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347B1 -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347B1
KR101107347B1 KR1020040025539A KR20040025539A KR101107347B1 KR 101107347 B1 KR101107347 B1 KR 101107347B1 KR 1020040025539 A KR1020040025539 A KR 1020040025539A KR 20040025539 A KR20040025539 A KR 20040025539A KR 101107347 B1 KR101107347 B1 KR 101107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flexible
side edge
flexible membrane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304A (ko
Inventor
오용직
Original Assignee
오용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용직 filed Critical 오용직
Priority to KR102004002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34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35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refl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4Lamps as heat source, i.e. heating elements with protective gas envelope, e.g. halogen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해 수직 방향의 2개의 안내 홈에 있어서 옆 테두리부가 안내되어 있는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가요성막은 그 옆 테두리부의 적어도 한 방향의 부근에서 또한 상기 안내 홈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를 그 긴 방향에 두고 실질적으로 비압축성으로 할 수 있는 경직 수단을 가지고, 이러한 경직 수단은 막과 일체의 패임 부착 벨트(belt)를 따라서 형성되고, 막의 옆 테두리부의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결되고, 패임 부착 벨트와 협동하도록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요성막

Description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The shut down device with a Flexible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의한 가요성막을 구비하고, 해당 막이 폐쇄 위치에 있는 폐쇄 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선2-2에서 따라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선3-3에서 따라 본 도면
도 4는 도 1의 선4-5에서 따라 본 증가척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선5-5에서 따라 본 단면도
도 6은 도 5와 유사하지만 도 5에 나타난 어느 부분을 상세하게 그 중지 위치에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4와 유사하지만 도 4에 나타난 어느 부분을 상세히 나타내어 확대 또한 개략적인 도면
도 8은 제1실시 예의 세부를 확대하고 한 방향으로부터 바라 본 도면
도 9는 도 8과 유사하지만 도 8과 동일한 세부를 반대쪽에서 바라 본 도면
도 10은 도 6과 유사하지만, 막을 넓히고 있는 사이의 나선모양 안내 홈에 대한 막의 옆 테두리부의 위치를 확대해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과 유사하지만 막을 감아올리는 사이의 나선모양 안내 홈에 대 한 막의 옆 테두리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의 선12-12에서 따라 본 확대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것과 유사하며, 화살표 F방향으로 막에 힘이 가해질 때 안내 홈으로부터 막의 옆 테두리부가 벗어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막이 일부 폐쇄 된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폐쇄 장치의 개략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선15-15에서 따라 본 개략 정면도
도 16은 막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일부 파단한 개략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관한 도 12와 유사한 단면도
도 18은 제4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13과 유사한 도면
도 19는 도 1의 선19-19에서 따라 본 일부 파단의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선20-20에서 따라 본 확대 단면도
도 21은 도 19의 선21-21에서 따라 본 일부 파단의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19와 유사한 도면
도 23은 도 22와 선23-23에서 따라 본 도면과 확대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19와 유사한 도면
도 25는 도 24와 선25-25에서 따라 본 확대 단면도
도 26은 조립하는 동안의 도 25와 유사한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22와 유사한 도면
도 28은 도 27의 선28-28에서 따라 본 확대 단면도
도 29는 도 27의 선29-29에서 따라 본, 도 28과 동일 척도의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의한 폐쇄장치의 개략부분 수평 단면도
도 31은 상기 제9실시 예의 개략부분 단면도
도 32는 도 31의 선32-32에서 따라 본 부분 개략 정면도
도 33은 막의 옆 테두리부를 위한 안내 막 세부의 다른 변형에 관한 부분 파단 개략 측면도
도 34는 도 33의 선34-34에서 따라 본 정면도
도 35는 도 33과 유사하지만, 막의 옆 테두리부가 안내 홈과 재결합하는 위치에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 : 가요성막 2 : 테두리부
3, 18, 19 : 안내 홈
4 : 구동수단 5 : 강성부재
11 : 플랜지
본 발명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해 수직 방향의 2개의 안내 홈에 있어서 옆 테두리부가 안내되어 있는 가요성막을 포함 하는 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가요성 막을 구비한 의 폐쇄장치에 있어서는, 막의 아래 테두리부에는 그 막의 모든 폭에 걸쳐 연결되는 저울추 바(bar)이고, 기본적으로 이 저울추 바의 무게에 따라서 막을 닫고 긴장 상태로 그 막을 지키는 것이 가능한 저울추 바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한 저울추 바가 존재하는 것은 여러 가지 무시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즉 그 관성 때문에 막의 개폐 속도가 제한되고 막이 멈추기까지의 충분한 시간, 막의 위쪽방향 및 아래 방향의 운동을 제동시키기에는 특별한 유의가 필요하다. 또한 그러한 저울추 바의 중량 때문에 막을 개방 위치로 가지고 오기까지 비교적 대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최후에 막이 폐쇄위치를 향하여 하강하는 사이에 사람 또는 어떠한 물체가 막의 아래쪽에 있는 경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막의 제어회로에 안정된 안전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앞서 기술한 형식의 다른 종류의 주의사항인 폐쇄 장치에 있어서는 막을 폐쇄 위치에 가지고 오기 위해 돌아오는 풀리(pulley)를 이용하여 막의 옆 테두리부를 끌어당기는 구동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한 폐쇄장치에 있어서는 막의 테두리부에 저울추 겸 경직 바를 설치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필요하지는 않지만 실용 면에서 보면 그러한 저울추 겸 바는 폐쇄장치의 기능을 정확히 하기 위한 이상 일반적으로는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의 하나는 그러한 경직 겸 저울추 바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가요성 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막의 옆 테두리부는 실질적으로 비압축성이거나 또는 긴 방향으로 비압축성이 되고, 막을 그 폐쇄 위치가 가능하면 개방위치를 향하고 움직이게 하기 위해 형성하는 안내 홈에 있어서 막의 길이 방향에 상기 막의 테두리부에 슬러스트(thrust)력을 더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구동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막에는 상기 막의 옆 테두리부의 부근 또는 옆 테두리부에 이러한 테두리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강성의 부재이고, 상기 옆 테두리부에 방향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여 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것은 개방위치에 있어서 막을 말아 올리거나 혹은 접는 것이 가능하도록 서로 마주하여 관절접속 할 수 있는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폐쇄위치를 향한다. 특별히 그 길이에 걸치는 운동 방향에 있어서 옆 테두리부가 압축성이든지 또는 비압축성인 것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 폐쇄 장치에 관한다.
