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552B1 -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552B1
KR101102552B1 KR1020090058780A KR20090058780A KR101102552B1 KR 101102552 B1 KR101102552 B1 KR 101102552B1 KR 1020090058780 A KR1020090058780 A KR 1020090058780A KR 20090058780 A KR20090058780 A KR 20090058780A KR 101102552 B1 KR101102552 B1 KR 10110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rose
sharon
leaves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300A (ko
Inventor
김성문
유정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5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5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궁화 잎으로부터 추출한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궁화 잎으로부터 추출한 정유는 독특한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향수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무궁화, Hibiscus syriacus, 정유, 향수 조성물

Description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Fragrance Composition comprising Essential Oil from Leaves of Hibiscus syriacus}
본 발명은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궁화 잎으로부터 추출한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30만종의 식물이 존재하며 그 용도에 따라 유료식물, 약용식물, 기호료식물, 향신료식물, 섬유료식물, 전분료식물, 당분료식물, 감미료식물, 색소식물, 도료식물, 산채식물, 바이오에너지식물, 향료식물로 나뉜다.
향기를 전달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향료는 크게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로 나뉘는데 천연향료는 동물, 식물, 미생물로부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얻어지며, 합성향료는 유기합성을 통해 얻어진다. 천연향료 중 동물소재의 향료는 주로 고래에서 얻어지는 앰버그리스, 사향고양이로부터 얻어지는 시벳, 사향노루로부터 얻어지는 무스콘, 비버로부터 얻어지는 캐스로리움이 있고, 식물소재의 향료는 다양한 향을 갖는 식물로부터 얻어지며 잘 알려진 것으로는 버가못, 세이지, 유칼리투스, 재스민, 쥬니퍼, 라벤더, 오렌지, 팻츄올리, 페퍼민트, 로즈, 샌달우드, 바닐라, 일랑일랑, 히솝, 캐모마일, 타임이 있다 (C. K. Dodt. 1996. The Essential Oils Book. Storey Books.)
천연향료는 그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프래그런스(fragrance, 향장품 향료)와 플래버(flavor, 식품향료)로 나뉜다. 프래그런스와 플래버의 시장 점유율은 전세계적으로 51%와 49%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합성향료는 천연향료물질을 유기합성을 통하여 얻어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라즈베리향이 나는 ionone과 raspberry ketone, 라벤더향이 나는 linalyl acetate, linalool, lavandulol, 딸기향이 나는 4-hydroxy-2,5-dimethyl-3(2H)franone), 동백향이 나는 linalool, 국화향이 나는 chrysanthenone, 겨자향이 나는 sinigrin, 레몬향이 나는 limonene, citral, 망고향이 나는 3-carene, terpinolene, limonene, 박하향이 나는 menthol, cymene, 복숭아향이 나는 gamma-decalactone, 산초향이 나는 citronellal을 들 수 있다.
천연향료는 고대로부터 향수의 원료로 사용되었으며 (한상길. 2002. 불후의 명품 향수이야기. 신광출판사), 시대에 따라 변화되는 상품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되었다 (향을사랑하는사람들. 1999. 향, 향수이야기. 한송). 현재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향수 제조회사로는 갤랭, 에스떼 로데, 아라미스, 랑콤, 엘리자베스 아덴, 조르지오 비벌리힐스, 몰리나르, 까롱, 부르조아, 보르사리, 까리따, 클라렌스, 아베다, 게일 헤이만, 라 프레리, 샤넬, 크리스찬 디올, 캘빈 클레인, 다비도프, 조르지 아르마니, 구찌, 겐조, 휴고 보스, 니나리치, 피에르가르뎅, 랄프 로렌, 베르사체를 들 수 있으며, 이들 회사에서는 매년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이상우. 2006. 향수의 모든 것. 만남).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향수회사에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향수를 출시하고 있는데 1920년대에는 개인의 개성을 주장하는 혁신적인 향수를, 1940년대에는 그린 향의 향수를, 1970년대에는 여성스러운 그린-플로랄 계열의 향수를, 1990년대에는 남녀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향수를, 그리고 2000년대에는 낯선 듯한 플랭커 향수를 새롭게 내놓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유채, 난, 한라봉 식물을 주제로 제주유채, 제주난, 제주 한라봉과 같은 제품이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향료성분은 향수 제조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데, 망초로부터 얻어진 정유에는 D,L-limonene 등 39종의 향료성분 (최해진, 왕해영, 김영남, 허수정, 김남경, 정미순, 박유화, 김성문. 2008. 수증기증류로 추출한 망초(Erigeron canadensis L.) 정유의 성분분석과 독성평가.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1): 55-59), 층꽃나무로부터 추출한 정유에는 4,6,6-trimethyl [1S-(1alpha,2beta,5alpha)]-bicyclo[3.1.1]hept-3-en-2-ol을 포함한 69종의 향료성분 (김성문. 2008. 층꽃나무(Caryopteris inca Miq.) 정유의 성분분석과 세포독성 평가.