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987B1 -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변조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변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987B1
KR101102987B1 KR1020097024966A KR20097024966A KR101102987B1 KR 101102987 B1 KR101102987 B1 KR 101102987B1 KR 1020097024966 A KR1020097024966 A KR 1020097024966A KR 20097024966 A KR20097024966 A KR 20097024966A KR 101102987 B1 KR101102987 B1 KR 10110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modulator
symbols
control symbols
pos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028A (ko
Inventor
카리 페카 파주코스키
젠홍 리
에사 타파니 티롤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1709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0298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0002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allow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6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payload signals;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92Physical properties of the supervisory signal, e.g. acknowledgement by energy bur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및 변조 방법이 개시된다. 변조기는 신호에서의 심볼 포지션들의 표현 내에서의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의 포지션들 사이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통한 전송을 위해 제어 심볼들 및 데이터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변조{DATA MODU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두 엔티티들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통신 그리고 특히 데이터의 변조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통신 디바이스들, 네트워크 엔티티들 그리고 다른 노드들과 같은 둘 이상의 엔티티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설비이다.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상호접속 네트워크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비록 통신-시스템이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고정 라인 네트워크 또는 무선 또는 이동 네트워크를 포함하더라도, 가장 단순한 형태로 통신 시스템은 서로 통신중인 두 엔티티들에 의해 제공됨이 언급된다. 통신은 예컨대 음성, 전자메일(email), 텍스트 메시지, 멀티미디어 등등과 같은 통신들을 운반(carry)하기 위한 데이터의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절한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적절한 액세스 시스템이 통신 디바이스가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한다. 통신 시스템으로의 액세스는 고정 라인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시들은 셀룰러 액세스 네트워크들, 다양 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WLAN들),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들(WPAN들),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들 및 이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시스템의 다양한 엘리먼트들 중 무엇이 할 수 있도록 허가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상기 허가가 어떻게 달성되어야 하는지를 설정하는 표준 및/또는 사양들의 세트 및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한다. 예컨대, 통상적으로, 그것은 사용자 또는 더욱 상세하게 사용자 디바이스에 회선 스위칭 베어러 또는 패킷 스위칭 베어러 또는 둘다가 제공된다면 정의된다. 또한, 통신 및 통신의 다양한 양상들이 사용자 디바이스 및 통신의 다양한 엘리먼트들 그리고 각자의 기능들 및 책임들 사이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다.
무선 또는 무선 시스템에서, 기지국 형태의 엔티티는 이동국들로 종종 지칭되는 사용자 통신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한 노드를 제공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로의 방향의 통신은 "다운링크(DL)"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보인다. 그러면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방향의 통신은 "업링크(UL)"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보여진다. 특정 시스템들에서 기지국이 '노드 B'로 불린다는 것이 언급된다.
다양한 엔티티들 사이의 시그널링은 제어 데이터 및 실제 데이터의 시그널링 사이에서 나누어질 수 있다. 실제 데이터는 사용자들이 통신하길 바라는 데이터 콘텐트를 지칭한다. 이번에는, 제어 시그널링은 사용자들이 전달되길 바랄 수 있는 이러한 데이터 콘텐트와 관련되지 않는 정보의 전달과 연관된다. 하기에서는, 이러한 두 형태들의 시그널링이 적절하다면 제어 시그널링과 데이터 시그널링으로 지칭됨으로써 분리된다.
시스템의 적합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제어 시그널링은 통상적으로 데이터 시그널링보다 더 높은 품질 요구사항들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확인응답 시그널링과 같은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량은 통상적으로 단 한 비트 또는 두 비트들이다. 이는 데이터 변조된 심볼들, 예컨대 직교 진폭 변조된(QAM) 심볼들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것보다 적다. 예컨대, 16QAM은 4 비트들을 운반하고, 64QAM은 6 비트들을 운반한다.
제어 시그널링의 예는 종종 ACK/NACK 시그널링으로서 지칭되는 긍정 및 부정 확인응답 정보 시그널링의 전달이다. 확인응답 시그널링은 예컨대 데이터 패킷과 같은 이전의 데이터 전송이 적절하게 수신되는지 이전의 전송들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그널링 기술들의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예컨대 제어 시그널링의 에러들 감소를 통해 통신의 성능을 최적화시킬 필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제어 시그널링 및 데이터 시그널링을 위한 단일 변조 방법의 사용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요구될 수 있다.
