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677B1 - Applianc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lianc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677B1
KR101110677B1 KR1020100027046A KR20100027046A KR101110677B1 KR 101110677 B1 KR101110677 B1 KR 101110677B1 KR 1020100027046 A KR1020100027046 A KR 1020100027046A KR 20100027046 A KR20100027046 A KR 20100027046A KR 101110677 B1 KR101110677 B1 KR 101110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home appliance
power consumption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7896A (en
Inventor
이건철
Original Assignee
(주)누리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텔레콤 filed Critical (주)누리텔레콤
Priority to KR102010002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677B1/en
Publication of KR2011010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8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6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플러그부와, 가전기기의 전원플러그가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가전기기 측으로 공급하는 콘센트부, 및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전원제어 명령을 통해 상기 콘센트부 측에 대한 상기 가전기기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전력소비량을 연산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전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콘센트와 가전기기의 전원플러그 사이에 장착되어 전력소비량을 측정하여 저장하고, 외부 기기(ex, 홈네트워크 기기, 에너지정보관리 기기, 인홈디스플레이)와 연동하여 전력소비량 정보를 전송하며 가전기기의 공급 전원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전기기의 시간대별 및 월별 전력소비량을 제공하는 경우, 전력소비 패턴을 효과적으로 파악 및 분석할 수 있어서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게 하고, 가전기기의 전원을 원격 제어함으로써 미사용 중인 가전기기의 전원을 차단토록 하여 대기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g unit connected to an outlet and receiving power, a power plug of a home appliance is connected, and an outlet unit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plug unit to the home appliance, and power contro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It provides a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and method comprising a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to the outlet side through the command, calculat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 to transmit to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it is mounted between the outlet and the power plug of the home appliance to measure and store the power consumption, the power in conjunction with external devices (ex, home network device, energ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in-home displa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transmit the consumption information and remotely control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In addition, when providing the time consumption and monthly power consumption of home appliances,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can be effectively identified and analyzed to find way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by controlling the power of home appliances remotely,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power of home appliances to reduce standby power.

Description

가전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Applianc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Appliance control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가전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와 가전기기의 전원플러그 사이에 장착되어 가전기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전력소비량을 측정 및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at is mounted between the outlet and the power plug of the home appliance to control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and to measure and store the power consumption It is about.

현대 사회의 기술 발전과 생활 환경의 향상에 따라 가전기기의 종류 및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가전기기의 전력소비량 또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력소비량의 증가는 전력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비롯한 환경 오염문제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전력소비량을 절감하기 위한 기술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As the technology and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modern society improve, the type and demand of home appliances are rapidly increasing, and the consumption of electric appliances is also increasing. However, such an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is a factor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cluding a large amount of carbon dioxide emissions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ion process. Therefore, technolog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s emerging as a social issue.

종래에 가전기기의 전력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장치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제어 스위치가 장착된 콘센트의 구성, 그리고 가전기기 제어용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콘센트의 구성이 있다.Background Art Variou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of home appliances. Representative technologies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an outlet equipped with a control switch, and the configuration of an outlet for controlling power by sensing a control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그런데, 제어 스위치가 장착된 콘센트의 경우는 직접 스위치를 작동하여 전원을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리모콘 제어신호에 따른 콘센트의 경우는 리모콘으로 제어되는 가전기기에만 국한되므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an outlet equipped with a control switch, it is inconvenient to control power by directly operating a switch, and an outlet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signal is limited to home appliances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to be.

