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442B1 -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442B1
KR101106442B1 KR1020040077989A KR20040077989A KR101106442B1 KR 101106442 B1 KR101106442 B1 KR 101106442B1 KR 1020040077989 A KR1020040077989 A KR 1020040077989A KR 20040077989 A KR20040077989 A KR 20040077989A KR 101106442 B1 KR101106442 B1 KR 10110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smsc
service
delete dele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023A (ko
Inventor
윤민근
조일원
이석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7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4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Abstract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된 부가 서비스부를 문의하며,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부가 서비스 중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삭제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SMSC와; 상기 SMSC로부터 문의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SMSC로 회송하기 위한 HLR와;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차단 번호를 저장하며, 상기 SMSC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와 상기 차단 번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SMSC로 전송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가 상기 SMSC에서 삭제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를 위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불필요한 단문 메시지를 차단할 수 있다.
단문 메시지, 이동 단말기, 수신 차단

Description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creening SMS To Receive At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단말기 200 : 기지국
250 : MSC 300 : PSTN
350 : 유선 단말기 400 : HLR
500 : SMSC 600 : PSMSS
650 : TIIS 700 : 인터넷
800 : 웹 서버 900 : 컴퓨터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로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불필요한 단문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방식 등의 이동 단말기들 간의 메시지 통신을 가능하게 하거나, 유선 망에서의 메시지를 이동 통신 망 내의 처리 장치에 일단 저장한 다음 디지털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해 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하 SMS를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라 한다.
이동 단말기로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는 최근의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 업체의 증가에 따라, 각 서비스 업체 별로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이에 따라 이러한 서비스 홍보 및 광고를 위해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의 수도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문 메시지 수신 방법은, 서비스 업체의 홍보 또는 광고에 관련된 단문 메시지가 다수의 이동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분별하게 전송됨으로써, 임의적으로 단문 메시지 수신을 차단할 수 없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에게 불필요한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일일이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고 삭제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업체 또는 특정 연령 대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되는 광고 또는 업체 홍보에 관련된 단문 메시지인 경우 관련된 몇몇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만 유용하게 이용될 뿐 이외의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는 불필요한 단문 메시지로 사용자를 귀찮게 만들 뿐이다.
또한, 이와 같이 불필요하게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로 인해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가 소모되어 배터리 낭비로 인한 이동 단말기 사용 시간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수신으로 인하여 겪는 불편은 이러한 불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뿐만 아니라, 특정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송하는 음란성 언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로 인하여 피해를 겪게 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단문 메시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여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은,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된 부가 서비스부를 문의하며,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부가 서비스 중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삭제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SMSC;
상기 SMSC로부터 문의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SMSC로 회송하기 위한 HLR; 및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차단 번호를 저장하며, 상기 SMSC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와 상기 차단 번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SMSC로 전송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가 상기 SMSC에서 삭제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를 위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은,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된 부가 서비스를 문의하며,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개별 통화 수신 거부 서비스(ICS)에 가입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삭제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SMSC;
상기 SMSC로부터 문의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부가 서비스를 검 색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SMSC로 회송하기 위한 HLR; 및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차단하고자 하는 전화 번호를 저장하며, 상기 SMSC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와 상기 차단하고자 하는 전화 번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SMSC로 전송하기 위한 TII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은,
A)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는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된 부가 서비스를 HLR로 문의하는 단계;
B) 상기 HLR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부가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SMSC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SMSC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 필터링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 필터링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와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차단 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E) 상기 문의 결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SMSC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은,
ⅰ) SMSC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ⅱ) 상기 SMSC가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개별 통화 수신 거부 서비스(ICS) 가입 여부를 HLR로 문의하는 단계;
ⅲ) 상기 착신 단말기가 ICS에 가입된 단말기인 경우, TIIS로 발신 단말기의 회송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ⅳ) 상기 TIIS에서 상기 회송 전화번호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등록한 차단 전화번호를 비교하는 단계;
ⅴ)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TIIS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불가 메시지를 상기 SMSC로 전송하는 단계; 및
ⅵ) 상기 SMSC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불필요한 단문 메시지를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은 기지국(200), MSC(Mobile Switching Center: 250), HLR(Home Location Registry: 400),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500),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를 위한 서버(Premium Short Message Service Server; 이하 PSMSS 라 한다: 600), 인터넷(700), 및 웹 서버(8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200)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및 BSC(Base Station Controll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MSC(25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 처리를 SMSC(500)로 요청한다.
