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928B1 -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928B1
KR101103928B1 KR1020070131130A KR20070131130A KR101103928B1 KR 101103928 B1 KR101103928 B1 KR 101103928B1 KR 1020070131130 A KR1020070131130 A KR 1020070131130A KR 20070131130 A KR20070131130 A KR 20070131130A KR 101103928 B1 KR101103928 B1 KR 101103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pany
load analysis
production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680A (ko
Inventor
이수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9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력업체의 생산 능력, 생산 실적을 파악하고 이들 협력업체의 부하 이력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생산 진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원활한 물류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은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및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를 저장하는 DB 블록과, 클라이언트의 정보 열람 또는 갱신 요청에 부응하여 상기 DB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정보의 열람, 갱신 및 부하분석 과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부하분석 관리서버와,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의 제어 하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유입된 정보를 상기 DB 블록의 필요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상기 DB 블록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DB 관리모듈 및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의 제어 하에 상기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를 추출하여 각 협력업체별 월간 또는 연간 부하 상태를 분석하는 역할을 하는 부하분석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DB 블록은, 선박 생산에 요구되는 특정 자재들에 대한 설계물량 정보를 저장하는 설계물량 DB와, 상기 특정 자재를 생산하는 복수의 협력업체의 생산능력 정보를 저장하는 업체별 생산능력 DB와, 각 협력업체의 일일, 월간, 연간 생산실적 정보를 저장하는 업체별 생산실적 D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131130
선박, 협력업체, 부하분석

