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007B1 - 착탈식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착탈식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007B1
KR101107007B1 KR1020090089051A KR20090089051A KR101107007B1 KR 101107007 B1 KR101107007 B1 KR 101107007B1 KR 1020090089051 A KR1020090089051 A KR 1020090089051A KR 20090089051 A KR20090089051 A KR 20090089051A KR 101107007 B1 KR101107007 B1 KR 10110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base plate
decorative material
velcro fastener
re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697A (ko
Inventor
강호양
제갈재호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9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0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20);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 접착된 상태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목재기둥(30); 다수의 목재기둥(30)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벨크로파스너(Velcro fastener)(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착탈식 장식재의 기능성 및 장식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 목재기둥, 벨크로파스너

Description

착탈식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A DETACHABLE DECORA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착탈식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착탈식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재(장식품)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장소의 장식에 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그 용도에 따라 여러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
특히 목재를 이용한 장식재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목재를 이용한 장식재 대부분은 접착수단이나 결합수단에 의해 단위부품을 일체화시켜 어떤 특정의 형상을 만듦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하자가 발생되거나 사용자가 형상에 싫증을 느끼게 될 경우 장식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 점이 있다.
또한, 재질적 측면에만 중점을 두어 장식성 및 심미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들어 단위부품이 퍼즐 형태로 맞물려 조립되는 구조의 목재 장식재가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목재 장식재는 제조시 발생되는 오차로 인해 조립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될 뿐 아니라 그 조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우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외형을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연출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장식성 및 심미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착탈식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식재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접착된 상태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목재기둥; 상기 다수의 목재기둥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목재기둥을 구속하는 벨크로파스너(Velcro fastener)를 포함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목재기둥은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는 절단면을 가지며, 둘레면에 수피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재기둥 및 상기 벨크로파스너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 부위에 설치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목재기둥이 밀착됨과 아울러 외측면에는 상기 벨크로파스너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식재의 제조방법은, 베이스플레이트를 준비 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다수의 목재기둥을 서로 인접하도록 접착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목재기둥 외부를 둘러싸도록 벨크로파스너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 부위에 보강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상기 다수의 목재기둥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서로 인접하도록 접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식재가 착탈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연출이 가능하며, 그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장식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피층을 통해 장식성은 물론이고 목재기둥의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보강플레이트를 통해 목재기둥이나 벨크로파스너의 설치상태를 한층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장식재의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조립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식재(10)는 베이스플레이트(20);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 마련되는 다수의 목재기둥(30); 다수의 목재기둥(30) 외부에 설치되는 벨크로파스너(Velcro fastener)(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20)는 사각 형상을 가지며, 일정 두께의 나무판재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목재기둥(30)은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 접착된 상태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또한 다수의 목재기둥(30)은 서로 밀집되어 그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아울러 장식성 및 심미성 등을 부각하기 위하여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물론, 다수의 목재기둥(30)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기둥(30)은 자연친화적 소재이며, 그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고유의 향이 발생됨은 물론이고 항균작용이나 습도조절작용 등을 수행할 수 있다는 특유의 장점이 있다.
목재기둥(30)은 접착제(60)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접착된다. 접착제(60)로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나,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기둥(30)은 심미성 및 장식성을 위해 부분적으로 명암을 가지는 것이 바 람직하며, 이러한 목재기둥(30)의 명암은 가공공정 중의 가열상태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목재기둥(30)은 장식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일정의 가공공정을 거칠 수 있다.
목재기둥(30)은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는 절단면(32)을 가지며, 그 둘레면에는 수피층(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목재기둥(30)은 장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수피층(34)이 일부 분리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피층(34)에 부분적으로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목재기둥(30)의 절단면(32) 및 수피층(34)을 통해 장식성 및 심미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나무에 대해 기본적인 설명이 가능하여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기여할 수 있다.
수피층(34)은 장식적인 기능 외 온도나 습도 등과 같은 주변환경으로 인한 목재기둥(30)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예컨대, 목재기둥(30)에 수피층(3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온도나 습도 등과 같은 주변환경에 의하여 목재기둥(30)이 변형되어 수명이 단축될 뿐 아니라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다수의 목재기둥(30)은 베이스플레이트(20)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사각 형태로 배치되며, 이를 위해 다수의 목재기둥(30) 중 외곽부에 위치하고 있는 일부는 측면의 일부가 절단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벨크로파스너(40)는 띠 형상을 가지며, 암·수벨크로파스너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벨크로파스너(40)는 다수의 목재기둥(30) 외부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밀착 설치되어 목재기둥(30)을 구속함으로써 목재기둥(30)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그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도 5에서와 같이 복수의 장식재(10) 간의 착탈수단으로 사용된다
벨크로파스너(40)는 그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목재기둥(30)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크로파스너(40)는 착탈이 간편할 뿐 아니라 그 부착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벨크로파스너(40)는 공지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목재기둥(30) 및 벨크로파스너(40) 사이에는 보강플레이트(50)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플레이트(50)는 목재기둥(30)이나 벨크로파스너(40)의 설치상태를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강플레이트(50)는 목재기둥(30)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0)의 테두리 부위에 기립 설치되고, 이때 보강플레이트(50)의 내측면에는 목재기둥(30)이 밀착됨과 아울러 외측면에는 벨크로파스너(40)가 설치된다.
보강플레이트(50)는 베이스플레이트(20)의 테두리 부위 전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일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보강플레이트(50)는 내구성을 고려하여 이중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착탈식 장식재의 제조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① 제1단계(S1) : 베이스플레이트(20)를 준비하는 단계.
이때, 베이스플레이트(20)는 특정의 형상 및 크기로 가공되어 있는 상태로 준비된다.
② 제2단계(S2) :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 다수의 목재기둥(30)을 서로 인접하게 접착하는 단계.
이때, 다수의 목재기둥(30)은 그 일측 절단면이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 접착된 상태에서 기립 설치된다.
③ 제3단계(S3) : 다수의 목재기둥(30) 외부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벨크로파스너(40)를 설치하는 단계.
이때, 벨크로파스너(40)는 접착수단에 의해 다수의 목재기둥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총 3단계를 거침으로써 착탈식 장식재의 제조공정이 최종적으로 완료된다.
한편, 착탈식 장식재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2단계(S2) 전 베이스플레이트(20)의 테두리 부위에 보강플레이트(50)를 기립 설치하는 단계를 거치거나 또는 제2단계(S2) 후 베이스플레이트(20)의 테두리 부위에 보강플 레이트(50)을 기립 설치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식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베이스플레이트(20,도 2참조)가 십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다수의 나무기둥(30)이 십자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보강플레이트(50)는 다수의 목재기둥(30) 외부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베이스플레이트(20)의 구조는 십자형 외 벨크로파스너(40)의 설치시 안정된 부착면을 가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며, 보강플레이트(50) 또한 필요에 따라 다수의 목재기둥(30) 외부에 전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20)의 형상 및 목재기둥(30)의 배치형태를 제외한 다른 기술적 내용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착탈식 장식재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식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식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식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식재의 목재기둥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식재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식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식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베이스플레이트 30 : 목재기둥
32 : 절단면 34 : 수피층
40 : 벨크로파스너 50 : 보강플레이트
60 : 접착제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베이스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다수의 목재기둥을 서로 인접하도록 접착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목재기둥 외부를 둘러싸도록 벨크로파스너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재 장식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 부위에 보강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상기 다수의 목재기둥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서로 인접하도록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장식재의 제조방법.
KR1020090089051A 2009-09-21 2009-09-21 착탈식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0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051A KR101107007B1 (ko) 2009-09-21 2009-09-21 착탈식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051A KR101107007B1 (ko) 2009-09-21 2009-09-21 착탈식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697A KR20110031697A (ko) 2011-03-29
KR101107007B1 true KR101107007B1 (ko) 2012-01-25

