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547B1 - Cooling device of underwater moving body and underwater moving body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oling device of underwater moving body and underwater moving body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547B1
KR101103547B1 KR1020090133118A KR20090133118A KR101103547B1 KR 101103547 B1 KR101103547 B1 KR 101103547B1 KR 1020090133118 A KR1020090133118 A KR 1020090133118A KR 20090133118 A KR20090133118 A KR 20090133118A KR 101103547 B1 KR101103547 B1 KR 101103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vehicle
inlet
outlet
underwater
travel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1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6416A (en
Inventor
정철민
김찬기
나영인
정현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133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547B1/en
Publication of KR2011007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4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5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9/00Marine torpedoes, e.g. launched by surface vessels or submarines; Sea mines having self-propuls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06Cooling the driv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운동체의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중운동체의 냉각장치는 유체가 수중운동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수중운동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유출부, 및 상기 유입부 및 유출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유체가 이동되며 수중운동체에 장착되는 냉각대상체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부는 유동박리를 통하여 상기 압력차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유체가 자연순환되는 수중운동체의 냉각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device of an underwater vehicle and an underwater vehicle including the same, wherein the cooling device of the underwater vehicle includes an inlet portion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underwater vehicle, and an outlet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And a heat exchange part configured to exchange heat with the cooling object mounted on the underwater moving body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wherein the outlet part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pressure difference through flow separation. At least a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ling device for an underwater vehicle in which fluid is naturally circulated without a separate power device.

자연순환, 냉각장치, 유동박리, 수중운동체 Natural Circulation, Cooling System, Fluid Separation, Underwater Vehicle

Description

수중운동체의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COOLING DEVICE OF UNDERWATER MOVING BODY AND UNDERWATER MOVING BODY HAVING THE SAME}Cooling device of underwater vehicle and underwater vehicle having same {COOLING DEVICE OF UNDERWATER MOVING BODY AND UNDERWATER MOVING BOD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중운동체에 장착되는 냉각대상체를 냉각하는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apparatus for cooling a cooling object mounted on an underwater vehicle and an underwater vehicle having the same.

수중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운동체는 내부에 장착되는 추진기에 의한 추진력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추진기 구동을 위해 일반적으로 전동기나 엔진이 설치되며, 이들은 큰 추진력을 내기 위해 큰 토크와 회전수로 구동되며, 이로 인해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된다. The moving body which moves at high speed underwater moves using the propulsion force by the propeller mounted inside. Generally, electric motors or engines are installed to drive propellers, and they are driven by large torque and rotational speeds to generate a large propulsion force, which generates a large amount of heat.

전동기나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은 전동기, 엔진의 성능저하 및 기능 상실을 유발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되어야 한다. 상기 냉각장치는 주로 자체 순환 펌프에 의한 강제순환에 의하여 냉각수를 이동시키고, 상기 냉각수와 열을 교환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 강제순환 방식은 부가적인 펌프를 사용하여 냉각수를 순환시키므로 에너지의 손실을 초래하고, 내부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Heat generated from the motor or the engine may cause performance degradation and loss of function of the motor and the engine, and should be cooled by a separate cooling device to prevent this. The cooling device mainly adopts a method of moving the cooling water by forced circulation by a self-circulating pump and exchanging heat with the cooling water. The forced circulation system uses an additional pump to circulate the cooling water, resulting in energy loss and taking up internal space.