Description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 관리방법{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a load of subcontract company}
본 발명은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협력업체의 생산 능력, 생산 실적을 파악하고 이들 협력업체의 부하 이력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생산 진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원활한 물류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박 건조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수주된 선박의 종류별, 크기별 등에 따라 초기 설계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대일정의 생산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이어, 상세 설계를 함과 아울러 자재의 구매 일정을 수립하고 해당 구매 일정과 연동되도록 중일정의 생산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마지막 단계로서 생산 설계 및 소일정의 생산 계획을 부서별, 공종별로 수립하고, 자재가 입고되면 실질적인 생산이 진행된다.
이와 같은 선박 건조 흐름에 있어서, 효율적인 생산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협 력업체의 생산 능력, 생산 실적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해당 협력업체들의 부하 이력을 명확히 분석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협력업체의 생산 능력, 생산 실적을 파악하고 이들 협력업체의 부하 이력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생산 진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원활한 물류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은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및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를 저장하는 DB 블록과, 클라이언트의 정보 열람 또는 갱신 요청에 부응하여 상기 DB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정보의 열람, 갱신 및 부하분석 과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부하분석 관리서버와,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의 제어 하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유입된 정보를 상기 DB 블록의 필요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상기 DB 블록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DB 관리모듈 및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의 제어 하에 상기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를 추출하여 각 협력업체별 월간 또는 연간 부하 상태를 분석하는 역할을 하는 부하분석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DB 블록은, 선박 생산에 요구되는 특정 자재들에 대한 설계물량 정보를 저장하는 설계물량 DB와, 상기 특정 자재 를 생산하는 복수의 협력업체의 생산능력 정보를 저장하는 업체별 생산능력 DB와, 각 협력업체의 일일, 월간, 연간 생산실적 정보를 저장하는 업체별 생산실적 D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분석 관리방법은 상기 DB 블록의 설계물량 DB, 업체별 생산능력 DB, 업체별 생산실적 DB 각각에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가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의 열람 또는 갱신 그리고 각 협력업체별 부하분석을 가이드하는 메인 페이지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페이지 상에서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열람 또는 갱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가 해당 정보의 열람 페이지 또는 갱신 페이지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상기 메인 페이지 상에서 부하분석 실행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부하분석 모듈이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의 제어 하에 상기 DB 블록으로부터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정보를 마이크로소프트 엑셀과 연동하여 월간 또는 연간 부하분석을 수행하고, 해당 월간 또는 연간 부하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부하분석 페이지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 관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선박 제조에 요구되는 다양한 자재에 대한 협력업체의 생산 능력, 생산 실적을 파악하고 이들 협력업체의 부하 이력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생산 진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부하 분석을 바탕으로 원활한 물류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은 크게 DB 블록(110), DB 관리모듈(102), 부하분석 모듈(103) 및 부하분석 관리서버(10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DB 블록(110)은 세부적으로 설계물량 DB(111), 업체별 생산능력 DB(112), 업체별 생산실력 DB 및 운영정보 DB(114)로 구성된다. 상기 설계물량 DB(111)는 선박 생산에 요구되는 특정 자재들에 대한 설계물량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철의장 제작품과 같은 벌크(bulk) 자재에 대한 설계물량 정보 등과 같이 선박 제조에 요구되는 다양한 자재들에 대한 설계물량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업체별 생산능력 DB(112)는 상기 특정 자재를 생산하는 복수의 협력업 체의 생산능력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각 협력업체의 생산능력 정보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상기 업체별 생산실적 DB(113)는 각 협력업체의 일일, 월간, 연간 생산실적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업체별 생산능력 DB(112) 및 업체별 생산실적 DB(113)에 각각 저장되어 있는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를 바탕으로 각 협력업체의 부하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운영정보 DB(114)는 웹 페이지 그래픽 정보, 웹 페이지 설정 정보 등과 같은 웹 페이지를 운영하기 위한 일련의 운영정보를 저장함과 함께 마이크로소프트 엑셀(Microsoft Excel)과 연동되는 운영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DB 관리모듈(102)은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101)의 제어 하에 상기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 등을 DB 블록(110)의 필요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상기 설계물량 DB(111), 업체별 생산능력 DB(112), 업체별 생산실적 DB(113) 등으로부터 상술한 각종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10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하분석 모듈(103)은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101)의 제어 하에 상기 설계물량 DB(111), 업체별 생산능력 DB(112) 및 업체별 생산실적 DB(113)로부터 상기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를 추출하여 각 협력업체별 월간 또는 연간 부하 상태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101)는 상기 DB 관리모듈(102)을 매개로 상기 DB 블록(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의 추출 여부 및 갱신 여부가 선택적으로 결정되도록 제 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부하분석 모듈(103)을 제어하여 일련의 부하분석 과정을 관할한다.
또한,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101)는 인터페이스 모듈(104)을 매개로 클라이언트(105)와 통신연결관계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클라이언트(105)는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해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101)와 통신연결관계를 맺는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분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DB 블록(110)의 설계물량 DB(111), 업체별 생산능력 DB(112), 업체별 생산실적 DB(113) 각각에 소정의 정보가 기 저장된다(S201). 구체적으로, 상기 설계물량 DB(111)에는 선박 제조에 요구되는 각각의 자재에 대한 설계물량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업체별 생산능력 DB(112)에는 특정 자재를 생산하는 복수의 협력업체의 월간, 연간 생산능력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업체별 생산실적 DB(113)에는 각 협력업체의 특정 자재에 대한 월간 또는 연간 생산실적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는 선박 건조 업체의 클라이언트(105)가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에 접속하고, 상기 부하분석 관리 서버의 제어 하에 상기 DB 블록(110)에 선택적으로 저장되도록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B 블록(110)의 설계물량 DB(111), 업체별 생산능력 DB(112), 업체별 생산실적 DB(113) 각각에 소정의 정보가 기 저장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105)로부터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면(S202)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101)는 상기 DB 관리모듈(102)을 매개로 상기 운영정보 DB(114)에서 추출된 일련의 운영정보를 활용하여 메인 페이지(도 3 참조)를 형성하고, 생성된 메인 페이지를 인터페이스 모듈(104)을 통해 클라이언트(105)로 전송한다(S203).
상기 클라이언트(105)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페이지 상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설계물량 정보의 확인 또는 수정, 2)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의 확인 또는 수정, 3)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의 확인 또는 수정, 4) 부하분석 실행 항목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의 열람 및 갱신을 가이드하는 메인 페이지가 전송된 상태에서, 이용자는 특정 항목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정보의 열람 또는 갱신이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4) 부하분석 실행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흐름은 후술하기로 한다.
일 예로, 설계물량 정보의 확인 항목을 클릭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04)을 매개로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101)에 전달되고,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101)는 상기 DB 관리모듈(102)을 제어하여 상기 DB 블록(110)의 설계물량 DB(111)에 저장되어 있는 설계물량 정보를 추출함과 함께 운영정보 DB(114)의 운영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자재에 대한 설계물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설계물량 정보 열람 페이지(도시하지 않음)를 생성하고, 이를 클라이언트(105)에 전송한다(S204)(S205).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기 저장되어 있는 설계물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계물량 정보를 수정하는 경우, 메인 페이지 상의 설계물량 정보의 수정 항목을 클릭하게 되는데 상기 설계물량 정보 확인 과정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이벤트 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04)을 통해 부하분석 관리서버(101)에 전달된다. 이어, 부하분석 관리서버(101)는 상기 설계물량 DB(111)에 저장되어 있는 설계물량 정보를 추출하고, 이와 함께 운영정보 DB(114)의 운영정보를 활용하여 설계물량 정보 갱신 페이지(도시하지 않음)를 생성한다. 생성된 설계물량 정보 갱신 페이지를 부하분석 관리서버(101)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105)로 전송되며, 이용자는 클라이언트(105) 상에 디스플레이된 설계물량 정보 페이지를 선택적으로 수정할 수 있게 된다(S204)(S205). 이 때, 수정된 설계물량 정보는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101)의 제어 하에 상기 DB 블록(110)의 설계물량 DB(111)에 선택적으로 저장되며 이를 통해 설계물량 정보의 갱신이 완료된다.
한편, 메인 페이지 상에서 부하분석 실행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하분석 실행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S206), 상기 부하분석 모듈(103)은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101)의 제어 하에 상기 DB 블록(110)으로부터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정보를 마이크로소프트 엑셀과 연동하여 월간 또는 연간 부하분석을 수행하고, 해당 월간 또는 연간 부하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부하분석 페이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마이크로소프트 엑셀과 연동되어 분석된 월간 또는 연간 부하분석 정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각 협력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생산실적 정보, 해당 특정 자재에 대한 설계물량 정보가 포함되며, 각 협 력업체별로 월간 및 연간 부하 상태가 명시되어 있다.
상기 생성된 부하분석 페이지는 클라이언트(105)로 전송되며(S207),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각 협력업체에 대한 설계물량 대비 부하분석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분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부하분석 관리서버에 의해 생성된 메인 페이지를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부하분석 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부하분석 관리서버 102 : DB 관리모듈
103 : 부하분석 모듈 104 : 인터페이스 모듈
105 : 클라이언트
110 : DB 블록 111 : 설계물량 정보 DB
112 :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DB 113 :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 DB
114 : 운영정보 DB

