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859B1 -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 Google Patents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859B1
KR101106859B1 KR1020080126981A KR20080126981A KR101106859B1 KR 101106859 B1 KR101106859 B1 KR 101106859B1 KR 1020080126981 A KR1020080126981 A KR 1020080126981A KR 20080126981 A KR20080126981 A KR 20080126981A KR 101106859 B1 KR101106859 B1 KR 101106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issile
groove
durable member
launch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579A (ko
Inventor
송재현
김성일
Original Assignee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8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77Doors or covers for launch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52Means for securing the rocket in the launch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는, 강성을 갖는 내구성 부재(110), 내구성 부재(110)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피복되고 탄력을 갖는 외측피복(120)과 내측피복(130) 및 내구성 부재(110)의 주연부에 피복되고 탄력을 가지며 외측피복(120)과 내측피복(130)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연에 체결구멍(142)이 형성된 주연부(140)를 포함한다.
유도탄, 파열 덮개, 발사관

Description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Explosion cover of guided missile torpedo tube}
본 발명은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사관에 유도탄이 장착된 상태에서 파열 덮개로 발사관을 덮도록 하고, 유도탄이 발사될 때 파열덮개가 파열되도록 하는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사관은 유도탄을 보관하고 발사기능을 갖고 있고, 외부환경으로부터 격리시켜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즉, 외부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서 발사관에 파열 덮개를 설치할 수 있고, 유도탄이 발사되면 유도탄의 탄두가 파열 덮개를 파열하면서 발사되며 이때 파열 덮개의 파열은 유도탄의 탄두에 충격량이 최소화 되어야 한다.
또한, 파열 덮개는 발사관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요구조건을 충족시켜야 하고, 일례로서 발사관 내의 일정압력을 유지하고 외부의 습기로부터 유도탄을 보호하여야 한다.
또한, 파열 덮개를 군함과 같이 습기가 많은 수상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밀 폐가 되어야 하므로 오링, 지지링, 캐스킷 등의 부가적인 구성요소가 필요한 구성이다.
이하 종래의 파열 덮개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의 파열 덮개는 우레탄 폼으로 제작되는데 이를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파열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사관(10)의 내부에는 유도탄(50)이 장착되고, 발사관(10)의 외측단부에는 파열 덮개(40)가 설치된다.
상술한 발사관(10)은 외측 단부에 플랜지(12)가 형성되고, 파열 덮개(40)의 주연부(42)에는 내외측에 각각 어댑터 링(20)과 서포터 링(30)이 배치되며, 어댑터 링(20)은 상술한 플랜지(12)에 설치된다.
특히, 상술한 주연부(42)에는 턱(44)이 형성될 수 있고, 어댑터 링(20)과 서포터 링(30)이 서로 결속되면서 상술한 파열 덮개(40)를 압착시키는 형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파열 덮개(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우레탄 폼의 재질로 구성되고, 이러한 우레탄 폼은 소정의 강도가 담보되면서도 유도탄의 발사에 영향을 그다지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파열 덮개(40)의 재질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파열 덮개(40)는 유도탄이 발사된 직후에 여러 조각으로 파열되어 파편이 비산될 수 있고, 이러한 파편은 아군의 위치가 적군에 쉽게 노 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열 덮개(40)의 파편이 선상에 떨어질 때에 파편 일부를 회수할 수 있지만, 해수면에 떨어지는 파편은 수거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잠수함과 같이 수중에서 유도탄이 발사된 직후에는 파열 덮개(40)의 파편이 수면에 떠오르게 되고, 이로써 유도탄이 발사된 위치와 발사체(잠수함 등)의 위치가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종래의 파열 덮개(40)는 발사관(10)의 전방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어댑터 링(20), 서포터 링(30) 등이 반드시 필요하고, 또한 밀폐를 위하여 오링과 같은 패킹요소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파열 덮개(40)를 설치하기 위해서 많은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도탄의 발사로 인해 파열 덮개가 파열되더라도 그 파열 덮개의 파편은 외부로 흩어지지 않고 발사관에 남겨지도록 하는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는, 강성을 갖는 내구성 부재; 상기 내구성 