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594B1 -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594B1
KR101109594B1 KR1020050070510A KR20050070510A KR101109594B1 KR 101109594 B1 KR101109594 B1 KR 101109594B1 KR 1020050070510 A KR1020050070510 A KR 1020050070510A KR 20050070510 A KR20050070510 A KR 20050070510A KR 101109594 B1 KR101109594 B1 KR 101109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int
image
pixel value
area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6217A (ko
Inventor
맹숙영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59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15Image demosaicing, e.g. colour filter arrays [CFA] or Bayer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3Hue control means, e.g. flesh ton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은 (a) 임프린트 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b) 대상 이미지에서 임프린트 영역의 화소값을 검사하는 단계; (c) 검사된 화소값의 결과에 따라 임프린트 색조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결정된 색조로 대상 영역에 대상 내용을 임프린트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프린트 영역의 화소값에 따라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임프린트 색조를 결정한다. 따라서 종래에 임프린트 영역의 휘도가 높거나 임프린트 영역의 색상과 임프린트 색조가 유사한 경우 등에 임프린트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diplay method of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촬영한 이미지에 날짜를 임프린트한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6은 임프린트 위치 및 내용을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여 임프린트한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촬영한 이미지에 정보를 임프린트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프린트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재생된 이미지의 소정 위치에 촬영일시 등 필요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특정한 한 가지의 색깔로써 이미지의 일정한 위치에 임프린트를 한다. 그러나 임프린트 영역의 휘도가 높거나 또는 임프린트 영역의 색상과 유사한 경우에는 임프린트가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임프린트 시인성을 향상시킨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은 (a) 임프린트 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대상 이미지에서 임프린트 영역의 화소값을 검사하는 단계; (c) 검사된 화소값의 결과에 따라 임프린트 색조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결정된 색조로 대상 영역에 대상 내용을 임프린트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임프린트 영역은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임프린트 영역의 검사된 화소값의 보색으로 임프린트 색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임프린트 영역의 검사된 화소값의 채도에 따라 임프린트 채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임프린트 영역의 검사된 화소값의 명도에 따라 임프린트 명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 광전변환하는 촬상부; 상기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부터 임프린트 주변영역의 화소값을 검사하고, 그 검사결과에 따라 임프린트 색조를 조정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임프린트 색조가 조정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임프린트 색조가 조정된 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촬상부는 소정 크기의 2차원 영역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화소 센서마다 각각의 색필터 모자이크를 거쳐 빛을 수광하는 수광면과, 상기 화소 센서들로 입사된 광을 광전변환된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서 출력하는 전자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소별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부터 소정 변환식에 의해 임프린트 주변영역의 화소값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촬상부는 RGB(Red, Green, Blue) 색필터 모자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광전변환된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서 R(Red)신호,G(Green)신호, B(blue)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프린트 주변영역의 화소값을 RGB 색좌표계에서 HSI 색좌표계로 변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DSP(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auto gain control, AGC)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DSP(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임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DSP(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LCD 구동부(14)에서 LCD 패널의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되어 칼라 LCD 패널(17)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9) 및 비데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DSP(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DSP(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의 기능은 DSP(7)와 원칩(one chip)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여러 구성요소의 기능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에는, 뷰 파인더(100), 자동초점램프(101), 플래시 상태램프(102), 모드다이얼(103), 셔터버튼(104), LCD버튼(105), 광각줌 버튼(106), 망원줌 버튼(107), 메뉴/확인버튼(108), 방향/기능버튼(109), DC전원입력단자(110), 외부출력단자(111), 재생모드버튼(112), LCD 모니터(113), 수동초점 버튼(114), 자동노출 잠금버튼(115), 촬영화질 조정버튼(116) 등이 구비된다.
LCD 모니터(113)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현재 설정된 촬영모드와 상태를 나타내는 OSD(on screen display)가 표시되어 있다.
5기능 버튼(106)은 중앙에 메뉴(MENU)진입/확인(OK) 버튼, 상하좌우 방향 버튼을 구비한다. 모니터에 메뉴가 표시된 경우에 상하좌우 방향 버튼은 방향이동이 아닌 특수한 기능 버튼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여러 기능 버튼들은 디지털 카메라의 사양에 따라 그 명칭에 서 나타나는 기능 이외에도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임프린트 대상 이미지를 선택한다(S100). 임프린트 대상 이미지로서 현재 촬영된 이미지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미 촬영되어 저장된 이미지가 재생모드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선택한 대상 이미지에서 임프린트 영역의 화소값을 검사한다(S102). S102 단계에서는 임프린트 영역의 RGB 화소값을 평균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임프린트 영역의 위치는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임프린트 영역은 일정 위치 예컨대 이미지 우측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임프린트 내용도 촬영일시 등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임프린트 영역의 위치 및 내용을 사용자의 지정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6에서 후술한다.
