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437B1 - 등기구 - Google Patents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437B1
KR101102437B1 KR1020090109715A KR20090109715A KR101102437B1 KR 101102437 B1 KR101102437 B1 KR 101102437B1 KR 1020090109715 A KR1020090109715 A KR 1020090109715A KR 20090109715 A KR20090109715 A KR 20090109715A KR 101102437 B1 KR101102437 B1 KR 101102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base plate
light emitting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958A (ko
Inventor
한만수
신성철
김준규
김용건
김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3627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024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기술
Priority to KR1020090109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4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위치에 따라 광의 방사각이 조절된 다수의 LED를 구비함에 따라 인접된 LED 사이의 광 상쇄현상을 방지하여 광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집어용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는 중심부에서 양측 가장자리부로 하향 굴곡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치 영역에 따라 광의 방사각이 서로 다른 다수의 광원유닛을 갖는 발광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집어, 등기구, LED

Description

등기구{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위치에 따라 광의 방사각이 조절된 다수의 LED를 구비함에 따라 인접된 LED 사이의 광 상쇄현상을 방지하여 광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집어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어용 등기구는 멸치, 고등어, 오징어 등 주광성(走光性)이 있는 어족 및 어군을 모여들게 하기 위하여 어선에 장치하는 등불로서, 사용 목적에 따라 수상등과 수중등으로 나누며, 특히 광원은 어류의 빛에 대한 반응, 선내 전원과의 관계, 수압, 누전 등을 감안하여 발광효율, 광색, 내용시간, 형상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광원의 종류에는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백열전구를 비롯하여 투광용 조명에 적합한 할로겐전구, 형광체의 종류에 따라 파장조절이 자유로운 형광등, 발광효율과 내용시간이 뛰어난 수은등 등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광원들은 일정한 지향각으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 특성, 즉, 직진성이 좋지 않고, 전력이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집어용 등기구의 광원으로 발광효율이 좋고 전력소모가 적으며 직진성이 좋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된다.
하지만, 집어용 등기구의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려면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인접하여 배치하여야 하는데, 이때 인접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이 중첩되는 구간에서 광이 증폭되는 것이 아니라 상쇄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집어용 등기구의 광원으로 다수의 LED를 사용함에 따라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켜야 하는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방사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배치를 조절하여 인접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간에 발생되는 광의 상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방사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배치를 조절하여 광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는 중심부에서 양측 가장자리부로 하향 굴곡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치 영역에 따라 광의 방사각이 서로 다른 다수의 광원유닛을 갖는 발광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광원유닛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2 광원유닛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 1 광원유닛과 제 2 광원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3 광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원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3 광원유닛보다 광의 방사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3 광원유닛의 광 방사각은 10 ~ 20°이고, 상기 제 2 광원유닛의 방사각은 20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 1 및 제 3 광원유닛의 광 방사각은 15°이고, 상기 제 2 광원유닛의 광 방사각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광원유닛은 각각 PCB 기판과, 상기 PCB 기판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는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사되는 광의 방사각을 결정하는 반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광원유닛은 각각 PCB 기판에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다수의 방열핀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다수의 방열핀이 인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조립홈에는 방열핀이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방열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입설되는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에는 외측방향으로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 및 방열핀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및 구리 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거나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LED를 사용한 광원유닛을 평면이 아닌 굴곡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하고, 다른 방사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인접배치되도록 함에 따라 인접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간에 발생되는 광의 상쇄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방사각이 좁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베이스 플레이트이 중심부 및 양측 가장자리부에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방사각이 넓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그 사이에 배치하여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원하는 지점에 원하는 정도의 광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LED가 장착되는 하우징에 방열핀을 압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방열핀에 공기 유로공을 형성하거나, 하우징에 열전도율이 좋은 재료를 코팅하여 하우징의 열 방출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보여주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어용 등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갖는 하우징부(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설치 영역에 따라 광의 방사각이 서로 다른 다수의 광원유닛(210,220,230)을 갖는 발광부(200)와; 상기 하우징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200)를 보호하는 커버부(30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0)는 상기 발광부(200) 및 커버부(300)가 장착되고, 상기 발광부(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는 수단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입설되는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1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측벽 플레이트(120) 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 개구부 및 후방 개구부를 커버하는 전방 플레이트(130) 및 후방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그 상면으로 상기 발광부(200)가 직접 장착되는 수단으로, 중심부에서 양측 가장자리부로 하향 굴곡되는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굴곡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굴곡되는 정도는 상기 발광부(200)에서 발광되는 광의 직진성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굴곡정도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가상 수평선(Lh)에 대한 수직선(Ln)과, 굴곡된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면의 연장선(Le)이 가상 수평선(Lh)과 만나는 점(P)의 접선(Lt) 사이의 각(θ1)이 약 7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은 전체가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광원유닛(210,220,230)의 PCB 기판(211)이 올바르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PCB 기판(211)의 크기에 대응하여 구간별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 플레이트(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입설되어 상기 발광부(200)를 보호하면서, 발광부(200)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수단이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측벽 플레이트(120)에는 외측 방향으로 방열핀(111,121)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측벽 플레이트(120), 전방 플레이트(130), 후방 플레이트(140) 및 방열핀(111,121)은 열을 방출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좋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측벽 플레이트(120), 전방 플레이트(130), 후방 플레이트 및 방열핀(111,121)을 형성하거나, 일반적인 금속재료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측벽 플레이트(120), 전방 플레이트(130), 후방 플레이트(140) 및 방열핀(111,121)을 형성한 다음 그 표면을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 측벽 플레이트(120), 전방 플레이트(130), 후방 플레이트 및 방열핀(111,121)을 제작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 측벽 플레이트(120) 및 방열핀(111,121)에는 표면에 구리합금(Cu-Sn-Zn)을 코팅하여 열전도 및 열방출 효율을 극대화하였다.