특히, 군사용, 산업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고출력 무인 수중운동체, 예를 들 어 어뢰 등의 추진동력계는 고열로 인한 냉각이 필요하나, 내부 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별도의 강제 냉각을 위한 장치가 설치가 어렵다. 따라서 수중운동체의 운동 특성과 외부의 해수를 이용한 자연 냉각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In particular, high power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such as torpedoes, which are mainly used for military and industrial purposes, require cooling due to high heat, but devices for forced forced cooling are difficult to install due to the limitation of internal space. Therefore,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underwater vehicle and the natural cooling method using the external sea water can be consider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로 구동되는 수중운동체의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ling device for an underwater vehicle that is driven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prior art, and an underwater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자연냉각 방식으로 수중운동체의 냉각대상체를 냉각하고, 이를 통하여 냉각대상체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ol the cooling object of the underwater moving body by a natural cooling method,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cooling objec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수중운동체의 냉각장치는, 유체가 수중운동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수중운동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유출부, 및 상기 유입부 및 유출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유체가 이동되며 수중운동체에 장착되는 냉각대상체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부는 유동박리를 통하여 상기 압력차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다.An apparatus for cooling an underwate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nlet portion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underwater vehicle, an outlet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and the The fluid is mov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portion and includes a heat exchanger is formed to exchange heat with the cooling object mounted on the underwater movement body, the outlet portion is the progress of the underwater movement body to generate the pressure difference through the flow separation At least a part protrudes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유출부는 유출구 및 돌기를 포함한다. 유출구는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유입부보다 후부에 배치된다. 돌기는 상기 유동박리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유출구와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유출부는 상기 수중운동체의 외면에서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형관의 단부는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includes an outlet and a protrusion. The outlet is disposed behind the inlet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The protrusion protru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to generate the flow separation. The outlet portion is formed of a circular tube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movement body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movement body, the end of the circular tub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movement body.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유입부는 유입구 및 유입가이드를 포함한다. 유입구는 상기 수중운동체의 외면에서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길도록 형성된다. 유입가이드는 상기 유입구의 일측에서 상기 수중운동체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체를 유입을 가이드한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includes an inlet and an inlet guide. The inlet is formed to be long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at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Inlet guides extend from one side of the inlet to the inside of the underwater body to guide the fluid inlet.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유입구는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선단 및 후단을 구비하고, 상기 후단은 상기 선단으로부터 상기 후단을 지나 상기 수중운동체의 외면과 이어지는 가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유입가이드는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수중운동체의 외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has a front end and a rear end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and the rear end is the same height as the imaginary surface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through the rear en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Is formed. The inflow guide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underwater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는 수중운동체는, 수중에서 이동가능한 수중운동체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본체에 추진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추진력발생기, 및 유입부 및 유출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유체가 이동되고 상기 추진력발생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냉각장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of the underwater movable body, the propulsion force generator is built in the main body, is formed to apply a driving force to the body, and the pressure of the inlet and outlet And the cooling device, the fluid being moved by the car and configured to exchange heat with the propulsion force generator.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본체는 선단부, 중간부 및 후미부를 포함한다. 선단부는 본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선단에 형성되고, 중간부는 상기 선단부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일정한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후미부는 상기 중간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단면이 점차 감소하도록 연장된다. 후미부에는 상기 유출부가 배치된다. 상기 유입부는 상기 중간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후미부와 상기 중간부의 경계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front end, a middle part and a tail. The distal end is formed at the distal end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middle part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and has at least a part of a constant cross section, and the rear end extends from the intermediate part so that the cross section gradually decreases with respect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outlet is arranged at the tail. The inlet portion may be dispos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outlet portion may be formed adjacent to a boundary between the rear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수중운동체의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는 유입부 및 유출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냉각수를 자연순환시키므로 펌프 등이 필요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를 감소 또는 방지하며, 수중운동체의 체적 및 중량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cooling device of the underwater moving body and the underwater moving body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o not require a pump or the like since the cooling water is naturally circul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In addition,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or prevent additional energy consumption, and can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underwater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유입부 및 유출부의 구성 또는 형상에 의하여, 유입부와 유출부의 압력차를 증가시켜 유체의 자연순환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or shape of the inlet and outlet,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to increase the natural circulation of the fluid.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수중운동체의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a cooling apparatus for an underwater vehicle and an underwater vehicle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중운동체(1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underwater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는 수중운동체(100)의 일 예로 수중에서 이동하는 어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중운동체(100)는 본체(110), 추진력발생기(120) 및 냉각장치(130)를 포함한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torpedo moving in the water as an example of the underwater vehicle 100, and as shown, the underwater vehicle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propulsion force generator 120, and a cooling device 130. do.

