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432B1 -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432B1
KR101106432B1 KR1020100031696A KR20100031696A KR101106432B1 KR 101106432 B1 KR101106432 B1 KR 101106432B1 KR 1020100031696 A KR1020100031696 A KR 1020100031696A KR 20100031696 A KR20100031696 A KR 20100031696A KR 101106432 B1 KR101106432 B1 KR 101106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ime
local database
server
compu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545A (ko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03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43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94Packet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컴퓨팅 장치의 브라우저 내에 구축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사용자 체감 수준의 응답 속도를 정확히 측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컴퓨팅 장치의 브라우저에서 사용자 체감 응답 시간의 기록을 위한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시작 시간을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전송된 http request에 대한 http response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후 화면 출력 시점에 서비스 종료 시간을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해당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 데이터를 상기 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관리자 컴퓨팅 장치에서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사용자의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컴퓨팅 장치{Method for Measuring User Sensory Performance of Web Ser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e and Computing Device}
본 발명은 인터넷 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체감의 응답 속도에 대한 측정을 사용자 브라우저의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체감 성능이 우수한 측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식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인터넷 서비스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거의 모든 서비스가 HTTP 프로토콜을 따르는 웹서비스로 발전해 가는 상황에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진보된 단말기 기술이 개발되면서 모바일 오피스 프로그램의 사용이 가능하고, 디바이스의 성능 향상 및 무선 네트워크의 급속한 진화에 따라 풀브라우저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고, IPTV를 비롯한 다양한 웹 미들웨어 서비스가 대세로서 각광을 받는 시기가 도래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기존의 HTML 및 웹 브라우저에서는 서비스 처리 상의 한계를 보이고 있고,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등과 같이 복잡한 처리 로직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서는 X-인터넷 등과 같은 별도의 플랫폼을 구비해야 했는데, 최근에는 HTML5의 기술이 개발되면서 별도의 플랫폼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웹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풍부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네트워크 관련 기업들에서는 제공 서비스가 고객 체감 수준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하는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에 대응하는 서비스 향상을 기해야 하는 고객 지향 서비스(Customer Oriented Service)가 최우선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웹 서비스에 대한 응답 속도는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가장 보편적인 지표인 동시에, 정량적인 수치로 표현이 가능하므로 객관성을 확보해주는 중요한 관리 정보로서 활용되고 있다.
웹 서비스의 품질을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지표로서 서비스에 대한 응답 속도 및 응답 시간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최근에는 고가격대의 전문적인 툴(Tool)을 도입하여 응답 속도의 측정을 진행해오고 있는 바, 이러한 전문 툴들은 대부분 고가격대이므로 시스템 성능 관리를 위한 투자 비용이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고객으로부터 입력이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고객의 디바이스에 결과가 노출될때까지 디바이스-네트워크-서버를 거치는 여러 과정의 프로세스 중에서 해당 전문 출이 측정 가능한 영역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고객의 체감 속도와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사용자 체감의 응답 속도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 컴퓨팅 장치의 브라우저 내에 구축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사용자 체감 수준의 응답 속도를 정확히 측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컴퓨팅 장치의 브라우저에서 사용자 체감 응답 시간의 기록을 위한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시작 시간을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전송된 http request에 대한 http response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후 화면 출력 시점에 서비스 종료 시간을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해당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 데이터를 상기 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관리자 컴퓨팅 장치에서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사용자의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에 따르면,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사이트에 접근시 사용자 체감 응답 시간의 기록을 위한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http request의 발생과 서버로부터의 http response에 따른 정보의 화면 출력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 데이터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브라우저와, 상기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시작 시간을 기록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http response 수신후 화면 출력 시점에 서비스 종료 시간을 기록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웹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에 갖추어진 브라우저 내에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측정하고자 하는 주요 서비스 또는 업무 사항에 대해서 사용자의 입력 시작점으로부터 서버로부터의 응답 수신 및 화면 표출에 따른 종료점까지의 응답 시간을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기록하고,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자료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여 서비스 모니터링 측에서 고객의 체감 서비스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툴이나 플랫폼 등을 고가로 구매하여 사용하지 않고서도 사용자의 브라우저를 활용하여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를 가장 정확하고 신속하게 측정하여 관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한 관리 비용 절감 및 사용자 관점에서의 실질적인 체감 성능의 관리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의 구현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형성을 위한 브라우저의 버전 체크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로컬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 및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고객 체감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각각 기록하는 의사 코드(Pseudo Code)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브라우저의 로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서버에 전송되는 의사 코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저장 데이터 및 데이터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도 7의 플로우차트에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의 구현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관리자 컴퓨팅 장치(10)와, 사용자 컴퓨팅 장치(20),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30), 메인 데이터베이스(40)로 구성된다.