본 장치는 막이 적어도 그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의 사이로 현저하게 잡아당겨지고 있고 그 폐쇄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고 있는 동안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가 압축하는 것을 저지하는 수단이 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다른 방향의 폐쇄 위치 쪽에 있어서 막의 자유 테두리 부근에서 경직요소가 끼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에 의하면 강성이 있는 부분이 막의 옆 테두리부를 감싸고 막의 면에 대하여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가 앞서 말한 안내홈에서 유지되고 안내 홈 내를 운동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폐쇄위치를 향한다. 특별히 그 길이에 걸치는 운동 방향에 있어서 옆 테두리부가 압축성이든지 또는 비압축성인 것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 폐쇄 장치에 관한다.
본 장치는 막이 적어도 그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의 사이로 현저하게 잡아당겨지고 있고 그 폐쇄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고 있는 동안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가 압축하는 것을 저지하는 수단이 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다른 방향의 폐쇄 위치 쪽에 있어서 막의 자유 테두리 부근에서 경직요소가 끼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에 의하면 강성이 있는 부분이 막의 옆 테두리부를 감싸고 막의 면에 대하여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가 앞서 말한 안내홈에서 유지되고 안내 홈내를 운동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의한 가요성막을 구비하고, 해당 막이 폐쇄 위치에 있는 폐쇄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2-2에서 따라 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선3-3에서 따라 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선4-5에서 따라 본 증가척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선5-5에서 따라 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와 유사하지만 도 5에 나타난 어느 부분을 상세하게 그 중지 위치에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와 유사하지만 도 4 나타난 어느 부분을 상세히 나타내어 확대 또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은 제1실시 예의 세부를 확대하고 한 방향으로부터 바라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과 유사하지만 도 8과 동일한 세부를 반대쪽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10은 도 6과 유사하지만, 막을 넓히고 있는 사이의 나선모양 안내 홈에 대한 막의 옆 테두리부의 위치를 확대해 나타낸 단면도이이며, 도 11은 도 10과 유사하지만 막을 감아올리는 사이의 나선모양 안내 홈에 대한 막의 옆 테두리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의 선12-12에서 따라 본 확대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것과 유사하며, 화살표 F방향으로 막에 힘이 가해질 때 안내 홈으로부터 막의 옆 테두리부가 벗어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막이 일부 폐쇄 된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폐쇄 장치의 개략 측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선15-15에서 따라 본 개략 정면도이고, 도 16은 막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일부 파단한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관한 도 12와 유사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제4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13과 유사한 도면이며, 도 19는 도 1의 선19-19에서 따라 본 일부 파단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선20-20에서 따라 본 확대 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선21-21에서 따라 본 일부 파단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19와 유사한 도면이며, 도 23은 도 22와 선23-23에서 따라 본 도면과 확대 단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19와 유사한 도면이며, 도 25는 도 24와 선25-25에서 따라 본 확대 단면도이고, 도 26은 조립하는 동안의 도 25와 유사한 단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22와 유사한 도면이며, 도 28은 도 27의 선28-28에서 따라 본 확대 단면도이고, 도 29는 도 27의 선29-29에서 따라 본, 도 28과 동일척 도의 단면도이며, 도 30은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의한 폐쇄장치의 개략부분 수평 단면도이고, 도 31은 상기 제9실시 예의 개략부분 단면도이며, 도 32는 도 31의 선32-32에서 따라 본 부분 개략 정면도이고, 도 33은 막의 옆 테두리부를 위한 안내 막 세부의 다른 변형에 관한 부분 파단 개략 측면도이며, 도 34는 도 33의 선34-34에서 따라 본 정면도이고, 도 35는 도 33과 유사하지만, 막의 옆 테두리부가 안내 홈과 재결합하는 위치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도면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에서 여러 가지의 특정 실시 예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폐쇄 장치는 그 옆 테두리부(2)가 안내부재(3)에 의해 안내되고,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운동할 수 있는 가요성막(1)을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부는 