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194B1 -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 - Google Patents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194B1
KR101106194B1 KR1020030100435A KR20030100435A KR101106194B1 KR 101106194 B1 KR101106194 B1 KR 101106194B1 KR 1020030100435 A KR1020030100435 A KR 1020030100435A KR 20030100435 A KR20030100435 A KR 20030100435A KR 101106194 B1 KR101106194 B1 KR 101106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working fluid
pipe body
hea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701A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03010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194B1/ko
Publication of KR2005006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6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separate evaporating and condensing chambers connected by at least one conduit; Loop-type heat pipes; with multiple or common evaporating or condensing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4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 F28D15/04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construction of the capillar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7Heat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히트파이프는 작동유체가 수용된 파이프 몸체(11)와, 파이프 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형상의 금속망(12)과, 금속망(12)을 감싸는 것으로서 작동유체를 흡수하는 다공성의 화이버(13)를 포함하고, 난방유닛은, 열매체가 흐르는 파이프(21)에 소정의 간격으로 히트파이프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22)가 형성된 열원공급파이프(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heat pipe heating unit having aero fin}
도 1은 종래의 히트파이프의 동작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채용되는 금속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감겨지는 화이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가 열원공급파이프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VI-V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가 열원공급원파이프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히트파이프
10a, 10b, 10c ... 증발부, 단열부, 응축부
11 ... 파이프 몸체
11a ... 에어로핀
12 ... 금속망
13 ... 화이버
20 ... 열원공급파이프
21 ... 파이프
22 ... 결합부
본 발명은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히트파이프의 동작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파이프(1)는, 증발부(1a), 단열부(1b), 응축부(1c)로 구성되어 있는 파이프 몸체내에 사용온도에 맞는 적정량의 작동유체를 주입후 밀폐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히트파이프(1)에 있어서, 증발부(1a) 부분을 가열시키면 작동유체는 증기로 증발되어 압력차에 의해 고속으로 응축부(1c) 까지 이동하여 열을 전달하고, 이때 응축부(1c)가 외부의 저온 상태에 노출되면 증발된 작동유체는 응축잠열을 파이프 몸체 외부로 방출하면서 응축하여 액화된다. 액화된 작동유체는 중력으로 인하여 증발부(1a)로 흐르게 된다. 즉, 증발 -> 이동 -> 발열 -> 응축 -> 환원이라는 CYCLE을 반복하면서 증발부에서의 열을 응축부까지 아주 빠르게 전달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히트파이프에 있어서, 작동유체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파이프 몸체에 약간의 경사를 주어 작동유체가 증발부에 고여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보통의 열교환기에 사용하는 히트파이프는 거의 원통형으로 관외면에 가열 또는 냉각을 위해 알루미늄으로 된 핀(fin)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사를 주지 않아도 되고, 더 나아가 열전달효율이 극대화된 히트파이프 및 그를 채용한 난방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의 알루미늄 등의 핀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열전달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순동으로된 파이프 외면에 일체로 직접 에어로핀을 형성하여 전열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는,
증발부와, 단열부와, 응축부로 나누어지며 작동유체가 수용된 파이프 몸체(11); 상기 파이프 몸체(11)의 표면에 일체화된 에어로핀(11a); 상기 파이프 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형상의 금속망(12); 및 상기 금속망(12)을 감싸는 것으로서 작동유체를 흡수하는 다공성의 화이버(13);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유체가 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기체상태로 증발하게 됨으로써 열이 증발부에서 응축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 난방유닛은,
작동유체가 수용된 파이프 몸체(11)와, 상기 파이프 몸체(11)의 표면에 일체화된 에어로핀(11a)과, 상기 파이프 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형상의 금속망(12)과, 상기 금속망(12)을 감싸는 것으로서 작동유체를 흡수하는 다공성의 화이버(13)를 포함하는 히트파이프(10); 및 열매체가 흐르는 파이프(21)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히트파이프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22)가 형성된 열원공급파이프(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히트파이프 및 그를 채용한 난방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채용되는 금속망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감겨지는 화이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5는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가 열원공급원파이프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VI-V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가 열원공급원파이프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10)는, 증발부(Evaporator ; 10a)와, 단열부(Adiabatic Section ; 10b)와, 응축부(Condenser Section ; 10c)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히트파이프(10)는 작동유체가 수용된 파이프 몸체(11)와, 파이프 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형상의 금속망(12)과, 금속망(12)을 감싸는 것으로서 작동유체를 흡수할 수 있도록 다공성의 화이버(13)를 포함한다.
