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809B1 -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809B1
KR101105809B1 KR1020090070310A KR20090070310A KR101105809B1 KR 101105809 B1 KR101105809 B1 KR 101105809B1 KR 1020090070310 A KR1020090070310 A KR 1020090070310A KR 20090070310 A KR20090070310 A KR 20090070310A KR 101105809 B1 KR101105809 B1 KR 101105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ain
information
computer
exercis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554A (ko
Inventor
박시복
Original Assignee
박시복
(주)내안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복, (주)내안플러스 filed Critical 박시복
Priority to KR102009007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80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사용자에게 통증 부위 및 통증 척도별로 구분된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컴퓨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에 접속하여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정해진 스트레칭 운동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은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구분된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근골격계 질환 예방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스트레칭, 근골격계, 컴퓨터, 통증 부위, 통증 강도

Description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The method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system disorder for computer user and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사용자에게 통증 부위 및 통증 척도별로 구분된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컴퓨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 또는 사무실에 설치된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 서핑을 실행하는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정보 검색, 홈쇼핑, 이메일, 자료제공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며, 특히 학생이나 전문직 종사자는 10시간 이상 컴퓨터 앞에 앉아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컴퓨터를 장시간 이용하는 경우에 인체에 피로를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으며, 주변에서도 장시간 컴퓨터 사용에 의한 고통을 많이 호소하고 있다. 장시간 사용에 따른 시력 감퇴, 경직된 자세에 의한 근육피로, 특히 어깨 근육과 목근육의 경직에 의한 피로등이 발생된다. 이러한 피로는 심한 경우 직업병으 로 분류되어 장기간의 요양을 필요로 하고 개인의 생활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한국통신공사 전화교환원들의 목, 팔, 어깨 장해(경견완장해) 집단발명을 계기로 근골격계 질환이 알려졌고 99년 344명, 2000년 1009명, 2001년 1634명, 2002년 1827명 등 발명사례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종래 개인의 건강차원에서 스스로 자율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으나, 바쁜 업무에 따른 자율성의 부족으로 인하여 피로가 누적되고 있어서 업무효율의 저하와 직업병으로 인한 회사의 부담 등 점차 사회적 문제로 변질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인체공학적 의자나 컴퓨터 키보드, 마우스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인체공학적 물품들도 임시적인 해결책이 될 뿐이어서 상술한 근골격계 질환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거나 치유될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다.
종래기술 "컴퓨터로 표시되는 체조 안내 시스템"(출원번호 10-2005-0018490)에는 일정시간마다 컴퓨터에 체조를 안내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서 장시간의 컴퓨터 작업으로부터 초래되는 근골격계 질환 등을 예방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에는 통증부위 및 통증 척도별로 나누어진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방법은 개시되고 있지 않으며, 단순히 다양한 종류의 체조를 컴퓨터 화면에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통증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없었다.
