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247B1 - Device for precision flow supplying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ecision flow supply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247B1
KR101101247B1 KR1020110024072A KR20110024072A KR101101247B1 KR 101101247 B1 KR101101247 B1 KR 101101247B1 KR 1020110024072 A KR1020110024072 A KR 1020110024072A KR 20110024072 A KR20110024072 A KR 20110024072A KR 101101247 B1 KR101101247 B1 KR 10110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hamber
piston
suppl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백
박노욱
이수익
배한홍
Original Assignee
두림로보틱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림로보틱스(주) filed Critical 두림로보틱스(주)
Priority to KR1020110024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2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2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34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conducting intermittent application of small quantities, e.g. drops, of coating material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PURPOSE: A precise amount supplying apparatus is provided to continuously release a precise amount of high viscosity liquid based on a low power driving unit by using both a high pressure supplying side pressure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CONSTITUTION: A precise amount supplying apparatus includes a precise amount supplying cylinder(100), a releasing part(200), and a controlling part. The precise amount supplying cylinder includes a casing(110), a driving unit(120), and valves(v1 to v4). The casing is divided into a first chamber(112) and a second chamber(114) by a piston(122). The piston is driven by the driving unit. A first valve is installed at a first supplying line(132). A second valve is installed at a second supplying line(134). A third valve is installed at a first releasing line(136) releasing fluid from the first chamber. A fourth valve is installed at a second releasing line(138) releasing fluid from the second chamber. The releasing part is in connection with releasing lines and releases fluid. The controlling par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pist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s.

Description

정량공급장치{Device for precision flow supplying}Device for precision flow supplying

본 발명은 정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출력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실러(sealer)와 같은 고점도 액체의 지속적인 정량토출이 가능하게 하는 정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ntitative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quantitative supply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quantitative discharge of a high viscosity liquid such as a sealer using a low power drive means.

점도가 높은 유체, 예를 들어, 차체 보강용 실러(BPR sealer, body panel reinforcement sealer), RPP(Rock Panel Primer), 데드너(DEADNER), LASD(Liquid Applied Sound Dumper) 등과 같은 고점도 유체를 정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High-viscosity fluids, such as high viscosity fluids such as body sealer (BPR sealer, body panel reinforcement sealer), rock panel primer (RPP), deadener (DEADNER), liquid applied sound dumper (LASD), etc. Apparatuses for feeding have been used.

차체 보강용 실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body reinforcement seal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Door), 후드(Hood), 프론트(Front), 펜더(Fender), 루프(Roof), 트렁크리드(Trunk Lid) 등은 가벼운 충격만으로도 쉽게 찌그러지는 패널부재들의 성형가공을 통하여 구성된다. In general, doors, hoods, fronts, fenders, roofs, trunk lids, etc. of automobiles are formed through the molding of panel members that are easily crushed even with a light impact. It is composed.

예를 들어, 자동차의 도어의 경우, 윈도우가 하강했을 때, 그 윈도우가 들어갈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내측패널과 외측패널 사이에 빈공간을 두게 되는데, 이로 인해 도어의 외측패널은 가벼운 충격만으로도 쉽게 찌그러지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r door, when the window is lowered, a space is left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to secure a space for the window, which causes the outer panel of the door to crush easily with a slight impact. You lose.

상기와 같이 패널부재가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차체 보강용 실러를 분사하여 바르고 도장공장의 오븐에서 경화하는 과정을 거쳐 도어, 후드, 프론트, 펜더, 루프, 트렁크리드 등의 강성을 보강하는 공정이 적용되어 왔다. In order to prevent the panel member from easily distorting even in the light impact, the panel member is sprayed and applied to the body reinforcement sealer and hardened in the oven of the paint shop, and the rigidity of the door, hood, front, fender, roof, trunk lid, etc. The process of reinforcing has been applied.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 보강용 실러를 패널부재에 분사하여 바르는 실링 작업을 위해 정량의 실러를 자동으로 토출하는 정량공급장치를 이용하였다. As described above, a fixed-quantity supply device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a fixed amount of sealer was used for a sealing operation by spraying a vehicle body reinforcement sealer onto a panel member.