안내 홈 내에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막의 면에 대하여 돌출 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막' 이라고 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는 기둥과 기둥 사이를 폐쇄하거나 분리 칸막이를 형성하기 위한, 예를 들면 천막, 플라스틱재료의 대편 등의 폐쇄체 또는 분리 체를 형성하거나 축의 주위에 감기거나 또는 접어 구부리거나 하는 것이 가능한 어떠한 평탄의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 점에 관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수직의 안내 홈 사이를 운동할 것 같은 막이 되는 방수판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폐쇄 장치는 상기 안내 홈에 있어서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가 꽉 차도록 할 수 있는 주름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안내부재(3) 내에서 긴 방향으로 상기 테두리부에 스러스트(thrust)의 힘을 더할 수 있도록 각 테두리부가 그 긴 방향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비압축성이라든가 또는 비압축성이었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가요성막(1)을 폐쇄위치에, 또한 필요에 따라 개방위치에 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안내부재(3)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2)에 작용할 수 있는 구동수단도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수단(4)이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에 그 긴 방향에 있어서 스러스트의 힘을 더하는 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나듯이 상기 막을 그 폐쇄위치에 향하게 하고 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실시 예에 있어서, 가요성막(1)은 벨트(32)의 자유단과 기본부(33)의 고정 점과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31)에 의해 개방된다. 가요성막(1)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벨트(32)는 제어박스(37)에 의해 제어되는 감속기(36)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0)에 고정된 풀리(pulley)에 감겨진다. 이처럼 스프링(31)은 도 1에 나타나듯이 가요성막(1)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당겨진다. 이 때문에 막이 폐쇄위치로부터 해방되면 막을 자동적으로 말아 올릴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가요성막(1)은 투명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져 3개의 창문(38)을 구성하고, 단면이 네모나고 2단의 티크(teak)(40)에 의해 폐쇄되어있는 박스(39) 내에서 개방위치에서는 감겨지고 있는 천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티크(40)은 서로 마주한 내면에 있어서 도 4와 도 5에 상세하게 나타난 나선모양의 안내 홈(18)을 가진다.
도 4에 나타나듯이 이 나선모양 안내 홈(18)은 곧은 안내부재(3)의 연장부에 이어져있다.
도 4부터 도 13까지에 상세하게 나타난 본 발명에 의한 폐쇄장치의 제 1실시 예에 있어서는 가요성막(1)은 그 옆 테두리부(2)에 있어서 해당 옆 테두리부(2)의 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강성이 있는 일련의 강성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강성부재(5)는 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합하고 가요성막(1)이 개방위치에 위치하는 때 해당 가요성막(1)을 박스(39) 내에서 말아 올릴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관절 접속되어있다.
도 8부터 도 13까지에 나타나듯이 이러한 강성부재(5)는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를 감싸고 막의 평면에 대해 어떠한 방향에서 돌기(6)를 형성하고, 막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와의 사이에서 자중에 의하여 움직여 버리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안내 홈(18) 내에서 어느 정도 마찰하고 미끄러진다. 이렇게 하는 것의 이점은 막의 운동 종점에 있어서 특별히 어떠한 제동 수단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다.
이 동일 실시 예에 있어서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는 대략 연속된 비드(bead)(7)을 가지고, 그 주위로 강성부재(5)가 고정되어있다.
이 비드는 예들 들면 유체 또는 도전체를 넣을 수 있는 속이 빈 파이프(8)로 되어있는 것이 유리하다.
도 6부터 도 13까지가 나타내는 실시 예에 있어서는 이 파이프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어떠한 공기식 안전장치의, 예들 들어 공기(41)과 같은 기체를 넣고 있다. 이처럼 상기 파이프(8)은 강성부재(5)와 덮개 강성부재가 그 안에서 움직이는 안내부재(3)와의 쌍방에 의해 완전히 보호되고 있다.
도 6부터 도 13까지에 나타나있는 제1의 특성 실시 예에 있어서는, 강성부재(5)는 가요성막(1)이 지나는 슬래브로부터 나오는 긴 방향의 슬롯(9)를 가지고 각축에 연결되는 2개의 플랜지(11)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2개의 연속하는 강성부재(5)의 사이에서 가요성막(1)의 한쪽에 빈틈(12)이 형성되고 앞서 말한 방향에 대한 막의 평면에 있어서 테두리부(2)가 횡방향으로 휠 수 있게 한다(도 9 참조). 이러한 강성부재(5)의 다른 방향의 플랜지(11)은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 부(2)의 길이 방향에 다른 단과 단이 서로 접합한다(도 8 참조).
자세한 것은 본 실시 예에 있어서 강성부재(5)의 최단 플랜지(flange)의 길이의 4분의 1인 빈틈(12)를 형성하도록 다른 편의 플랜지(11)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도 7은 막을 말아 올리고 있는 사이의 이러한 특정의 강성부재(5)의 동작을 개략 도면화 한다. 감겨진 옆 테두리부는 빈틈(12)에 있어서 자유롭게 구김이 생기고 휘기 쉽게 한다.