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3): 238-244), 털진달래로부터 추출한 정유에는 2-beta-pinene 등 19종의 향료성분 (박유화, 김성문. 2008. 털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정유의 성분분석과 독성평가.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3):233-237)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은 향수제조의 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무궁화(Hibiscus syriacus L.)는 아욱과의 식물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나라꽃으로 2-3m 높이로 자라며, 꽃잎은 길이가 4~10cm이며 달걀 모양으로 깊게 3갈래 로 갈라져 있다. 꽃은 7월에서 9월 사이에 피는데 새벽에 꽃이 피는 꽃은 오후에 오므라들어 해질 무렵 떨어지는 특성을 가진다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한국특허등록 제0843680호에는 스트레스 완화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0843692호에는 정서안정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0529819호에는 3-(3-헥세닐)-2-사이클로펜테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현재까지 무궁화의 전초, 잎, 꽃, 줄기로부터 정유를 추출하고, 이를 향수 제조에 이용한 예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식물 정유로부터 특정 향기를 갖는 향수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무궁화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이 원하는 향기 성분을 갖고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무궁화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얻은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분은 향수의 조제에 직접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수를 포함하는 다양한 향장품(방향화장품, 기초화장품, 파우더, 모발화장품, 목욕제품), 식품(주스, 아이스크림, 캔디, 조미료, 향신료, 향담배용, 의약품), 가정용품(세정제(가루비누 등), 천연살균살충제), 생물용품(동물사료용, 해충기피제), 공업용품(합성고무, 수지, 도료, 잉크, 인조가죽, 마루장판, 플라스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무궁화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향수 조성물에서, 상기 무궁화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는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향수로 활용하기 위한 무궁화 잎으로부터 정유의 추출시 추출용매는 열수(hot water), 물을 끓여서 발생시킨 수증기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향수 조성물에서, 상기 무궁화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주요 성분은 인덴(indene), 3-메틸스티렌(3-methylstyrene), (1-메틸-2-시클로프로펜-1-일)벤젠, β-메틸스티렌, 1,4-디히드로나프탈렌, 헤미멜리텐(hemimellitene), 슈도큐멘(pseudocumene), β-메틸이소알릴벤젠, 시클로프로필벤젠, 1,4-디메틸-2-에테닐벤젠, 에틸 아세테이트, β-카리오필렌(caryophyllene) 및 듀렌(dur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향수 조성물은 상기 주요 성분 13가지를 모두 함유한다.
본 발명의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분은 향수에 직접 이용될 뿐만 아니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식품, 가정용품, 생활용품, 공업용품에도 잉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향수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무궁화 잎 정유와 통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향료 성분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통상 사용될 수 있는 향료 성분으로서, 광범위한 향료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문헌[참조: Arctander S.,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Montolair, N.J.(U.S.A), 1969]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인 예로는 α-피넨, 리모넨, 멘톨, 페닐에틸 알콜,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유게놀, 로즈 옥사이드, 리나롤, 벤즈알데히드, 무스콘, 메틸 디하이드로쟈스모네이트, 시스-쟈스몬, 디하이드로쟈스몬, γ-운데카락톤, 헥실신남산 알데히드, 쟈스말, 헬리오부케 등을 들 수 있으나, 특히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향수 조성물 중의 본 발명의 무궁화 잎 정유의 배합량은 제형화한 향수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달라지나, 조성물 중에서 약 0.000001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001중량%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01중량% 내지 5중량%의 양으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향수 조성물은 향수 성분으로서 향수 및 화장품류, 보건위생 물질, 의약품 등에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샴푸, 린스류, 향수, 코롱류, 헤어 토닉, 헤어 크림류, 포마드, 모발용 화장품 기재, 기타 화장품 기재, 화장품 클렌저, 실내 방향제, 비누, 식기 세척제, 세탁용 세제, 유연제, 소독용 세제류, 냄새 제거 세제류, 가구 케어, 소독제, 살균제, 방충제, 표백제, 기타 각종 보건위생용 세제류, 치약, 마우스 워시, 화장지, 의약품의 복용을 개선하기 위한 향 첨가제 등에 사용하는 경우, 이들의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 1: 무궁화 잎으로부터 정유 추출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무궁화 잎은 2008년 8월부터 10월까지 강원도 홍천군 소재 야산에서 수집하였다.
