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183B1 -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 Google Patents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183B1
KR101110183B1 KR1020090065315A KR20090065315A KR101110183B1 KR 101110183 B1 KR101110183 B1 KR 101110183B1 KR 1020090065315 A KR1020090065315 A KR 1020090065315A KR 20090065315 A KR20090065315 A KR 20090065315A KR 101110183 B1 KR101110183 B1 KR 101110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dielectric block
antenna
wireless termin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727A (ko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양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09006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1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0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유전체 블록의 일단 부근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에 전류를 공급하는 급전핀; 상기 유전체 블록의 일단 부근에 상기 급전핀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를 접지시키는 접지핀; 일단이 상기 급전핀 및 상기 접지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방사부; 일단이 상기 급전핀 및 상기 접지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방향으로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 2 방사부; 및 일단이 상기 제 1 방사부의 타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방사부와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 3 방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Multi-band internal antenna}
본 발명은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과적으로 보청기 호환성 및 전자파 흡수율을 개선함과 동시에 안테나 자체의 크기를 최소화한 다중 대역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 등에 사용되는 휴대폰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는 소형화, 다기능화, 경량화 등 저전력화를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중 기지국과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안테나는 신호 입출력의 처음과 끝을 담당하여 통화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으로서 설계기술의 난이도가 높은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되는 소형 안테나는 장착되는 단말기의 형태와 기능 및 재질에 따라 성능이 변화하기 때문에 다른 부품들과는 달리 최적의 성능을 얻기 위하여 각 단말기의 형태에 따른 최적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휴대폰 등에서 복사되는 전자파에 대한 인체, 특히 머리 부분에 대한 영향을 규제하기 위하여 각국에서는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이 일정 기준치를 넘지 못하도록 이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과 미국의 경우 SAR 허용기준은 1.6W/kg, 유럽과 일본은 이보다 높은 2.0W/Kg을 허용기준으로 삼고 있다.
더욱이, 최근 미국의 연방정보통신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에서는 청각장애가 있는 사람이 휴대폰을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모든 휴대폰에 대해 보청기 호환성(HAC; Hearing Aids Compatibility)을 인증받은 후에만 수출이 가능하도록 관련 법규를 강화하고 있다. HAC는 보청기 착용자의 보청기와 휴대 단말기가 서로 장해를 주지 아니하고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증 및 평가 항목으로서, 보청기 및 휴대 단말기와 같은 무선 기기 에 주로 적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기능적 또는 심미적인 이유로 단말기의 하단에 안테나를 내장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내장형 안테나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동시에 SAR 및 HAC의 국제 기준을 맞추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단말기의 하단부에 안테나가 내장되는 경우의 표면전류(surface current) 및 전자파(electric field)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100)는 상단부에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듣기 위한 수화기(receiver, 102)가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하단부에 안테나(104)가 내장되면, 안테나(104)에 의한 표면전류(106)는 상단의 수화기(102) 쪽으로 집중되게 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4)에 의한 전자파 또한 단말기(100)의 상단 부분, 즉 수화기(102) 부근으로 집중되게 된다. 보청기를 착용한 청각장애인이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경우 보청기가 수화기(102)와 인접하게 되므로, 이 경우 상기 표면 전류 및 전자파에 의하여 청각장애인이 수화기(102)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제대로 들을 수 없게 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의 HAC를 개선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300)에 내장된 안테나(302)에 별도의 기생소자(Parasitic element; 304)를 구비하였다. 기생소자(304)는 안테나(30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는 않으나 안테나(302)와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안테나의 체적을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기판의 그라운드를 적게 보이게 하여 방사패턴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302)의 상단에 기생소자(304)를 구비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전류(306)가 수화기(308)가 아닌 단말기 모서리 부근으로 분산되며, 이에 따라 전자파의 방사 패턴 또한 변화하게 되므로 기생소자(304)를 구비하지 않은 때와 비교하여 HAC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당한 크기의 기생소자를 단말기 내부에 구비하여야 하므로 단말기의 소형화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으로 보청기 호환성(HAC) 및 전자파 흡수율(SAR)을 개선함과 동시에 안테나 자체의 크기를 최소화한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유전체 블록의 일단 부근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에 전류를 공급하는 급전핀; 상기 유전체 블록의 일단 부근에 상기 급전핀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를 접지시키는 접지핀; 일단이 상기 급전핀 및 상기 접지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방사부; 일단이 상기 급전핀 및 상기 접지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방사부; 및 일단이 상기 제 1 방사부의 타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방사부와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 3 방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방사부의 타단은,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측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방사부는,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가 삽입되는 무선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유전체 블록의 일단 부근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에 전류를 공급하는 급전핀; 상기 유전체 블록의 일단 부근에 상기 급전핀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를 접지시키는 접지핀; 일단이 상기 급전핀 및 상기 접지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방사부; 일단이 상기 급전핀 및 상기 접지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방사부; 및 일단이 상기 제 1 방사부의 타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방사부와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 3 방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방사부의 타단은,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측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방사부는,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단말기의 수화기 부근으로 표면 전류 및 전자파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보청기 호환성 및 전자파 흡수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가 이동 무선 단말기 내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이동 무선 단말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4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400)는, 유전체 블록(402), 급전핀(404), 접지핀(406), 제 1 방사부(408), 제 2 방사부(410), 및 제 3 방사부(412)를 포함한다.