상기 관리자 컴퓨팅 장치(10)는 측정 대상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를 설정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측정 대상 업무(또는 기능)를 설정하며,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는 사용자 체감 응답 시간의 데이터를 원스탑(One Stop)으로 관리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특정 업무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브라우저(22)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브라우저(22)의 버전 체크 과정을 통해 해당 브라우저(22)에 로컬 데이터베이스(24)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는 사용자 체감 서비스 시작 시간 및 서비스 종료시간을 각각 로컬 데이터베이스(24)에 기록하고, 해당 로컬 데이터베이스(24)에 기록된 사용자 체감 응답 시간의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에 제공한다.
상기 관리자 컴퓨팅 장치(10)와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는 데스크탑 컴퓨터 단말과, 노트북 컴퓨터 단말, 넷북 컴퓨터 단말 등의 컴퓨팅 기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 단말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가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의 특정 업무 또는 특정 기능의 개시에 따라 HTTP 요청(Request)를 받고 그에 대한 HTTP 응답(Response)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체감 서비스 종료 시간이 해당 사용자 컴퓨팅 장치(20)에서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로부터 체감 응답 시간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40)에 제공한다.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40)는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에서 산정된 사용자 체감 응답 시간의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상기 관리자 컴퓨팅 장치(10)에 제공한다.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형성을 위한 브라우저의 버전 체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의 브라우저(22)는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의 웹사이트 접근시에 자신의 브라우저 버전이 오프라인 데이터베이스 기능 즉, 로컬 데이터베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버전인지를 체크하게 되는데,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의 네비게이터 오브젝트(Navigator Object)의 의사 코드(Pseudo Code)를 사용하여 브라우저 버전을 체크하게 된다.
상기 자바 스크립트의 네비게이터 오브젝트의 의사 코드 함수는 아래의 표 1을 일예로 하여 정의할 수 있다.
<script>
변수 userAgent 생성;
변수에 navigator.userAgent 대입;
변수 userAgent 파싱;
</script>
상기 의사 코드를 해당 브라우저에 대해 대입하게 되면, 해당 브라우저가 크롬 플러스(Chrome Plus) 브라우저인 경우에 해당 크롬 플러스 브라우저의 유저 에이전트 값의 브라우저 정보가 출력되고,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7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유저 에이전트 값의 브라우저 정보가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각 브라우저의 유저 에이전트 값 내에 포함되어 있는 버전을 체크하여, 해당 브라우저(22)가 로컬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고, 가능한 경우에 로컬 데이터베이스(24)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우저 버전의 체크 과정은 해당 웹 사이트의 서비스 특성에 따라 사용자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로그인을 진행한 이후에 버전 체크를 수행하고, 로그인과 상관없이 사이트의 접근시에 곧바로 진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컴퓨팅 장치(10)는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의 사이트가 로그인 대상자만을 상대로 서비스를 진행하는 환경인 경우에, 서버에 로그인된 측정 대상자만을 대상으로 응답 시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의 브라우저(22)에 의해 생성된 로컬 데이터베이스에는 해당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과, 각 응답 시간에 대한 저장 테이블을 갖추게 된다.
상기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별 응답 시간의 기록을 수집하고 관리하기 위해 해당 개인에 대한 메타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로서, 고유(Unique) ID와, 사이트의 로그인 계정 ID, 해당 컴퓨팅 장치에 할당된 IP 정보, 브라우저의 종류 및 버전 정보, 생성 시간 등을 저장한다.