이곳에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 및/또는 요구들 중 하나 또는 여러 개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가 제공되고, 상기 변조기는 신호에서의 심볼 포지션들의 표현(representation) 내에서의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의 포지션들 사이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통한 전송을 위해 제어 심볼들 및 데이터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에서의 심볼 포지션들의 표현 내에서의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의 포지션들 사이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통한 전송을 위해 제어 심볼들을 데이터 심볼들과 함께 멀티플렉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변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고,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을 수신하면서, 신호에서의 심볼 포지션들의 표현 내에서의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의 포지션들 사이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통한 다른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제어 심볼들 및 데이터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상세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심볼들은 적어도 하나의 유클리드 거리에 기초하여 멀티플렉싱된다.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이 그들 사이에 최대 거리를 갖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적어도 서로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떨어져 위치되는 포지션들에 맵핑될 수 있다.
상기 표현 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션상의 전력에 관한 정보가 또한 활용될 수 있다. 최고 전력을 갖는 포지션들이 제어 심볼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정의된 전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전력을 갖는 포지션들이 제어 심볼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선택된다.
제어 심볼들은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전송에 대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응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확인응답은 데이터 심볼들과 함께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전송을 위한 신호로 멀티플렉싱된다. 상기 확인응답은 ACK/NACK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현은 성상도 다이어그램(constellation diagram)을 포함할 수 있다. 변조는 직교 진폭 변조와 위상 편이 변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계산들은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될 때 필요한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 시스템의 국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및 본 발명이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를 위해, 동반된 도면들에 대하여 예시로서만 참조가 이제 이루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맵핑 방식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 예시와 연관된 값들의 표를 나타낸다.
도 5는 다른 맵핑 방식을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도 5 예시와 연관된 값들의 표들을 나타낸다.
몇 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이전에, 기지국 그리고 이동국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의 특정 일반 원리들의 짧은 설명이 도 1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는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또는 이동 시스템들에서, 액세스는 사용자 디바이스(1)와 적절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 사이의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0) 또는 유사한 무선 전송기 및/또는 수신기 노드를 통해 통신 시스템에 무선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액세스 노드들의 비-제한적인 예시들은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과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의 기지국이다.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는 동시에 개방된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들을 가질 수 있고 하나보다 많은 수의 기지국에 접속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른 시스템들, 예컨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기지국 노드 및 다른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 기능이 임의의 적절한 게이트웨이 노드, 예컨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및/또는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기지국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적절한 제어기 엔티티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 엔티티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기지국을 통한 통신을 관리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 엔티티에는 통상적으로 메모리 용량 및 적어도 하나 의 데이터 프로세서가 제공된다. 기능 엔티티들이 제어기 내에 제어기의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capability)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기지국 제어기에 제공된 기능 엔티티들은 무선 자원 제어, 액세스 제어, 패킷 데이터 컨텍스트 제어 등등에 관련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이 예컨대 UL 데이터와 함께 다운링크(DL) ACK/NACK의 전송을 위해 롱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시스템의 업링크(UL) 부분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의 비-제한적인 예시는 롱텀 에볼루션(LTE)으로서 알려진 것의 개념을 나타낸다. 상기 시스템은 패킷 데이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진화된 무선 액세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액세스 시스템은 예컨대 진화된 유니버설 지상 무선 액세스(E-UTRA)로부터 알려진 아키텍처 및 진화된 유니버설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E-UTRAN) 노드 B들(eNBs)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진화된 유니버설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는 기지국 및 제어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는 E-UTRAN 노드 B들(eNBs)로 구성된다. 예컨대, eNBs 노드들은 사용자 플레인 무선 링크 제어/매체 액세스 제어/물리 계층 프로토콜(RLC/MAC/PHY) 및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향한 제어 플레인 무선 자원 제어(RRC) 프로토콜 종단들과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특징들을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아래에 기술되는 실시예들이 제공될 수 있는 단지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예시를 제공하는 이러한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것과, 다른 어레인지먼트들 및 아키텍처들이 또한 가능함이 언급된다. 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이한 액세스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는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및 예컨대 멀티미디어 또는 다른 콘텐트를 경험하기 위해, 전화 호출들을 만들고 수신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태스크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애플리케이션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인터넷 프로토콜(IP)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적절한 사용자 디바이스는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들은 이동국(MS),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설비를 갖춘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춘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등을 포함한다.
이동 디바이스는 이동 디바이스의 적절한 무선 인터페이스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어레인지먼트는 예컨대 무선 파트 7 및 연관된 안테나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인지먼트는 이동 디바이스에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에는 통상적으로 수행을 위해 설계된 태스크들에서의 사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싱 엔티티(3)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4)가 제공된다. 데이터 프로세싱 및 저장 엔티티들은 적절한 회로 보드상에 및/또는 칩셋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참조부호 6에 의해 지시된다.