그리고, 상기 전방 플레이트(130) 및 후방 플레이트(14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발광부(200)를 보호한다. 이때 상기 전방 플레이트(130) 및 후방 플레이트(140)에는 선택적으로 후술되는 발광부(200)의 전선이 통과되어 설치되는 설치공(14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측벽 플레이트(120)가 일체로 입설되고, 전방 및 후방에 전방 플레이트(130) 및 후방 플레이트(140)가 장착됨에 따라 하우징부(100)는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발광부(200)가 구비되어 보호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00)에는 등기구를 어선에 설치하기 위한 각종 고정수단(미도시), 예를 들어 브래킷 및 고리 등이 더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광원유닛(21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2 광원유닛(22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상기 제 1 광원유닛(210)과 제 2 광원유닛(220)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3 광원유닛(2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광원유닛(210)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심부에 한 쌍 구비하고, 제 2 광원유닛(220)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이 양측 가장자리부에 각각 하나씩 한 쌍 구비하였으며, 제 3 광원유닛(230)을 제 1 광원유닛(210) 및 제 2 광원유닛(220) 사이에 두 쌍 구비하였다. 물론 제 1 광원유닛(210) 내지 제 3 광원유닛(2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광원유닛(210) 내지 제 3 광원유닛(230)은 각각 PCB 기판(211)과, 상기 PCB 기판(211)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PCB 기판(211)을 길게 형성하고, 8개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을 일렬로 길게 배치하였다. 하지만 PCB 기판(211) 및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의 개수는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부(100),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CB 기판(211)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패턴되고,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의 작동을 제어하는 각종 소자(215)가 구비되며,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전선(217)이 연결된다. 상기 전선(217)은 상기 전방 플레이트(130) 및 후방 플레이트(140)에 형성되는 설치공(141)을 통하여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연장되고, 연장된 전선(217)은 별도의 전원 공급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은 발광 다이오드 칩(20)의 발광에 의해 광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과 상기 본체(10)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20)은 배선(미도시), 예를 들어 리드 프레임 또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PCB 기판(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20)을 덮어서 보호하는 몰딩부(30) 및 발광 다이오드 칩(20)에서 발광되는 광의 파장을 변환시키는 형광체 분말 또는 형광필름과 같은 파장 변환 수단(미도시)이 더 포함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20)에서 방사되는 광의 방사각을 결정하는 반사면(1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후술되는 설명을 위하여 반사면(11)의 형성에 의해 결정되는 광의 방사각을 "θ2"로 정의한다. 상기 반사면은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 다이오드 칩(20) 에서 방사되는 광의 방사각(θ2)을 결정할 수 있도록 별도로 반사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칩(20)은 예를 들어 반도체 PN 접합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반도체 PN 접합 다이오드는 P, N 반도체를 접합한 뒤, 전압을 가해주면, P형 반도체의 정공은 N형 반도체 쪽으로 가서 가운데층으로 모이며, 이와는 반대로 N형 반도체의 전자는 P형 반도체 쪽으로 가서 전도대(conduction band)의 가장 낮은 곳인 가운데층으로 모인다. 이 전자들은 가전대(valence band)의 정공으로 자연스럽게 떨어지며, 이 때 전도대와 가전대의 높이 차이 즉, 에너지 갭에 해당하는 만큼의 에너지를 발산하는데, 이 에너지가 빛의 형태로 방출된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발광 방식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칩은 다양한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에서 활성층으로 사용되는 인듐(In) 함유량을 조절하거나,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어에 유익한 효과를 주는 백색광을 구현하기 위하여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을 사용하고, 이에 따라 몰딩부(30)에 청색광의 파장을 백색광의 파장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 분말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로 답뷰(top-view) 방식의 모듈을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lamp) 방식, 사이드뷰(side-view) 방식 및 칩(chip) 방식 등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광원유닛(210) 내지 제 3 광원유닛(230)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굴곡지게 형성하여 상호 간에 발생될 수 있는 광의 상쇄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광원유닛(210) 내지 제 3 광원유닛(230)의 광 방사각(θ2)을 적절히 조절하여 상호 간에 발생될 수 있는 광의 상쇄현상을 방지하면서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광원유닛(220)의 광 방사각(θ2)이 상기 제 1 광원유닛(210) 및 제 3 광원유닛(230)의 광 방사각(θ2) 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하였다. 그래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 즉 발광면의 중심부 및 가장자리부에서 발광되는 광은 상대적으로 직진되도록 하였고, 중심부와 가장자리부의 사이 영역에서 발광되는 광은 상대적으로 넓게 퍼지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광원유닛(210) 및 제 3 광원유닛(230)의 광 방사각(θ2)은 10 ~ 20°이 되도록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의 반사면(11)을 조절하였고, 상기 제 2 광원유닛(220)의 방사각(θ2)은 20 ~ 40°이 되도록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의 반사면(11)을 조절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광원유닛(210) 및 제 3 광원유닛(230)의 광 방사각(θ2)은 15°이 되도록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의 반사면(11)을 조절하고, 상기 제 2 광원유닛(220)의 광 방사각(θ2)은 30°이 되도록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의 반사면(11)을 조절한다.