상기 고유 ID는 컴퓨팅 장치의 동일 디바이스 내에서 여러개의 브라우저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 각 브라우저 별로 구분하여 관리하거나, 하나의 디바이스 장치에서 복수 사용자를 처리하도록 멀티태스킹 처리(예컨대, 풀브라우징을 서버에서 대신 처리하는 서버-사이드 렌더링(Server-Side Rendering) 기술로서의 웹뷰어 등)를 관리하기 위한 추가 정보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브라우저에서 각각 발생하는 응답 시간이 서로 혼동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된다.
그에 따라, 상기 고유 ID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관리자 또는 기업 정책에 따라 서로 구분이 가능한 차별성을 갖도록 하는 어떠한 형태로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바, 예컨대 브라우저의 기동 이후 최초 등록 시점에서의 1/1000초 단위 까지의 시간을 각 브라우저를 구분하는 고유 ID로 활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고유 ID는 사용자 관련 메타 정보 저장시에 추가로 생성하여 저장하게 되며, 해당 고유 ID를 테이블에 저장함과 동시에 브라우저 내의 전역 변수에도 별도로 기록함에 의해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기록할때 응답시간 저장 테이블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과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을 연결(Join)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웹페이지의 페이지 이동 여부에 관계없이 브라우저에서 공통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에 사용자 개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은 자바스크립트 환경에서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데, 동적 웹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jsp(javaserver page) 또는 asp(active server page), php(hypertext preprocessor)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데이터 로직 내에서 얻어낼 수 있고,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는 로그인 아이디를 포함하여 각 사용자 관련 정보를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은 로그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익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응답시간을 수집하는 경우에는 개인 별로 응답시간을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해당 테이블을 굳이 생성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 ID와, 업무 코드, 시작 시간, 종료 시간을 각각 저장하는 컬럼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유 ID는 상기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의 고유 ID와 연결함에 의해 어떤 사용자가 어떤 업무에서 응답 시간을 사용하였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업무 코드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특정 화면에서의 업무 내용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사전에 코드의 형태로 정의되어 있고, 상기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은 1/100초 내지는 1/1000초 단위까지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브라우저(22)에서 로컬 데이터베이스(24)를 생성하는 과정에서는, 로컬 데이터베이스가 이미 생성되어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게 되는데, 이미 로컬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고 미전송된 데이터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에서 모든 응답 시간의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었으면, 해당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 및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의 데이터들을 가비지(Garbage)로 판단하여 삭제하고 각 테이블을 클리어(Clear) 처리하게 되는데, 데이터를 클리러 처리하는 이유는 서버로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거나 이전 접속했던 사용자의 메타 정보가 DHCP(즉, 동적 IP 할당) 환경에서 이전 IP가 의미가 없어지거나 브라우저를 새롭게 실행할 경우에 고유 ID가 바뀌어 버린다는 원인 등으로 인해 과거 데이터의 존재 가치를 상실하기 때문이다.
상기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에서 시작 시간의 기록은 사용자 체감의 시작 시간을 기록하기 위해, 측정 대상 업무의 진행시에 사용자가 이벤트를 실행하는 시점(예컨대 마우스 버튼의 클릭 시점)에 해당 업무의 관리 코드를 포함한 정보들과 그 시점의 시각을 추출하여 저장하게 된다.
사용자 체감의 시작 시간을 기록하는 의사 코드에 대한 것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동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으로부터 시작 시간이 기록되고 http request가 전송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코드를 보여준다, 여기서, "write_startpoint()" 함수는 데이터 기록을 위한 공통 함수이다.
상기 브라우저(22)에서의 http request에 대해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로부터 http response가 수신되고 나서, 로직 처리를 거쳐서 화면에 출력되는 처리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의 레코드에는 종료 시간이 업데이트되는 바, 이러한 사용자 체감의 종료 시간을 기록하는 의사 코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이후,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의 브라우저(22)는 로컬 데이터베이스(24)에 기록된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에 전송하게 되는데, 실시간 전송 또는 주기적인 전송 방식의 선택은 편의에 따라 상기 관리자 컴퓨팅 장치(10)를 통해 관리자가 선택적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24)의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의 고유 ID에 연결되는 고유 ID를 갖는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의 데이터까지 함께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와 사용자별 응답시간 정보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하지만, 익명의 사용자에 대한 응답 시간의 전송시에는 개인 정보의 연결없이 응답 시간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로컬 데이터베이스(24)로부터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함수의 의사 코드를 갖게 되는 바, "Timeout"에 의해 재귀적(Recursively)으로 자기 자신을 호출하고 있으며, 응답 시간의 종료 시각 기록시마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예에서의 "write_endpoint()" 함수 내의 마지막 부분에서 도 5의 "relay_data_to_server()" 를 호출하고 "Timeout"을 삭제하면 된다.