종래기술 "인터넷을 이용한 VDT 증후군 억제방법"(출원번호 10-2000-0026209)에는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발생하는 근육 계통의 질환을 억제하기 위하여 컴퓨터 사용자가 정해 놓은 규칙적인 시간에 인터넷을 통해 VDT 증후군 억제용 체조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정해진 휴식 시간 동안에 사용자가 충분한 휴식을 취함으로 인해 업무 집중 효과 및 VDT 증후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을 이용한 VDT 증후군 억제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여기에도 통증부위 및 통증 척도별로 나누어진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방법은 개시되고 있지 않으며, 단순히 다양한 종류의 체조를 컴퓨터 화면에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통증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증 부위 및 통증 척도에 따라 세분화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부위에 대해 자동으로 통증 부위 및 통증 척도에 따라 세분화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증 강도 지속 여부 및 고강도 통증 발생시 신속한 후속 조치를 취하기 위한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선택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가 통계적으로 DB화 되어 다양하게 소팅, 서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에 접속하여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정해진 스트레칭 운동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강도가 특정 단계 이상의 심한 통증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상기 통증이 일어나는 기간 및 치료 여부에 관한 설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문지에 답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답변 내용이 관리 서버에 통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은 상기 통증 강도가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병원방문 권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강도가 중간 통증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상기 스트레칭 운동 정보와 근력강화 운동 정보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레칭 운동 정보와 근력강화 운동 정보는 1차 스트레칭 운동 정보, 2차 스트레칭 운동 정보, 3차 스트레칭 운동 정보, 근력강화 운동 정보 및 4차 스트레칭 운동 정보 순으로 상기 사용자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강도가 특정단계 이하의 약한 통증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안구 운동 정보, 관절 운동 정보, 상기 스트레칭 운동 정보 및 근력강화 운동 정보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운동 정보가 상기 사용자가 신체 여 건이 맞지 않아서 따라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상기 사용자가 따라할 수 있는 대체 운동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통증 부위 정보 및 통증 강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정해진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트레칭 운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증 부위 정보 및 통증 강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정해진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운동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제공하기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 및 상기 사용자의 통증 부위 정보, 통증 강도 정보 및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운동정보데이터베이스를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연기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통증 강도가 미리 정해진 기 준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로그인 시 자동으로 미리 정해진 메시지를 송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동정보데이터베이스는 신체부위 DB, 통증 강도DB, 스트레칭운동DB, 근력강화운동DB, 안구운동DB, 관절운동DB 및 대체운동DB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칭운동DB, 근력강화운동DB, 안구운동DB, 관절운동DB 및 대체운동DB는 신체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레칭운동DB, 근력강화운동DB, 안구운동DB, 관절운동DB 및 대체운동DB는 동영상 정보 및 상기 동영상에 대한 해설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은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구분된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근골격계 질환 예방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2개 이상의 통증 부위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상기 선택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결정되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증 강도가 지속되거나, 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가 통계적으로 DB화 되어 다양하게 소팅, 서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 예방 프로그램이 컴퓨터를 켜면 자동으로 트레이에 위치하고, 지정된 시간에 활성화 되어 실행되고, 실행 완료후 다시 트레이로 비활성됨으로써 지정된 시간에 최우선적으로 실행되어 사용자가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을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명세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 시스템은 인터넷 접속 컴퓨터(100),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 관리서버(400), 사용자정보DB(500), 환경정보DB(600), 운동정보DB(700), 관리정보DB(800) 및 통계정보DB(900)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넷 접속 컴퓨터(10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 휴대폰 등 사용자가 인터넷(20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를 의미하며 이하에서 편의상 컴퓨터란 용어를 사용한다.
상기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 정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인터넷(200)을 통해 상기 인터넷 접속 컴퓨터(100)에 제공한다. 상기 스트레이칭 운동 정보는 상기 인터넷 접속 컴퓨터(100)의 트레이에 위치하고, 상기 인터넷 접속 컴퓨터(100)의 모니터에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활성화된다. 상기 상기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는 사용자로 하여금 효과적으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메일 및 쪽지보내기 기능, 긴급버튼 기능, 병원 및 의사정보 관리기능, 활성화 시간 설정 및 수정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세한 기능은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관리서버(400)는 사용자의 통증 부위 정보, 통증 강도 정보 및 스트레칭 운동 정보 등을 저장하는 사용자정보DB(500), 활성화 시간간격 등을 저장하는 환경정보DB(600), 스트레칭 운동정보 등을 저장하는 운동정보DB(700), 사용자에게 보낼 메시지 등을 저장하는 관리정보DB(800) 및 각종 통계정보를 저장하는 통계정보DB(900)를 관리하고,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저장하는 운동정보데이터베이스(700)를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한다.