또한, 종래에는 가전기기의 시간대별 및 월별 전력소비량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전력소비 패턴을 전혀 분석할 수 없으며, 에너지 정보시스템과 연동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소비량의 통합 관리뿐만 아니라 전력소비량의 효과적인 절감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since time consumption and monthly power consumption of home appliances are not provided,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user cannot be analyzed at all, and since it is not linked with the energy information system, not only integrated management of power consumption but also effective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can be achieved.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본 발명은, 콘센트와 가전기기의 전원플러그 사이에 장착되어 전력소비량을 측정하여 저장하고,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전력소비량 정보를 전송하고 가전기기의 공급 전원을 원격 제어할 수 있어서, 전력소비 패턴을 효과적으로 파악 및 분석할 수 있고 전력소비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가전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between the outlet and the power plug of the home appliance to measure and store the power consumption, transmit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remotely control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that can be effectively identified and analyzed and can lead to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콘센트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플러그부와, 가전기기의 전원플러그가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가전기기 측으로 공급하는 콘센트부, 및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전원제어 명령을 통해 상기 콘센트부 측에 대한 상기 가전기기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전력소비량을 연산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g unit connected to an outlet and receiving power, a power plug of a home appliance is connected, and an outlet unit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plug unit to the home appliance, and power contro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It provides a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including a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to the outlet side through a command, calculat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 to transmit to the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회로부는, 상기 플러그부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측정이 가능한 미소전압 및 미소전류로 각각 변환하는 전압변환부 및 전류변환부와, 상기 미소전압 및 미소전류의 크기 및 위상을 분석하여 유효전력, 무효전력 및 전력량을 연산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연산된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이용하여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연산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연산된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unit may include a voltage converter and a current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voltages and currents o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lug unit into micro voltages and micro currents that can be measured, and magnitudes of the micro voltages and micro currents; Signal processing unit for calculating the active power, reactive power and the amount of power by analyzing the phas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alculating the power consumption by time zone or monthly using the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calculated by the signal processor,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t may include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ime zone or monthly.

그리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플러그부, 상기 콘센트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전기기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상기 외부 기기의 전원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ircuit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a relay unit connected to the plug unit, the outlet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control supply power of the home appliance. . Her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lay unit by using a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external devic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력소비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when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power consumption for each time zone or monthly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the external device 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have.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미소전압의 파형을 기초로 하여 제로 크로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로 크로싱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릴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generate a zero crossing signal based on the waveform of the minute voltage and transmit the zero crossing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control the relay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zero crossing signal.

그리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중앙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공급 전원의 현재 상태, 상기 릴레이부에서의 공급 전원의 제어 상태, 상기 가전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 정도, 상기 통신부의 유무선 통신 상태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uni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selected from among a current state of the power supply, a control state of the power supply in the relay unit, a magnitude of power consumed by the home appliance, and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status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nd providing one or a plurality of information.

또한, 상기 회로부는,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converting power supplied from the plug unit into a DC voltage to supply operating power.

그리고, 상기 외부 기기는, 홈네트워크 기기, 에너지정보관리 기기, 인홈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ome network device, an energ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an in-home display.

그리고, 본 발명은,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와, 상기 공급받은 전원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측정이 가능한 미소전압 및 미소전류로 각각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미소전압 및 미소전류의 크기 및 위상을 분석하여 유효전력, 무효전력 및 전력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받은 전원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power from an outlet; converting voltage and current for the supplied power into measurable microvoltage and microcurrent, respectively; Calculating the active power, reactive power and amount of power by analyzing the phas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unit controlling the supply power of the home appliance using a power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Provide a method.

또한, 상기 가전기기 제어방법은, 상기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이용하여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연산된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소비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상기 외부 기기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comprises the steps of calculating the power consumption by time zone or monthly using the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storing the calculated power consumption by time zone or monthly, and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stored time slot or monthly power consumption to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장치에 따르면, 콘센트와 가전기기의 전원플러그 사이에 장착되어 전력소비량을 측정하여 저장하고, 외부 기기(ex, 홈네트워크 기기, 에너지정보관리 기기, 인홈디스플레이)와 연동하여 전력소비량 정보를 전송하며 가전기기의 공급 전원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unted between the outlet and the power plug of the home appliance to measure and store the power consumption, in conjunction with external devices (ex, home network devices, energ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s, in-home displa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transmit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and remotely control the power supply of home appliances.