SMSC(500)는 상기 MSC(250)로부터 단문 메시지의 전송 처리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기의 위치를 HLR(400)로 문의한다. 이 때,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된 부가 서비스에 대해 HLR(400)로 문의한다.
상기 HLR(40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SMSC(500)은,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부가 서비스 중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삭제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SMSC(500)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는 경우, 소정의 서버 예컨대 PSMSS(600)에 삭제된 단문 메시지를 삭제 이유와 함께 전송한다. 상기 PSMSS(600)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문 메시지 처리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HLR(400)은 상기 SMSC(500)로부터 문의된 착신 단말기의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된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상기 SMSC(500)로 전송한다.
결과를 수신한 SMSC(500)가 PSMSS(600)으로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발송한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를 전송한다.
상기 PSMSS(600)는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 단말기(100)로부 터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하기 위해 등록된 차단 번호를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수정된 차단 번호를 저장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PSMSS(600)는 상기 SMSC(500)로부터 수신되는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를 등록된 차단 번호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SMSC(500)로 전송한다. 비교 결과에 따라 단문 메시지가 SMSC(500)에서 삭제된 경우, 상기 SMSC(500)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PSMSS(600)로 전송하는데, 상기 PSMSS(600)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 이유와 함께 저장하며, 응답 메시지를 상기 SMSC(500)로 전송한다.
웹 서버(WEB Server ; 800)는 인터넷을 통하여 PSMSS(600)와 접속 가능하며, 사용자가 상기 웹 서버(800)를 통하여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에 가입하고 차단 번호를 관리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착신된 단문 메시지를 발송한 발송 단말기의 전화번호로부터 장래에 착신될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웹 서버(800) 또는 왑 서버(WAP Server; 미도시)에 접속하여 상기 발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한다. 이 때, 상기 단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소정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웹 서버(800) 또는 왑 서버와 링크된 메뉴 항목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 번호는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 중 통신사 번호 3 자리를 포함하는 숫자로 구성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090 세 자리를 선택한 경우, 090으로 시작하는 전화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여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는 모두 차단된다. 현재 사용되는 전화번호는 통신사 번호 3자리, 국번 4자리, 및 사용자가 선택한 4자리, 모두 11자리를 사용하지만, 향후 전화번호가 11자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단 번호를 11자리를 초과하여 설정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은 기지국(200), MSC(Mobile Switching Center: 250),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300), 유선 단말기(350), HLR(Home Location Registry: 400),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500), TIIS(Telephony & IP Integration System: 650), 인터넷(700), 및 웹 서버(800)를 포함한다.
SMSC(500)는 이동 단말기(100) 또는 인터넷(700)에 접속된 컴퓨터(900)로부터 전송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조회를 HLR(400)로 요청한다.
또한, SMSC(500)는 상기 HLR(400)로부터 수신된 착신 단말기가 가입된 부가 서비스가 개별 통화 수신 거부 서비스(ICS)인 경우, TIIS(Telephony & IP Integration System: 650)로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가 착신 단말기에 의해 등록된 차단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문의한다. 문의 결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SMSC(500)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한다.
상기 TIIS(650)는 착신 단말기 즉, 이동 단말기(100) 또는 컴퓨터(900)가 인 터넷(700)에 접속하여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고자 하는 차단 전화번호를 등록한다. 상기 차단 전화번호는 웹 서버(800)를 통하여 ICS에 가입한 사용자가 호 또는 단문 메시지의 착신을 차단하고자 상기 TIIS(650)에 등록되며, 필요에 따라 수정, 및 삭제 가능하다.