도 1에는 상기 관리서버(400)가 상기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정보DB(500)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관리서버(400)가 상기 사용자정보DB(500)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관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DB(500)에는 사용자의 ID, PW(pass word), 이름, 소속, 이메일,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 뿐만 아니라, 음주, 흡연, 운동여부에 관한 건강관련 정보와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 정보는 일단위, 주단위, 월단위, 분기단위, 반기단위, 년단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통증 강도가 중증(VAS 6.0 이상을 표시한 통증)인 신체 부위의 수에 대해서는 별도로 일단위, 주단위, 월단위, 분기단위, 반기단위, 년단위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부위별 발병 현황 정보와 지역별 근골격계질환 발병 현황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운동정보DB(700)에는 스트레칭운동 DB 등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각종 운동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상기 관리정보DB(800)에는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다양한 메시지정보가 저장되며, 사용자의 운동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즉, 사용자의 평균 참여 일수 정보가 주단위, 월단위, 분기단위, 반기단위 및 년단위로 저장되고, 사용자의 참여 횟수 정보가 일단위, 주단위, 월단위, 분기단위, 반기단위, 년단위로 저장되며, 통증 강도가 중증(VAS 6.0 이상을 표시한 통증)인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 참여 정보가 별도로 일단위, 주단위, 월단위, 분기단위, 반기단위, 년단위로 구분 저장된다. 또한, 상기 관리정보DB(800)에는 사용자가 기록한 병원 및 의사의 진단 정보와 의사가 기록한 코멘트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통계정보DB(900)에는 통증 강도에 따른 사용자들의 통계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통계정보에는 통증 강도에 따른 신규발생 인원, 악화된 인원, 무변화 인원, 호전된 인원 등의 정보가 저장되며, 자세한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정보DB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운동정보DB(700)는 신체부위DB(701), 통증척도DB(702), 스트레칭운동DB(703), 근력강화운동DB(704), 안구운동DB(705), 관절운동DB(706) 및 대체운동DB(707)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레칭운동DB(703), 근력강화운동DB(704), 안구운동DB(705), 관절운동DB(706) 및 대체운동DB(707)에는 해설DB(708, 709, 710, 711, 7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해설DB(708, 709, 710, 711, 712)가 각각의 운동DB(703, 704, 705, 706, 707)와 연결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해설DB에 상기 각각의 운동DB에 대한 해설정보가 저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신체부위DB(701)에는 사람의 신체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나눈 정보가 저장되는데, 예를 들면 사람의 신체를 6개의 대분류, 24개의 중분류, 101개의 소분류로 나눈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통증척도DB(702)에는 통증 강도를 다수의 단계로 분류한 통증 정보가 저장되는데, 예를 들면 0에서 10까지 총 11단계로 분류하여 통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0단계는 통증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1단계는 한달에 한번정도 나타나는 통증 상태를 나타내며, 2단계는 1 ~ 2주에 한번정도 나타나는 통증 상태를 나타내고, 3단계는 일주일에 3 ~ 4회 나타나는 통증 상태를 나타내며, 4단계는 일을 시작하고 5 ~ 6시간 지난 오후에 나타나는 통증 상태를 나타내고, 5단계는 일을 시작하고 1 ~ 2시간 지나면 나타나는 통증 상태를 나타내며, 6단계는 일을 시작하자마자 나타나는 통증 상태를 나타내고, 7단계는 하루 종일 아파서 일을 못할 정도의 심한 통증 상태를 나타내며, 8단계는 밤에 잠을 설칠 정도의 심한 통증 상태를 나타내고, 9단계는 뜬눈으로 밤을 지샐 정도의 아주 심한 통증을 나타내며, 10단계는 너무 아파서 떼굴떼굴 구를 정도의 심한 통증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스트레칭운동DB(703), 근력강화운동DB(704), 안구운동DB(705), 관절운동DB(706) 및 대체운동DB(707)는 다수의 단위로 분류된 신체부위 분류 및 통증 강도에 따라 분류된 스트레칭운동 정보, 근력강화운동 정보, 안구운동 정보, 관절운동 정보 및 대체운동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스트레칭운동 정보, 근력강화운동 정보, 안구운동 정보, 관절운동 정보 및 대체운동 정보는 그림, 사진, 음악 등 다양한 형태의 운동정보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보고 따라할 수 있는 동영상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의 기능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는 메일 및 쪽지 보내기 모듈(301), 긴급버튼 모듈(302), 사용자DB검색 모듈(303), 스트레칭운동DB검색 모듈(304), 병원 및 의사정보관리 모듈(305), 활성화시간설정 및 수정 모듈(306) 및 동영상정보관리 모듈(307)을 포함한다.