또한, 가전기기의 시간대별 및 월별 전력소비량을 제공하는 경우, 전력소비 패턴을 효과적으로 파악 및 분석할 수 있어서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게 하고, 가전기기의 전원을 원격 제어함으로써 미사용 중인 가전기기의 전원을 차단토록 하여 대기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providing the time consumption and monthly power consumption of home appliances,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can be effectively identified and analyzed to find way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power of home appliances to reduce standby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내장된 회로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ircuit unit included in FIG. 1.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가전기기 제어장치(100)는 플러그부(110), 콘센트부(120), 회로부(13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100 includes a plug unit 110, an outlet unit 120, and a circuit unit 130.

상기 플러그부(110)는 콘센트(10)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콘센트(10)는 가전기기(20)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통상의 콘센트를 의미할 수 있다.The plug 110 is a part connected to the outlet 10 to receive power. Here, the outlet 10 may refer to a conventional outlet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home appliance (20).

상기 콘센트부(120)는 가전기기(20)의 전원플러그(21)가 접속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콘센트부(120)는 상기 플러그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가전기기(20) 측으로 공급한다.The outlet 120 is a portion to which the power plug 21 of the home appliance 20 is connected. The outlet 120 suppli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lug 110 to the home appliance 20.

상기 회로부(130)는 외부 기기(ex, 홈네트워크 기기, 에너지정보관리 기기, 인홈디스플레이(IHD;In Home Display), PC)로부터 수신된 전원제어 명령을 통해, 상기 콘센트부(120) 측에 대한 상기 가전기기(20)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며, 상기 가전기기(20)의 전력소비량을 연산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The circuit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outlet unit 120 through a power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ex, home network device, energ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In Home Display (IHD), PC).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20 is controlled,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 20 is calculated and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홈네트워크 기기를 조작하여 전원제어 명령(ex, 전원 온/오프 명령)을 회로부(130) 측으로 유무선으로 전송하면, 상기 회로부(130)는 이러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가전기기(20)의 공급 전원(ex, 전원 온/오프)를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a user manipulates a home network device and transmits a power control command (eg, a power on / off command) to the circuit unit 13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he circuit unit 130 receives such a command to receive the home appliance ( 20 to control the power supply (ex, power on / off).

또한, 사용자가 홈네트워크 기기, 에너지정보관리 기기, 인홈디스플레이 등을 조작하여, 전력소비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회로부(1300 측으로 유무선으로 전송하면, 상기 회로부(130)는 기 연산된 시간대별 혹은 월별 전력소비량을 상기 에너지정보관리 기기 또는 인홈디스플레이로 전송하여, 에너지정보관리 기기 또는 인홈디스플레이 상에서 전력소비량의 저장, 관리, 전력소비 패턴 분석 등이 가능하게 한다. 물론, 앞서 제시한 예시들은 상기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반드시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user manipulates a home network device, an energ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 in-home display, and the like, and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to the circuit unit 1300, wired or wirelessly, the circuit unit 130 is calculated for each calculated time period or monthly. By transmitting power consumption to the energ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or in-home display, it is possible to store, manage, analyze power consumption patterns, etc. on the energ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or in-home display. Since various modifications may exist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

도 2는 도 1에 내장된 회로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기 회로부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알아본다. 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ircuit unit included in FIG. 1.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회로부(130)는, 전원공급부(131), 전압변환부(132), 전류변환부(133), 신호처리부(134), 중앙처리부(135), 릴레이부(136), 메모리부(137), 통신부(138), 상태표시부(139)를 포함한다.The circuit unit 130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31, a voltage converter 132, a current converter 133, a signal processor 134, a central processor 135, a relay 136, and a memory 137. , A communication unit 138 and a status display unit 139.

상기 전원공급부(131)는 상기 플러그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 즉,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내부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상기 내부 구성요소들이란 전압변환부(132), 전류변환부(133), 신호처리부(134), 중앙처리부(135), 상기 메모리부(137), 상기 통신부(138), 상기 릴레이부(136), 상태표시부(139)를 의미한다.The power supply unit 131 is a part for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components by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lug 110, that is, an AC voltage to a DC voltage. The internal components are a voltage converter 132, a current converter 133, a signal processor 134, a central processor 135, the memory 137, the communication unit 138, the relay unit 136 ) Means the status display unit 139.