나선모양의 안내 홈(19)의 곡률 중심의 방향에 위치한 플랜지(10)이 강성부재(5)의 반대쪽의 플랜지(11)보다도 짧다는 사실에 의해 막을 개방위치에 말아 올리고 있는 동안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의 위를 이러한 부재 (5)가 움직이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실제로 도 7에 분명히 나타나듯이 2개의 연속한 강성부재는 옆 테두리부(2)의 중심축의 주위에서 관절 접속되고 한편이 중립축에 위치한 장소(11') 에 있어서 서로 접촉한 상태에 머문다.
도 6, 도 10 및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돌기(6)는 장방형 단면에서 안내 홈(18)에 있어서 가요성막(1)에 대해 어느 정도의 횡방향 유격을 붙이고, 더욱이 돌기(6)의 단면이 장방형으로 안내 홈(18)의 내측이 대응하는 형태인 결과 이런 안내 홈 내에서의 강성부재(5)의 각도운동은 극히 작고 안내 홈의 중심축(25)의 주위에서 세세하게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또 안내 홈(18)의 감겨지는 도중의 반경 방향의 거리는 그 감아올리는 위치에 있어서 감겨진 막의 포개진 층이 도 4부터 도 7에 분명히 나타나 있듯이 서로 접촉하지 않을 것 같은 거리이다. 또한 플랜지(4)의 사이로 가요성막(1)을 끌어당기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의 중요한 이점은 창문(38)이 막을 감아 올리는 중 아래에 홈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나선모양의 안내홈(18)은 다각형 단면이 바람직하고 가요성막(1)을 향하는 쪽에 있어서 그 벽(23)에 막을 통과시키기 위한 긴 방향의 슬롯(24)를 구비한, 실질적으로 튜브형의 홈(22)으로 구성한다.
이 홈(22)의 나선의 중심축(25)는 슬롯(24)의 대칭 형태의 평면에 위치하고, 막은 상기 평면(27)을 연결한다.
도 10은 막을 그 폐쇄 위치에 향하고 해방하는 사이의 안내 홈 (18) 내에서의 강성부재(5)의 위치를 나타낸다. 축(17)에 위치하는 곡률 중심은 이 경우 도 10의 우측에 있다. 이처럼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는 이 곡률 중심에 대하여 안내 홈의 바깥 면에 대하여 접합한다.
역으로 가요성막(1)을 말아 올리는 사이 강성부재(5)는 도 10에 나타나듯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경우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는 앞서 말한 곡률 중심에 가까운 측에 있어서 안내 홈(18)의 내면에 접합된다.
강성부재(5)의 이러한 여러 가지의 배치에 대하여, 막을 말아 올리거나 해방하는 사이의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상에서 강성부재가 움직이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나듯이 개방위치에 있어서 막이 나선모양에 감겨진다면 구동수단(4)는 티크(teak)(40)의 부근에 있어서 박스(39)내에서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의 상단과 관련하여 작동하는 신축 암(arm)(19)을 포함한다.
이 신축 암(19)은 상기축(17)에 걸쳐 연결되는 구동축(20)의 횡방향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20)에 대해 평행한 바(2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바는 막의 옆 테두리부(2)의 끝 부분과 관련하여 작동하고 상기 옆 테두리부는 다른 한편으로는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41)에 고정되고 다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바(21)의 긴 방향 홈(42) 내에 접해서 움직이는 접속부분(35)을 이용하여 나선 모양의 안내 홈(18)과 결합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신축 암(19)은 구동축(20)의 각 방향에 고정된 2개의 평행한 U자형 안내부분(43)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분(43)에 있어서 한 끝이 이것도 네 각의 튜브로부터 되는 바(21)와 일체의 단면이 네 각의 튜브(43)에 접해 움직이고 있다.
이처럼 가요성막(1)을 화살표(45)의 방향으로 운동시키기 위해 즉 막을 폐쇄위치에 가지고 오기 위한 구동축(20)은 모터(36)에 의하여 화살표(46)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접속부분(35)는 옆 테두리부(2)를 긴 방향으로 누르고, 한편 바(bar)(21)는 화살표(47)의 방향으로 운동한다. 필요에 따라 접속부분(35)은 막을 전개하고 있는 사이 바(bar)(21)의 홈(42)을 따라 접해 움직일 수 있다.
막의 개방은 앞에 쓰여진 대로의 같은 스프링(31)에 의해 또는 화살표(46)와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축(20)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에 상세히 나타난 것처럼 똑바른 안내부재(3)는 반탄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지고 U자형(48)이고 어느 정도를 넘어서 화살표 F의 방향으로 가요성막(1)에 견인력이 더해진다면 막의 옆 테두리부(2)가 안내부재(3)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어진다. 그러한 힘은 예를 들면 막이 여전히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에 가요성막(1)에 구동수단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다.
박스(39)의 입구에 있어서 각 안내 홈을 가지는 액세스(access)통로(49)에 의해 도 13에 나타나듯이 옆 테두리부(2)가 그 안내부재(3)로부터 벗어난다면 화살표(45)와는 반대 방향으로 막이 움직이고 있는 사이, 이 테두리부는 박스(39)의 입구에 있어서 안내 홈 안으로 의 이 액세스 통로(49)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재결합한다(도 4 참조).
