크(도 1의 150 참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구조적 강도가 높아서 유빙과의 충돌 등에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고, 저장탱크(250)의 내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보강재(253)에 의해 액화천연가스의 유동이 저하되어 슬로싱 현상에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그러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고가의 재료가 다량으로 사용되므로 선박(도 3의 200 참조)의 건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탱크의 제작에 소요되는 자재가 절약되면서도 높은 구조적 강도 및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극저온 액체가 수용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내면층과, 내면층의 외측을 감싸는 직조체(織造體)층과, 직조체층의 외측을 감싸는 외면층을 포함하되, 직조체층은 다수의 와이어가 입체적으로 직조되어 형성된 다공성 판상 구조를 가지며, 내면층, 직조체층 및 외면층은 서로 접합되는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가 제공된다.
여기서, 내면층, 직조체층 및 외면층은 브레이징(brazing)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직조체층은 다수의 와이어가 사면체 단위구조를 형성하도록 직조될 수 있다. 또한, 직조체층에는 단열재가 충전될 수 있으며, 충전되는 단열재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또는 에어로젤(aerogel)일 수 있다.
또한, 내면층의 내측에는 복수의 보강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외면층의 외측에는 복수의 단열패널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가 설치되는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의 제작에 적은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높은 구조적 강도를 얻을 수 있고, 직조체층의 다공성에 의해 높은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직조체층에 단열재를 충전시키면 더욱 높은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일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장탱크(350)는 선체(210) 내에 설치된 지지체(220)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350)는 독립탱크방식의 저장탱크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선체(210)는 외측선체(211) 및 내측선체(213)로 구성되는 이중선체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부호는 단열패널(360)로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도 5에 C로 표시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판상의 내면층(357) 및 판상의 외면층(358) 사이에 직조체층(359)이 개재되어 있다.
즉, 판상의 내면층(357)은 저장탱크(도 5의 350 참조)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 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저장탱크(350)의 전체적인 형상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면층(357)은 극저온 액체가 수용되는 저장공간(355)을 형성하는 용기로서, 극저온 액체가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액밀(液密)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제작된다.
이때, 내면층(357)은 알루미늄판, 니켈합금강판 또는 스테인리스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판, 니켈합금강판 또는 스테인리스강판의 가장자리가 서로 용접되어 내부에 극저온 액체가 수용되는 저장공간(355)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한편, 내면층(357)의 외측에는 직조체층(359)이 위치하며, 직조체층(359)은 내면층(357)을 감싸는 형상으로 내면층(357)의 외측에 적층된다. 그리고, 직조체층(359)의 외측에는 외면층(358)이 위치하며, 직조체층(359)을 감싸는 형상으로 직조체층(359)의 외측에 적층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직조체층(359)에 대해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는 도 6에 D로 표시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와이어(1 내지 9)가 서로 직조되어 있다. 여기서, 6개의 와이어(1 내지 6)는 4개의 교차점을 형성하는데, 이 교차점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면 사면체가 형성된다.
한편, 6개의 와이어(1 내지 6) 중 3개의 와이어(4 내지 6)는 다른 3개의 와이어(7 내지 9)와 교차되면서, 6개의 와이어(4 내지 9)가 4개의 교차점을 형성하며, 이 교차점들 또한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면 사면체가 형성된다.
즉, 직조체층(도 6의 359 참조)은 다수의 와이어(1 내지 9 참조)가 서로 규 칙적으로 교차하며 사면체의 단위구조를 갖도록 입체적으로 직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직조체층(359)은 다공성(多孔性, porosity)을 갖게 된다.
이때, 직조체층(359)을 형성하는 다수의 와이어(1 내지 9 참조)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서로 인접한 와이어(1 내지 9 참조)로 전달하면서, 힘을 전체적으로 분산시킨다. 그러므로, 직조체층(359)은 중량에 비해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직조체층(359)의 양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알루미늄판, 니켈합금강판 또는 스테인리스강판 등으로 제작된 내면층(도 6의 357 참조) 및 외면층(도 6의 358)이 적층된다. 그러므로, 직조체층(359)은 전반적으로 판상(板狀)을 갖도록 직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저장탱크(도 5의 350 참조) 또한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갖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런데, 직조체층(도 6의 359 참조)은 상술한 사면체가 정사면체일 때 최대의 구조적 강도를 갖는다. 상술한 사면체는 와이어(1 내지 9)가 서로 60도의 각도를 이루며 교차될 때 정사면체가 된다. 그러므로, 직조체층(359)은 와이어(1 내지 9)가 서로 60도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직조체층(359)의 단위구조는 사면체가 아닌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에도 직조체층(359)은 다공성 판상으로 직조되어야 한다.