한편,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의 주기적 재전송 시점 이전에 사용자에 의해 로그아웃이 되고 서비스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면, 그 시점에서 로컬 데이터베이스(24)에 남아 있는 미전송된 응답시간 데이터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미전송 데이터가 있으면 이를 서버로 전송하고, 도 5에 도시된 의사 코드의 전송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호출을 한번 더 해 주도록 한다. 서버로부터의 로그아웃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의 로컬 데이터베이스(24) 내의 테이블에 있는 메타 데이터 및 응답 시간 데이터는 전송후 삭제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40)에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응답 시간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해, 측정 대상 사용자 관리 테이블과, 사용자 정보 및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을 생성하여 관리하게 되는데,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24)의 테이블에 정의된 형식으로 데이터를 넘겨받아서 정보를 파싱한 다음 테이블의 각 컬럼에 저장한다.
상기 측정 대상 사용자 관리 테이블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 ID와, 측정 대상 여부(Y/N)의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 ID와, IP, 브라우저 정보, 업무 코드, 시작시간, 종료 시간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의 정보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24)의 테이블에 정의된 컬럼수에 따라 변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자 컴퓨팅 장치(1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통한 화면 모니터링을 통해 측정 대상자 별로 응답 시간의 변화 및 분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40)에 통계 테이블을 별도로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통계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여 테이블값을 통한 통계 데이터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7 및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관리자 컴퓨팅 장치(10)는 응답 시간을 측정할 측정 대상 업무 및 측정 대상 사용자를 설정하게 되고(단계 S10), 측정 대상 사용자로 설정된 사용자 컴퓨팅 장치(20)에서는 브라우저(22)를 구동하여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의 사이트에 접속한다(단계 S11).
그리고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는 사용자가 브라우저(22)에서 측정 대상 업무에 따른 화면 상의 버튼을 누르는 등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지 확인한다(단계 S12).
확인 결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컴퓨터 장치(20)는 그 시점에서 상기 브라우저(22)에 의해 생성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24)의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에 사용자 체감 서비스 시작 시간을 기록하게 된다(단계 S13). 그리고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는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른 http request를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에 전송한다(단계 S14).
이에 대해,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는 http request에 응답하는 http response를 발생하게 되고(단계 S15),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의 로컬 데이터베이스(24)는 상기 http response에 의해 해당 사용자 컴퓨팅 장치(20)의 화면에 결과가 화면 표시되는 시점에서 그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에 사용자 체감 서비스 종료 시간을 기록하게 된다(단계 S16).
한편,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는 해당 로컬 데이터베이스(24)의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를 통하여 메인 데이터베이스(40)에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한다(단계 S17).
그에 따라, 상기 관리자 컴퓨팅 장치(10)는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40)에 기록되는 사용자 체감 기록 시간에 대한 응답 시간을 원스톱 화면을 활용하여 추이 변화 및 통계 처리를 통해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단계 S18).
한편, 상기 단계 S11 내지 단계 S17에 해당되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 내에서의 정보 처리 과정에 대해 도 8의 플로우차트르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의 브라우저(22)에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의 사이트에 접근한 상태에서(단계 S20), 자바스크립트의 네비게이터 오브젝트를 활용하여 해당 브라우저(22)의 버전을 체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21).
상기 버전 체크 결과, 해당 브라우저가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버전인지를 판단하게 되는데(단계 S22),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하는 버전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통상의 http request 발생 및 http response 수신에 따른 화면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2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브라우저(22)가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하는 버전인 것으로 판단되면, 로컬 데이터베이스(24)를 생성하거나 이미 로컬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면 오픈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24).