추진력발생기(120)는 수중운동체(100)의 본체(110)에 내장되며, 상기 본체(110)에 추진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추진력발생기(120)는, 예를 들어 전동기 또는 엔진 등과, 이에 의하여 회전되는 추진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추진력발생기(120)에는 구동에 의한 열이 발생하게 된다.The propulsion force generator 120 is embedded in the main body 110 of the underwater vehicle 100 and is formed to apply a propulsive force to the main body 110. The propulsion force generator 120 may be, for example, an electric motor or an engine, or the like, and a propeller rotated thereby. The propulsion force generator 120 generates heat by driving.

냉각장치(130)는 상기 추진력발생기(120)를 냉각하여 발열에 의한 추진력발생기(120)의 성능저하 또는 기능 상실을 완화 또는 방지한다. 냉각장치(130)는 수중의 유체를 유입하여 추진력발생기(120)를 냉각하고, 상기 유체를 수중으로 유출하도록 형성된다.The cooling device 130 cools the propulsion generator 120 to mitigate or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or loss of function of the propulsion generator 120 due to heat generation. The cooling device 130 is configured to cool the propulsion generator 120 by introducing a fluid in the water and to flow the fluid into the water.

냉각장치(100)는 유입부(140), 유출부(150) 및 열교환부(160)을 포함한다.The cooling device 100 includes an inlet 140, an outlet 150, and a heat exchanger 160.

유입부(140) 및 유출부(150)는 수중운동체(100)의 외면에 형성되고, 유입부(140)는 유체가 수중운동체(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고, 유출부(150)는 유입된 유체를 추진력발생기(120)를 냉각후에 수중으로 유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inlet 140 and the outlet 15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body 100, the inlet 140 is formed so that fluid flows from the outside of the underwater body 100 to the inside, the outlet 150 ) Is made to flow the introduced fluid into the water after cooling the propulsion generator (120).

열교환부(160)는 유입부(140) 및 유출부(150)의 압력차에 의하여 유체가 이동되며, 수중운동체(100)에 장착되는 냉각대상체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추진력발생기는 냉각대상체의 일 예가 된다.The heat exchanger 160 moves the flui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140 and the outlet 150, and is formed to exchange heat with the cooling object mounted on the underwater vehicle 100. The thrust generator is an example of a cooling object.

보다 구체적으로, 냉각장치(130)는 유입부(140) 및 유출부(150)의 압력차에 의하여 유체가 이동되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냉각대상체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된다. 유입부(140) 및 유출부(150)의 압력차에 의한 유체의 자연순환이 발생하므로, 유체를 강제로 압송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 등이 필요없게 되며, 이를 통하여 에너지 소모량이 감소하며, 수중운동체의 체적 및 중량이 감소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cooling device 130 is formed so that the fluid is mov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140 and the outlet 150, and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object in the body (110). Since the natural circulation of the fluid is gener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140 and the outlet 150, there is no need for a circulation pump for forcibly feeding the fluid, thereby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Volume and weight will be reduced.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베르누이 방정식(Bernoulli's equation), 유량이나 유 속 측정을 위한 피토(pitot)관과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관의 응용이 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be, for example, Bernoulli's equation, application of a pitot tube for measuring flow rate or flow rate and a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pressure.

베르누이 방정식은 정상상태(steady state), 비압축성(incompressible) 유체이며, 마찰이 없고(frictionless) 일이나 열전달이 없는(no shaft work and no heat transfer) 상태일 때 하나의 유선을 따라 적용 할 수 있으며 다음 식(1)과 같다. Bernoulli's equation is a steady state, incompressible fluid, and can be applied along a streamline when in frictionless, no shaft work and no heat transfer. Equation (1)

Figure 112009081333540-pat00001
Figure 112009081333540-pat00001

Energy Grade Line(EGL)은 총 베르누이 상수의 크기를 나타내며 z + p/ρg + V2/2g 의 일정한 크기를 가진다. 관내부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정체압력을 재도록 한 피토관은 이 총 높이를 계측한다. The Energy Grade Line (EGL) represents the magnitude of the total Bernoulli constant and has a constant size of z + p / ρg + V 2 / 2g. The pitot tube, which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tube to measure stagnation pressure, measures this total height.