수집된 무궁화 잎을 흐르는 물로 세척하고 잎 표면의 물을 종이타월로 제거하였다. 무궁화 잎(3kg)을 Likens-Nickerson type 연속 수증기 증류 장치에 넣고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를 용매로 3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하여 정유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정유를 10mL의 갈색병에 넣고 실온에서 40시간 정치하여 순수한 정유만을 얻었다. 무궁화 잎은 채집시기마다 다르기는 하였지만 일반적으로 시료 1kg 당 0.1mL의 정유를 채집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무궁화 잎 정유에 함유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무궁화 잎 정유를 디에틸 에테르로 20배 희석한 다음, 1㎕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Varian사 CP-3800과 1200L)에 주입하여 성분을 SPME법으로 분석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컬럼은 VF-5 MS 30MXO 캐필러리 컬럼(25m)이었으며, 주입구 온도는 250℃이었다. 오븐온도는 50℃에서 5분간 유지하고 분당 4℃에서 250℃까지 승온한 뒤 10분간 유지하였다. 캐리어 가스는 헬륨(1mL/분)을 사용하였고, 질량분석기 mass selective detector의 이온화전류는 70eV, 이온소스온도는 230℃, 주입구온도는 250℃이었다. 성분분석은 GC-MS를 이용하여 각 성분의 질량 스펙트럼을 얻은 후, Wiley 275 Library의 library search data system에 의한 검색을 통하여 행하였다.
무궁화 잎 정유를 GC 분석한 결과, 총 13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함유되어 있었다 (도 1). 무궁화 잎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성분으로는 indene(20.06%), 3-methylstyrene(19.38%), (1-methyl-2-cyclopropen-1-yl)benzene(17.95%), β-methylstyrene(4.90%), 1,4-dihydronaphthalene(4.65%), hemimellitene(3.05%), pseudocumene(2.67%), β-methylisoallylbenzene(1.94%), cyclopropylbenzene(1.82%), 1,4-dimethyl-2-ethenylbenzene(1.76%), ethyl acetate(1.42%), β-caryophyllene(1.03%), durene (0.33%), 미량화합물(19.05%)을 들 수 있다(표 1).
[표 1] 무궁화 잎 정유 성분분석(SPME법)
Figure 112009039744471-pat00001
실시예 3: 무궁화 잎 정유의 관능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무궁화 잎 정유를 강원대학교 향수개발동아리 Rose of Sharon의 정회원 5명(이사은, 오승혜, 연보람, 연제현, 조남규)에게 의뢰하여 향취를 분석하였다. Rose of Sharon은 박과 김(박유화, 김성문. 2008. 털진달래 정유의 성분분석과 독성평가.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3): 233-237), 유 등(유정미, 박유화, 김성문. 2008. 개망초 꽃의 향기성분 분석. 한국잡초학회지 28(3):274-278)의 연구에 참여한 바가 있는 향수 전문가들이다.
Rose of Sharon의 정회원 5명이 무궁화 잎 정유를 관능평가 결과, powdery, oily, rich, animalic, earthy, green, floral 이라는 판정을 내렸다.
실시예 4. 무궁화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무궁화 잎 정유를 1%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을 표 2와 같이 조제하였다. 향수 조성물에는 26종의 화합물 또는 천연조합향료가 함유되어 있었는데, green note는 그린티에센스 10방울, 뮤게에센스 20방울, 허브에센스 2방울, 아이리스에센스 1방울, 무스크에센스 2방울을 포함하는 것이다.
향수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sweet, floral, soft, powdery, warm, pink한 향취를 가지며, 전체 중량비로서 hydroxy citronellal(15%)이 10%, PEA(15%)가 8%, benzoin(5%)가 6%, benzyl acetate(10%)가 6%, lyral(5%)이 6%, terpineol(10%)이 6% 함유되어 있다.
[표 2] 무궁화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Figure 112009039744471-pat00002
본 실시예 4의 무궁화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의 향취를 Rose of Sharon 정회원 5명에게 분석의뢰한 결과는 sweet, floral, soft, powdery, warm이었다.
실시예 5. 무궁화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의 향기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향수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향기성분을 SPME로 흡착하고, 이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을 GC-MS로 분석한 결과 21개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2 및 표 3).
[표 3]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의 휘발성 향기성분
Figure 112009039744471-pat00003
도 1은 무궁화 잎 정유 성분을 분석한 GC 크로마토그램(SPME법) 결과이다.
도 2는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의 향기성분 GC 크로마토그램 결과이다.