상기 전압변환부(132) 및 전류변환부(133)는 상기 플러그부(110)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측정이 가능한 미소전압 및 미소전류로 각각 변환한다. 이러한 전압 및 전류 변환부(132,133)의 구체적인 구성 및 원리는 기존에 공지된 사항 중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voltage converter 132 and the current converter 133 convert the voltage and current for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lug unit 110 into micro voltages and micro currents that can be measured, respectively. Since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principle of the voltage and current converters 132 and 133 can be selectively applied among the known matter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신호처리부(134)는 상기 미소전압 및 미소전류의 크기 및 위상을 분석하여 유효전력, 무효전력 및 전력량을 연산한다. 이러한 신호처리부(134)는 상기 전압변환부(132), 전류변환부(133), 그리고 중앙처리부(135)와 연결되어 있다. The signal processor 134 analyzes the magnitude and phase of the small voltage and the small current to calculate the effective power, the reactive power, and the amount of power. The signal processor 134 is connected to the voltage converter 132, the current converter 133, and the central processor 135.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134)는 상기 미소전압의 파형을 기초로 하여 제로 크로싱(Zero-Crossing)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처리부(135)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로 크로싱 신호는 추후 가전기기(20)의 공급 전원 제어에 활용되어 진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34 generates a zero-crossing signal based on the waveform of the minute voltage and transmits the zero-crossing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The zero crossing signal is later use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20.

상기 중앙처리부(135)는 상기 신호처리부(134)에서 연산된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이용하여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연산한다. 이러한 전력소비량은 대기전력, 가전기기(20) 동작시 소요되는 소비 전력을 포괄하는 개념이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calculates power consumption by time zone or monthly by using the active power and the reactive power calculat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4.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standby power, power consumption required when the home appliance 20 is operated.

상기 메모리부(137)는 상기 중앙처리부(135)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중앙처리부(135)에서 연산된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37)는 저장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mory unit 137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and stores the power consumption for each time zone or monthly calcul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The memory unit 137 may use a nonvolatile memory in which stored data is not erased.

상기 릴레이부(136)는 상기 플러그부(110), 콘센트부(120) 및 중앙처리부(135)와 연결되어, 상기 가전기기(20)의 공급 전원을 제어한다. 즉, 릴레이부(136)는 상기 가전기기 제어장치(100)의 콘센트부(120)에 접속된 가전기기(20)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릴레이부(136)에 사용되는 릴레이 소자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이전의 제어상태를 유지하는 랫칭 릴레이(Latching Relay)일 수 있다.The relay unit 136 is connected to the plug unit 110, the outlet unit 12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to control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20. That is, the relay unit 136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20 connected to the outlet 120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100. The relay element used in the relay unit 136 may be a latching relay that maintains a previous control state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상기 통신부(138)는 상기 외부 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통신부(138)는 중앙처리부(135)와 상기 외부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38 is a part that perform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38 perform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and the external device. In this case, a variety of known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applied.