부재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피복되고 탄력을 갖는 외측피복과 내측피복; 및 상기 내구성 부재의 주연부에 피복되고 탄력을 갖으며 상기 외측피복과 상기 내측피복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연에 체결구멍이 형성된 주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열 덮개는, 상기 외측피복에 방사선 방향으로 제1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피복에는 상기 제1 그루브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내구성 부재에는 상기 제1, 제2 그루브가 형성된 위치에 제1 세목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열 덮개는, 중앙부의 두께보다 가장자리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내구성 부재의 두께는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열 덮개는, 상기 외측피복에 원호 형상으로 제3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피복에는 상기 제3 그루브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4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내구성 부재에는 상기 제3, 제4 그루브가 형성된 위치에 제2 세목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피복 또는 상기 내측피복은, 중앙부의 두께보다 가장자리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는 유도탄의 발사로 인해 파열 덮개가 파열되더라도 그 파열 덮개의 파편은 내외측피복에 의해 내구성 부재의 파편이 붙들릴 수 있어 흩어지지 않고 발사관에 남겨지므로 파열 덮개의 잔재 물을 쉽게 회수할 수 있고 이로써 발사체(잠수함, 군함 등)의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종래의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사관(10)의 전방에 형성된 플랜지(12)에 파열 덮개(1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파열 덮개(100)는 내구성 부재(110)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외측피복(120)과 내측피복(130)이 피복되고, 상술한 내구성 부재(110)의 주연부에 상술한 외측피복(120)과 상술한 내측피복(130)에 일체로 형성되고 주연부(140)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내구성 부재(110)는 강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일례로서 우레탄 폼 또는 합성수지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외측피복(120)과 내측피복(130) 및 주연부(140)는 탄력을 갖는 재질일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연질의 재질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내구성 부재(110)와 상술한 외측피복(120) 및 내측피복(130)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성형될 때에 상술한 내구성 부재(110)의 표면에는 접착력을 유도하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내구성 부재(110)와 상술한 외측피복(120) 및 내측피복(130)은 더욱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고, 아울러 밀착력이 유지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주연부(14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 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파열 덮개(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외측피복(120)에 방사선 방향으로 제1 그루브(122)가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내측피복(130)에는 상술한 제1 그루브(122)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그루브(1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내구성 부재(110)에는 상술한 제1, 제2 그루브(122)(132)가 형성된 위치에 제1 세목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2 그루브(122)(132)는 파열될 때에 파열이 유도될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상술한 제1 세목부(116)에서 파열이 유도되어 내구성 부재(110)가 조각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파열 덮개(100)가 파열되면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세목부(116)에서 쪼개질 수 있고, 내구성 부재(110)는 상술한 외측피복(120)과 내측피복(130)의 사이에 붙들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주연부(140)는 탄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밀폐를 목적으로 구성하는 패킹 등의 구성요소가 없더라도 밀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주연부(140)의 외측에는 서포터 링(15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술한 서포터 링(150)은 파열 덮개(100)를 발사관(10)에 체결하였을 때에 주연부(140)가 일그러지지 않고 곧은 상태로 밀착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파열 덮개(100)는 파열 덮개(100)의 중앙부가 파열되더라도 가장자리의 주연부(140)는 파열되지 않고 볼트(14)의 조임력에 의해 플랜지(12)에 잔류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파열 덮개(100)가 유도탄이 발사되면서 