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997B1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997B1
KR101107997B1 KR1020040094291A KR20040094291A KR101107997B1 KR 101107997 B1 KR101107997 B1 KR 101107997B1 KR 1020040094291 A KR1020040094291 A KR 1020040094291A KR 20040094291 A KR20040094291 A KR 20040094291A KR 101107997 B1 KR101107997 B1 KR 101107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emitting
light guid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996A (ko
Inventor
지안호
김득수
안형철
이건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997B1/ko
Publication of KR2006005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Abstract

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원,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광원은 발광면, 상부면, 바닥면 및 측면을 포함한다. 발광면은 측면에 위치하는 광 조절부재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광을 발생하며, 상부면은 발광면의 제1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바닥면은 발광면의 제2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부면에 평행하며, 측면은 발광면에 대향하고, 상부면 및 바닥면의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광원이 광 조절부재에 보다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하부로 누설되지 않고, 상기 광 조절부재로 전부 입사될 수 있어, 광의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LED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스플레이 유닛 200 : 백라이트 유닛
310,320,330 : 제1 내지 제3 LED 400 : 도광판
410 : 입사면 600 : 반사판
700 : 수납용기 710 : 몰드 프레임
720 : 바텀 샤시
본 발명은 광원,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원,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의 후면에 배치되고, 광을 발생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로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그러나,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높은 소비 전력을 갖는다. 특히, 백라이트 유닛의 이러한 문제는 경박 단소 및 저소비 전력을 요구하는 휴대용 액정표시장치에서 더 크게 제기된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액정표시장치는 점상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칭함)로 이루어진 백라이트 유닛을 채용한다. 상기 LED는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경박 단소를 구현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LED를 채용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LED는 조사 거리가 좁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면적이 작은 중소형 휴대용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생하는 LED, 상기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도광판, 상기 LED 및 도광판을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을 수납하는 바텀 샤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LED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LED에서 발생된 광이 전부 상기 도광판으로 입사되지 못하고, 상기 광의 일부가 하부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광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광원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원은 발광면, 상부면, 바닥면 및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면은 측면에 위치하는 광 조절부재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광을 발생하며, 상부면은 발광면의 제1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바닥면은 발광면의 제2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부면에 평행하며, 측면은 발광면에 대향하고, 상부면 및 바닥면의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은 광 조절부재, 광원 및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광 조절부재는 광의 경로를 조절하고, 광원은 광 조절부재의 측면에 배치되고, 광 조절부재 측으로 돌출된 발광면을 가지며, 발광면을 통해 상기 광을 발생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광 조절부재 및 광원을 수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영상을 표시하고,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광의 경로를 조절하는 광 조절부재와, 상기 광 조절부재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 조절부재 측으로 돌출된 발광면을 가지며, 상기 발광면을 통해 상기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광 조절부재 및 상기 광원을 수납 하는 수납용기를 갖는다.
이러한 광원,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에 의하면, 광원이 광 조절부재에 보다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하부로 누설되지 않고, 상기 광 조절부재로 전부 입사될 수 있어, 광의 효율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 및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광을 발생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0)으로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10), 표시패널(110)에 결합되어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이하, FPC라 칭함)(120) 및 상기 외부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패널(110)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드라이버 IC(130)를 포함한다. 이때, 메인 FPC(120)는 백라이트 유닛(200) 하부에 위치하고, 소정의 신호전송 필름(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드라이버 IC(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표시패널(110)은 어레이 기판(111), 어레이 기판(111)과 마주하는 컬러필터 기판(112) 및 어레이 기판(111)과 컬러필터 기판(112)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도시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레이 기판(111)은 다수의 화소(도시되지 않음)가 매트릭스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화소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라인(도시되지 않음),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과 교차하는 데이터 라인(도시되지 않음) 및 화소 전극(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상기 각 화소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TFT가 구비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112)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광을 이용하여 소정의 색을 발현하는 RGB 색화소(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RGB 색화소 상에 형성되어 상기 화소 전극과 마주보는 공통전극(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투과도를 조절한다.