도 1은 다른 엘리먼트들에 접속된 변조기 컴포넌트(9)를 더 나타낸다. 변조기 컴포넌트의 변조 기능들을 위한 예시들이 본 명세서에서 이후에 기술된다. 변조기 기능들이 별도의 컴포넌트 대신에 데이터 프로세싱 엔티티(3)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배열될 수 있음이 언급된다.
사용자는 키 패드(2), 음성 커맨드들, 터치 감지 스크린 또는 패드,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은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이 또한 통상적으로 제공된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들로의 및/또는 외부 액세서리들, 예컨대 핸즈-프리 장비를 자신에 접속시키기 위한 적절한 커넥터들(유선이든 무선이든)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는 하나의 방향으로 전송의 확인응답 및 다른 방향으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심볼 레벨에서 멀티플렉싱되는 실시예들 및 더욱 상세하게 다운링크 ACK/NACK와 업링크 데이터가 심볼 레벨에서 시간-멀티플렉싱되는 일정한 실시예들을 논의한다. 하기의 예시들에서는, 다운링크 ACK/NACK 시그널링이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이용한 전송을 위해 변조된다. 기지국 대신에, 통신이 예컨대 다른 이동국으로 송신될 수 있고 변조가 또한 기지국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언급된다.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단계 10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신호에서의 심볼 포지션들의 표현 내에서의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의 포지션들 사이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심볼들은 102에서 데이터 심볼들과 함께 멀티플렉싱된다. 그런 다음에, 변조된 심볼들은 104에서 전송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한 실시예에 따르면, ACK/NACK 심볼들이 102에서 데이터 심볼들과 멀티플렉싱될 때 특정한 ACK/NACK 비트 맵핑 규칙이 사용된다. 멀티플렉싱은 시간 멀티플렉싱에 기초할 수 있다.
심볼들은 신호 내에서 심볼들의 이상적인 포지션들을 도시하기 위해 신호 공간 다이어그램으로 맵핑될 수 있다. 신호의 이러한 표현의 예시는 성상도 다이어그램 또는 간단히 성상도가다. 성상도 다이어그램은 신호 내에서 심볼 포지션들을 시각화하기 위한 가능성들의 예시이고, 전송된 심볼이 복소수로서 표현될 수 있는 베이시스이다. 심볼들은 복소수들로서 표현되고, 따라서 복소 평면상에서 지점들로서 시각화될 수 있다.
성상도 다이어그램은 직교 진폭 변조(QAM) 또는 위상-편이 변조(PSK)와 같은 디지털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된 신호의 표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직교(Q) 캐리어들은 코사인 및 사인 캐리어 신호를 복소수의 실수부 및 허수부로 각각 변조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고, 심볼은 단일 주파수상에서 두 개의 캐리어들로 송신될 수 있다. 실수축 및 허수축은 종종 동위상(in phase) 또는 I-축, 그리고 직교 또는 Q-축으로 불린다.
성상도 다이어그램은 복소 평면 내에서 심볼 샘플링 인스턴트들 또는 지점들에 2-차원 다이어그램으로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성상도 다이어그램은 변조 방식에서 심볼들의 포지션의 표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변조 프로세스의 단순한 시각화를 허용한다. 직사각형 16 QAM 성상도 다이어그램들(30)의 예시들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다.
전송될 ACK/NACK 심볼들은 데이터 심볼들과 함께 사용되는 동일한 성상도 다이어그램으로 맵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유클리드 거리를 갖는 성상도 지점들이 ACK/NACK 전송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유클리드 거리는 보통 객체들 쌍의 좌표들 사이의 차의 제곱의 루트로서 표현되는 두 개의 지점들 사이의 거리로서 이해된다. 유클리드 거리는
Figure 112009073750016-pct00001
와 같이 계산될 수 있고, 여기서 k=[1,2...m], l=[1,2...m]은 데이터 심볼들을 위해 사용되는 변조 성상도들의 인덱스들을 나타내고, m은 데이터 심볼들을 위해 사용되는 성상도들의 개수이다.