파이프 몸체(11)는 열전도율이 큰 구리, 스테인리스강, 텅스텐 등의 재질을 사용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구리를 사용한다. 또, 파이프 몸체(11) 내부는 작동유체가 낮은 온도에서 증발할 수 있도록 낮은 압력상태를 형성하여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0.048 ~ 0.054 kg/㎠ 의 압력상태를 유지한다.
또, 파이프 몸체(11)의 외부 표면에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한 복수의 에어로핀(11a)이 직접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에어로핀(11a)은 파이프 몸 체(11)를 자체 가공하여 형성한다. 즉, 두께가 두꺼운 파이프를 직접 가공하여 에어로핀(11a)을 형성하였으며, 따라서 파이프 몸체(11)와 에어로핀(11a)이 한 모재에 속하므로 열전달이 빠르고 효과적이다.
이러한 파이프 몸체(11)에 수용된 작동유체는 증류수와, 휘발성 물질로서, 메탄올, 아세톤, 물, 수은등을 사용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증류수를 사용한다. 파이프 몸체나 작동유체는 사용온도나 적용제품에 따라 적절히 선정된다.
금속망(12)은 마름모골의 다공을 가지며 그 재질은 구리나 스테인레스, 텅스텐등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망을 사용하고 있다.
화이버(13)는 작동유체를 흡수하는 모세관력(Capillary Force)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구조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화이버(13)가 작동유체를 흡수함으로써, 본원의 히트파이프가 수평을 이루거나 역방향으로 경사져 있더라도 작동유체의 증발과 응축과정이 가능하고 원할해질 수 있다.
금속망(12)에 화이버(13)가 감겨진 구조체는 파이프 몸체(11)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금속망(12)에 화이버(13)가 감겨짐으로써, 작동유체의 증발과 응축이 더욱 활발해진다. 즉, 증발부측의 금속망은 열을 받음으로써 화이버(13)에 흡수된 작동유체의 증발을 촉진시키고, 응측부측의 금속망은 작동유체의 열을 파이프 몸체를 거쳐 외기로 전달하므로 작동유체의 응축을 더욱 촉진시킨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증발부(10a)가 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되면 작동유체가 기체상태로 증발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열은 증발부(10a)에서 응축부(10c)로 거의 순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응축부(10c) 방향으로 이동되는 열은 에어로핀(11a)으로 전달되어 외부 공기로 잘 전달된다. 이때, 파이프 몸체(11)와 에어로핀(11a)은 한 모재를 이루므로 파이프 몸체(11)에서 에어로핀(11a)으로의 열전달이 빠르고 효과적이다.
이와는 반대로 응축부(10c)에서는 온도가 낮은 외부로 열을 빼앗기면서 기체상태의 작동유체는 응축하여 액화된다. 이 경우에도 에어로핀(11a)에 의하여 공기로의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기체상태의 작동유체가 빠르게 액화되고, 이러한 액화된 작동유체는 모세관력에 의하여 증발부(10a)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금속망(12)과 화이버(13)가 어우러지고, 또 파이프 몸체 내부를 0.048 ~ 0.054 kg/㎠ 정도의 압력으로 유지시킴으로써 32 ~ 34℃ 정도의 낮은 열원에서도 작동유체가 증발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결과적으로 연료비를 약 40% 가량 줄일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 난방유닛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 난방유닛은, 히트파이프(10)에 열을 제공하는 열원공급파이프(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열원공급파이프(20)는. 열매체가 흐르는 파이프(21)에 일정한 간격으로 히트파이프(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22)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파이프(21)는 엑셀 파이프, 동파이프, 스텐인리스강, 텅스텐 파이프 등으로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동파이프를 사용한다.