상기 중앙처리부(135)는, 상기 신호처리부(134), 릴레이부(136), 통신부(138), 메모리부(137)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앙처리부(135)는 상기 통신부(138)를 통해 수신받은 상기 외부 기기의 전원제어 명령(ex, 전원 온/오프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부(136)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렇게 가전기기(20)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가전기기(20)의 경우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controls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4, the relay unit 136, the communication unit 138, and the memory unit 137.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lay unit 136 by using a power control command (eg,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external devic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8. Since the power of the home appliance 20 can be controlled remotely, in the case of the home appliance 20 that is not used, the power can be cut off to reduce the standby power.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135)는 상기 신호처리부(134)에서 생성된 제로 크로싱 신호를 활용하여, 이 제로 크로싱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릴레이부(136)를 제어한다. 이는 릴레이부(136)의 접점을 보호하면서 상기 가전기기(2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controls the relay unit 136 in conjunction with the zero crossing signal by utilizing the zero crossing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4. This is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home appliance 20 while protecting the contacts of the relay unit 136.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전압의 크기가 0인 상태이면 전류도 0이 되는데, 릴레이부(136)를 이용하여 가전기기(20)의 공급 전원을 제어할 때, 가전기기(20)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역기전력 및 아크 방전(Arc Discharge)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로 크로싱 신호에 연동하여 릴레이부(136)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역기전력 및 아크 방전에 따른 릴레이부(225) 접점의 소손, 그리고 가전기기(2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principle is as follows. If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is 0, the current also becomes 0. When the supply power of the home appliance 20 is controlled using the relay unit 136,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and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by the home appliance 20 are controlled. Arc discharge occurs. Here, when controlling the relay unit 136 in conjunction with the zero crossing sign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urnout of the relay unit 225 contact due to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and arc discharge, and the effect on the home appliance 20. .

이외에도, 상기 중앙처리부(135)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력소비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통신부(138)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메모리부(137)에 저장된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상기 통신부(138)를 통해 외부 기기 측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 상에서 가전기기(20)의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전력소비량의 관리를 바탕으로 전력소비 패턴을 용이하게 파악 및 분석할 수 있으며,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signal for requesting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8,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the time slot or monthly power consump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37, the communication unit ( 138) to the external device side. Accordingly,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time slot or monthly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 20 on the external device is possible. In addition, based on the management of the power consump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and analyze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it is possible to find a way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상기 상태표시부(139)는 상기 중앙처리부(135)와 연결되어 중앙처리부(135)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공급 전원의 현재 상태, 상기 릴레이부(136)에서의 공급 전원의 제어 상태, 상기 가전기기(20)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 정도, 상기 통신부(138)의 유무선 통신 상태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제공한다.The state display unit 139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and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the current state of the power supply, the control state of the supply power in the relay unit 136, the home applianc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20 may be displayed by visually displaying one or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selected from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tates of the communication unit 138.

예를 들어, 상기 상태표시부(139)는 중앙처리부(135)로부터 해당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부적인 구성은 공급 전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1 LED, 유무선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2 LED, 릴레이부(136)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3 LED, 현재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3단계로 확인하기 위한 제4 LED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ate display unit 139 receives a corresponding state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to driv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The detailed configuration includes a first LED for confirming a state of a power supply, a second LED for confirm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tate, a third LED for confirming a control state of the relay unit 136, and a magnitude of power consumed at present. Accordingly, it may be composed of a fourth LED for checking in three steps.

물론, 상기 상태표시부(139)는 상기와 같이 LED 점등에 따른 단순 표시 이외에도,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두어 이 디스플레이 상에서 해당 내용을 문자, 그래픽 등의 형태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Of course, the status display unit 139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simple display according to the LED light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separate display on the display in the form of characters, graphics,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방법에 관하여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도 1과 같이 가전기기 제어장치(100)에 가전기기(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콘센트(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S310). 그리고, 상기 공급받은 전원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측정이 가능한 미소전압 및 미소전류로 각각 변환한다(S320). 이러한 S320단계는 전압변환부(132) 및 전류변환부(133)에서 각각 수행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home appliance 20 is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1, power is supplied from the external outlet 10 (S310). Then, the voltage and the current for the supplied power are converted into micro voltages and micro currents that can be measured, respectively (S320). This step S320 is performed by the voltage converter 132 and the current converter 133, respectively.

다음, 신호처리부(134)를 통해, 상기 미소전압 및 미소전류의 크기 및 위상을 분석하여 유효전력, 무효전력 및 전력량을 연산한다(S330). Next, the signal processor 134 analyzes the magnitude and phase of the minute voltage and the minute current to calculate the effective power, the reactive power, and the amount of power (S330).

그리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받은 전원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는 상기 릴레이부(136)의 동작을 조절한다(S340). 즉, 중앙처리부(135)를 통해 릴레이부(136)를 조절 제어함에 따라 가전기기(20)의 공급 전원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n, using the power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operation of the relay unit 136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is controlled (S340). That is, by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relay unit 136 throug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20.