Family

ID=4393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051A KR101107007B1 (ko) 2009-09-21 2009-09-21 착탈식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3813A1 (ko) * 2012-06-05 2013-12-12 Shim Sookoo 천연 나무토막을 이용한 조형 작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5202A (ja) * 1994-12-09 1996-06-25 Kanatsukusu:Kk 押花装飾体
JPH1058898A (ja) * 1996-08-23 1998-03-03 Koichi Kawasaki 丸太装飾板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5202A (ja) * 1994-12-09 1996-06-25 Kanatsukusu:Kk 押花装飾体
JPH1058898A (ja) * 1996-08-23 1998-03-03 Koichi Kawasaki 丸太装飾板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3813A1 (ko) * 2012-06-05 2013-12-12 Shim Sookoo 천연 나무토막을 이용한 조형 작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697A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20621S1 (en) Wood bark square
USD615135S1 (en) Element for a toy building set
USD559080S1 (en) Spacer
USD715523S1 (en) Sole for footwear for unstable surfaces
USD583702S1 (en) Square modified brilliant cut gemstone
USD621874S1 (en) Stencil for children
USD611302S1 (en) Decorative glass
KR101107007B1 (ko) 착탈식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USD598659S1 (en) Glass panel with decorative pattern
USD624364S1 (en) Decorative glass
USD531539S1 (en) Artificial palm tree assembly for a patio table
USD506340S1 (en) Desk top
CN105926873A (zh) 一种弧形楼梯扶手及其制作方法
USD605072S1 (en) Precious stone cut
USD549289S1 (en) Game board
USD545711S1 (en) Watch dial
CN201460142U (zh) 集成实木地板
CN205296717U (zh) 一种方形石木复合拼花地板
CN101225702A (zh) 塑料连续封边刨花板地板及其生产方法
CN1810525B (zh) 镶嵌式面材装饰制品及其制造工艺
CN201040907Y (zh) 镶嵌结构木地板
CN201133195Y (zh) 实木制边框内线条扣压芯框芯板中扣压中空艺术玻璃门
USD520274S1 (en) Furniture top with border
CN202157706U (zh) 窗扇封边连接组件
US20080102255A1 (en) Acrylic Decorative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