상기 메일 및 쪽지 보내기 모듈(301)은 사용자의 통증 강도가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병원을 방문하라는 쪽지를 보내거나, 공지사항을 사용자에게 보내는 등 사용자에게 메일 및 쪽지를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긴급버튼 모듈(302)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예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중에 긴급한 일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가 긴급버튼을 누르면 프로그램 실행을 연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DB검색 모듈(303)은 사용자정보DB(500)를 검색하여 사용자에 따 른 통증 부위 정보, 통증 강도 정보를 읽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스트레칭운동DB검색 모듈(304)은 스트레칭운동DB(703), 근력강화운동DB(704), 안구운동DB(705), 관절운동DB(706) 및 대체운동DB(707)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른 운동 정보를 검색한다. 즉, 상기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는 사용자정보DB(500)를 검색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분류된 스트레칭운동 정보, 근력강화운동 정보 등을 제공한다.
상기 병원 및 의사정보관리 모듈(305)은 환자가 직접 진단명을 기록하거나, 의사의 코멘트를 기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환자가 기록한 진단명 정보와 의사의 코멘트 정보는 관리정보DB(8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시간설정 및 수정 모듈(306)은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활성화 시간 간격을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예방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영상정보관리 모듈(307)은 특정 부위 강화 등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영상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계정보DB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통계정보DB(900)는 일단위, 주단위, 월단위, 분기단위, 반기단위, 년단위로 나뉘어져 표와 차트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통계정보DB(900)에서 볼 수 있는 내용은 어제, 오늘, 1주일(월요일 ~ 일요일), 1개월(1일 ~ 31일), 분기(3개월; 1 ~ 3월, 4 ~ 6월, 7 ~ 9월, 10 ~ 12월), 반기(6개월; 1월 ~ 6월, 7월 ~ 12월), 1년(1월 ~ 12월)별로 통증 강도(통증 척도)의 색깔별로, 빨간색(VAS 6.0이상), 초록색(VAS 3.0 ~ 5.9), 파란색(VAS 0 ~ 2.9) 신규발생인원(어제, 오늘, 이번주, 이번달, 이번 분기, 이번 반기, 올해 신규 발생 인원수), 악화원인, 무변화 인원, 호전인원수를 알 수 있다. 도 4에서 병원 방문 권유 메시지 인원은 사용자에게 "먼저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으시기 바랍니다"의 메시지를 발송한 인원수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1, 도2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인터넷 접속 컴퓨터(100)를 이용하여 인터넷(20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다(S501). 처음 접속하는 경우에는 ID 및 PW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나, 그 이후에는 컴퓨터를 켜면 자동으로 로그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후에 사용자는 통증 부위를 선택하고(S502), 통증 강도(통증 척도)를 선택한다(S502). 상기 통증 강도는 복수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0에서 10까지 총 11단계로 구분된 통증 강도를 예로 하여 기술한다.
만일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강도가 7 이상의 심한 통증인 경우(S504),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S505) 통증이 일어나는 기간, 현재 치료중인지 여부 등 세분화된 통계자료를 확보하고, 상기 통계자료는 통계정보DB(900)에 저장하며, 관리자에게 상기 통증 강도, 기간, 치료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통보한다. 설문 조사는 1주일에 1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결정된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제공한다(S506). 상기 사용자는 2개 이상의 통증 부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택된 2개 이상의 통증 부위에 적합한 스트레칭 운동 정보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스트레칭 실시 후 1주일 이상 통증이 지속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병원 방문 권유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강도가 3 내지 6의 중간 통증인 경우(S507, YES),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 정보 및 근력강화 운동 정보를 제공한다(S508).
만일 통증 강도가 0 내지 2의 미약 통증인 경우(S507, NO),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른 안구운동 정보, 관절운동 정보, 스트레칭운동 정보 및 근력강화운동 정보를 제공한다(S509).