급전핀(404)은 유전체 블록(402)의 일단(402a) 부근에 형성되며,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400)에 전류를 공급한다. 접지핀(406)은 유전체 블록(402)의 일 단(402a) 부근에 급전핀(404)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400)를 접지시킨다.
제 1 방사부(408)는 일단이 급전핀(404) 및 접지핀(40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유전체 블록(402)의 타단(402b) 방향으로, 즉 도 4의 A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만, 제 1 방사부(408)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 2 방사부(410)에 비해 그 길이가 짧다.
제 2 방사부(410)는 일단이 급전핀(404) 및 접지핀(40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방사부(408)와 평행하게 유전체 블록(402)의 타단(404b) 방향으로(즉, A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방사부(410)는 제 1 방사부(408)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므로 제 1 방사부(408)보다 그 길이가 길어야 한다. 따라서 제 2 방사부(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402)의 타단(404b) 부근까지 그 길이가 연장된다.
제 3 방사부(412)는 일단이 제 1 방사부(408)의 타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 1 방사부(408)와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며, 유전체 블록(402)의 타단(402b) 부근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3 방사부(412)의 타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402)의 타단 측면부(412a)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 방사부(412)는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400)의 급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기생소자(parasitic element)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방사부(408, 410, 412)는 유전체 블록(402)의 표면에 식각되거나 금속 박판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400)가 이동 무선 단말기(500)의 하단에 내장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400)는 이동 무선 단말기(5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급전핀(404)을 통하여 이동 무선 단말기(500)의 메인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600)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유전체(402)에 제 3 방사부(412)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본 실시예 또한 유전체 블록(402) 및 유전체 블록(402)의 표면에 형성된 급전핀(404), 접지핀(406), 제 1 방사부(408) 및 제 2 방사부(41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 3 방사부(702)는 유전체 블록(402)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무선 단말기를 감싸는 케이스(704) 의 하단 내부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이동 무선 단말기는 후면부에 착탈 가능한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 3 방사부(702)는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의 하단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의 하단부에 배터리 케이스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제 3 방사부(702)는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의 고정된 케이스 안쪽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제 3 방사부(702)를 구성할 수 있으나,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가 완전히 동작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가 이동 무선 단말기에 장착되거나 고정 케이스가 완전히 조립된 경우에는 제 3 방사부(702)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방사부(408)와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방사부(702) 또한 케이스(704)의 내부면에 식각되거나 금속 박판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600)가 이동 무선 단말기(800)의 하단에 내장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600)는 이동 무선 단말기(8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급전핀(404)을 통하여 이동 무선 단말기(800)의 메인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제 3 방사부(702)가 이동 무선 단말기(800)의 외장 케이스 내부에 부착되어 제 1 방사부(408)와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는 바, 결과적으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안테나로서 기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400)에 따르면, 제 1 방사부(408)는 기생 소자인 제 3 방사부(412)에 의하여 전자기적으로 유전체 블록(402)의 타단까지 연장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방사부(408)에 의하여 형성된 단말기 상단의 표면 전류 또한 도 3과 마찬가지로 단말기의 상단 모서리 부근으로 분산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의 보청기 호환성(HAC) 및 전자파 흡수율(SAR) 개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에 있어 제 1 방사부는 이동 무선 단말기의 좌측 하단(또는 실시예에 따라 우측 하단)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방사부에 의한 전자파(900)는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의 우측 상단을 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방사부와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된 제 3 방사부는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의 우측 하단(또는 실시예에 따라 좌측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상기 제 3 방사부에 의한 전자파(902)는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의 좌측 상단을 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방출된 전자파들(900, 902)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중간 부분에서 서로 교차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의 전자파가 최대인 영역은 수화기가 위치하는 상단이 아닌 중간 부분(904)으로 내려오게 된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또는 단말기의 구체적인 형상에 따라 제 3 방사부에 의하여 단말기에서 전자파가 최대인 영역이 단말기의 상단이 아닌 하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서 보청기 호환성에 대해 요구하는 자계의 방출량은 표면전류와 밀접한 영향을 가진다. 즉, 종래의 단말기 하단에 배치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전류가 수신기 부분에 집중되며 이에 따라 수신기 부근에 강한 전기장이 유기됨으로써 전자파 흡수율이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보청기 호환성 또한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 제 3 방사부에 의해 표면전류가 단말기의 수신기가 아닌 단말기의 상단 모서리로 분산되며 이에 따라 단말기 부근의 전기장 분포 또한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하게 되므로 보청기 착용자의 통화시 보청기와의 간섭작용을 최소화하여 보청기 호환성(HAC)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파 흡수율(SAR) 또한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에 제 3 방사부가 더 구비되더라도 안테나 전체의 크기는 종래의 안테나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종래기술에 비해 단말기 내부에서 안테나가 차지하는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단말기를 소형화하는 데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 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단말기의 하단부에 안테나가 내장되는 경우의 표면전류(surface current)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단말기의 하단부에 안테나가 내장되는 경우의 전자파(electric field)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4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400)가 이동 무선 단말기(500)의 하단에 내장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60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600)가 이동 무선 단말기(800)의 하단에 내장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의 보청기 호환성(HAC) 및 전자파 흡수율(SAR) 개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의 전자파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400 :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402 : 유전체