Hydraulic Grade Line (HGL)은 높이 z 와 압력높이 p/ρg 의 합에 해당하는 크기, z + p/ρg 를 나타내며 관 내부의 벽면에 설치된 압력계관은 이 높이를 계측해 준다.The hydraulic grade line (HGL) represents the size, z + p / ρg, which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height z and the pressure height p / ρg, and the pressure gauge installed on the wall inside the pipe measures this height.

피토관과 압력계관은 서로 같은 높이에서 V2/2g 의 높이에 해당하는 압력차이가 발생하므로 두 관을 적절한 파이프 시스템을 통과하게 하여 연결하면 이 압력 차이가 파이프 시스템에 의한 압력높이 손실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로 클 때에 피토관으로부터 압력계관으로 흐르는 유량을 얻을 수 있다. Since the pitot pipe and the pressure gauge have a pressure differenc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V 2 / 2g at the same height, connecting the two pipes through an appropriate pipe system can overcome the pressure difference loss caused by the pipe system. When large enough, the flow rate from the pitot tube to the pressure gauge can be obtained.

즉, 냉각장치(130)의 유입부(140)는 피토관에 대응하고, 유출부(150)는 압력 계관에 대응할 수 있다.That is, the inlet 140 of the cooling device 130 may correspond to the pitot pipe, and the outlet 150 may correspond to the pressure gauge.

이하, 도 2a 내지 도 4b을 참조하여, 도 1의 수중운동체의 냉각장치(1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oling device 130 of the underwater moving body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4B.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냉각장치(130)의 유입부(140)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b의 각 유입부의 유속별 유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1의 냉각장치(130)의 유출부(150)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2A and 2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flow portion 140 of the cooling device 130 of FIG. 1, respectively, and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flow rate for each flow rate of each inflow portion of FIG. 2B. Are plan and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showing an outlet portion 150 of the cooling device 130 of FIG.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유입부(140)는 유체의 정체가 발생하여 압력이 높아지도록 이루어지며, 유출부(150)는 유체 박리현상이 발생하여 압력이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유입부(140)는 공동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순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let 140 is formed so that the pressure of the fluid is generated, the outlet 150 is formed so that the pressure is lowered due to the fluid separation phenomenon occurs. Inlet 140 may be genuin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cavities.

도 2a 및 도 2b에 의하면, 유입부(140)는 유입구(141) 및 유입가이드(142)를 포함한다.2A and 2B, the inlet 140 includes an inlet 141 and an inlet guide 142.

유입구(141)는 수중운동체(100, 도 1 참조)의 외면에서 수중운동체(100)의 진행방향으로 길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구(141)는 수중운동체(100)의 진행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가 상기 진행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폭보다 길도록 이루어진다. 유입부(140)는 상기 유입구(141)로부터 수중운동체(100)의 외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inlet 141 is formed to be long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10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100 (see FIG. 1). More specifically, the inlet 141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form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body 100 is longer than the width 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The inlet 140 is form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100 from the inlet 141.

유입가이드(142)는 유체를 유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유입구(141)의 일측에서 상기 수중운동체(100)의 내부로 연장된다. 유입가이드(142)는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수중운동체(100)의 외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유입가이 드(142)의 일단은 수중운동체(100)의 외면에서 유입구(141)를 한정하는 부분과 연결되고, 타단은 열교환부(160, 도 1 참조)의 유로를 한정하는 부분과 연결되며, 양단 사이는 수중운동체(100)의 외면에 대하여 경사진다.The inlet guide 142 extends into the inside of the underwater body 100 from one side of the inlet 141 to guide the inflow of the fluid. The inflow guide 142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100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That is, one end of the inflow guide 142 is connected to the portion defining the inlet 14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body 10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ortion defining the flow path of the heat exchanger 160 (see Fig. 1) Between both ends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body (100).