이렇게 제 1 광원유닛(210) 내지 제 3 광원유닛(230)의 광 방사각(θ2)을 한 정하는 이유는 상기와 같은 광 방사각(θ2)의 조건에서 제 1 광원유닛(210)과 제 2 광원유닛(220) 사이 및 제 2 광원유닛(220)과 제 3 광원유닛(230) 사이에서 발생되는 광의 상쇄현상을 최소화하고, 등기구 전방 2 ~ 5m 부근에서 집어에 효율적인 조도를 제공하는 광을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0)에 부착된 발광부(200)는 커버부(300)에 의해 보호된다.
커버부(300)는 상기 하우징부(100)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커버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발광부(200)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창(310)과, 상기 투광창(310)을 상기 하우징부(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프레임(3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투광창(310)과 하우징부(100)의 사이에는 수분 및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실링부재(320)가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광창(310) 및 실링부재(320)는 고정 프레임(330)을 상기 하우징부(100)에 볼트로 체결함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하지만 투광창(310) 및 실링부재(320)의 고정방식은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투광창(310)은 상기 발광부(200)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투광창(310)에는 상기 발광부(200)에서 발생되는 광의 집진을 위한 패턴(미도시), 예를 들어 돌기 및 홈과 같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부(100)에 형성되는 방열핀(111,121)은 보다 효과적인 제작 및 열 방출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방열핀(111A)을 별개로 제작한 다음 조립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저면에 다수의 방열핀(111A)이 조립되는 조립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조립홈(113)에 방열핀(111A)이 압입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방열핀(111A)을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별개로 제작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방열핀(111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로공(115)을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방열핀(111A) 사이 및 공기 유로공(115)으로 공기가 자유롭게 유동됨에 따라 방열핀(111A)에 의한 열방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100)에 구비되는 커버부(300)는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부(200)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키면서 발광부(200)를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등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111B)에 측벽 플레이트를 형성하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111B)에 직접 커버부(300B)를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B)의 양측 가장자리에 측벽 플레이트를 형성하지 않고, 외측으로 설치홈(117)을 길게 형성한다. 그리고, 커버부(300B)에는 상기 설치홈(117)에 대응 되는 설치돌기(301)를 양측으로 길게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커버부(300B)의 설치돌기(301)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B)의 설치홈(117)에 인입시킴에 의해 커버부(300B)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B)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300B)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B)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부에서 소정길이 만큼 이격된 부분이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부(300B)의 중심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B)와 대응되는 정도로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커버부(300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발광부(200)를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300B)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B)에 고정되는 방식도 제시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300B)는 상기 발광부(200)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버부(300B) 전체를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C)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부(300B)에는 상기 발광부(200)에서 발생되는 광의 집진을 위한 패턴(미도시), 예를 들어 돌기 및 홈과 같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조도 및 광 방출각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조도 및 광 방출각을 보여주는 실험 데이터이다.