U자형 부분(48)의 기초부분은 이것도 U자형 단면의 금속 지지체(50)로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지지체(50)는 도면에 나와 있지 않는 탄성 요소에 장착된다면 유리하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폐쇄 장치의 제2실시 예를 개략 도면 표시 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옆 테두리부(2)는 안내부재(3) 내를 움직이는 관절접속의 체인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수직의 안내부재(3)는 박스(box)(40)의 입구 앞에서 저해되고 이 저해장소에 있어서 옆 테두리부(2)의 각 측에 구동수단(4)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 수단은 2쌍의 톱니바퀴(51)가 되고, 그 바퀴 위로 관절 접속 체인(chain)(15)의 링크(rink)와 결합 할 수 있는 톱니를 외부에 구비한 무단벨트(belt)(52)가 운동하고 있다.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15에 톱니바퀴(51)의 회전축(55)만을 나타내고 있다. 제1실시 예에 대한 제2실시 예의 구분되는 차이는 박스(39) 내에 있어서 막은 그 개방 위치에 옮겨지면 지그재그 모양으로 접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폐쇄 장치의 제3실시 예를 간략 도식화 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가요성막(1)은 90도 휜 뒤 안내 홈(18)의 천장(53)을 따라 안내되고 수평방향의 개방 위치로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구동수단(4)은 화살표(54)에 나타난 것처럼 앞뒤로 운동하고 안내 홈(18)의 수평 방향 부분을 따라 운동 가능한 무단체인 진동 수단(16)을 포함한다. 막의 옆 테두리부(2)의 상단과 체인(16)과의 사이에 접속부재(35)가 설치되고 체인 (16)의 운동간 막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에서 운동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흥미 있는 변형에 있어서는 체인(16)의 옆 테두리부(2)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고 또 막을 그 폐쇄위치에 가지고 오기 위해 이러한 테두리부(2)의 축이 되는 선에 있어서, 상기 상단에 두고 눌릴 수 있도록 안내 홈(18)에 두고 안내할 수 있다.
도 17과 도 18은 수직의 안내부재(3) 및 강선부재(5)가 있기 때문에 앞서 행한 실시 예와는 서로 다른 본 발명에 의한 폐쇄 장치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낸다.
이 제4실시 예에 있어서 강성 부재는 U자형으로 바람직하게는 금속제의 클립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강성 부재에 있어서 플랜지(10, 11)의 자유단은 안내부재(3)의 바깥 테두리부 부근에 형성된 내측 중공부(56) 안으로 도 17에 나타나듯이 안으로 들어가게 되는 외측부분(10a, 11a)으로 향하고 굽은 형태로 되는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강성부재(5)는 상기 굽은 형태부분(10a, 11a) 및 돌기(6)의 사이에 있어서 막의 비드(bead)(7)의 주위에서 체결되고 안내부재(3)의 내부 에서 막의 옆 테두리부(2)에 있어서 서로 여러 강성부재(5)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작용하는 관통부분(57)을 갖고 있다.
막(1)에 화살표 F 방향의 견인력이 더해지면 옆 테두리부(2)는 활 모양으로 굽은 부분(10a, 11a)이 도 18에 나타나있듯이 안쪽에 탄력적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안내부재(3)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도 19, 도 20 및 도 21은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에 고정된 강성 강성부재(5)가 볼 조인트 커플링(28)을 이용하여 서로 관련하여 작동하는 점이 선행 실시 예와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본 발명의 특별히 흥미 있는 도 5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이 특정의 실시 예에 있어서는 이 볼 조인트 커플링은 강선 강성부재(5)의 한 끝에 구형의 벽(29)과 이 강성 강성부재(5)의 다른 끝에 구형의 머리(30)를 구비한 중추점을 포함한다. 강성 부재의 중추점의 머리(30)는 도 21에 명확히 나타나듯이 후송의 인접하는 강성 부재의 벽(29)과 관절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벽(29) 및 중추점(30)은 테두리부(2)의 긴 방향에 있어서 분할되어 있다. 이처럼 중추 점(30)을 대응하는 벽(29)에 압박하는 것에 의해 2개의 연속하는 강성 부재를 서로 대하여 확실하게 안정 고정하고, 한편 전 방향에 강성 부재를 관절 접속할 수 있도록 중추 점은 가볍고 압축된 자리의 쪽은 어느 정도 넓어질 수 있다. 이 압축 및 확산성은 강성 강성부재(5)의 재질에 따라서 변하는 것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처럼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에 비드(7)를 설치한 경우, 강성부재(5)는 도 20에 분명히 나타남과 같이 비드(7)의 주위에서 대응하는 벽(29) 및 중추점(30)과 함께 연재된다.
도 22와 도 23은 각 강성 강성부재(5)에 2개의 롤러(26)이 설치되고 이 때문에 안내부재(3) 내의 운동간 옆 테두리부(20의 마찰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점에서 선행 실시 예와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본 발명에 의한 폐쇄 장치의 제6실시 예에 관한다.
도 24부터 도 26까지는 막의 옆 테두리부(2)에의 강성부재의 고정이 비교적 간단한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관한다.