다른 가능성은 상기 거리를 위해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더 큰 유클리드 거리를 갖는 임의의 지점들이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 규칙은 가장 유망한 후보자들, 예컨대 2개 또는 3개의 최대 유클리드 거리들 또는 임의의 다른 미리 정의된 개수의 최대 유클리드 거리들을 제공하는 성상도 지점들 사이에서 선택을 허용한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성상도들 지점들의 전력 레벨들이 또한 선택 프로세스에서 고려된다. 예컨대, 최대 유클리드 거리 또는 충분히 큰 유클리드 거리와 충분히 높은 전력을 갖는 지점들이 선택된다. 따라서, 충분히 큰 거리를 갖지만 너무 낮은 전력을 갖는 지점은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 거리 임계치들 및 전력 임계치들의 최적화된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지점들이 최대 거리들을 갖는 지점들이 아닐지라도 최고 전력 레벨들을 갖는 지점들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은 일-비트 ACK/NACK가 성상도 다이어그램(30)으로 맵핑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더욱 상세하게, 이러한 특정 예시에서, 16 직교 진폭 변조(QAM) 방식이 데이터 심볼들을 위해 사용된다. 검은 도트들(32)은 ACK/NACK 전송을 위해 제안된 성상도 지점들을 지시한다. 그러면 흰 도트들(34)은 데이터를 위해 남겨진다. 64 QAM 변조와 두-비트 ACK/NACK 전송도 고려하는 가능한 맵핑 규칙들의 더욱 상세한 예시들이 하기에서 고려된다.
도 4에 도시된 표 1은 상이한 데이터 변조 방식들을 이용하여 ACK/NACK 시그널링의 복소값(complex-valued) 변조된 심볼들, 즉 x=l+jQ로의 성상도 맵핑을 위한 예시이다. 더욱 상세하게, 표 1에 도시된 예시들에서, 일-비트 ACK/NACK 심볼들은 데이터 변조들 QPSK, 16 QAM 및 64 QAM에 의해 맵핑된다. 이러한 예시의 복소-값들(complex-values)은 2007년 3월 19일자의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기술 사양 TS 36.211 '물리적 채널들 및 변조' 버전 1.0.0에 기초한다.
도 5는 두-비트들 ACK/NACK 시그널링의 성상도 다이어그램(30)으로의 맵핑을 나타낸다. 두-비트들 ACK/NACK 시그널링은 예컨대 듀얼-코드워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전송이 다운링크에서 사용될 때 필요할 수 있다.
16 QAM 변조를 이용한 두-비트 ACK/NACK 시그널링의 성상도 맵핑을 위한 예시가 표 2에 도시되고 64 QAM의 경우를 위한 예시가 표 3에 도시되며, 도 6 및 도 7을 각각 참조하라. 표 2에 따르면, 16 QAM에서, ACK/NACK 시그널링 비트들의 쌍이 복소값 변조 심볼들, 즉 x=l+jQ로 맵핑된다. 표 3에 따르면, 64 QAM 변조에서, 비트들의 쌍은 복소값 변조 심볼들, 즉 x=l+jQ로 맵핑된다.
변조 및/또는 관련 의사 결정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싱은 국, 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기지국의 프로세싱 유닛이나 모듈에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기능들은 별도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또는 통합된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적절하게 적응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물건 또는 물건들이 적절한 프로세서상에, 예컨대 기지국 제어기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어기의 프로세서에 로딩될 때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예컨대 다양한 엔티티들 사이에서 시그널링되는 정보의 생성 및/또는 해석을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물건은 캐리어 디스크, 카드 또는 테이프와 같은 캐리어 매체를 통해 저장되고 제공될 수 있다. 가능성은 프로그램 코드 물건을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디바이스에 다운로딩하는 것이다.
ACK/NACK 심볼들 또는 다른 제어 시그널링 심볼들을 성상도 내의 데이터 심볼들로 맵핑하는 위에서 기술된 예시들의 장점은, 최적화된 수행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제어 심볼 신호들이 서로의 사이에서 최대 유클리드 거리 또는 미리 정의된 유클리드 거리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에러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제어 시그널링의 품질은 향상될 수 있다. 변조에서 제어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위한 동일한 성상도 다이어그램으로부터 성상도 지점들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최대 전력 또는 충분히 큰 전력이 제어 심볼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최대화된 신호-대-잡음비(SNR)가 피크전력-대-평균전력비(PAR)에 대한 어떠한 심각한 영향 없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이동국들과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들 그리고 기지국들과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서의 변조에 관련하여 기술된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데이터 통신에 적절한, 변조가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이 언급된다. 유사한 원리들이 제어 및 데이터 심볼들의 변조가 활용될 수 있는 임의의 통신 기술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비록 일정한 실시예들이 무선 네트워크들, 기술들 및 표준들에 대한 일정한 예시적 아키텍처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위에서 기술되었더라도, 실시예들이 이곳에 묘사되고 기술된 것이 아닌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태들의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음이 언급된다. 또한, 액세스 시스템이란 용어가 사용자 액세싱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액세스 시스템을 참조하는 것으로 이해됨이 언급된다.