HLR(400)은 상기 SMSC(500)로부터 문의된 착신 단말기의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된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SMSC(500)로 전송한다. 그 결과를 수신한 상기 SMSC(500)가 응답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ICS에 가입된 경우,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를 TIIS(65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TIIS(650)에서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를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등록한 차단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상기 SMSC(500)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착신된 단문 메시지를 발송한 발송 단말기의 전화번호로부터 장래에 착신될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웹 서버(800) 또는 왑 서버(WAP Server; 미도시)에 접속하여 상기 발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한다. 등록된 차단 전화번호는 상기 웹 서버(800) 또는 왑 서버로부터 TIIS(650)로 전송된다.
이 때, 상기 단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소정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웹 서버(800) 또는 왑 서버와 링크된 메뉴 항목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유선 단말기(350)에 착신된 단문 메시지를 발송한 발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착신 거부 전화번호로써 등록하기 위하여 PSTN(300)을 통하여 웹 서버(800) 또는 TIIS(650)로 상기 발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송신한다. 이동 단말기(100)와 유사하게 상기 단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유선 단말기의 소정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웹 서버(800)와 링크된 메뉴 항목이 디스플레이 되어 상기 발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차단 전화번호는 전화번호의 일 부분인 아닌 전체(Full) 전화번호로 구성된다. 즉, 상기 차단 전화번호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통신사 번호, 국번, 및 사용자 지정 번호로 구현되며, 유선 전화망의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지역번호, 국번, 및 사용자 지정 번호 또는 국가 번호, 지역번호, 국번, 및 사용자 지정번호로 구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 MSC(250)는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처리하기 위하여 SMDPP(Short Message Delivery Point to Point)를 SMSC(500)로 전송한다(S300).
이 때, 상기 MSC(250)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SMSC(500)로 전송한다(S310).
상기 SMSC(500)는 HLR(400)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질의하면, 상기 HLR(400)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부가 서비스에 대하여 검색한 다음 그 결과를 상기 SMSC(500)로 전송한다(S320, S330).
이 때, 상기 착신 단말기가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HLR(400)은 상기 SMSC(500)로 제1 파라미터인 [SMS_Capability=PSMS]라는 MAP 파라미터를 전송한다. 상기 SMS_Capability 파라미터는 가입자의 SMS 관련 서비스 정보를 HLR(400)에서 SMSC(500)로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SMSC(500)는 SMS_Capability=PSMS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가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에 가입되었다고 판단하고, PSMSS(600)로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의 차단 여부를 문의한다(S340).
상기 PSMSS(600)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등록된 차단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상기 SMSC(500)로 전송한다(S350).
상기 단계 S340 및 S360을 SMPP 프로토콜에 적용시키면, 상기 SMPP 프로토콜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정의된 SMPP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추가한다. 예를 들면, [service_req] 및 [service_req_resp]를 추가하고, 상기 SMSC(500) 및 상기 PSMSS(600)가 상기 오퍼레이션들을 교환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service_req] 파라미터에 포함된 주요 파라미터 값의 일 예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Service_id = PICS
Message ID = SMSC의 메시지 ID
Callback_num=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
상기 [callback_num] 파라미터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내는 포맷을 갖으며, 향후 확장이 가능하다.
Figure 112004044493596-pat00001
상기 [service_req_resp]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주요 파라미터 중 제2 파라미터인, action_code의 파라미터 포맷은 다음 [표 3]과 같다.
Figure 112004044493596-pat00002
따라서, 상기 PSMSS(600)로부터 상기 SMSC(500)로 전송되는 [service_req_resp] 파라미터에 포함된 action_code=2인 경우는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S350의 비교 결과, 발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와 등록된 차단 번 호가 일치하는 경우이다.
또한, 상기 PSMSS(600)로부터 상기 SMSC(500)로 전송되는 [service_req_resp] 파라미터에 포함된 action_code=1인 경우는 도 4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S350의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PSMSS(600)이 상기 SMSC(500)로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와 등록된 차단 번호가 일치한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SMSC(500)는 상기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한다(S360, S370).
단문 메시지의 삭제 후, 상기 SMSC(500)는 상기 PSMSS(600)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 이유와 함께 전송한다(S380).