만일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가 사용자에게 제공한 운동 정보가 사용자가 배가 나와 따라하기 어려운 동작이거나, 특정 부위의 통증으로 인해 따라하기 어려운 동작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따라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클릭하면 상기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는 대체운동 정보를 제공한다(S511).
그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가 사용자에게 제공한 운동 정보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인터넷 접속 컴퓨터(100)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다(S512). 상기 시간 단위는 통증 부위 및/또는 통증 강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강도가 7 이상의 심한 통증인 경우에는 스 트레칭 운동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강도가 3 내지 6의 중간 통증인 경우에는 스트레칭 운동 정보 및 근력강화 운동 정보가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1차(약한 스트레칭), 2차(강한 스트레칭), 3차(통증 부위에 따라 스트레칭 운동 종류가 다름)의 스트레칭 운동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그 다음에 근력강화운동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다시 스트레칭 운동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날에는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고, 근무시간이 짧은 경우 근력강화 운동이 생략될 수 있으며, 근력강화운동은 통증 부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강도가 0 내지 2의 미약 통증인 경우에는, 안구운동 정보, 관절운동 정보, 스트레칭운동 정보 및 근력강화운동 정보가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다음날 운동 시작은 전날 마지막으로 시행한 운동 다음부터 시작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근골격계질환 예방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도이다. 도 6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인터넷 접속 컴퓨터(100)를 이용하여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300)에 접속하여 ID 및 PW를 입력하여 로그인한다(S601).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통증 부위 선택창이 활성화 되고(S602), 사용자가 통증 부위를 선택하면(S603) 세부통증 부위 선택창이 활성화되며(S604), 사용자가 세부 통증 부위를 선택하면 통증 강도 선택창이 활성화되고(S05), 사용자가 통증 강도를 선택한다. 만일 통증 강도 심한 통증에 해당되는 경우 사용자는 설문조사를 받게 된다(S606).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 선택, 설문 조사가 완료되면(S607) 선택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결정된 스트레칭 운동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몇몇 실시예들을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설명을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정보DB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의 기능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계정보DB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의 흐름도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근골격계질환 예방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도

Claims (18)

  1.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근골격계질환 예방 서버에 접속하여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통증 부위는 신체부위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분류된 정보에 상응하고, 상기 통증 강도는 통증척도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특정 기간당 통증 빈도로 분류된 정보에 상응함-;
    상기 선택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정해진 스트레칭 운동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 역시 상기 선택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다르고, 사용자에 의하여 수정될 수 있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강도가 특정 단계 이상의 심한 통증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상기 통증이 일어나는 기간 및 치료 여부에 관한 설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문지에 답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답변 내용이 관리 서버에 통보되는 단계; 및
    상기 통증 강도가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병원방문 권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강도가 중간 통증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상기 스트레칭 운동 정보와 근력강화 운동 정보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칭 운동 정보와 근력강화 운동 정보는 1차 스트레칭 운동 정보, 2차 스트레칭 운동 정보, 3차 스트레칭 운동 정보, 근력강화 운동 정보 및 4차 스트레칭 운동 정보 순으로 상기 사용자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강도가 특정단계 이하의 약한 통증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안구 운동 정보, 관절 운동 정보, 상기 스트레칭 운동 정보 및 근력강화 운동 정보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운동 정보가 상기 사용자가 신체 여건이 맞지 않아서 따라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상기 사용자가 따라할 수 있는 대체 운동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
  8.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 사용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통증 부위 정보 및 통증 강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증 부위는 신체부위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분류된 정보에 상응하고, 상기 통증 강도는 통증척도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특정 기간당 통증 빈도로 분류된 정보에 상응함-; 및
    상기 선택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정해진 스트레칭 운동 정보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통증 강도가 특정 단계 이상의 심한 통증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통증이 일어나는 기간 및 치료 여부에 관한 설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설문지에 대한 답변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답변 내용을 관리 서버에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통증 강도가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에 병원방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스트레칭 운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 역시 상기 선택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다르고, 사용자에 의하여 수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통증 강도가 중간 통증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에 상기 스트레칭 운동 정보와 근력강화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통증 