유입구(141)는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선단(141a) 및 후단(141b)을 구비하고, 유입부(140)와 열교환부(160)의 유로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후단(141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유입부(140)는 유입구(141)로부터 열교환부(160)의 유로를 향하여, 선단(141a)에 인접한 부분의 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이루어진다.The inlet 141 has a front end 141a and a rear end 141b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moving body, and a portion where the flow path of the inlet 140 and the heat exchanger 160 is adjacent to the rear end 141b. Is placed. That is, the inlet 140 is configured to gradually reduce the area of the portion adjacent to the tip 141a from the inlet 141 toward the flow path of the heat exchanger 160.

도 2b를 참조하면, 후단(141b)은 도시된 가상면(141c)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가상면(141c)은 선단(141a)으로부터 상기 후단(141b)을 지나 수중운동체의 외면과 이어진다. 이를 통하여, 유입부(140)로 유입되는 유체의 정체압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 rear end 141b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illustrated virtual surface 141c. The virtual surface 141c extends from the front end 141a to the rear end 141b a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stagnation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140.

도 3은, 4가지 형태의 유입부의 성능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다. 실험은 시험부 제원(L×B×H)이 6.0m × 1.2m × 1.2m 인 캐비테이션 터널에 지름 0.354m, 길이 2.734m의 수중운동체를 배치하고, 시험유속을 3~4단계 (10, 15, 20, 21 m/s)로 변화시키며 진행되었고, 유출부에서의 유량은 초음파 유량계 및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laser Doppler velocimetry, LDV)를 이용하여 동시 계측되었다.3 i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the performance of four types of inlet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placing an underwater vehicle of 0.354 m in diameter and 2.734 m in length in a cavitation tunnel whose test section specifications (L × B × H) were 6.0m × 1.2m × 1.2m, and adjusting the test flow rate in three to four steps (10, 15). , 20, 21 m / s), and the flow rate at the outlet was simultaneously measured using an ultrasonic flowmeter and a laser Doppler velocimetry (LDV).

본 도면에서 타입(type) 1, 2, 3은 도 2b의 유입구(141)의 후단(141b)의 형상을 바꾼 것으로, 타입 1은 수중운동체의 표면과 동일한 기울기를 같으며, 타입 2, 3은 수중운동체 표면보다 돌출시켜 더 많은 유량이 유입되도록 의도한 것이다. 타입 2'는 후단이 타입 2의 후단(141b) 형상과 동일한 상태에서, 유입구(141)의 내부 곡선부 면적을 확대한 것이다. 계측결과 타입 1의 유량이 가장 컸고, 이를 통하여 유입구(141)의 후단(141b)은 가상면(141c)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때,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Types 1, 2, and 3 in the drawings change the shape of the rear end 141b of the inlet 141 of FIG. 2B, and type 1 has the same slope as the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and types 2 and 3 It is intended to protrude more than the surface of the hydrodynamic body so that more flow rate is introduced. Type 2 'is an enlarged area of the inner curved portion of the inlet 141 in the state that the rear end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rear end 141b of the type 2.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flow rate of type 1 was the largest,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ear end 141b of the inlet 141 is most effective when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virtual surface 141c.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유출부(150)는 유동박리를 통하여 유입부(140)와 유출부(150) 사이의 압력차를 발생시키도록 수중운동체(100)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4A and 4B, the outlet 150 crosse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moving object 100 to generate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140 and the outlet 150 through flow separation. At least a part is formed to protrude.