404 : 급전핀 406 : 접지핀
408 : 제 1 방사부 410 : 제 2 방사부
412,702 : 제 3 방사부

Claims (8)

  1. 무선 단말기의 하단에 구비되는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로서,
    유전체 블록;
    상기 유전체 블록의 일단 부근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에 전류를 공급하는 급전핀;
    상기 유전체 블록의 일단 부근에 상기 급전핀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를 접지시키는 접지핀;
    일단이 상기 급전핀 및 상기 접지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방사부;
    일단이 상기 급전핀 및 상기 접지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방사부; 및
    일단이 상기 제 1 방사부의 타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부근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 1 방사부와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제 1 방사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무선 단말기 상단의 표면 전류를 분산하는 제 3 방사부;
    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방사부의 타단은,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측면부까지 연장되는,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방사부는,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형성되는,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방사부는, 상기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가 삽입되는 무선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면에 형성되는,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5.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로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유전체 블록의 일단 부근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에 전류를 공급하는 급전핀;
    상기 유전체 블록의 일단 부근에 상기 급전핀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를 접지시키는 접지핀;
    일단이 상기 급전핀 및 상기 접지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방사부;
    일단이 상기 급전핀 및 상기 접지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방사부; 및
    일단이 상기 제 1 방사부의 타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부근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 1 방사부와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제 1 방사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무선 단말기 상단의 표면 전류를 분산하는 제 3 방사부;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방사부의 타단은, 상기 유전체 블록의 타단 측면부까지 연장되는, 무선 단말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방사부는,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형성되는, 무선 단말기.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방사부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면에 형성되는, 무선 단말기.
KR1020090065315A 2009-07-17 2009-07-17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KR101110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315A KR101110183B1 (ko) 2009-07-17 2009-07-17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315A KR101110183B1 (ko) 2009-07-17 2009-07-17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27A KR20110007727A (ko) 2011-01-25
KR101110183B1 true KR101110183B1 (ko) 2012-02-15

Family

ID=4361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315A KR101110183B1 (ko) 2009-07-17 2009-07-17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5689A (zh) * 2012-06-18 2014-01-1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天线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061B1 (ko) 2014-03-04 2015-09-04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이종의 안테나가 가교된 안테나 방사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8326A (ja) * 2001-06-20 2003-01-10 Murata Mfg Co Ltd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機
US20050093750A1 (en) * 2003-10-31 2005-05-05 Vance Scott L. Multi-band planar inverted-F antennas including floating parasitic elements and wireless terminals incorporating the same
US20060170600A1 (en) 2003-10-20 2006-08-03 Lk Products Oy Internal multiband antenna
US20070139280A1 (en) 2005-12-16 2007-06-21 Vance Scott L Switchable planar antenna apparatus for quad-band GSM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8326A (ja) * 2001-06-20 2003-01-10 Murata Mfg Co Ltd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機
US20060170600A1 (en) 2003-10-20 2006-08-03 Lk Products Oy Internal multiband antenna
US20050093750A1 (en) * 2003-10-31 2005-05-05 Vance Scott L. Multi-band planar inverted-F antennas including floating parasitic elements and wireless terminals incorporating the same
US20070139280A1 (en) 2005-12-16 2007-06-21 Vance Scott L Switchable planar antenna apparatus for quad-band GSM appl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5689A (zh) * 2012-06-18 2014-01-1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天线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27A (ko)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5843B1 (en) Antenna arrangement an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8855724B2 (en) Hearing aid compliant mobile handset
US7633449B2 (en) Wireless handset with improved hearing aid compatibility
AU750257B2 (en) Multiple frequency band antenna
EP1746682B1 (en) Mobile telephone
US8638262B2 (en)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ing a loop like antenna
JP2002151923A (ja) 携帯端末機
EP1979984B1 (e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reduced electric field emission levels near the earpiece
JP3566202B2 (ja) 携帯端末機
JPWO2012029390A1 (ja)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機
US722500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544698B1 (ko) 내장형 안테나
KR101110183B1 (ko)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JP2013074361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端末における電磁波の暴露低減方法
JP4798047B2 (ja) アンテナおよび無線通信機
JP2002152353A (ja) 携帯端末機
TW200501504A (en) Internal antenna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423100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low near-field radiation and related antenna structure
WO2006013843A1 (ja) 携帯電話機
KR20090126001A (ko) 휴대용 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CN211556116U (zh) 一种天线及移动终端
CN108023183B (zh) 移动终端的天线结构及移动终端
JPH11312998A (ja) 携帯無線機
CN105048064B (zh) 一种手机天线装置
KR20060062969A (ko) 배터리 케이스에 평면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