본 실시 예는 옆 테두리부(2)에 조금도 특수한 마무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점에서 선행 실시 예와 기본적으로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모든 선행 실시 예의 경우라도 서로 다르고 비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볼 조인트 커플링(28)을 구비한 강성 강성부재(5)는 서로 관절 접속된 2개의 플랜지(10, 11)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도 25와 도 26에 분명히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상기 2개의 플랜지는 막의 옆 테두리부의 각 측에서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이 목적에 대하여 플랜지(11)에 접하는 플랜지(10)의 면에는 플랜지(11)의 마주보는 면에 설치된 대응 구멍(60)에 진입하고 고정되도록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를 관통하는 핀(14)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강성부재(5)는 비교적 경질이지만 구멍(16) 안에 탄력적으로 핀(14)을 고정시 킬 수 있는 것으로 충분히 탄력성이 있는 플라스틱재를 써서 만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핀(14)의 선단(61)에는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를 꿰뚫기 쉽도록 도면화 하지 않은 금속제 캡을 설치할 수 있다.
도 27부터 도 29까지는 볼 조인트 커플링(28)이 각 강성부재(5)의 사이에서 각 강성부재(5)의 2단에 설치 된 대응의 벽(29)과 부분적으로 만나는 균열이 있는 볼(26)이 되는 점에서 도 19부터 도 21까지와 서로 다른 제8실시 예에 관한다. 이것들은 도 19부터 도 21까지 나타난 실시 예에 설치 된 것과 유사한 벽이다.
도 30부터 도 32까지는 본 발명에 의한 폐쇄 장치의 제9실시 예에 관한다.
이 실시 예는 그 옆 테두리부(2)가 그 긴 방향에 있어서 반드시 비압축성이 아니지만 안내부재(3)의 외측에서 옆 테두리부(2)의 부근을 연결하는 경직화 존(Zone)이 끼어있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비압축성이 되는 가요성막(1)이 사용되고 있는 점에서 선행의 실시 예와 기본적으로 서로 다르다.
이것은 특히 이러한 옆 테두리부(2)를 만드는데 있어서 특별히 주의할 필요 없이 서로에 대하여 관절 접속된 단순한 비드(bead) 또는 일련의 소형의 병설된 강성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문에서 이용하는 '옆 테두리부가 비압축성이 된다'라는 글은 안내 홈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경직 존과 조합되고 막을 폐쇄하는 방향에 상기 테두리부 또는 상기 경직 존(1') 에 스러스트(thrust)가 더해지면 이 테두리부가 안내 홈 안에서 변형하고 꽉 차서 폐쇄장치 전체의 올바른 기능을 해치는 과도한 마찰력을 발 생시키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옆 테두리부를 가리킨다.
또한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제9실시 예에 있어서 앞서 말한 경직 존(1')은 가요성막(1)에 고정되는 패임 부착 벨트로 형성되고 구동수단이 축의 중심(4')의 주위를 회전하고 패임 부착벨트(1')와 패임 부착 풀리(pulley)(4)가 된다. 패임 부착 벨트(1')와 풀리(4)와의 사이의 완전한 결합을 보증하도록 패임 부착 벨트(1')에 대하여 막의 반대측에 있어서 가압 롤러(roller)(4")가 가요성막(1)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접합한다.
옆 테두리부(2)에 관해서 해당 옆 테두리부는 알고 있듯이 척(chuck)의 일부의 조각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긴 방향에는 어느 정도의 압축성은 있지만 앞에 서술한 정의 내에서 말하는 실질적으로 비압축성이 되어있다.
이 제9실시 예의 변형으로서 옆 테두리부의 상기 척(chuck)의 조각을 패임 부착 벨트로 대신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면 동시에 구동수단의 일부와 안내부재(3)에서 운동하고 있는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 그 자체의 일부가 된다.
제33도부터 제35도까지는 안내부재(3)의 아랫부분으로부터 벗어난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를 자동적으로 삽입하고 바꾸기 위해 액세스(access) 통로(49)에 적용된 개량에 관한다. (안내 홈으로부터의 이탈에 관해서는 제4도 참조)
이것은 제19도부터 제 32도까지에 나타난 실시 예에 의한 막의 옆 테두리부에 대하여 특별히 유용한 개량에 관계된다.
실제로 어느 경우에, 옆 테두리부의 안내 홈(1) 내에 있어서의 마찰 때문에 제4도에 나타나는 실시 예의 경우처럼, 옆 테두리부(2)가 폐쇄 위치를 향하여, 즉 화살표(45) 방향으로 눌려졌을 때에 액세스 통로(49)에 있어서 지지받고 있지 않다고 하면, 이러한 테두리부(2)가 액세스 통로(49)의 위치에 있어서 겨우 휘고 안내부재(3)로부터 나오게 되는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개량은, 안내 홈의 상호 연장부분에 연결되는 2개의 개별 고정부분(3a, 3b)의 연장부분을 연결하는 제30도에 나타나는 제1의 위치와, 그 아래쪽 개구부가 안내부재(3)의 바깥쪽을 향하고 있는 제35도에 나타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중심을 잡고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부재(3)의 개별 고정부분(3a)과 힌지(hinge)(64)를 이용하여 테두리부(2)로 관절접속 되어있다.