도 1은 종래의 정량공급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정량공급장치는, 크게, 유체공급부(10), 압력조절부(20), 정량제어부(30), 토출부(40)로 구성되며, 유체공급부(10)의 실러가 압력조절부(20)에 의해 압력이 조정되어 정량제어부(30)로 공급되고, 정량제어부(30)에 공급된 실러가 토출부(40)를 통해 정량으로 토출되어 실링 작업이 이뤄진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metering supply device, the metering supply device shown in Figure 1 is largely, the fluid supply unit 10, the pressure regulator 20, the metering control unit 30, It is composed of the discharge unit 40, the sealer of the fluid supply unit 10 is adjusted to the pressure by the pressure adjusting unit 20 is supplied to the quantitative control unit 30, the sealer supplied to the quantitative control unit 30 is discharge unit 40 is discharged quantitatively through the sealing operation is made.

이때, 상기 정량제어부(30)는 복수의 고출력 모터실린더(31, 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각 모터실린더(31, 36)는 유체공급부(10)로부터 실러를 공급받는 유입구(32a, 37a)와 공급받은 실러를 배출하는 배출구(32b, 37b)가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quantitative control unit 30 includes a plurality of high-output motor cylinders (31, 36), each motor cylinder (31, 36) is inlet (32a, 37a) receiving the sealer from the fluid supply unit 10 And discharge ports 32b and 37b for discharging the supplied sealer.

상술한 바와 같은 정량제어부의 구성에 따른 작동은 일측의 모터실린더(31)와 타측의 모터실린더(36)가 순차적으로 번갈아 작동하되, 상호 중첩되는 작동시간이 있도록 한다.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quantitative control unit as described above alternately operate the motor cylinder 31 on one side and the motor cylinder 36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re is an overlapping operation time.

즉, 일측의 모터실린더(31)가 케이싱(32) 내에 충전된 실러를 가압하여 배출구를(32b)를 통해 배출한 후 타측의 모터실린더(36)가 케이싱(37) 내에 충전된 실러를 가압하여 배출구(37b)를 통해 배출하되, 토출부(40)를 통한 실러의 배출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일측 케이싱(32) 내에 충전된 실러의 배출이 완료될 무렵에 타측 모터실린더(36)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다. That is, one side of the motor cylinder 31 pressurizes the sealer filled in the casing 32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b, and the other side of the motor cylinder 36 presses the sealer filled in the casing 37. Discharg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7b, the other side of the motor cylinder 36 is opera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discharge of the sealer filled in one casing 32 is completed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sealer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40 is continuously made It is.

이때, 하나의 모터실린더만 작동하는 경우의 해당 모터실린더의 작동속도는 복수의 모터실린더가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의 각 모터실린더의 작동속도에 비해 대략 2배의 속도가 되도록 제어되어야 하는데, 이는 하나의 모터실린더가 작동하는 경우와 복수의 모터실린더가 작동하는 경우에 배출되는 실러의 양이 정량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operating speed of the corresponding motor cylinder when only one motor cylinder is operated should be controlled to be approximately twice as fast as the operating speed of each motor cylinder when a plurality of motor cylinders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This is to control the amount of sealant discharged when the motor cylinder is operated and when the plurality of motor cylinders are operat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량공급장치는, 각 케이싱(32, 37) 내에 충전된 고점도의 실러를 모터실린더(31, 36)의 힘만으로 가압하여 배출구(32b, 37b)를 통해 배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모터실린더(31, 36)의 출력이 상당히 높아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케이싱(32, 37) 내의 실러가 배출완료된 후 모터실린더(31, 36)의 초기상태로 복원시에도 모터실린더(31, 36)의 힘에 의존하기 때문에 모터실린더(31, 36)의 출력이 높아야만 하였다. However, the conventional fixed-quantity supply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high-viscosity sealer filled in each casing (32, 37) by pressing only the force of the motor cylinder (31, 36) to discharg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b, 37b) For this reas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utput of the motor cylinders 31 and 36 should be considerably high. Also, when the sealer in the casings 32 and 37 is discharged, the motor cylinders 31 and 36 are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of the motor cylinders 31 and 36. The output of the motor cylinders 31, 36 had to be high because it was dependent on the forces of 31, 36).