한편, 어레이 기판(111)의 일단부(111a)는 컬러필터 기판(112)의 일단부(112a) 보다 길게 연장된다. 따라서, 어레이 기판(111)의 일단부(111a)에는 칩 형태로 구성된 드라이버 IC(130)가 실장된다. 또한, 어레이 기판(111)의 일단부(111a)에는 상기 신호전송 필름이 부착되어 메인 FPC(120)로부터의 상기 외부신호를 드라이버 IC(130)로 전달한다.
상기 메인 FPC(120)의 일면에는 점상 광원의 형태를 가지는 제1 LED(310), 제2 LED(320) 및 제3 LED(3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는 메인 FPC(120)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로부터의 광 발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을 발생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인 FPC(120)에는 상기 광 발생신호를 제 1 내지 제3 LED(310,320,330)로 제공하기 위한 각종 배선들이 구비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00)은 상기 광을 발생하는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 및 상기 광을 가이드하여 표시패널(110) 방향으로 출사하는 도광판(4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 각각은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 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한다. 여기서, 상기 LED의 개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400)은 표시패널(110)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상기 도광판(400)은 입사면(410), 출사면(420) 및 반사면(4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입사면(410)은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에 인접하여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로부터 상기 광을 입력받는다. 상기 출사면(420)은 입사면(410)의 제1 단부(412)로부터 연장되어 입사된 상기 광을 출사한다. 상기 반사면(430)은 입사면(410)의 제2 단부(414)로부터 연장되어 출사면(420)과 마주하고, 입사된 상기 광을 출사면(420) 방향으로 반사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의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LED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ED(310)는 직육각형 형상을 가지고, 제1 면(311), 제2 면(312), 제3 면(313), 제4 면(314), 제5 면(315) 및 제6 면(3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면(311)은 도 1에 도시된 도광판(400)의 입사면(410)에 인접하고, 상기 광이 발광되는 발광면이고, 제2 면(312)은 제1 면(311)에 대응하는 면이다. 또한, 제3 면(313) 및 제4 면(314)은 측면이고, 제5 면(315)은 상부면이며, 제6 면(316)은 제5 면(315)에 대응하는 바닥면이다. 상기 제6 면(316)은 메인 FPC(120)에 접하는 면이다.
이때, 제1 면(311)은 도광판(400)의 입사면(410)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즉, 제1 LED(310)의 제1 면(311)은 도광판(400)의 입사면(410)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처럼, 제1 LED(310)의 제1 면(311)이 도광판(400)의 입사면(410)에 최대한 인접하도록 될 수 있으므로, 제1 LED(310)의 발광면이 도광판(400)의 입사면(410)에 인접함에 따라 제1 LED(310)에서 발생된 광은 하부로 누설되지 않고 도광판(400)의 입사면(410)으로 전부 입사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LED(310)가 직육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1 LED(310)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제2 및 제3 LED(320,330)도 제1 LED(3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광판(400)의 출사면(420) 상부에는 출사면(4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광학 시트(500)가 배치된다.
한편, 도광판(400)의 반사면(430) 하부에는 반사판(600)이 배치된다. 상기 반사판(600)은 반사면(430)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도광판(400) 측으로 반사하여 백라이트 유닛(200)의 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수납하는 수납 유닛(7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납 유닛(700)은 몰드 프레임(710) 및 바텀 샤시(7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몰드 프레임(710)은 제1 내지 제4 측벽(712a,712b,712c,712d)으로 이루어진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몰드 프레임(710)에는 제1 수납공간(R1) 및 제2 수납공간(R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712a,712b,712c,712d)에 의해서 정의된 제1 수납공간(R1)에는 반사판(600), 도광판(400) 및 다수의 광학 시트(500)가 순차적으로 수납된다. 상기 제2 수납공간(R2)에는 제1 측벽(712a)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2 수납공간(R2)에는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가 수납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측벽(712a,712b,712c,712d)의 상단에는 제1 내지 제4 단차부(714a,714b,714c,714d)가 각각 형성되고, 제1 내지 제4 단차부(714a,714b,714c,714d)에는 표시패널(110)이 안착된다.