이곳에서, 또한, 상기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상기 개시된 해결책에 이루어질 수 있는 여러 변형들 및 수정들이 존재함이 언급된다.

Claims (29)

  1.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로서,
    상기 변조기는, 신호에서의 심볼 포지션들의 표현 내에서의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의 포지션들 사이의 거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통한 전송을 위해 제어 심볼들 및 데이터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적어도 하나의 유클리드(Euclidean)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 사이에서 최대 거리를 갖는 포지션들로 맵핑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을 서로로부터 적어도 미리 결정 된 길이만큼 떨어져 위치되는 포지션들로 맵핑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상기 표현 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션상의 전력에 관한 정보에 또한 기초하여 상기 멀티플렉싱을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상기 제어 심볼들을 위해 최고 전력을 갖는 포지션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상기 제어 심볼들을 위해 미리 정의된 전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전력을 갖는 포지션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심볼들은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전송에 대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응답을 포함하고, 상기 변조기는 상기 확인응답을 상기 데이터 심볼들과 함께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전송을 위한 신호로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상기 심볼들을 시간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다운링크 ACK/NACK 심볼들을 업링크 데이터 심볼들과 함께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현은 성상도(constellation)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직교 진폭 변조와 위상 편이 변조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변조기.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변조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위한 국.
  14. 제 13 항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와 기지국 중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위한 국.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국은 진화된 유니버설 지상 무선 액세스(E-UTRA)를 위해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을 위한 국.
  16. 변조 방법으로서,
    신호에서의 심볼 포지션들의 표현 내에서의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의 포지션들 사이의 거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통한 전송을 위해 제어 심볼들을 데이터 심볼들과 함께 멀티플렉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클리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 사이에서 최대 거리를 갖는 포지션들로 맵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방법.
  1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을 서로로부터 적어도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떨어져 위치되는 포지션들로 맵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방법.
  20.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현 내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션상의 전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멀티플렉싱에 또한 고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심볼들에 대해 최고 전력을 갖는 포지션들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심볼들에 대해 미리 정의된 전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전력을 갖는 포지션들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방법.
  23.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전송의 확인응답을 표현하는 심볼들을 데이터 심볼들과 함께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호로 멀티플렉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방법.
  24.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들을 시간 멀티플렉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방법.
  25.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ACK/NACK 심볼들을 업링크 데이터 심볼들과 함께 멀티플렉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방법.
  26.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될 때,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따른 변조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 시스템의 국을 위한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8.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을 수신하면서, 신호에서의 심볼 포지션들의 표현 내에서의 적어도 두 개의 제어 심볼들의 포지션들 사이의 거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통한 다른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제어 심볼들 및 데이터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심볼들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전송에 대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응답을 표현하고, 상기 제어 심볼들은 상기 데이터 심볼들과 함께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신호로 멀티플렉싱되는,
    통신 시스템.