유출부(150)는 수중운동체(100)의 외면에서 수중운동체(100)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관으로 이루어지고, 원형관의 단부는 수중운동체(100)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출부(150)는 유출구(151) 및 돌기(152)를 포함한다.Outflow portion 150 is formed of a circular tub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underwater vehicle 10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100, the end of the circular tube is inclin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100 It is formed to lose. In detail, the outlet 150 includes an outlet 151 and a protrusion 152.

유출구(151)는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유입부보다 후부에 배치되며, 유입구(141)보다 작으며, 원형단면으로 이루어진다.Outlet 151 is disposed in the rear than the inlet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body, smaller than the inlet 141, and consists of a circular cross-section.

돌기(152)는 유동박리를 발생시키도록 유출구(151)와 인접한 부분에서 수중운동체(100)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돌기(152)는 유출구(151)에서 수중운동체(1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앞쪽에 배치되고, 수중운동체(100)의 전진 유속에 의한 유체박리를 통하여 유출구(151) 주변의 압력을 저하시키도록 형성된다. 유체박리는 돌기가 없는 경우보다 유출구(151)의 압력을 떨어뜨리므로, 유입구(141) 및 유출구(151)에서는 V2/2g의 높이에 해당하는 압력차이보다 더 큰 압력 차이가 발생한다. 이 압력차이가 냉각 해수를 자연 순환시키게 된다.The protrusion 152 protru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100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151 so as to generate the flow separation. The protrusion 152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100 at the outlet 151, and lowers the pressure around the outlet 151 through fluid separation due to the forward flow velocity of the underwater vehicle 100. Is formed. Since the fluid separation lowers the pressure at the outlet 151 than when there is no protrusion, a pressure difference greater than the pressure differenc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V 2 / 2g occurs at the inlet 141 and the outlet 151. This pressure difference causes natural circulation of the cooled seawater.

이하, 상기 유입부(140) 및 유출부(150)가 적용된 수중운동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한 수중운동체에서 유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의 수중운동체의 주변 유동 분포를 CFD(전산유체역학, computational fluid dynamics)로 계산한 결과이다.Hereinafter, the underwater body to which the inlet 140 and the outlet 150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low path of a fluid in the underwate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of the peripheral flow distribu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of FIG. 5.

수중운동체의 본체(110)는 선단부(111), 중간부(112) 및 후미부(113)를 포함한다.The body 110 of the underwater body includes a front end portion 111, the middle portion 112 and the rear portion 113.

선단부(111)는 본체(11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선단에 형성되고, 중간부(112)는 선단부(111)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일정한 단면으로 이루어진다.The tip portion 111 is formed at the tip end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the middle portion 112 is connected to the tip portion 111, at least a portion of a constant cross section.

후미부(113)는 중간부(112)로부터 본체(11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단면이 점차 감소하도록 연장된다. 즉, 후미부(113)는 곡선형태로 이루어진다.The tail portion 113 extends from the middle portion 112 so that the cross section gradually decreases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the tail portion 113 has a curved shape.

도 5를 참조하면, 중간부(112)에는 유입부(140)가 배치되고, 후미부(113)에는 유출부(150)가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출부(150)는 후미부(113)와 중간부(112)의 경계에 인접하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inlet part 140 is disposed in the middle part 112, and the outlet part 150 is disposed in the rear part 113. More specifically, the outlet portion 150 is formed adjacent to the boundary between the rear portion 113 and the middle portion 112.