또한, 충진 복원시에는 반드시 일정한 시간이 소요가 되고 실러가 완전한 충진이 안 될 가능성 또한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it takes a certain time to restore the filling and also had the possibility that the sealer will not be completely fill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출력의 모터실린더(31, 36)가 복수개로 구비되어야만 지속적인 정량토출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tinuous quantitative discharge is possible only when a plurality of high output motor cylinders 31 and 36 are provided.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publicly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출력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실러(sealer)와 같은 고점도 액체의 지속적인 정량토출이 가능하게 하는 정량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o provide a quantitative supply device that enables the continuous quantitative discharge of high viscosity liquid such as a sealer (sealer) using a low power drive mean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량공급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피스톤에 의해 제1실(室)과 제2실(室)로 구획되는 케이싱, 상기 제1실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1공급라인에 설치된 제1밸브, 상기 제2실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2공급라인에 설치된 제2밸브, 상기 제1실에서 유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라인에 설치된 제3밸브, 상기 제2실에서 유체를 배출하는 제2배출라인에 설치된 제4밸브가 구비된 정량 공급 실린더; 상기 제1배출라인 및 제2배출라인과 연통되어 유체를 토출시키는 토출부; 및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 및 상기 제1 내지 제4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되, 상기 제1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 이동 시에는 상기 제1실의 유체 배출 측 라인 및 상기 제2실의 유체 공급 측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 이동 시에는 상기 제2실의 유체 배출 측 라인 및 상기 제1실의 유체 공급 측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토출부를 통해 정량의 유체가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공급측 유체와 배출측 유체의 압력차에 의한 힘과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의 힘을 함께 제공받아 상기 피스톤이 기준속도로 동작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ed quantity supplying device, which comprises a casing partitioned into a first chamber and a second chamber by a piston operating forward and backward by a driving means, and a fluid into the first chamber. A first valve installed in a first supply line for supplying, a second valve installed in a second supply line for supplying fluid to the second chamber, a third valve installed in a first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fluid from the first chamber, and A fixed-quantity supply cylinder having a fourth valve installed in a second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the fluid from the second chamber; A discharge par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charge line and the second discharge line to discharge the fluid; And controll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and opening / closing of the first to fourth valves, wherein when the piston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is reduced,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The fluid supply side line is controlled to open, and when the piston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is reduced,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second chamber and the fluid supply side line of the first chamber are controlled to ope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quantity of flui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nd the piston is operated at a reference speed by receiving a force from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a supply side fluid and a discharge side fluid and a force from the driving means. do.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공급라인 및 상기 제2공급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정량 공급 실린더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 상기 유체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further comprising a fluid supply lin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upply line and the second supply line for supplying a fluid to the metered supply cylinder, a pressure regulator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fluid supply line Can be configure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공급라인에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공급압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압력센서의 감지값에 근거하여 상기 압력조절기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정량 공급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fluid supply line is provided with a supply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ressure regulator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supply pressure sensor in the quantitative through the fluid supply line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supply cylinder can be controlled.

바람직하게, 상기 피스톤은 구동로드를 개재해서 상기 구동수단과 연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로드가 내장된 일측 실(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의 운동 속도가 타측 실(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의 운동 속도보다 빠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iston is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means via a driving rod, and the control unit has a movement speed of the piston mov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one chamber in which the driving rod is built is reduced. Can be controlled to be faster than the movement speed of the piston moving in the decreasing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는 고점도 실러(sealer), RPP(Rock Panel Primer), 데드너(DEADNER), LASD(Liquid Applied Sound Dump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fluid may be any one of a high viscosity sealer, a rock panel primer (RPP), a deadner (DEADNER), and a liquid applied sound dumper (LASD).