스프링(65)이 접속 수단을 상기 제1의 위치로 유지하거나, 또는 복귀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제34도에 있어서 화살표(66)에서 나타나듯이 가요성막(1)이 그 개방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고 있는 사이에 안내부재(3)의 개별 고정부분(3b)으로부터 어떠한 이유로 벗어나는 경우, 접속수단(58)은 옆 테두리부(2)를 안내부재(3)의 개별 고정부분(3a)에 삽입하여 고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상기 제2의 위치에 가져올 수 있다.
막(1) 및 옆 테두리부(2)의 횡 방향 밑 테두리부(2)가 접속 수단의 위치, 또는 최종적으로 접속 수단의 위쪽까지 오게 됐을 때, 제33도에 나타나듯이 자동적으로 그 초기 위치를 취한다. 다음으로, 가요성막(1)을 폐쇄위치로 가지고 오기 위해 이러한 옆 테두리부는 안내부재(3)의 전장에 걸쳐 완전히 안내되는 것에 의해 액세스 통로(49)의 위치에 있어서 이 테두리부(2)의 지장, 즉 어긋남의 위험성을 배제한다.
제1의 위치에 대한 안내부재(3)와 접속 수단(58)의 완전한 연속성을 보증하기 위해, 접속 수단(58)은 완전히 연속된 안내부재(3)를 형성하기 위해 안내 홈의 고정부분(3a, 3b)과 동일한 내부 단면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제33도와 제34도에 있어서 막이 그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가정할 수 있도록 해당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는 나타나 있지 않은 것에 주목해야 한다. 반대로 제35도에 있어서는, 제27도부터 제29도까지에 나타나는 실시 예의 옆 테두리부(2) 처럼 볼(62)를 이용하여 서로 협동하고 있는 강성부재(5)를 나타내는 것으로 옆 테두리부(2)의 도면표시를 끝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폐쇄 장치의 흥미 있는 변형은, 가요성막(1)의 그 폐쇄위치를 향하는 운동 중 적어도, 가요성막(1)의 앞 테두리부(2)의 긴 방향에서의 압축을 저지할 수 있는 수단에 의해서 가요성막(1)을 폐쇄하기 위해, 옆 테두리부(2)에 견인력을 더하는, 예를 들어 케이블이나 복귀 풀리(pulley)로 된 구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변형에 있어서는, 옆 테두리부(2)가 길이 방향으로 비압축성이거나 또는 압축성인 것인가에 대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 번형에 있어서, 가요성막(1)은 적어도 폐쇄 위치에 있을 때는 안쪽을 옆 테두리부(2)가 움직이는 안내부재(3)의 사이로 끌려간다.
이것은 가요성막(1)의 자유 밑 테두리부(2) 부근에서, 예를 들면 강성 바(bar) 형태의 경직 요소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이점을 가진다. 이 경우 가요성막(1)은 어떠한 횡 방향의 경직 요소가 없더라도 완전히 탄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앞서 말한 첨부도면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의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없이 또한 많은 그 밖의 변형가능하고,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는, 해당 테두리부(2) 부근에서 막에 고정되고 안내부재(3)의 외측에 위치 된 일련의 강성 플레이트(plate)를 설치하거나, 가요성막(1)의 운동 방향에 보강 된 직포의 띠 조각을 가요성막(1)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옆 테두리부(2) 또는 상기 보강대 조각에 직접 슬러스트(thrust)력이 가요성막(1)을 폐쇄하는 방향에 더해지는 때에, 이 구역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옆 테두리부(2)에 있어서도 가요성막(1)이 구겨지지 않게 하는 것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대략 비압축성으로 할 수 도 있으며, 이 경우 옆 테두리부는 단지. 예를 들면 비드(bead)(7)로 형성하면 좋다.
또한 구별의 경우지만, 옆 테두리부(2)는 제27도부터 제29도까지에 나타나는 실시 예의 볼(62)과 같은 일련의 볼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대략 비압축성으로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볼은 이런 볼의 덮개를 형성하고, 이 경우 첨부도면에 나타나는 실시 예의 것보다 약간 큰 단면을 가지는 속이 빈 파이프(8)에 삽입할 수 있다.
다른 변형은, 예를 들면 그 사이에 가요성이지만 비압축성의 씰(Seal) 또는 척(chuck)의 톱니와 같은 작은 강성의 블록을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에 성형한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샤프트(20)가 가요성막(1)의 전장에 걸쳐 연결되는 것은 불가결하지 않다. 극단적인 경우, 이 샤프트(20)는 신축 암(arm)(19)을 구동하기 위해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 부근에 있어서 2개의 공축선 관계의 부분에 따라서 형성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제14도부터 제16도에 나타나는 실시 예의 경우처럼, 상기 샤프트(20)를 필요로 하지 않는 그 밖의 구동수단(4)에 사용된 경우, 그러한 샤프트(20)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이 없는 경우, 막은 반드시 말아 올릴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경사, 수평 또는 수직의 어느 한쪽의 평면을 운동시키면 좋다.