도 6에 의하면, 중간부(112)의 끝부분에서부터 압력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후미부(113)의 시작점을 바로 지나서 최소압력이 발생하고 다시 뒤로 갈수록 압력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후미부(113)에서 중간부(112)와 가까이 배치되는 유출부(150)에는 보다 높은 정체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최대의 유량을 얻기 위하여 유출부(150)는 압력이 가장낮은 후미부(113)의 바로 뒤에 설치되고, 유입부(140)는 후미부(113)의 압 력이 높은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pressure starts to drop from the end of the middle part 112, the minimum pressure occur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point of the rear part 113, and the pressure increases as it goes back. Therefore, a higher stagnation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outlet portion 150 disposed close to the middle portion 112 in the tail portion 11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order to obtain the maximum flow rate, the outlet portion 150 is installed immediately after the rear portion 113 having the lowest pressure, and the inlet portion 140 is disposed at the high pressure portion of the rear portion 113. Can be.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1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유입구(141)는 추진력발생기(120)의 선단보다 후미에 배치되고, 유입부(140)는 본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추진력발생기(120)의 선단을 향하여 꺽여진다. 냉각장치(130)의 유로는 추진력발생기(120)와 열교환 표면을 넓히도록 서로 포개어지도록 형성되고, 냉각을 끝낸 유체가 유출되도록 추진력발생기(120)로부터 유출부(150)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5, the inlet 141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propulsion force generator 120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inlet 140 is the propulsion force generator 120 inside the main body 110. Bent toward the tip of the The flow path of the cooling device 130 is formed to overlap each other to widen the propulsion force generator 120 and the heat exchange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150 from the propulsion force generator 120 so that the fluid is finished cool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수중운동체의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는 유입부 및 유출부의 구성, 형상 또는 위치에 의하여 유입부와 유출부의 압력차를 증가시켜 유체의 자연순환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apparatus for cooling the underwate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underwater vehicle including the same increas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by the configuration, the shape, or the position of the inlet and the outlet so that the natural circulation of the fluid is possible. do.

또한, 상기와 같은 수중운동체의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underwater moving body and the underwater moving body hav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alternativel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중운동체를 나타내는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underwate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냉각장치의 유입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2A and 2B are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inlet of the cooling device of FIG. 1, respectively.

도 3은 도 2b의 각 유입부의 유속별 유량을 나타내는 그래프.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flow rate of each inlet flow rate of Figure 2b.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1의 냉각장치의 유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4A and 4B are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n outlet of the cooling device of FIG. 1, respectively.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한 수중운동체에서 유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개념도.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ath of fluid movement in the underwate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수중운동체의 주변 유동을 CFD로 계산한 결과.6 i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CFD of the peripheral flow of the underwater vehicle of FIG.

Claims (9)

유체가 수중운동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부;An inlet, through which fluid flow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상기 수중운동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유출부; 및An outlet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And 상기 유입부 및 유출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유체가 이동되며, 수중운동체에 장착되는 냉각대상체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The fluid is mov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and includes a heat exchanger formed to exchange heat with the cooling object mounted on the underwater body, 상기 유출부는 유동박리를 통하여 상기 압력차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운동체의 냉각장치.And the outlet portion protrudes at least a portion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to generate the pressure difference through flow separ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출부는,The outlet portion,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유입부보다 후부에 배치되는 유출구; 및An outlet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inflow portion with respect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And 상기 유동박리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유출구와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의 냉각장치.And a project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so as to generate the flow separ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출부는 상기 수중운동체의 외면에서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형관의 단부는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의 냉각장치.The outlet portion is formed of a circular tube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movement body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movement body, the end of the circular tub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movement body Chiller of the moving obje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입부는,The inlet portion, 상기 수중운동체의 외면에서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길도록 형성되는 유입구; 및An inlet formed to be long in an advanc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on an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And 상기 유입구의 일측에서 상기 수중운동체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체를 유입을 가이드하는 유입가이드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의 냉각장치.Cooling apparatus of the underwater vehicle including an inlet guide exten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inlet to the inside of the underwater vehicle to guide the fluid inlet.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유입구는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선단 및 후단을 구비하고,The inlet has a front end and a rear end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상기 후단은 상기 선단으로부터 상기 후단을 지나 상기 수중운동체의 외면과 이어지는 가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의 냉각장치.And the rear end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imaginary surface that extends from the front end to the outer end of the underwater moving body past the rear end.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유입가이드는 상기 수중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수중운동체의 외면 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의 냉각장치.And the inflow guid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n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vehicle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수중에서 이동가능한 수중운동체의 본체;A body of the underwater vehicle movable in water;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본체에 추진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추진력발생기; 및A propulsion force generator built in the main body and formed to apply a propulsion force to the main body; And 유입부 및 유출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유체가 이동되고, 상기 추진력발생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되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르는 냉각장치를 포함하고,A fluid is mov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is formed to exchange heat with the propulsion force generator, and includes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하도록 형성되고, The inlet is formed to introduce the fluid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to the inside, 상기 유출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고, 유동박리를 통하여 상기 압력차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운동체.The outlet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t least a portion of the underwater mov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the pressure difference through the flow separa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본체는,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선단에 형성되는 선단부;A tip portion formed at the tip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상기 선단부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일정한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부; 및An intermediate portion connected to the tip portion, the intermediate portion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a constant cross section; And 상기 중간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단면이 점차 감소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유출부가 배치되는 후미부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An aquatic body, which extends from the middle part in a progressively decreasing cross s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rear end part at which the outlet part is disposed.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유입부는 상기 중간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후미부와 상기 중간부의 경계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운동체.The inflow portion is dispos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the outle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s formed adjacent to the boundary between the rear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KR1020090133118A 2009-12-29 2009-12-29 Cooling device of underwater moving body and underwater moving body having the same KR1011035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118A KR101103547B1 (en) 2009-12-29 2009-12-29 Cooling device of underwater moving body and underwater moving bod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118A KR101103547B1 (en) 2009-12-29 2009-12-29 Cooling device of underwater moving body and underwater moving body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416A KR20110076416A (en) 2011-07-06
KR101103547B1 true KR101103547B1 (en) 2012-01-09