또한, 상기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이용하여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상기 중앙처리부(135)에서 연산한다(S350). 그리고, 연산된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메모리부(137)에 저장한다(S360).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calculates the time consumption or monthly power consumption using the active power and the reactive power (S350). In operation S360, the calculated time slot or monthly power consumption amount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37.

다음, 상기 전력소비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중앙처리부(135)는 상기 메모리부(137)에 저장된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상기 외부 기기 측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370).Next, when receiving the signal requesting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5 controls to transmit the power consumption by time zone or monthly stored in the memory unit 137 to the external device (S37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한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콘센트 20: 가전기기
21: 전원플러그 100: 가전기기 제어장치
110: 플러그부 120: 콘센트부
130: 회로부 131: 전원공급부
132: 전압변환부 133: 전류변환부
134: 신호처리부 135: 중앙처리부
136: 릴레이부 137: 메모리부
138: 통신부 139: 상태표시부
10: outlet 20: appliance
21: power plug 100: appliance control device
110: plug portion 120: outlet portion
130: circuit unit 131: power supply unit
132: voltage converter 133: current converter
134: signal processing unit 135: central processing unit
136: relay unit 137: memory unit
138: communication unit 139: status display unit

Claims (11)

콘센트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플러그부;
가전기기의 전원플러그가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가전기기 측으로 공급하는 콘센트부; 및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전원제어 명령을 통해 상기 콘센트부 측에 대한 상기 가전기기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전력소비량을 연산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기는,
홈네트워크 기기, 에너지정보관리 기기, 인홈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제어장치.
A plug unit connected to an outlet and receiving power;
A power outlet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the outlet unit for supply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lug unit to the home appliance; And
It includes a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to the outlet side through a power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calculat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 to transmit to the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A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home network device, an energ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an in-home displ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플러그부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미소전압 및 미소전류로 각각 변환하는 전압변환부 및 전류변환부;
상기 미소전압 및 미소전류의 크기 및 위상을 분석하여 유효전력, 무효전력 및 전력량을 연산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연산된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이용하여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연산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연산된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ircuit portion,
A voltage converter and a current converter for converting a voltage and a current o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lug into micro voltages and micro currents, respectively;
A signal processor that analyzes magnitudes and phases of the small voltages and the small currents to calculate active power, reactive power, and amount of power;
A central processing unit calculating power consumption by time zone or monthly by using the active power and the reactive power calculated by the signal processor; And
Appliance control device including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time-phase or monthly power consumption calcul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플러그부, 상기 콘센트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전기기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상기 외부 기기의 전원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전기기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ircuit por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It is connected to the plug portion, the outlet portion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relay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pplianc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unit by using a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external devic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력소비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 측으로 전송하는 가전기기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entral processing unit,
When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the power consumption for each time zone or monthly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미소전압의 파형을 기초로 하여 제로 크로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로 크로싱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가전기기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ignal processing unit,
A zero crossing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waveform of the minute voltage and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pplianc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lay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zero crossing sign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중앙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공급 전원의 현재 상태, 상기 릴레이부에서의 공급 전원의 제어 상태, 상기 가전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 정도, 상기 통신부의 유무선 통신 상태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ircuit por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current state of the power supply, the control state of the power supply in the relay unit,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in the home appliance, the selected one or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of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unit Applianc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tatus display to provide a visual displa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ircuit portion,
And a power supply unit for converting power supplied from the plug unit into a DC voltage to supply operating power.
삭제delete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상기 공급받은 전원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미소전압 및 미소전류로 각각 변환하는 단계;
상기 미소전압 및 미소전류의 크기 및 위상을 분석하여 유효전력, 무효전력 및 전력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받은 전원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제어방법.
Receiving power from an outlet;
Converting the voltage and current for the supplied power supply into micro voltages and micro currents, respectively;
Calculating active power, reactive power, and amount of power by analyzing the magnitude and phase of the small voltage and the small curren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using the power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이용하여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Calculating power consumption by time zone or monthly by using the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And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toring the calculated time slot or monthly power consump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력소비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시간대별 또는 월별 전력소비량을 상기 외부 기기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n receiving the signal requesting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tored time slot or monthly power consumption to the external device side.
KR1020100027046A 2010-03-26 2010-03-26 Applianc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1106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046A KR101110677B1 (en) 2010-03-26 2010-03-26 Applianc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046A KR101110677B1 (en) 2010-03-26 2010-03-26 Applianc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896A KR20110107896A (en) 2011-10-05
KR101110677B1 true KR101110677B1 (en) 2012-02-24