Claims (4)

  1. 유효성분으로 무궁화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궁화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는 열수 추출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궁화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주요 성분은 인덴(indene), 3-메틸스티렌(3-methylstyrene), (1-메틸-2-시클로프로펜-1-일)벤젠, β-메틸스티렌, 1,4-디히드로나프탈렌, 헤미멜리텐(hemimellitene), 슈도큐멘(pseudocumene), β-메틸이소알릴벤젠, 시클로프로필벤젠, 1,4-디메틸-2-에테닐벤젠, 에틸 아세테이트, β-카리오필렌(caryophyllene) 및 듀렌(dur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KR1020090058780A 2009-06-30 2009-06-30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KR10110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780A KR101102552B1 (ko) 2009-06-30 2009-06-30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780A KR101102552B1 (ko) 2009-06-30 2009-06-30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00A KR20110001300A (ko) 2011-01-06
KR101102552B1 true KR101102552B1 (ko) 2012-01-04

Family

ID=4360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780A KR101102552B1 (ko) 2009-06-30 2009-06-30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5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750B1 (ko) * 2015-08-25 2017-07-2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궁화의 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9157A (ko) 2019-01-16 2020-07-24 이모션랩 주식회사 겨울 느낌의 향수 조성물
KR102592584B1 (ko) 2022-05-25 2023-10-23 (유)그랑핸드 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48970B (zh) 2017-02-23 2019-03-22 广州番禺电缆集团有限公司 一种连体式对钩线夹
KR102567074B1 (ko) * 2022-12-12 2023-08-16 한국콜마주식회사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835A (ja) 2001-09-28 2003-04-09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KR20030050722A (ko) * 2001-12-19 2003-06-25 김윤일 속옷용 향수
KR100529819B1 (ko) 2001-12-18 2005-11-22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3-(3-헥세닐)-2-사이클로펜테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KR100843692B1 (ko) 2007-02-06 2008-07-04 (주)휴스콘건설 정서안정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835A (ja) 2001-09-28 2003-04-09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KR100529819B1 (ko) 2001-12-18 2005-11-22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3-(3-헥세닐)-2-사이클로펜테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KR20030050722A (ko) * 2001-12-19 2003-06-25 김윤일 속옷용 향수
KR100843692B1 (ko) 2007-02-06 2008-07-04 (주)휴스콘건설 정서안정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750B1 (ko) * 2015-08-25 2017-07-2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궁화의 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9157A (ko) 2019-01-16 2020-07-24 이모션랩 주식회사 겨울 느낌의 향수 조성물
KR102592584B1 (ko) 2022-05-25 2023-10-23 (유)그랑핸드 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00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ybus et al. The Chemistry of Fragrances: From Perfumer to Consumer
CN100396674C (zh) 芳香化合物
KR101102552B1 (ko)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Fortineau Chemistry perfumes your daily life
Younis et al.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 analysis of Jasminum sambac essential oil
CN101457178A (zh) 一种从灵香草中提取水溶性挥发油的方法
KR20090051607A (ko) 인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Srivastava et al. Chemical investig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atchouli (Pogostemon cablin (Blanco) Benth) essential oil
Moektiwardoyo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locomotor activity of andaliman fruits (Zanthoxylum acanthopodium DC.) essential oil on mice
KR101834491B1 (ko) 쑥의 천연 정유 및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디퓨저 방향제 조성물
Alhassan et al. Extraction and formulation of perfume from locally available lemon grass leaves
Mwaniki Analysis of blue chamomile essential oil produced by multi-solvent solvent extraction clevenger distillation method
JP5655258B2 (ja) 7,10,13−ヘキサデカトリエン−16−オリド、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香料組成物、香粧品、飲食品、トイレタリー品
Nadeem et al. Isola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Essential Oils–A Comprehensive Review
Wesolowska et al. Influence of distillation time o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isolated from lavender (Lavandula angustifolia Mill.)
KR102319608B1 (ko)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향수의 제조방법
Velikorodov et al.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Wildgrowing and Introduced Plants of the Astrakhan Region
Ramachanderan et al. Lily-of-the-valley fragrances
Zhu et al. The utilization of aromatic plant waste resource
JPS63159378A (ja) スピロジオキサ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香料組成物
GOLDA Perfume Extraction and Formulation from Lemongrass Leaves
Harder The art of creating a perfume
CN101457177A (zh) 一种从水蜈蚣中提取水溶性挥发成分的方法
Ibrahim et al. OPTIMIZATION OF ESSENTIAL OIL EXTRACTION FROM Cymbopogon spp (LEMON GRASS) AND ITS APPLICATION IN PERFUME FORMULATION
Anonis Woody notes in perfumery: Patchouli in fragrances, Part 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