그리고 검사된 화소값의 결과에 따라 임프린트 색조를 결정한다(S104). 임프린트 색조의 변경은 소정 기준 예컨대 임프린트 영역의 색상, 채도, 명도에 대비하여 시인성이 양호하게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색상에 대하여는 보색을 취할수 있다. 또한 채도에 대하여는 소정 채도값 차이를 취하거나 채도값의 1/2 값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명도에 대하여는 소정 명도값 차이를 취하거나 명도값의 1/2 값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색조로 대상 영역에 대상 내용을 임프린트한다(S106).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촬상부(200), 제어부(202), 저장부(206), 디스플레이부(204)를 구비하여, 촬영된 이미지에서 임프린트 주변영역의 화소값에 따라 색조를 조정하여 임프린트한다.
촬상부(200)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 광전변환한다.
제어부(202)는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부터 임프린트 주변영역의 화소값을 검사하고, 그 검사결과에 따라 임프린트 색조를 조정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S204).
저장부(206)는 임프린트 색조가 조정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204)는 임프린트 색조가 조정된 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로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면, 촬상부(200)는 도 1의 광전 변환부(OEC)와 CDS-ADC 소자(1)로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2)는 DSP(7), DRAM(4), EEPROM(5)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4)는 LCD 구동부(14)와 칼라 LCD 패널(17, 도 2의 111)로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06)는 도 1의 메모리 카드(6)로서 구비될 수 있다.
촬상부(200)는 소정 크기의 2차원 영역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화소 센서마다 각각의 색필터 모자이크를 거쳐 빛을 수광하는 수광면과, 화소 센서들로 입사된 광 을 광전변환된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서 출력하는 전자회로를 구비한다. 수광면에 구비되는 색필터 모자이크는 예컨대 RGB(Red, Green, Blue) 원색필터, Ye/Cy/G/Mg(Yellow, Cyan, Green, Magenta) 보색필터 등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각 화소별로 대응되는 색필터에 해당하는 색의 광만이 투과되어 화소의 포토 다이오드가 반응하여 광전변환된 전기적 이미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202)는 화소별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부터 소정 변환식에 의해 임프린트 주변영역의 화소값을 계산할 수 있다.
특히 촬상부(200)에 RGB 원색필터 모자이크가 채용된 경우에, 촬상부(202)는 광전변환된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서 R(Red)신호,G(Green)신호, B(blue)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202)는 임프린트 주변영역의 화소값을 RGB 색좌표계에서 HSI(Hue-Saturation-Intensity) 색좌표계로 변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R, G, B 값은 임프린트 영역에서 각 색의 화소 신호값을 각 색의 화소수로 나눈 평균값을 취할 수 있다.
RGB 색좌표계에서 HSI 색좌표계로의 변환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5042621217-pat00001
Figure 112005042621217-pat00002
Figure 112005042621217-pat00003
Figure 112005042621217-pat00004
HSI 색좌표계에서 RGB 색좌표계로의 변환식은 다음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와 같다.
수학식 2는 RG 영역(0˚≤H≤120˚)에 대한 HSI→RGB 변환식이다.
Figure 112005042621217-pat00005
Figure 112005042621217-pat00006
Figure 112005042621217-pat00007
수학식 3은 GB 영역(120˚≤H≤240˚)에 대한 HSI→RGB 변환식이다.
Figure 112005042621217-pat00008
Figure 112005042621217-pat00009
Figure 112005042621217-pat00010
Figure 112005042621217-pat00011
Figure 112005042621217-pat00012
수학식 4는 BR 영역(240˚≤H≤360˚)에 대한 HSI→RGB 변환식이다.
Figure 112005042621217-pat00013
Figure 112005042621217-pat00014
Figure 112005042621217-pat00015
Figure 112005042621217-pat00016
Figure 112005042621217-pat00017
이하에서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임프린트 영역의 화소값의 색좌표계를 RGB→HSI 로 변환한 후에 임프린트 영역의 화소값에 따라 임프린트 색조를 변경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학식 1 계산시에 색상 H값은 각도 계산결과를 360˚으로 나누어 정규화한 값을 취하고, 명도 I 값은 256으로 정규화한 값을 취할 수 있다.
먼저 임프린트 영역의 검사된 화소값의 보색으로 임프린트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임프린트 영역의 평균 RGB 화소값이 RGB(255, 128, 0)이라면, 이를 수학식 1에 의해 변환하면 HSI(0.083, 1, 0.5)이다. 이 때 임프린트 영역의 검사된 화소값의 보색으로 임프린트 색상을 조정한다면, 계산된 색상 H 값에 0.5(180˚)를 더하면 된다. 즉 임프린트 영역의 HSI(0.083, 1, 0.5)에 대하여 임프린트 색상은 HSI(0.583, 1, 0.5)로 결정된다.
이러한 임프린트 색상(H) 조정 결과를 다시 HSI→RGB에 의해 변환한다. 이 때 120˚≤H(210˚)≤240˚ 이므로 수학식 3에 의해 변환하면, HSI(0.583, 1, 0.5)→RGB(0, 128, 255)가 된다. 이러한 결과는 오렌지색의 임프린트 영역 RGB(255, 128, 0)의 보색인 하늘색 RGB(0, 128, 255)으로 임프린트 색조를 결정한 것이다. 특히
다음으로 임프린트 영역의 검사된 화소값의 채도(S)에 따라 임프린트 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임프린트 영역의 검사 결과 HSI(0.083, 1, 0.5)에서 채도(S) 값에 0.5를 곱한 값으로 임프린트 색조를 HSI(0.083, 0.5, 0.5)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수학식 2에 의하여 RGB로 변환하면, HSI(0.083, 0.5, 0.5)→RGB(192, 0, 64)가 된다.