KR1020097024966A 2007-04-30 2008-04-22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변조 KR101102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708344.7 2007-04-30
GBGB0708344.7A GB0708344D0 (en) 2007-04-30 2007-04-30 Data modu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PCT/EP2008/054860 WO2008132098A2 (en) 2007-04-30 2008-04-22 Data modu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028A KR20100022028A (ko) 2010-02-26
KR101102987B1 true KR101102987B1 (ko) 2012-01-05

Family

ID=3817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966A KR101102987B1 (ko) 2007-04-30 2008-04-22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변조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374073B2 (ko)
EP (1) EP2145440B1 (ko)
JP (1) JP5904709B2 (ko)
KR (1) KR101102987B1 (ko)
CN (2) CN103840926B (ko)
AT (1) ATE494690T1 (ko)
AU (1) AU2008244341B2 (ko)
BR (1) BRPI0811001B1 (ko)
CA (1) CA2685013C (ko)
DE (1) DE602008004335D1 (ko)
ES (1) ES2358559T3 (ko)
GB (1) GB0708344D0 (ko)
MX (1) MX2009011678A (ko)
PL (1) PL2145440T3 (ko)
RU (2) RU2482615C2 (ko)
UA (1) UA98327C2 (ko)
WO (1) WO2008132098A2 (ko)
ZA (1) ZA2009073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708344D0 (en) * 2007-04-30 2007-06-06 Nokia Siemens Networks Oy Data modu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4079394B (zh) * 2010-09-16 2017-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与使用载波聚合的移动通信系统有关的反馈信息
WO2012034281A1 (en) 2010-09-16 2012-03-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Feedback information rela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US9825799B2 (en) * 2015-04-03 2017-11-21 Caviu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arding unused points from constellation mapping rule using transceiver processing hardware (“TPH”)
DE102017215341A1 (de) 2017-09-01 2019-03-07 Siemens Mobility GmbH Verfahren zur Untersuchung eines Funktionsverhaltens einer Komponente einer technischen Anlage, Computerprogramm und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2098A2 (en) * 2007-04-30 2008-11-06 Nokia Siemens Networks Oy Data modu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6927A (ja) * 1990-11-28 1992-07-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等化器
RU2124812C1 (ru) 1997-07-31 1999-01-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Дальняя связь"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синхронных цифровых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х систем методом спектрально-кодового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3865596B2 (ja) * 2000-04-03 2007-01-1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自動等化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受信回路
US20020141436A1 (en) * 2001-04-02 2002-10-03 Nokia Mobile Phone Ltd.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with control channel interleaved for fast control of a separate high speed downlink common channel
KR100832117B1 (ko) * 2002-02-17 2008-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 오프셋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4407126B2 (ja) * 2003-01-09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397839B2 (en) 2004-01-27 2008-07-08 Ntt Docomo, Inc. OFDM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3987858B2 (ja) * 2004-01-27 2007-10-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06030491A1 (ja) 2004-09-14 2006-03-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基地局装置ならびに通信システムのシグナリング方法およびチャネル選択方法
JP4806446B2 (ja) * 2005-03-29 2011-11-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送信方法および信号受信方法、データ送信器ならびにデータ受信器
JP4082460B2 (ja) 2005-06-22 2008-04-30 独立行政法人海洋研究開発機構 フレーム同期装置及びフレーム同期方法
US7903628B2 (en) * 2005-08-22 2011-03-08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pilo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25416B2 (en) *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Varied signaling channels for a reverse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20164B2 (en) * 2007-02-26 2010-05-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mission scheme for uplink access in a FDMA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2098A2 (en) * 2007-04-30 2008-11-06 Nokia Siemens Networks Oy Data modu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32098A2 (en) 2008-11-06
BRPI0811001A2 (pt) 2015-01-27
CA2685013C (en) 2016-07-19
ZA200907381B (en) 2010-07-28
CA2685013A1 (en) 2008-11-06
PL2145440T3 (pl) 2011-06-30
DE602008004335D1 (de) 2011-02-17
RU2482615C2 (ru) 2013-05-20
JP5904709B2 (ja) 2016-04-20
ES2358559T3 (es) 2011-05-11
BRPI0811001B1 (pt) 2020-03-17
RU2548901C2 (ru) 2015-04-20
RU2013105409A (ru) 2014-08-10
MX2009011678A (es) 2010-01-29
KR20100022028A (ko) 2010-02-26
ATE494690T1 (de) 2011-01-15
AU2008244341A1 (en) 2008-11-06
AU2008244341B2 (en) 2012-11-22
WO2008132098A3 (en) 2008-12-31
RU2009144109A (ru) 2011-06-10
CN101682595A (zh) 2010-03-24
CN103840926B (zh) 2017-11-07
US20100189051A1 (en) 2010-07-29
GB0708344D0 (en) 2007-06-06
UA98327C2 (ru) 2012-05-10
CN103840926A (zh) 2014-06-04
EP2145440A2 (en) 2010-01-20
EP2145440B1 (en) 2011-01-05
US8374073B2 (en) 2013-02-12
JP2010525709A (ja)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45844B (zh) 无线通信方法、装置及系统
US1054748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0084574B2 (en) Multiple component carrier OFDMA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8025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an uncoded channel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KR101102987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변조
KR101161864B1 (ko) 물리적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 표시자 채널 자원들의 매핑
CN109392115B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WO2010119533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11669823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JPWO2019181535A1 (ja) 送信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CN113498075B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CN112769532B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US20240097815A1 (en) MAC Architectures for Adaptive NOMA Modulation
CN113497700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CN109600156B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US20240098704A1 (en) MAC Architectures for Adaptive NOMA Modulation
CN111147215B (zh) 无线通信方法、装置及系统
US89768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