Family

ID=4502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046A KR101110677B1 (en) 2010-03-26 2010-03-26 Applianc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67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169B1 (en) 2013-01-31 2013-08-13 (주)이든웍스 Plug socket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method for contolling thereof
KR101425101B1 (en) 2013-06-27 2014-08-01 (주)이든웍스 Plug Socket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780B1 (en) * 2015-08-26 2022-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smart plu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4143A (en) * 2007-06-27 2008-12-31 전자부품연구원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the quantity of energy use using mesh sensor network modules
KR20080114144A (en) * 2007-06-27 2008-12-31 전자부품연구원 Mesh sensor network module for for real-time monitoring the quantity of energy
KR100912004B1 (en) * 2007-05-23 2009-08-14 삼성물산 주식회사 Multi-tab for cutting off the standby-power and method for cutting off the standby-power using the multi-tab
KR20110024544A (en) * 2009-09-02 2011-03-09 (주)시스콘이엔에프 Power data collecting system of electron manufact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004B1 (en) * 2007-05-23 2009-08-14 삼성물산 주식회사 Multi-tab for cutting off the standby-power and method for cutting off the standby-power using the multi-tab
KR20080114143A (en) * 2007-06-27 2008-12-31 전자부품연구원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the quantity of energy use using mesh sensor network modules
KR20080114144A (en) * 2007-06-27 2008-12-31 전자부품연구원 Mesh sensor network module for for real-time monitoring the quantity of energy
KR20110024544A (en) * 2009-09-02 2011-03-09 (주)시스콘이엔에프 Power data collecting system of electron manufactur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169B1 (en) 2013-01-31 2013-08-13 (주)이든웍스 Plug socket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method for contolling thereof
KR101425101B1 (en) 2013-06-27 2014-08-01 (주)이든웍스 Plug Socket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896A (en)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047B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Electric Power Using the Smart Consent
US9523718B2 (en) Disaggregation apparatus for identifying an appliance in an electrical network
KR101443316B1 (en) Power supply apparatus with management function
WO2012073533A1 (e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ATE422107T1 (en) SYSTEM AND DEVICE FOR MONITORING AT LEAST ONE ELECTRICAL HOUSEHOLD CONSUMER, IN PARTICULAR A HOUSEHOLD APPLIANCE
KR20130125184A (en) Smart grid support intelligent power-saving receptacle
JP2010028899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US20120286577A1 (en) Power monitoring apparatus
KR101110677B1 (en) Applianc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15152488A (en) Electric current meas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the same, recording medium, and wattage measuring apparatus
JP2010008108A (en) Electrical energy measuring system, current-measuring apparatus, and voltage-measuring apparatus
JP2018004200A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JP6189541B2 (en) Energy use equipment and energy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JP2007166868A (en) Power generation system
JP2017118610A (e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9095114A (en) Power storage apparatus
CN208782523U (en) Electric power controller and system
CN204788470U (en) Electric wire netting transformer safety inspection system
KR101370996B1 (en) System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of three-phase type load equipment
KR20150005345A (en) Power managing apparatus and power managing system using the same
ES2409935A2 (en) Household appliance device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KR20080019919A (en) Power supply system awaring of load
TWI455436B (en) Power management system
KR20160010793A (en)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ower management system applying the same
CN103197277B (en) Special transformer acquisition terminal full performance tes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