상기 바텀 샤시(720)는 바닥면(722), 바닥면(722)으로부터 연장된 제5 내지 제8 측벽(724a,724b,724c,724d)으로 이루어져 몰드 프레임(710)과 결합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710)은 바닥면(722)에 안착되고, 몰드 프레임(710)의 제1 내지 제4 측벽(712,712b,712c,712d)은 바텀 샤시(720)의 제5 내지 제8 측벽 (724a,724b,724c,724d)과 대향하여 결합한다.
이때, 몰드 프레임(710)과 바텀 샤시(720)가 결합하면, 몰드 프레임(710)에 수납된 반사판(600) 및 도광판(400)은 바텀 샤시(720)의 바닥면(722)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한, 바텀 샤시(720)는 바닥면(722)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관통홀(726)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726)은 몰드 프레임(710)의 제2 수납공간(R2)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메인 FPC(120) 상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는 바텀 샤시(720)의 관통홀(726)을 통과하여 몰드 프레임(710)의 제2 수납공간(R2)에 수납된다.
이때, 바텀 샤시(720)의 바닥면(722)은 제2 수납공간(R2)에 수납된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의 제1 면(311)을 완전히 커버한다. 즉, 바텀 샤시(720)의 관통홀(726)을 통해 몰드 프레임(710)의 제2 수납공간(R2)에 수납된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는 제1 면(311)이 바닥면(722)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의 제1 면(311)이 도광판(400)의 입사면(410)에 보다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이 완전하게 입사면(410)을 통해 도광판(400) 내부로 입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는 광이 발광되는 제1 면(311)이 도광판(400)의 입사면(410)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바 텀 샤시(720)가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의 제1 면(311)을 완전 커버하도록 조립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의 제1 면(311)이 도광판(400)의 입사면(410)에 보다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LED(310,320,330)에서 발생된 상기 광이 하부로 누설되지 않고, 입사면(410)을 통해 도광판(400) 내부로 전부 입사되어, 광 효율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 및 백라이트 유닛(800)을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800)은 광을 발생하는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 및 상기 광을 가이드하여 표시패널(110) 방향으로 출사하는 도광판(400)을 포함한다. 이때, 도광판(400)은 입사면(410), 출사면(420) 및 반사면(4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는 도광판(400)의 입사면(410)에 인접하고, 상기 광이 발생되는 발광면(912) 및 메인 FPC(120)에 접하는 바닥면(9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는 도광판(400)의 발광면(912)의 제1단 부(912a)에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된 홈(9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부(912a)는 도광판(400)의 반사면(430)에 대응하는 단부이다. 이때, 발광면(912)의 제1 단부(912a)에 대응하는 제2 단부(912b)는 상대적으로 도광판(400)의 입사면(410) 측으로 돌출되므로,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는 'ㄱ'자 형상을 갖는다.
한편, 도광판(400)의 반사면(430) 하부에는 반사판(1000)이 배치된다. 상기 반사판(1000)은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의 발광면(912)을 완전하게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즉, 반사판(1000)은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의 홈(916)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반사판(1000)이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의 발광면(912)을 완전하게 커버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에서 발광된 상기 광 중 하부로 누설된 일부 광을 도광판(400)으로 완전하게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몰드 프레임(710) 및 바텀 샤시(7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710)은 제1 내지 제4 측벽(712a,712b,712c,712d)을 포함한다. 이때, 제1 내지 제4 측벽(712a,712b,712c,712d)에 의해 제1 및 제2 수납공간(R1,R2)이 형성된다. 또한, 바텀 샤시(720)는 바닥면(722) 및 제5 내지 제8 측벽(724a,724b,724c,724d)을 포함한다. 이때, 바닥면(722)에는 관통홀(726)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는 바텀 샤시(720)의 관통홀(726)을 통 과하여 몰드 프레임(710)의 제2 수납공간(R2)에 수납된다.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는 바텀 샤시(720)의 바닥면(722)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도록 조립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따르면, 바텀 샤시(720)가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의 발광면(912)을 완전 커버하도록 조립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의 발광면(912)이 도광판(400)의 입사면(410)에 보다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반사판(1000)은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의 발광면(912)에서 하부로 누설된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400)으로 입사시킨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LED(910,920,930)에서 발생된 상기 광이 하부로 누설되지 않고, 입사면(410)을 통해 도광판(400) 내부로 전부 입사되어, 광 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광판의 입사면 측으로 돌출된 발광면을 갖는 LED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LED가 도광판의 입사면에 보다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어, 상기 LED에서 발생된 광이 하부로 누설되지 않고 도광판의 입사면으로 전부 입사될 수 있어, 광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LED의 발광면을 완전 커버하도록 반사판이 길게 연장되므로, 도광판으로 입사되지 않고 누설되는 광이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으로 입사될 수 있어 광의 효율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 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광의 경로를 조절하는 광 조절부재; 및
    상기 광 조절부재의 측면에 배치되고, 광을 발생하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고,
    각 광원은 상기 광 조절부재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광을 발생하는 발광면과, 상기 발광면의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평행한 바닥면, 및 상기 발광면과 대향하고 상기 상부면 및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면을 기준으로 함몰되어 상기 발광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삭제
  4.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
    상기 도광판과 상기 수납 용기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된 반사판; 및