이때, 결합부(22)는 히트파이프(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파이프(21)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하고 있으며, 그 내주면은 히트파이프(10) 와의 접촉면적이 많아지도록 매끄럽게 가공되어 있다. 또, 결합부(22)의 단부는 바깥쪽으로 벌어진 확대관(22a)을 이루는데, 이는 히트파이프(10)가 용이하게 결합부(22)에 끼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결합부(22) 내주면이 매끄럽게 가공되고 그 결합부의 단부에 확대관(22a)이 형성됨으로써 히트파이프(10)가 원터치식으로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열원공급파이프(20)로부터 히트파이프(10)로의 열전달효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히트파이프는 금속망과 그 금속망 외주에 감겨진 화이버를 채용함으로써 수평 또는 역구배 상태에서도 열전달이 가능함과 동시에 열전달효율이 높아지고, 난방유닛은 단부가 벌어지고 내주면이 매끄럽게 가공된 결합부를 가짐으로써 히트파이프의 용이한 착탈이 가능하다.
또한, 파이프 몸체와 한 모재를 이루는 에어로핀을 채용함으로써, 외부로의 열전달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작동유체의 기화나 액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따라서 열전달효율이 높아진다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증발부와, 단열부와, 응축부로 나누어지며 작동유체가 수용된 파이프 몸체(11);
    상기 파이프 몸체(11)의 표면에 동일한 모재로 일체화된 에어로핀(11a);
    상기 파이프 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형상의 금속망(12); 및
    상기 금속망(12)을 감싸는 것으로서 작동유체를 흡수하는 다공성의 화이버(13);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유체가 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기체상태로 증발하게 됨으로써 열이 증발부에서 응축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
  2. 작동유체가 수용된 파이프 몸체(11)와, 상기 파이프 몸체(11)의 표면에 동일한 모재로 일체화된 에어로핀(11a)과, 상기 파이프 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형상의 금속망(12)과, 상기 금속망(12)을 감싸는 것으로서 작동유체를 흡수하는 다공성의 화이버(13)를 포함하는 히트파이프(10); 및
    열매체가 흐르는 파이프(21)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히트파이프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22)가 형성된 열원공급파이프(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
KR1020030100435A 2003-12-30 2003-12-30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 KR101106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435A KR101106194B1 (ko) 2003-12-30 2003-12-30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435A KR101106194B1 (ko) 2003-12-30 2003-12-30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884U Division KR200344926Y1 (ko) 2003-12-31 2003-12-31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701A KR20050068701A (ko) 2005-07-05
KR101106194B1 true KR101106194B1 (ko) 2012-02-29

Family

ID=3725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435A KR101106194B1 (ko) 2003-12-30 2003-12-30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979B1 (ko) * 2009-10-19 2010-06-10 박자현 히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난방 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003U (ko) * 1999-05-25 1999-09-06 서철진 한증원
KR20000020055U (ko) * 1999-04-27 2000-11-25 김기원 고온용 히터파이프를 이용한 스토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055U (ko) * 1999-04-27 2000-11-25 김기원 고온용 히터파이프를 이용한 스토브
KR19990035003U (ko) * 1999-05-25 1999-09-06 서철진 한증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701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9777A (en) Heat pipe having multiple integral wick structures
US20190154353A1 (en) Heat pipe having a wick with a hybrid profile
US20080029249A1 (en) Supporting column having porous structure
US20070107878A1 (en) Heat pipe with a tube therein
US4674565A (en) Heat pipe wick
US20190331432A1 (en) Loop heat pipe having condensation segment partially filled with wick
JP2003302178A5 (ko)
JPH1096593A (ja) 毛細管蒸発器
JP2006313056A (ja) ヒートパイ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排熱回収装置
US3777811A (en) Heat pipe with dual working fluids
CN112432532B (zh) 蒸发器组件及环路热管
KR101106194B1 (ko)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
KR200344926Y1 (ko) 에어로 핀을 채용한 히트파이프 난방유닛
KR200344927Y1 (ko) 히트파이프 및 그를 채용한 난방유닛
US20060054308A1 (en) Multiple fluid heat pipe
KR101047443B1 (ko) 히트파이프 및 그를 채용한 난방유닛
KR100865718B1 (ko) 장거리 열량수송용 히트파이프
JP4627207B2 (ja) 熱交換システム
KR200275766Y1 (ko) 폐열 회수용 히트 파이프
JP2016133287A (ja) ループ型ヒートパイプ
KR20020081829A (ko) 폐열 회수용 히트 파이프
CN213335722U (zh) 一种散热面积大的热导管
KR102407158B1 (ko) 확대된 방열 표면적을 갖는 베이퍼챔버 및 그 제조방법
JP2005337336A (ja) 液化ガス気化装置
RU2222757C2 (ru) Тепловая труб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