상기 전송 이유는 SMPP 프로토콜에 의해 제1 실시예에 따라 정의된 short_message 파라미터 내 필드에 [3. screened message] 항목을 추가한다. 그 일 예를 하기 표 4에서 나타냈다.
Figure 112004044493596-pat00003
상기 PSMSS(600)은 수신된 단문 메시지 및 그 전송 이유를 저장하고, 응답 메시지를 SMSC(500)로 전송하면, 상기 SMSC(500)는 발신 단말기에 대하여 과금을 생성한다(S385, S390).
또한, 상기 PSMSS(600)로부터 상기 SMSC(500)로 전송되는 [service_req_resp] 파라미터에 포함된 action_code=1인 경우 즉, 도 4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S350의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에서 단계 S400 내지 S450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파라미터에 포함된 action_code=1 인경우, 상기 SMSC(500)는 MSC(250)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다(S470).
또한, 상기 SMSC(500)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MSC(250)로 전송하고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단문 메시지를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PSMSS(600)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발신 단말기로 과금을 수행한다(S480, S490).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 MSC(250)는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처리하기 위하여 SMDPP 파라미터를 SMSC(500)로 전송하며 상기 단문 메시지를 함께 전송 한다(S500, S510).
상기 SMSC(500)는 HLR(400)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질의하면, 상기 HLR(400)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부가 서비스에 대하여 검색한 다음 그 결과를 상기 SMSC(500)로 전송한다(S520, S530).
이 때,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개별 통화 수신 거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HLR(400)은 상기 SMSC(500)로 [SMS_Capability=ICS]라는 MAP 파라미터를 전송한다. 상기 SMS_Capability 파라미터는 가입자의 SMS 관련 서비스 정보를 HLR(400)에서 SMSC(500)로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SMSC(500)는 SMSC_Capability=ICS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개별 통화 수신 거부 서비스에 가입되었다고 판단하고, TIIS(650)로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의 수신 거부여부를 문의한다(S540).
상기 TIIS(650)는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가 등록된 수신 거부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상기 SMSC(500)로 전송한다(S550, S560).
상기 단계 S540 및 S560을 SMPP 프로토콜에 적용시키면, 상기 SMPP 프로토콜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정의된 SMPP 오퍼레이션을 추가한다.
예를 들면, [service_req] 및 [service_req_resp]를 추가하고, 상기 SMSC(500) 및 상기 TIIS(650)가 상기 오퍼레이션들을 교환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service_req] 파라미터에 포함된 주요 파라미터 값의 일 예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Service_id = ICS
Message ID = SMSC의 메시지 ID
Callback_num=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
상기 [callback_num] 파라미터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표 2에 나타내는 포맷을 갖으며, 향후 확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TIIS(650)로부터 상기 SMSC(500)로 전송되는 [service_req_resp] 파라미터에 포함된 action_code=2인 경우는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S550의 비교 결과, 발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와 수신 거부 전화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이다.
이 때, 상기 SMSC(500)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한다(S570).