Claims (2)

  1.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및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를 저장하는 DB 블록,
    상기 DB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의 추출 여부 및 갱신 여부가 선택적으로 결정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부하분석 관리서버;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로부터 유입된 정보를 상기 DB 블록의 필요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상기 DB 블록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DB 관리모듈; 및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의 제어 하에 상기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를 추출하여 각 협력업체별 월간 또는 연간 부하 상태를 분석하는 역할을 하는 부하분석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DB 블록은,
    선박 생산에 요구되는 특정 자재들에 대한 설계물량 정보를 저장하는 설계물량 DB와,
    상기 특정 자재를 생산하는 복수의 협력업체의 생산능력 정보를 저장하는 업체별 생산능력 DB와,
    각 협력업체의 일일, 월간, 연간 생산실적 정보를 저장하는 업체별 생산실적 D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2. 제 1 항의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부하분석 관리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의 제어 하에 상기 DB 블록의 설계물량 DB, 업체별 생산능력 DB, 업체별 생산실적 DB 각각에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가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의 열람 또는 갱신 그리고 각 협력업체별 부하분석을 가이드하는 메인 페이지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페이지 상에서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열람 또는 갱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가 해당 정보의 열람 페이지 또는 갱신 페이지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상기 메인 페이지 상에서 부하분석 실행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부하분석 모듈이 상기 부하분석 관리서버의 제어 하에 상기 DB 블록으로부터 설계물량 정보, 업체별 생산능력 정보, 업체별 생산실적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정보를 마이크로소프트 엑셀과 연동하여 월간 또는 연간 부하분석을 수행하고, 해당 월간 또는 연간 부하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부하분석 페이지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분석 관리방법.
KR1020070131130A 2007-12-14 2007-12-14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관리방법 KR101103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130A KR101103928B1 (ko) 2007-12-14 2007-12-14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130A KR101103928B1 (ko) 2007-12-14 2007-12-14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680A KR20090063680A (ko) 2009-06-18
KR101103928B1 true KR101103928B1 (ko) 2012-01-12

Family

ID=4099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130A KR101103928B1 (ko) 2007-12-14 2007-12-14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57B1 (ko) * 2012-03-12 2014-04-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 배량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860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안 자재 납입 방법
KR20030016019A (ko) * 2001-08-20 2003-02-26 최재영 인터넷을 이용한 재고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32356A (ko) * 2001-10-17 2003-04-26 세진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신생산 정보 주문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860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안 자재 납입 방법
KR20030016019A (ko) * 2001-08-20 2003-02-26 최재영 인터넷을 이용한 재고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32356A (ko) * 2001-10-17 2003-04-26 세진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신생산 정보 주문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57B1 (ko) * 2012-03-12 2014-04-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 배량 자동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680A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reira et al.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in knowledge intensive collaborative environments: An application to automotive industry
US8340995B2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rtifacts to identify elements of a component business model
US77391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and controlled access to supply chain information
US8818975B2 (en) Data model access configuration and customization
US69014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project management scheduling charts
US20120078679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workflow
Winkler et al. A controlling system based on cause–effect relationships for the ramp-up of production systems
Zheng et al. Design refresh planning models for managing obsolescence
Wan et al. Multi‐level, multi‐stage lot‐sizing and scheduling in the flexible flow shop with demand information updating
Bengtsson et al. Input data management methodology for discrete event simulation
Lee et al. Simulation-based work plan verification in shipyards
US20080004925A1 (en) Multi-site project management
Xie et al. Rapid one-of-a-kind product development via the Internet: a literature review of the state-of-the-art and a proposed platform
He et al. ISA-95 tool for enterprise modeling
KR101774411B1 (ko) 인터넷 클라우드 인프라를 이용한 국제물류 통합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Vidoni et al. Towards a Reference Architecture for Advanced Planning Systems.
US20100299272A1 (en) Workflow status tracking and reporting
McNally et al. Developing simulation as a desktop resource
KR101103928B1 (ko) 협력업체 부하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분석관리방법
US20140149186A1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rtifacts to identify elements of a component business model
US20090271439A1 (en) Systems to implement business processes in computing environment
AU20132056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e Management
Seitz et al. Challenges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development processes in engineering
CN103238165B (zh) 数据管理系统和数据管理方法
Hassan et al. Development of an order processing system using Google Sheets and Appsheet for a Malaysian automotive SME factory ware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