바람직하게, 상기 토출부를 통해 유체가 토출되는 동안에,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하는 피스톤은 일측 방향으로만 동작할 수 있다. Preferably, while the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the piston operated by the drive means may operate only in one direc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량공급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피스톤에 의해 케이싱이 제1실과 제2실로 구획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 이동 시에는 상기 제1실의 유체 배출 측 라인 및 상기 제2실의 유체 공급 측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 이동 시에는 상기 제2실의 유체 배출 측 라인 및 상기 제1실의 유체 공급 측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되어, 공급측 유체와 배출측 유체의 압력차에 의한 힘과 상기 구동수단(120)으로부터의 힘을 함께 제공받아 상기 피스톤(122)이 기준속도로 동작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metering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casing is partitioned into a first chamber and a second chamber by a piston operating forward and backward by a driving mean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is reduced. When the piston moves,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fluid supply side line of the second chamber are controlled to open, and when the piston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is reduced, the fluid of the second chamber is moved. The discharge side line and the fluid supply side line of the first chamber are controlled to be opened to receive the force from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side fluid and the discharge side fluid together with the force from the driving means 120. It is operated at this reference speed.

바람직하게,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1실의 체적 감소에 의한 단위시간당 유체배출량과 상기 제2실의 체적 감소에 의한 단위시간당 유체배출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iston may be operated by the driving means such that the fluid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due to the volume reduction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fluid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due to the volume reduction of the second chamber are the same.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는 고점도 실러(sealer), RPP(Rock Panel Primer), 데드너(DEADNER), LASD(Liquid Applied Sound Dump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fluid may be any one of a high viscosity sealer, a rock panel primer (RPP), a deadner (DEADNER), and a liquid applied sound dumper (LASD).

바람직하게, 상기 제1실의 유체 배출 측 라인 또는 제2실의 유체 배출 측 라인을 통해 유체가 토출되는 동안에,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하는 피스톤은 일측 방향으로만 동작할 수 있다. Preferably, while the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first chamber or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second chamber, the piston operated by the driving means may operate only in one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의 적절한 개폐제어를 통해 고압의 공급측 압력과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병행 이용함으로써, 저출력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실러(sealer)와 같은 고점도 액체의 지속적인 정량토출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high pressure supply side pressure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eans through the prope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supply line and the discharge line, by using a low output drive means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high viscosity liquid such as sealer (seal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quantitative discharge is possible.

또한, 피스톤을 운동시키는 구동로드의 체적에 따라 제1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의 운동속도와 제2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의 운동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여, 지속적인 정량토출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ovement speed of the piston moving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movement speed of the piston moving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drive rod for moving the piston differently by This has the advantage that continuous quantitative discharge is possible.

또한, 하나의 저출력 구동수단만을 사용하여도 되므로, 지속적인 정량토출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정량공급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소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only one low-power drive means may be used, continuous quantitative discharge is possible,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overall quantitative supply device can be simplified and downsized.

도 1은 종래의 정량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장치의 피스톤이 제1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장치의 피스톤이 제2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장치의 구동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장치의 구동수단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etering devic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quantitativ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relationship by the control unit of the metering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ston of the me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5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ston of the meter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is reduced.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driving means of the me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driving means of the me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quantitativ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relationship by the control unit of the mete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 공급 실린더(100), 토출부(200),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quantitativ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quantitative supply cylinder 100, a discharge unit 200, and a controller 300.

가압펌프에 의해 유체공급원(10)으로부터 정량 공급 실린더(100)로 공급되는 고점도 유체는, 유체공급라인(131) 상에 설치된 압력조절기(20)에 의해 압력이 조절된 후 제1공급라인(132) 및 상기 제2공급라인(134)으로 분기되어 상기 정량 공급 실린더(100)로 공급된다. The high-viscosity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10 to the metered supply cylinder 100 by the pressure pump is controlled by the pressure regulator 20 installed on the fluid supply line 131 and then the first supply line 132. ) And the second supply line 134 is supplied to the fixed quantity supply cylinder 100.

상기 고점도 유체는, 예를 들어, 차체 보강용 실러(BPR sealer, body panel reinforcement sealer), RPP(Rock Panel Primer), 데드너(DEADNER), LASD(Liquid Applied Sound Dumper) 등이 될 수 있다. The high viscosity fluid may be, for example, a body reinforcement sealer (BPR sealer, body panel reinforcement sealer), RPP (Rock Panel Primer), Deadner (DEADNER), Liquid Applied Sound Dumper (LASD) and the like.