막이 동일 평면에 있어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를 움직이는 경우, 옆 테두리부는 반드시 가요성이 아니라도 좋다.
어떤 경우에는, 첨부 도면의 실시 예와는 대조적으로 막의 감아 올림은 아래 테두리부 부터 시작해도 좋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하여 저울추 바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가요성 막을 제공이 가능하고,
전체적으로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작동이 가능한 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며, 오랜 사용과 긴급 상황에서도 막이 기준에서 이탈하지 않는 등 그 사용상의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발명이라 하겠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구성하는 복수의 안내부재(3)와, 양측 면에 다수의 강성부재(5)를 길이방향으로 접합하여 관절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단면의 측면에 대하여 돌기(6)를 형성한 옆 테두리부(2)가 구성된 가요성막(1)을 각각 구성하되 옆 테두리부(2)의 돌기(6)가 안내부재(3)의 안내홈(18)에 유지된 상태에서 안내홈(18) 내에서 움직이도록 하여 가요성막(1)이 구동수단(4)에 구비되는 구동축(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옆 테두리부(2)가 양측으로 구성된 안내부재(3)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가요성막(1)의 개방위치가 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5)는 가요성막(1)이 관통하는 슬롯(9)을 유지하고, 돌기(6)를 양방향으로 연결되는 플랜지(10,11)형태의 모양으로 구성하되, 상기 돌기(6)의 한쪽의 플랜지(10)의 한 방향은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 방향의 길이가 다른 플랜지(11)의 것보다 짧도록 하여 2개가 연속된 강성부재(5) 사이로 가요성막(1)의 한 방향의 축에 빈틈(12)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요성막(1)의 면에 대해 횡단 방향의 상기 옆 테두리부(2)를 휘도록 하고, 상기 일련의 강성부재(5)의 앞서 기술한 다른 방향의 플랜지(11)는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의 종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끝과 끝에서 접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에 고정된 2개의 연속하는 강성부재(5)가 볼 조인트 커플링(28)을 두고서 서로 관련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5)는 가요성막(1)의 면에 진입하는 핀(14)에 의해 가요성막(1)의 옆 테두리부(2)의 각 방향에 고정할 수 있고, 서로 관절 접속된 두 개의 플랜지(10)(11)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3)의 안내홈(18) 바깥쪽에 유지되는 가요성막(1)의 어느 한쪽 방향의 옆 테두리부(2)의 한쪽 면에 비압축성의 막(1')을 작동방향인 종 방향으로 구성하여 가요성이 되는 경직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040025539A 2004-04-13 2004-04-13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KR101107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539A KR101107347B1 (ko) 2004-04-13 2004-04-13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539A KR101107347B1 (ko) 2004-04-13 2004-04-13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661U Division KR200373322Y1 (ko) 2004-10-11 2004-10-11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304A KR20050100304A (ko) 2005-10-18
KR101107347B1 true KR101107347B1 (ko) 2012-01-19

Family

ID=3727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539A KR101107347B1 (ko) 2004-04-13 2004-04-13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3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0213A (en) * 1975-06-06 1976-06-01 Atlantic Richfield Company Production of bitumen by steam injection
JPH11197261A (ja) * 1998-01-12 1999-07-27 Bunka Shutter Co Ltd 耐火スクリーン装置
JP2000031681A (ja) * 1998-07-13 2000-01-28 Ohbayashi Corp 電磁波シールドロールスクリー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0213A (en) * 1975-06-06 1976-06-01 Atlantic Richfield Company Production of bitumen by steam injection
JPH11197261A (ja) * 1998-01-12 1999-07-27 Bunka Shutter Co Ltd 耐火スクリーン装置
JP2000031681A (ja) * 1998-07-13 2000-01-28 Ohbayashi Corp 電磁波シールドロールスクリ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304A (ko) 200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2458B1 (ko) 가요성 막을 갖는 밀폐장치
KR100375471B1 (ko) 가요성 롤러 셔터를 갖는 도어용 안내 장치
RU2326225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подвижной шторкой, наматываемой на барабан
TWI399481B (zh) 配備具有軟性側邊緣之簾幕的關閉裝置
US5445209A (en) Guide system for vertically moveable flexible door
US5482104A (en) Guide system for vertically moveable flexible door
US8316913B2 (en) Sliding screen door
JP2007529656A (ja) ローラ・カーテン装置
JP6946471B2 (ja) ロールアップドア
JP2013532242A (ja) 防水バリア
KR20030095870A (ko) 가요성 시트 개폐장치
KR101107347B1 (ko)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KR200373322Y1 (ko) 가요성막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JP2005083126A (ja) 気密式防音窓
JP2007530839A (ja) ラピッドフォールディングドア
KR890700733A (ko) 통로밀폐용커텐
JP4521190B2 (ja) 案内路を有するシャッター装置
JP2014189040A (ja) 可動扉装置
US620969A (en) Shutter
JP7182992B2 (ja) 開閉装置
JP6362275B2 (ja) 屋根開口部の開閉装置
US20020056529A1 (en) Coupling mechanism and panel for sectional door
JP2003161089A (ja) スクリーン装置
JP4926518B2 (ja) 開閉装置
KR200256886Y1 (ko) 도어 밀폐용 커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