한편, 다수의 와이어들(1 내지 9)이 서로 접합되면 직조체층(359)이 더욱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갖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면층(357), 직조체층(359) 및 외면층(358)은 서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탱크(도 5의 350 참조)의 벽체가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하여 내면층(357), 직조체층(359) 및 외면층(358)은 서로 접합된다.
이때, 내면층(357)에는 극저온 액체가 직접 접촉된다. 따라서, 저장탱크(도 5의 350 참조) 외부의 열이 외면층(358) 및 직조체층(359)을 거쳐 내면층(357)으로 전도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직조체층(359)은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내면층(357), 직조체층(359) 및 외면층(358)은 서로 다른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내면층(357), 직조체층(359) 및 외면층(358)의 접합에는 이종재질을 접합시킬 수 있는 브레이징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이징은 모재보다 녹는점이 낮은 용가재를 이용하여, 모재는 녹지 않고 용가재만 녹을 정도의 열을 가해, 녹은 용가재가 모세관현상에 의해 녹지 않은 모재의 접촉부로 스며들도록 하여 접합한다.
즉, 용가재는 와이어(도 7의 1 내지 9 참조)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 및 직조체층(359)과 내면층(357) 및 외면층(358)이 접촉되는 부분으로 스며들어, 내면층(357), 직조체층(359) 및 외면층(358)을 서로 접합시킨다. 여기서, 브레이징은 잘 알려진 접합법이므로 브레이징 자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브레이징은 모재의 접합될 개소가 많은 경우에도 빠르게 접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저장탱크(350)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그러므 로, 브레이징을 이용하여 저장탱크(350)를 제작하는 경우,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브레이징에 의한 접합은 다른 접합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연하면서도 상당히 높은 접합강도를 갖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의 경우에는 130,000 psi 이상의 접합강도를 갖도록 브레이징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브레이징을 이용하여 저장탱크(350)를 제작하는 경우, 저장탱크(35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비틀림 등의 외력에 대하여 높은 내구성을 갖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350)의 구조적 강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내면층(357)의 두께(T1) 및 외면층(358)의 두께(T2)는 종래의 독립탱크방식 저장탱크(도 4의 250 참조)의 벽체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탱크(350)를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자재의 양은 종래의 독립탱크방식 저장탱크(250)를 제작할 때에 소요되는 양 보다 적으므로, 저장탱크(350)의 제작에 소요되는 자재 및 비용 또한 절약된다.
단, 저장탱크(도 5의 350 참조)의 벽체의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 또한 고려해야 하므로, 내면층(357)의 두께(T1) 및 내면층(358)의 두께(T2)를 설계할 때에는 직조체층의 두께(T3) 또한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저장공간(355) 내의 극저온 액체의 유동에 의한 슬로싱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내면층(357)의 내측에는 복수의 보강재(도시되지 않음)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보강재(도시되지 않음)는 저장공간(355) 내측으로 돌출되어, 극저 온 액체의 유동을 저하시키므로 슬로싱 효과가 감소되며, 이에 따라 내면층(357)의 두께(T1)를 더욱 얇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직조체층(359)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와이어(1 내지 9)에 의한 직초체이므로, 다공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외면층(358) 및 내면층(357) 사이의 열전도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저장탱크(350)는 기본적으로 높은 단열효과를 갖는다.
특히,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직조체층(359)을 이루는 와이어(1 내지 9)가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제작된 경우에는 외면층(358) 및 내면층(357) 사이의 열전도율이 더욱 낮아지게 되므로, 저장탱크(도 5의 350 참조)의 단열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직조체층(359)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대류에 의해 외면층(358) 및 내면층(357) 사이에 열전달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직조체층(359)에 단열재를 충전할 수 있다. 즉, 직조체층(359)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이므로, 와이어(1 내지 9) 사이의 공간을 폴리우레탄 폼 또는 에어로젤과 같은 단열재로 충전하여 외면층(358) 및 내면층(357) 사이의 열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직조체층(359)에 더 많은 양의 단열재가 충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와이어(1 내지 9)가 형성하는 단위구조가 사면체 보다 덜 치밀한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럴 경우에는 단열재가 직조체층(359)에 가해지는 압축력 및 전단력을 일부 상쇄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단열재의 소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단열재의 압축강도 및 전단강도에 따라 내면층(357)의 두께(T1), 외면층(358)의 두께(T2) 및 직조체층(359)의 두께(T3)가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현재 일반적인 독립탱크방식의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250)에 사용되는 단열재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우레탄 폼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350)에도 이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직조체층(359)을 구성하는 와이어(1 내지 9)가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제작된 경우에도, 직조체층(359)에 의해 내면층(357) 및 외면층(358) 사이에 열전달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저장탱크(350) 외부의 열이 저장공간(355)으로 전달되면, 저장공간(355)에 저장된 극저온 액체로부터 발생되는 증발가스(boil-off gas)의 양이 많아져서 저장탱크(350) 내부의 압력이 상승될 수 있다. 저장탱크(350) 내의 압력이 미리 설정한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저장탱크(350)를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므로, 증발가스의 발생량이 많을수록 극저온 액체의 운반효율은 저하된다.