상기 유체공급라인(131)에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공급압력센서(s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luid supply line 131 may be provided with a supply pressure sensor (s1)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상기 공급압력센서(s1)에서 감지된 압력값은 제어부로 전달되어 압력조절기(20) 후단의 압력을 조절하는 피드백제어에 활용될 수 있다. The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supply pressure sensor s1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used for feedback control to adjust the pressure at the rear end of the pressure regulator 20.

상기 압력조절기(20)는 APOR(21, air operated pressure regulator)과 EP(22, electronic positional valve)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sure regulator 20 may be composed of an air operated pressure regulator (APOR) 21 and an electronic positional valve (EP) 22.

상기 APOR(21)은 유체공급라인(131) 상에 설치되어 유체의 실질적인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POR 21 is installed on the fluid supply line 131 to control the actual pressure of the fluid.

상기 EP(22)는 상기 APOR(21)과 연결되어 상기 APOR(21)에 공압을 제공하여 상기 APOR(21)이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The EP 22 is connected to the APOR 21 to provide air pressure to the APOR 21 to allow the APOR 21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fluid.

상술한 바와 같은 정량 공급 실린더(100)는, 구동수단(120)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피스톤(122)에 의해 케이싱(110)이 제1실(112)과 제2실(114)로 구획되도록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xed quantity supply cylinder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asing 110 is divided into the first chamber 112 and the second chamber 114 by the piston 122 operating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ing means 120. Is formed.

상기 피스톤(122)이 상기 제1실(112)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 시에는 상기 제1실(112)의 유체 배출 측 라인 및 상기 제2실(114)의 유체 공급 측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When the piston 122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12 decreases,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first chamber 112 and the fluid supply side line of the second chamber 114 are opened. Is controlled.

상기 피스톤(122)이 상기 제2실(114)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 시에는 상기 제2실(114)의 유체 배출 측 라인 및 상기 제1실(112)의 유체 공급 측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When the piston 122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114 is reduced,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second chamber 114 and the fluid supply side line of the first chamber 112 are opened. Is controlled.

이때, 상기 피스톤(122)은, 상기 제1실(112)의 체적 감소에 의한 단위시간당 유체배출량과 상기 제2실(114)의 체적 감소에 의한 단위시간당 유체배출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구동수단(120)에 의해 동작한다. At this time, the piston 122, the driving means so that the fluid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by the volume reduction of the first chamber 112 and the fluid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by the volume reduction of the second chamber 114 is the same ( 120).

이를 위해 상기 정량 공급 실린더(100)는, 케이싱(110), 구동수단(120), 제1밸브(v1), 제2밸브(v2), 제3밸브(v3), 제4밸브(v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fixed quantity supply cylinder 100, the casing 110, the drive means 120, the first valve (v1), the second valve (v2), the third valve (v3), the fourth valve (v4)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케이싱(110)은 상기 구동수단(120)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피스톤(122)에 의해 제1실(室, 112)과 제2실(室, 114)로 구획되도록 구성된다. The casing 110 is configured to be partitioned into a first chamber 112 and a second chamber 114 by a piston 122 operating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ing means 120.

상기 유체공급원(10)의 유체가 제1공급라인(132)을 통해 상기 케이싱(110)의 제1실(112)로 공급될 수 있다. The fluid of the fluid supply source 10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112 of the casing 110 through the first supply line 132.

상기 유체공급원(10)의 유체가 제2공급라인(134)을 통해 상기 케이싱(110)의 제2실(114)로 공급될 수 있다. The fluid of the fluid supply source 10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chamber 114 of the casing 110 through the second supply line 134.

상기 구동수단(120)은 구동로드(124)를 개재해서 상기 케이싱(110) 내의 피스톤(122)과 연동된다. The driving means 120 is interlocked with the piston 122 in the casing 110 via the driving rod 124.

상기 구동수단(120)은 상기 피스톤(122)을 선형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회전축이 구비된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구동로드를 직선운동시키는 기어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지된 실린더 모터(또는 모터 실린더)로도 구성될 수 있다. The driving means 120 is a means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piston 122. For example, the driving rod is linear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ervo motor with the rotating shaft into the linear motion. It may be constituted by a gear unit that moves, and may also be constituted by a known cylinder motor (or motor cylinder).