한편, 이미 생성되어 있는 로컬 데이터베이스(24)에 대해서는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미전송된 데이터가 있으면 이를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로 전송하고, 서버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는 삭제함과 더불어, 과거의 사용자 메타 정보가 있으면 삭제한다(단계 S25).
또한,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24)에는 사용자의 메타 정보를 추출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에 기록한다(단계 S26).
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는 사용자의 이벤트 조작(예컨대 마우스 버튼 조작)이 발생되는지 확인한다(단계 S27). 확인 결과 상기 이벤트 조작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는 그 시점에서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24)의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에 서비스 시작 시간을 기록한다(단계 S28)., 그리고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는 상기 이벤트 조작에 따른 http request를 발생시켜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로 전송한다(단계 S29).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는 상기 전송된 http request에 대해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로부터 http response가 수신됨에 의해(단계 S30), 해당 업무에 관련된 화면 출력이 이루어지면(단계 S31), 그 시점에서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에 서비스 종료 시간을 기록하게 된다(단계 S32).
그 다음에,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의 브라우저(22)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된 데이터를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0)로 전송한다(단계 S33).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관리자 컴퓨팅 장치, 20:사용자 컴퓨팅 장치,
22:브라우저, 24:로컬 데이터베이스,
30: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 40:메인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컴퓨팅 장치의 브라우저에서 사용자 체감 응답 시간의 기록을 위한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시작 시간을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전송된 http request에 대한 http response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후 화면 출력 시점에 서비스 종료 시간을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해당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 데이터를 상기 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제3단계; 및
    관리자 컴퓨팅 장치에서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사용자의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를 확인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로그인 ID와, 디바이스의 IP,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 생성시간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컬럼을 갖춘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을 생성하고,
    업무 코드, 시작 시간, 종료 시간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컬럼을 갖춘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을 생성하고,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서 여러 브라우저를 사용하거나, 복수 사용자를 처리하는 멀티 태스킹 처리를 위해 각 브라우저 별 구분을 위한 고유(Unique) ID를 추가로 생성하여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 및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에 각각 저장하고, 상기 고유 ID를 통해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과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을 연결(Join)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는 브라우저를 통한 상기 서버의 사이트 접속시에 해당 브라우저의 버전을 체크하여,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가능한 버전으로 확인된 경우에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 데이터를 상기 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 전송 또는 주기적인 전송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
  6.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컴퓨팅 장치의 브라우저에서 사용자 체감 응답 시간의 기록을 위해 기 생성되어 있는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오픈하는 제1단계와;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시작 시간을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전송된 http request에 대한 http response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후 화면 출력 시점에 서비스 종료 시간을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해당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 데이터를 상기 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제3단계; 및
    관리자 컴퓨팅 장치에서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사용자의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를 확인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는 로그인 ID와, 디바이스의 IP,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 생성시간의 정보를 기록하는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과,
    업무 코드, 시작 시간, 종료 시간의 정보를 기록하는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과 상기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에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서 여러 브라우저를 사용하거나, 복수 사용자를 처리하는 멀티 태스킹 처리를 위해 각 브라우저 별 구분을 위한 고유(Unique) ID를 추가로 생성하여 각각 저장하고,
    상기 고유 ID를 통해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과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이 연결(Join)되어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기 생성된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오픈시에 서버에 미전송된 데이터가 있으면, 상기 미전송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저장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의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사이트에 접근시 사용자 체감 응답 시간의 기록을 위한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http request의 발생과 서버로부터의 http response에 따른 정보의 화면 출력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 데이터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브라우저와;
    상기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시작 시간을 기록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http response 수신후 화면 출력 시점에 서비스 종료 시간을 기록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는 로그인 ID와, 디바이스의 IP,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 생성시간의 정보를 기록하는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과,
    업무 코드, 시작 시간, 종료 시간의 정보를 기록하는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과 상기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에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서 여러 브라우저를 사용하거나, 복수 사용자를 처리하는 멀티 태스킹 처리를 위해 각 브라우저 별 구분을 위한 고유(Unique) ID를 추가로 생성하여 각각 저장하고,