파열되는데 이때, 파열 덮개(100)의 중앙부는 상술한 제1, 제2 그루브(122)(32)에 의해 파열이 유도되어 찢어질 수 있지만, 주연부(140)쪽은 파열되지 않고 발사관(10)의 전방에 잔존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내구성 부재(110)는 파열되어 조각이 날 수 있지만, 내측피복(120)과 외측피복(130)은 유도탄의 발사 열에 의해 수축될 수 있어 내구성 부재(110)의 파편은 더욱 견고하게 내측피복(120)과 외측피복(130)사이에 붙들리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파열 덮개(100)는 제1 실시예에서 주연부(140)의 두께를 현저하게 두껍게 형성하여 더욱 두꺼운 주연부(140a)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두꺼운 주연부(140a)는 재질이 탄성을 갖고 연질일지라도 강성을 가질 수 있고, 이로써 종래에서처럼 어댑터 링(20) 또는 서포터 링(30) 등의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는 파열 덮개(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볼트(14)를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파열 덮개(40)의 구성에 비교하여 구성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채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파열 덮개(100)는, 중앙부의 두께(t1)보다 가장자리의 두께(t2)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내구성 부재(110)의 두께는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파열 덮개(1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피복(120) 또는 내측피복(130)은, 중앙부의 두께(t3)(t5)보다 가장자리의 두께(t4)(t6)가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내구성 부재(110)가 파열될 때에 제1 세목부(116)에 의해 유도된 특정한 위치에 파열될 수 있지만. 외측피복(120)과 내측피복(130)은 중앙부분이 집중적으로 파열되고 가장자리는 상대적으로 적게 파열되어 내구성 부재(110)가 파열된 직후에 내구성 부재(110)의 파편을 더욱 효율적으로 붙들 수 있는 것이다.
<제4 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파열 덮개(100)는 내구성 부재(110)가 파열될 때에 꺾이면서 파열될 수 있도록 그루브를 더 형성한 것이다.
즉,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피복(120)에 원호 형상으로 제3 그루브(124)가 형성될 수 있고, 내측피복(130)에는 상술한 제3 그루브(124)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4 그루브(1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구성 부재(110)에는 상술한 제3, 제4 그루브(124)(134)가 형성된 위치에 제2 세목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열 덮개(100)가 파열될 때에 제1, 제2 그루브(122)(132)와 제1 세목부(116)에 의해 유도되어 파열되어 마치 파편은 부채꼴형상을 이룰 수 있지만. 이러한 부채꼴형상의 파편이 상술한 제3, 제4 그루브(124)(134)아 제2 세목부(118)에 의해 유되어 파열될 수 있다.
또한, 내구성 부재(110)는 파열되더라도 제3, 제4 그루브(124)(134)에서 마 치 관절처럼 꺾일 수 있고, 특히. 내구성 부재(110)가 파열되고 제3, 제4 그루브(124)(134)가 꺾이면서 충격에너지가 감쇄될 수 있으며 파열된 내구성 부재(110)는 외측피복(120)과 내측피복(130)의 사이에서 붙들릴 수 있어 내구성 부재(110)의 파편이 비산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는 유도탄이 장착되는 발사관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사관 12: 플랜지
14: 볼트 20: 어댑터 링
30: 서포터 링 40: 파열 덮개
42: 주연부 44: 턱
100: 파열 덮개 110: 내구성 부재
116: 제1 세목부 118: 제2 세목부
120: 외측피복 122, 124: 제1, 제3 그루브
130: 내측피복 132, 134: 제2, 제4 그루브
140, 140a: 주연부 150: 서포터 링

Claims (4)

  1. 강성을 갖는 내구성 부재(110);
    상기 내구성 부재(110)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피복되고 탄력을 갖는 외측피복(120)과 내측피복(130); 및
    상기 내구성 부재(110)의 주연부에 피복되고 탄력을 갖으며 상기 외측피복(120)과 상기 내측피복(130)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연에 체결구멍(142)이 형성된 주연부(140);
    를 포함하는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 덮개는,
    상기 외측피복(120)에 방사선 방향으로 제1 그루브(122)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피복(130)에는 상기 제1 그루브(122)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그루브(132)가 형성되며,
    상기 내구성 부재(110)에는 상기 제1, 제2 그루브(122)(132)가 형성된 위치에 제1 세목부(116)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 덮개는,
    중앙부의 두께(t1)보다 가장자리의 두께(t2)가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내구성 부재(110)의 두께는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 덮개는,
    상기 외측피복(120)에 원호 형상으로 제3 그루브(124)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피복(130)에는 상기 제3 그루브(124)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4 그루브(134)가 형성되며,