Family

ID=4491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118A KR101103547B1 (en) 2009-12-29 2009-12-29 Cooling device of underwater moving body and underwater moving body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5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639B1 (en) * 2013-05-14 2014-04-18 국방과학연구소 Model underwater vehicl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3318A (en) 1998-02-28 2001-11-20 グロンドフォス アー/エス External cooling device for electric drive motor of centrifugal pump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3318A (en) 1998-02-28 2001-11-20 グロンドフォス アー/エス External cooling device for electric drive motor of centrifugal pump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416A (en)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razi et al. Numer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fluid flow on a full-scale pump jet thruster
US20110274875A1 (en) Passive drag modification system
JP5681148B2 (en) Ocean current power generation method and maintenance method
Li et al. Hydrodynamic performance of an autonomous underwater glider with a pair of bioinspired hydro wings–a numerical investigation
BR112016025535B1 (en) PROPULSION UNIT
JP2012501397A5 (en)
Kadivar et al.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ransient cavitation control on a hydrofoil using hemispherical vortex generators
CN111674535B (en) Nacelle propeller suction type resistance suppression and auxiliary heat dissipation device
KR101103547B1 (en) Cooling device of underwater moving body and underwater moving body having the same
Truong et al. The EFD and CFD study of rudder-bulb-fin system in ship and propeller wake field of KVLCC2 tanker in calm water
CN111232175A (en) Electric integrated water-jet propeller
KR101780910B1 (en) Duct device
JP6245458B2 (en) Propulsion device
JP5648826B2 (en) Biaxial stern catamaran vessel
JP6484906B2 (en) Ships with a structure that reduces resistance when sailing
KR102073164B1 (en) Vessel fluid resistance reducing device and vessel having same
JP5477618B2 (en) Ship and stern shape design method
JP2005247077A (en) Water-jet-fin propelling system
ES2767317T3 (en) Drive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RU2305191C2 (en) Rotary hydraulic machine
WO2013078526A1 (en) Hydrodynamic submarine
US4129089A (en) Marine propulsion apparatus
CN210761247U (en) Water inlet device of self-flowing cooling system
US2561303A (en) Reduction of drag of and propulsion of aerodynamic or hydrodynamic bodies
CN208184880U (en) A kind of water-use for hydropower turbine overtemperature pro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