    상기 고유 ID를 통해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과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이 연결(Join)되어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서버의 사이트 접속시에 해당 자바스크립트의 네비게이터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브라우저의 버전을 체크하고,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가능한 버전으로 확인된 경우에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 데이터를 상기 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 전송 또는 주기적인 전송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14.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사이트에 접근시 사용자 체감 응답 시간의 기록을 위해 기 생성되어 있는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오픈하고,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http request의 발생과 서버로부터의 http response에 따른 정보의 화면 출력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 시작/종료 시간 데이터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브라우저와;
    상기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시작 시간을 기록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http response 수신후 화면 출력 시점에 서비스 종료 시간을 기록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는 로그인 ID와, 디바이스의 IP,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 생성시간의 정보를 기록하는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과,
    업무 코드, 시작 시간, 종료 시간의 정보를 기록하는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과 상기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에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서 여러 브라우저를 사용하거나, 복수 사용자를 처리하는 멀티 태스킹 처리를 위해 각 브라우저 별 구분을 위한 고유(Unique) ID를 추가로 생성하여 각각 저장하고,
    상기 고유 ID를 통해 개인 정보 저장 테이블과 응답 시간 저장 테이블이 연결(Join)되어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는 기 생성된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오픈시에 서버에 미전송된 데이터가 있으면, 상기 미전송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저장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100031696A 2010-04-07 2010-04-07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컴퓨팅 장치 KR101106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696A KR101106432B1 (ko) 2010-04-07 2010-04-07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컴퓨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696A KR101106432B1 (ko) 2010-04-07 2010-04-07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컴퓨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545A KR20110112545A (ko) 2011-10-13
KR101106432B1 true KR101106432B1 (ko) 2012-01-18

Family

ID=4502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696A KR101106432B1 (ko) 2010-04-07 2010-04-07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컴퓨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3100A1 (en) 2015-12-29 2017-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enabling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2130544B1 (ko) * 2018-04-24 2020-07-06 주식회사 비바엔에스 어플리케이션의 접속속도를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성능관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7969B1 (en) 1999-09-01 2004-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diagnosing a computer in a network system
US7216168B2 (en) 1999-05-12 2007-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measuring performance time in a network system using a browser's “done” indicator message
KR20080091408A (ko) * 2006-12-27 2008-10-13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품질 관리를 위한 자동 속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6168B2 (en) 1999-05-12 2007-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measuring performance time in a network system using a browser's “done” indicator message
US6697969B1 (en) 1999-09-01 2004-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diagnosing a computer in a network system
US20040153792A1 (en) * 1999-09-01 2004-08-05 Merriam Greg Elliot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diagnosing a computer in a network system
KR20080091408A (ko) * 2006-12-27 2008-10-13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품질 관리를 위한 자동 속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545A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8912B2 (en) Synchronized console data and user interface playback
US79526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presentation of content over a network to a visually impaired user
KR102504075B1 (ko) 사용자 디바이스 이벤트의 매칭 및 속성
JP2013508807A (ja) インターネットナビゲーションページ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12696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user activity at website
JP2009521027A (ja) ウェブ・コンテンツを再構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CN104125308B (zh) 针对多用户的域名解析的方法和域名解析系统
KR20140111265A (ko)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901649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 dual layer browser
CA3152018A1 (en) Business parameter collecting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20286524A1 (en) Network latency detection
US11782958B2 (en) Multi-user cross-device tracking
US803706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user activity at website
WO2020155765A1 (zh) 移动终端爬取数据的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KR101106432B1 (ko) 웹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응답 속도 측정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컴퓨팅 장치
CN102004729A (zh) 一种网站网页的展现方法、系统及网站服务器
JP7466176B2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058614A1 (zh) 一种书签存储方法及装置、确定待浏览书签的方法及装置
US10594809B2 (en) Aggregation of web interactions for personalized usage
JP4400787B2 (ja) Webアクセス監視システム及び管理者用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タ
US20170223136A1 (en) Any Web Page Reporting and Capture
US20170034282A1 (en) Monitoring a network session
US11611497B1 (en) Synthetic web application monitoring based on user navigation patterns
US202003724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lient device
US9720817B2 (en) Hierarchical system-capability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