    상기 내구성 부재(110)에는 상기 제3, 제4 그루브(124)(134)가 형성된 위치에 제2 세목부(118)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KR1020080126981A 2008-12-15 2008-12-15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KR101106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81A KR101106859B1 (ko) 2008-12-15 2008-12-15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81A KR101106859B1 (ko) 2008-12-15 2008-12-15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579A KR20100068579A (ko) 2010-06-24
KR101106859B1 true KR101106859B1 (ko) 2012-01-19

Family

ID=4236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981A KR101106859B1 (ko) 2008-12-15 2008-12-15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8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459B1 (ko) 2010-07-19 2013-01-15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의 발사관용 전방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09496A (ko) 2022-01-13 2023-07-20 국방과학연구소 파열식 돌출형 발사관 전방덮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219B1 (ko) * 2010-07-13 2013-02-18 국방과학연구소 발사관 및 그 제조방법
RU2545222C1 (ru) * 2013-11-05 2015-03-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пециаль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Разрушаемая крышка пусковой трубы
KR101898336B1 (ko) * 2016-09-21 2018-09-12 주식회사 한화 발사관 덮개
KR102042673B1 (ko) * 2018-12-10 2019-11-08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CN110806151B (zh) * 2019-09-25 2021-02-12 北京玻钢院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导弹易碎前盖及其制备方法
CN111981904B (zh) * 2020-08-26 2022-06-28 北京理工大学 一种侧向运动翻转的压强扰动波开启发射箱前盖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996 추진공학회 논문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459B1 (ko) 2010-07-19 2013-01-15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의 발사관용 전방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09496A (ko) 2022-01-13 2023-07-20 국방과학연구소 파열식 돌출형 발사관 전방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579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859B1 (ko)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US7954412B2 (en) Launch tube protective cover
US7775918B2 (en) Soft projectile
US3228334A (en) Bondless &#34;high performance&#34; rocket nozzle closure
KR20100138883A (ko) 항공기로부터 덮개를 분리하고 제거하기 위한 기기
CN114829868B (zh) 弹药前锥
US20130186295A1 (en) Diversionary grenade having watertight seal
WO2010001051A3 (fr) Principe d&#39;intégration, contre menaces asymétriques, de systèmes d&#39;armes missiles sur rampe fixe pour bâtiments de surface furtifs
RU2460960C1 (ru) Разрушаемая крышка пусковой трубы
US7191693B2 (en) Arrangement for weapon
US20020073831A1 (en) Single-impact, viscous fluid ram-plate
KR101316073B1 (ko) 미사일의 노즐 구속 해제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US4788914A (en) Missile nosepiece
US10222182B1 (en) Modular shaped charge system (MCS) conical device
US3229635A (en) Rocket nozzle diaphragm seal
RU175301U1 (ru) Разрушаемая крышка транспортно-пускового контейнера
RU2437049C1 (ru) Быстросъемная передняя крышка пусковой трубы
WO2021015699A1 (en) Canister cover
RU24260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блока стабилизаторов снаряда
KR20160068460A (ko) 다연장 발사장치
EP2107330B1 (en) Fast-release shutter for a submarine countermeasure launch device, and relative fabrication method
RU2148772C1 (ru) Ракетно-торпедная пусковая установка
RU2170904C1 (ru) Ракетно-торпедная пусковая установка
KR102500952B1 (ko) 둔감 성능을 갖는 탄두 및 이를 포함하는 탄약
GB2121933A (en) Cartridge case for sealing signal ammu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