    광을 발생하고, 상기 도광판의 입사면과 마주하게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고,
    각 광원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면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광을 발생하는 발광면과, 상기 발광면의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평행한 바닥면, 및 상기 발광면과 대향하고 상기 상부면 및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면을 기준으로 함몰되어 상기 발광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고 상기 반사판의 단부가 배치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바닥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상기 광원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수납 용기에 수납된 상기 도광판의 입사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바닥면의 배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의 단부는 상기 광원의 상기 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면의 이격 공간은 상기 바닥면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4항에 있어서,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납 용기에 수납되어 상기 반사판 및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과,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도광판과 상기 수납 용기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된 반사판, 및 광을 발생하고, 상기 도광판의 입사면과 마주하게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각 광원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면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광을 발생하는 발광면과, 상기 발광면의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평행한 바닥면, 및 상기 발광면과 대향하고 상기 상부면 및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면을 기준으로 함몰되어 상기 발광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고 상기 반사판의 단부가 배치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바닥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상기 광원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수납 용기에 수납된 상기 도광판의 입사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바닥면의 배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의 단부는 상기 광원의 상기 홈내에 배치되어,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면 사이의 이격 공간은 상기 바닥면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된 연성 인쇄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40094291A 2004-11-17 2004-11-17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107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291A KR101107997B1 (ko) 2004-11-17 2004-11-17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291A KR101107997B1 (ko) 2004-11-17 2004-11-17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657U Division KR200446935Y1 (ko) 2009-09-04 2009-09-04 광원,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996A KR20060054996A (ko) 2006-05-23
KR101107997B1 true KR101107997B1 (ko) 2012-01-31

Family

ID=3715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291A KR101107997B1 (ko) 2004-11-17 2004-11-17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9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904B1 (ko) * 2006-06-30 2013-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소자(led) 어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유닛
KR100836488B1 (ko) * 2006-11-09 2008-06-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147A (ko) * 2000-04-20 2001-11-08 박득일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과 고순도백색광의 발광방법
KR20040029255A (ko) * 2002-09-30 2004-04-06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발광 다이오드 및 백라이트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147A (ko) * 2000-04-20 2001-11-08 박득일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과 고순도백색광의 발광방법
KR20040029255A (ko) * 2002-09-30 2004-04-06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발광 다이오드 및 백라이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996A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21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100756368B1 (ko)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RU2662034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KR101320892B1 (ko) 표시장치용 수납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529579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620024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US20120099341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6310221A (ja) エッジ入力型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US891112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2081395A1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20110131543A (ko) 백라이트 유닛
KR2011009708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8662729B2 (en) 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7007968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10799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446935Y1 (ko) 광원,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483185B1 (ko) 표시 장치
KR20090081664A (ko)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009799B1 (ko)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200446939Y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5004919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075598B1 (ko) 표시장치
KR20060036292A (ko) 표시장치
KR20060040863A (ko) 연성회로필름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7964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