그러나, 상기 TIIS(650)로부터 상기 SMSC(500)로 전송되는 [service_req_resp] 파라미터에 포함된 action_code=1인 경우는 도 6에 도시 된 바 와 같이 상기 단계 S550의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 때, 상기 SMSC(500)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MSC(25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유선 단말기(350)로 전송한다(S67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단문 메시지의 착신자가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여 선택적으로 단문 메시지를 받을 수 있고, 불필요한 단문 메시지를 유선망의 네트워크 구성 요소인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 차단함으로써 이동 통신 무선 환경에 미치는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Claims (42)

  1.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기가 단문메시지 차단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HLR에 문의하며, 상기 착신 단말기가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단문메시지 차단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고 회신 결과에 따라 삭제하거나 착신자에게 발신하는 SMSC;
    상기 SMSC로부터 문의된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가입 여부를 상기 SMSC로 회송하는 HLR; 및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차단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SMSC로부터 수신된 발신자 정보와 상기 차단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SMPP프로토콜에 관련 파라미터를 추가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SMSC로 전송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가 상기 SMSC에서 삭제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서버;
    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을 통하여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에 가입하고 소정의 번호를 차단 번호로써 등록, 수정, 삭제하며, 저장된 차단 번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웹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단문 메시지를 발송한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를 차단 번호로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상기 단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소정의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함께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파라미터는 SMPP 오퍼레이션으로서 service_req_response의 제2파라미터인 action_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LR은,
    MAP 파라미터 내에 제 1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SMSC로부터 문의된 상기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가입 여부를 상기 SMSC로 회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MSC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한 후 상기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서버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때 이용되는 파라미터의 필드에 차단 메시지 항목을 추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기가 단문메시지 필터링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HLR에 문의하는 단계;
    상기 HLR이 상기 SMSC로부터 문의된 단문 메시지 필터링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SMSC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SMSC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 필터링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 필터링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와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차단 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소정의 서버에 문의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서버는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를 SMPP프로토콜에 관련 파라미터를 추가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SMSC에 송부하는 단계; 및
    상기 SMSC는 상기 SMPP프로토콜에 관련 파라미터를 추가한 메시지를 수신 받은 후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소정의 서버의 판단 결과가 일치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SMSC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HLR이 상기 SMSC로부터 문의된 단문 메시지 필터링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SMSC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HLR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된 부가 서비스 중 단문 메시지 관련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관련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MAP 파라미터 내의 제 1 파라미터에 관련 부가 서비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1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SMSC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필터링 서비스는 단문 메시지를 차단 서비스 또는 개별 통화 수신 거부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
  24. 삭제
  25. 삭제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파라미터는 SMPP 오퍼레이션으로서 service_req_response의 제2파라미터인 action_code이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와 차단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action_code를 차단 호(disconnect_call)로 설정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번호와 차단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action_code를 진행 호(connect_call)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MSC에서 삭제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소정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서버에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고 응답 메시지를 상기 SMSC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SMSC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하여 과금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SMSC에서 삭제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소정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삭제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소정의 서버로 전송할 때,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저장을 요청하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가 전송 이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방법.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040077989A 2004-09-30 2004-09-30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6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989A KR101106442B1 (ko) 2004-09-30 2004-09-30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989A KR101106442B1 (ko) 2004-09-30 2004-09-30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023A KR20060029023A (ko) 2006-04-04
KR101106442B1 true KR101106442B1 (ko) 2012-01-18

Family

ID=3713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989A KR101106442B1 (ko) 2004-09-30 2004-09-30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703045D0 (en) * 2007-02-16 2007-03-28 Jk Comm Ltd Controlling messaging on a mobile telephone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548A (ko) * 2003-10-22 2003-11-10 한민규 단문자 메시지 필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2571A (ko) * 2002-11-15 2004-05-20 (주) 엘지텔레콤 에스엠에스메시지 수신확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571A (ko) * 2002-11-15 2004-05-20 (주) 엘지텔레콤 에스엠에스메시지 수신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6548A (ko) * 2003-10-22 2003-11-10 한민규 단문자 메시지 필터링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023A (ko) 200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5414B1 (en) Automatic SMS handling
US79533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message notification
JP4261501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同システムの移動局
JP4255140B2 (ja) 情報の無線検索方法
JP4723841B2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336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esenting and changing ring-back sounds in subscriber-based ring-back sound service
US200301867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 time GSM user device profile interrogation and registration
EP21492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advertisement content into a text message
US726041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over a WLAN
KR20080092408A (ko)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무선 유닛 상태 알림 시스템
US20090041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2005005327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검색 방법
EP1940096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mobile devices
KR100754449B1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1106442B1 (ko) 단말기로 착신되는 단문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92472A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KR20020072921A (ko)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305207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並びにネットワーク装置
KR20050112142A (ko) 스팸 호 수신 거부 시스템 및 방법
CN1985530B (zh) Wlan上建立多媒体信息服务的无线通信方法及系统
KR10084042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37728A (ko) 국제 발신 번호 관리 방법, 장치 및 단말
KR100411136B1 (ko) 발신자 id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3669A (ko)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무선 이동 단말기를 통한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KR20020043968A (ko) 무선 명함 데이터의 관계형 통합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