다음으로 임프린트 영역의 검사된 화소값의 명도(I)에 따라 임프린트 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임프린트 영역의 검사 결과 HSI(0.083, 1, 0.5)에서 명도(I) 값에 0.5를 곱한 값으로 임프린트 색조를 HSI(0.083, 1, 0.25)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수학식 2에 의하여 RGB로 변환하면, HSI(0.083, 1, 0.25)→RGB(128, 128, 0)가 된다.
도 5는 촬영한 이미지에 날짜(210)를 임프린트한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6은 임프린트 위치 및 내용을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여 임프린트한 디스 플레이 화면으로서, 도 5와는 달리 이미지 하단 중앙 위치에 촬영일시가 아닌 "호랑나비"(220) 를 임프린트하였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촬영한 이미지에 임프린트하는 기능을 갖는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에도 적용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MP3와 같은 음악 재생, 방송수신, 게임, 전자사전, 동영상 재생, 디지털카메라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휴대형의 차세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인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프린트 영역의 화소값에 따라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임프린트 색조를 결정한다. 따라서 종래에 임프린트 영역의 휘도가 높거나 임프린트 영역의 색상과 임프린트 색조가 유사한 경우 등에 임 프린트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a) 임프린트 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대상 이미지에서 임프린트 주변영역의 화소값을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검사된 화소값의 결과에 따라 임프린트 색조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결정된 색조로 상기 이미지의 대상 영역에 대상 내용을 임프린트 하는 단계;
    (e) 상기 대상 내용이 임프린트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임프린트 영역은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임프린트 영역의 검사된 화소값의 보색으로 임프린트 색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임프린트 영역의 검사된 화소값의 채도에 따라 임프린트 채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임프린트 영역의 검사된 화소값의 명도에 따라 임프린트 명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6.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 광전변환하는 촬상부;
    상기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부터 임프린트 주변영역의 화소값을 검사하고, 그 검사결과에 따라 임프린트 색조를 조정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임프린트 색조가 조정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임프린트 색조가 조정된 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소정 크기의 2차원 영역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화소 센서마다 각각의 색필터 모자이크를 거쳐 빛을 수광하는 수광면과, 상기 화소 센서들로 입사된 광을 광전변환된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서 출력하는 전자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소별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부터 소정 변환식에 의해 임프린트 주변영역의 화소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RGB(Red, Green, Blue) 색필터 모자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광전변환된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서 R(Red)신호,G(Green)신호, B(blue)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프린트 주변영역의 화소값을 RGB 색좌표계에서 HSI 색좌표계로 변환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1020050070510A 2005-08-02 2005-08-02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KR10110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510A KR101109594B1 (ko) 2005-08-02 2005-08-02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510A KR101109594B1 (ko) 2005-08-02 2005-08-02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217A KR20070016217A (ko) 2007-02-08
KR101109594B1 true KR101109594B1 (ko) 2012-01-31

Family

ID=4365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510A KR101109594B1 (ko) 2005-08-02 2005-08-02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5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3717A (ja) * 1995-01-24 1995-12-22 Yukio Yamamoto 日付が真下に写るカメラ
KR960039898A (ko) * 1995-04-29 1996-11-25 배순훈 텔레비전의 osd문자 컬러제어장치
KR980007688A (ko) * 1996-06-05 1998-03-30 이대원 메뉴화면의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감시카메라
JP2002314852A (ja) * 2001-04-16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カメ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3717A (ja) * 1995-01-24 1995-12-22 Yukio Yamamoto 日付が真下に写るカメラ
KR960039898A (ko) * 1995-04-29 1996-11-25 배순훈 텔레비전의 osd문자 컬러제어장치
KR980007688A (ko) * 1996-06-05 1998-03-30 이대원 메뉴화면의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감시카메라
JP2002314852A (ja) * 2001-04-16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217A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6379A1 (en) White balance control method, white balance control apparatus and image-taking apparatus
JP2006121612A (ja) 撮像装置
JP5253000B2 (ja) 撮像装置
JP2007053499A (ja)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及び撮像装置
US7646406B2 (en) Image taking apparatus
EP2161938B1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executing the imaging method
JP6580801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WO2006103880A1 (ja) 撮像装置
KR101185871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4301890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KR101109594B1 (ko) 디지털 이미지의 임프린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JP2006074710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2185972A (ja) 撮像装置
KR100702950B1 (ko)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촬영 장치
JP2006173860A (ja) 電子カメラ
KR101244913B1 (ko) 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144875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5799550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KR101323731B1 (ko) 노출 영역 표시 방법
JP2006303755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5033332A (ja)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562403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보정방법
JP2006197478A (ja) 撮影装置
JP2006279714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132424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의 화이트 밸런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