본 실험에 사용된 등기구는 제 1 광원유닛(210) 및 제 3 광원유닛(230)의 광 방사각(θ2)이 15°이 되도록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의 반사면(11)을 조절하고, 제 2 광원유닛(220)의 광 방사각(θ2)이 30°이 되도록 발광 다이오드 모듈(213)의 반사면(11)을 조절하였고, 각각의 광원유닛(210,220,230)은 PCB 기판을 길게 형성하고, 8개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일렬로 길게 배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등기구를 이용하여 조도를 측정한 결과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2.70m의 거리에서 최대 699.424 럭스(lx)의 조도가 구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c 내지 도 7e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등기구에서 발광되는 광이 넓게 퍼지면서 방사되지 않고, 좁은 방사각으로 방사되어 광의 직진성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7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등기구에서 발광되는 광의 방사각은 평균 절반값이 16°이고, 최대 절반값이 19°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에서 발광되는 광의 직진성이 상당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집어용 등기구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집어용 이외에 다양한 등기구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 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보여주는 개략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조도 및 광 방출각을 보여주는 실험 데이터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부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측벽 플레이트 200: 발광부
210,220,230: 광원유닛 211: PCB 기판
213: 발광 다이오드 모듈 300: 투광부
310: 투광창

Claims (12)

  1. 중심부에서 양측 가장자리부로 하향 굴곡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치 영역에 따라 광의 방사각이 서로 다른 다수의 광원유닛을 갖는 발광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광원유닛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2 광원유닛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 1 광원유닛과 제 2 광원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3 광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원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3 광원유닛보다 광의 방사각이 크게 형성되는 등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광원유닛의 광 방사각은 10 ~ 20°이고, 상기 제 2 광원유닛의 방사각은 20 ~ 40°인 등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광원유닛의 광 방사각은 15°이고, 상기 제 2 광원유닛의 광 방사각은 30°인 등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광원유닛은 각각 PCB 기판과, 상기 PCB 기판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는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사되는 광의 방사각을 결정하는 반사면이 구비되는 등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광원유닛은 각각 PCB 기판에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일렬로 배치되는 등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다수의 방열핀이 일체로 형성되는 등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다수의 방열핀이 인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조립홈에는 방열핀이 압입되어 고정되는 등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방열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로공이 형성되는 등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입 설되는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에는 외측방향으로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되는 등기구.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및 방열핀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및 구리 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거나 코팅되는 등기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창을 포함하는 등기구.
KR1020090109715A 2009-11-13 2009-11-13 등기구 KR101102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715A KR101102437B1 (ko) 2009-11-13 2009-11-13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715A KR101102437B1 (ko) 2009-11-13 2009-11-13 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958A KR20110052958A (ko) 2011-05-19
KR101102437B1 true KR101102437B1 (ko) 2012-01-05

Family

ID=4436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715A KR101102437B1 (ko) 2009-11-13 2009-11-13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4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07A (ko) * 2007-07-19 2009-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장치
KR20090109995A (ko) * 2008-04-17 2009-10-21 진점남 퍼즐 조립식 시그널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07A (ko) * 2007-07-19 2009-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장치
KR20090109995A (ko) * 2008-04-17 2009-10-21 진점남 퍼즐 조립식 시그널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958A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364B2 (en) Lighting apparatus
KR100731454B1 (ko) 발광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조명기구
JP4804429B2 (ja) 発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83173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mni-directional lamp having a light emitting diode light engine
US8616724B2 (en) Solid state directional lamp including retroreflective, multi-element directional lamp optic
US8757840B2 (en) Solid state retroreflective directional lamp
JP5340763B2 (ja) Ledランプ
JP5123862B2 (ja) 二次元照明装置
US8777455B2 (en) Retroreflective, multi-element design for a solid state directional lamp
JP4683013B2 (ja) 発光装置
US9874662B2 (en) Illumination device
US8777463B2 (en) Hybrid solid state emitter printed circuit board for use in a solid state directional lamp
TW201320384A (zh) 吸頂燈
JP2011228286A (ja) 照明装置
KR101034481B1 (ko) 서리 형성 방지가 가능한 등기구
KR101099572B1 (ko) Led 조명장치
KR101843505B1 (ko) 엘이디 램프
KR101102437B1 (ko) 등기구
JP6344058B2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JP2013101951A (ja) 光源ユニット
KR20160073182A (ko) 엘이디 램프
WO2023057380A1 (en) Led filament with heat sink
KR101509210B1 (ko) 엘이디 형광등
KR20130003410A (ko) 엘이디 램프
KR20150125251A (ko)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