따라서, 저장탱크(350)의 단열효과를 더욱 상승시키기 위하여, 외면층(358)의 외측에 단열패널(360)을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저장탱크(350)는 직조체층(359)에 의해 이미 단열효과를 갖고 있으므로, 외면층(358)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패널(360)은 종래의 단열패널(260)에 비해 얇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350)는, 선박(도시되지 않음)의 외부에서 별도로 제작된 후 선체(210)에 탑재된다. 여기서, 본 발명 에 따른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350)는 일반적인 독립탱크방식의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250)에 비하여 제작에 적은 재료가 소요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350)가 탑재되는 선박(도시되지 않음)의 건조비용 또한 절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멤브레인방식 저장탱크가 설치된 선박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A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독립탱크방식 저장탱크가 설치된 선박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B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C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D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지 9 : 와이어 210 : 선체
220 : 지지체 350 : 저장탱크
355 : 저장공간 357 : 내면층
358 : 외면층 359 : 직조체층

Claims (8)

  1. 극저온 액체가 수용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내면층;
    상기 내면층의 외측을 감싸는 직조체층; 및
    상기 직조체층의 외측을 감싸는 외면층을 포함하고,
    상기 직조체층은 다수의 와이어가 입체적으로 직조되어 형성된 다공성 판상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면층, 상기 직조체층 및 상기 외면층은 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층, 상기 직조체층 및 상기 외면층은 브레이징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체층은 상기 다수의 와이어가 사면체 단위구조를 형성하도록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체층에는 단열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폴리우레탄 폼 또는 에어로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층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층의 외측에 부착되는 복수의 단열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상기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가 설치된 선체;
    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090039920A 2009-05-07 2009-05-07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 KR101110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920A KR101110852B1 (ko) 2009-05-07 2009-05-07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920A KR101110852B1 (ko) 2009-05-07 2009-05-07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998A KR20100120998A (ko) 2010-11-17
KR101110852B1 true KR101110852B1 (ko) 2012-02-15

Family

ID=4340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920A KR101110852B1 (ko) 2009-05-07 2009-05-07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354B1 (ko) * 2011-09-29 2013-1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체 화물 저장탱크의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394A (ja) * 1992-08-28 1994-03-15 Akushisu:Kk 低温貯蔵用金属製タンクの保冷構造
JP2001173894A (ja) 1999-12-21 2001-06-29 Osaka Gas Co Ltd 低温タンク壁面の断熱層施工法及びその施工装置
JP2007046744A (ja) 2005-08-11 2007-02-22 Foomutekku:Kk 障壁材およびメンブレン型液化天然ガスタンク用断熱性複合パネル
JP2008020070A (ja) 2006-07-12 2008-01-31 Korea Advanced Inst Of Science & Technology 液化天然ガス運搬船の断熱防壁接合構造およ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394A (ja) * 1992-08-28 1994-03-15 Akushisu:Kk 低温貯蔵用金属製タンクの保冷構造
JP2001173894A (ja) 1999-12-21 2001-06-29 Osaka Gas Co Ltd 低温タンク壁面の断熱層施工法及びその施工装置
JP2007046744A (ja) 2005-08-11 2007-02-22 Foomutekku:Kk 障壁材およびメンブレン型液化天然ガスタンク用断熱性複合パネル
JP2008020070A (ja) 2006-07-12 2008-01-31 Korea Advanced Inst Of Science & Technology 液化天然ガス運搬船の断熱防壁接合構造およ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998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9833B2 (ja) 独立型波形lngタンク
EP3411623B1 (en) Improved liquid natural gas storage tank design
US11480298B2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with several areas
KR20130113134A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KR101110852B1 (ko)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
KR20150145353A (ko) 액체저장탱크
KR20150082780A (ko) 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 및 그 제작 방법
CN114962982A (zh) 一种用于船舶等运输设备的液化气体储存舱
KR10266494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20100134878A (ko) Lng선 멤브레인 단열박스
KR101149495B1 (ko) 화물창의 멤브레인
KR20100134270A (ko) 슬러싱 충격 완화장치
KR20200092814A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KR102651474B1 (ko) Lng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102665264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40021198A (ko) 멤브레인형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KR10266378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2608691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101390308B1 (ko) 화물창 및 그 제조방법
KR102315220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15218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80061944A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KR20240045861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U2022373805A1 (en) Sealed and insulating tank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a liquefied gas
CN118140087A (zh) 用于对液化气体进行储存和/或运输的密封且隔绝的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