강도가 특정단계 이하의 약한 통증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에 안구 운동 정보, 관절 운동 정보, 상기 스트레칭 운동 정보 및 근력강화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에 제공된 운동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따라할 수 없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따라할 수 있는 대체 운동 정보를 상기 사용장의 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질환 예방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90070310A 2009-07-30 2009-07-30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KR101105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310A KR101105809B1 (ko) 2009-07-30 2009-07-30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310A KR101105809B1 (ko) 2009-07-30 2009-07-30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554A KR20110012554A (ko) 2011-02-09
KR101105809B1 true KR101105809B1 (ko) 2012-01-17

Family

ID=4377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310A KR101105809B1 (ko) 2009-07-30 2009-07-30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124B1 (ko) 2018-07-02 2021-06-18 (의) 삼성의료재단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289380B1 (ko) * 2020-11-27 2021-08-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 안내에 기반하는 자세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063A (ko) * 2003-08-29 2005-03-09 (주) 에드포유 컴퓨터를 이용한 저주파 자극 발생 시스템, 인터넷을이용한 저주파 치료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97784A (ko) * 2005-03-07 2006-09-18 이재호 컴퓨터로 표시되는 체조 안내 시스템
JP2008040221A (ja) * 2006-08-08 2008-02-21 Nidec Copal Electronics Corp カメラレン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063A (ko) * 2003-08-29 2005-03-09 (주) 에드포유 컴퓨터를 이용한 저주파 자극 발생 시스템, 인터넷을이용한 저주파 치료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97784A (ko) * 2005-03-07 2006-09-18 이재호 컴퓨터로 표시되는 체조 안내 시스템
JP2008040221A (ja) * 2006-08-08 2008-02-21 Nidec Copal Electronics Corp カメラレンズ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LISOFT 2003-11-14]
[뉴시스 2004-02-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554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thell et al. Social connection in long-term care homes: a scoping review of published research on the mental health impacts and potential strategies during COVID-19
KR101171466B1 (ko) 휴대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Sallon et al. Caring for the caregivers: results of an extended, five-component stress-reduction intervention for hospital staff
Wilson et al. Tinnitus reaction questionnaire: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measure of distress associated with tinnitus
Greaves et al. Motivational interviewing for modifying diabetes risk: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Krueger The DSM diagnostic criteria for sexual masochism
Hageman et al. Tailored versus standard internet-delivered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in older women
Rawstorn et al. End users want alternative intervention delivery models: usability and acceptability of the REMOTE-CR exercise-based cardiac telerehabilitation program
Cabanas-Sánchez et al. Associations of total sedentary time, screen time and non-screen sedentary time with adiposity and physical fitness in youth: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activity
Karol et al. Implications of sit-stand and active workstations to counteract the adverse effects of sedentary work: a comprehensive review
Monson et al. Effects of yoga on musculoskeletal pain
McGrath et al. Family-based psychological treatment fo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Zysberg et al. Emotional intelligence and physical activity
Schmidt Correlates of reduced misconduct among adolescents facing adversity
Giacobbi Jr Low burnout and high engagement levels in athletic trainers: results of a nationwide random sample
Rees et al. Depression training program for eye health and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Scholl et al. Barriers to performing ergonomic scanning techniques for sonographers
Talbot Rice et al. An evaluation of the St Christopher's Hospice rehabilitation gym circuits classes: patient uptake, outcomes, and feedback
Fasczewski et al. Medical Therapeutic Yoga for multiple sclerosis: examining self-efficacy for physical activity, motivation for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Normann et al. Patient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change following single physiotherapy consultations in a hospital's outpatient clinic for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Patel et al. Effect of an education-based workplace intervention (move in office with education) on sedentary behaviour and well-being in desk-based workers: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R101105809B1 (ko)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Alma et al. Effects of a multidisciplinary group rehabilitation programme on particip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elderly: A pilot study
Soler et al. An exploratory study into an adapted use of the Alert Program for tic disorder in children
Walsh et al. Caseload factor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mmunity mental health sta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