이외에도, 유압, 공압, 전기력 등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다양한 선형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피스톤(122)을 선형 왕복운동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iston 122 may be linearly reciprocated using various linear driving means using energy such as hydraulic pressure, pneumatic pressure, and electric force.

또한, 상기 구동수단(120)은 구동로드(124)가 아닌 다른 연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싱(110) 내의 피스톤(122)을 선형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임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120 may be arbitrarily select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linearly reciprocating the piston 122 in the casing 110 by using an interlocking means other than the driving rod 124.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서버모터(120')가 구성되고, 상기 서버모터(120')의 회전축선상에 상기 서버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로드(124')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로드(124')가 상기 피스톤(122')에 나삽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server motor 120 ′ is configured on one side, and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rver motor 120 ′ on the rotation axis of the server motor 120 ′. The rod 124 'may be configured, and the rotating rod 124'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piston 122 '.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제1실(112)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1공급라인(132)에 설치된다. The first valve v1 is installed in a first supply line 132 that supplies a fluid to the first chamber 112.

상기 제1밸브(v1)는 제어부(300)에 의해 개방/폐쇄가 제어됨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원(10)의 유체가 제1공급라인(132)을 통해 제1실(112)로 공급되거나 공급차단되도록 한다. As the opening / closing of the first valve v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0, the fluid of the fluid supply source 10 is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112 through the first supply line 132 or the supply is blocked. Be sure to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제2실(114)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2공급라인(134)에 설치된다. The second valve v2 is installed in a second supply line 134 for supplying a fluid to the second chamber 114.

상기 제2밸브(v2)는 제어부(300)에 의해 개방/폐쇄가 제어됨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원(10)의 유체가 제2공급라인(134)을 통해 제2실(114)로 공급되거나 공급차단되도록 한다. As the opening / closing of the second valve v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0, the fluid of the fluid supply source 10 is supplied to the second chamber 114 through the second supply line 134 or the supply is blocked. Be sure to

상기 제3밸브(v3)는 상기 제1실(112)에서 유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라인(136)에 설치된다. The third valve v3 is installed in the first discharge line 136 for discharging the fluid from the first chamber 112.

상기 제3밸브(v3)는 제어부(300)에 의해 개방/폐쇄가 제어됨에 따라 상기 제1실(112)에 충전된 유체가 제1배출라인(136)을 통해 토출부(200)로 공급되거나 공급차단되도록 한다. As the opening / closing of the third valve v3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0, the fluid filled in the first chamber 112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part 20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line 136. Ensure that the supply is cut off.

상기 제4밸브(v4)는 상기 제2실(114)에서 유체를 배출하는 제2배출라인(138)에 설치된다. The fourth valve v4 is installed in the second discharge line 138 which discharges the fluid from the second chamber 114.

상기 제4밸브(v4)는 제어부(300)에 의해 개방/폐쇄가 제어됨에 따라 상기 제2실(114)에 충전된 유체가 제2배출라인(138)을 통해 토출부(200)로 공급되거나 공급차단되도록 한다. As the opening / closing of the fourth valve v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0, the fluid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114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unit 200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line 138. Ensure that the supply is cut off.

상기 제1배출라인(136)에는 상기 제3밸브(v3)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배출압력센서(s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discharge line 136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discharge pressure sensor s2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valve v3.

상기 제2배출라인(138)에는 상기 제4밸브(v4)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배출압력센서(s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discharge line 138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discharge pressure sensor (s3)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fourth valve (v4).

상기 제1배출압력센서(s2) 및 제2배출압력센서(s3)에서 감지된 압력값은 제어부로 전달되어 압력조절기(20) 후단의 압력을 조절하거나 구동수단(120)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피드백제어에 활용될 수 있다. The pressure value detected by the first discharge pressure sensor s2 and the second discharge pressure sensor s3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o adjust the pressure at the rear end of the pressure regulator 20 or to control the driving speed of the driving means 120. It can be used for feedback control.

또한, 상기 제1배출압력센서(s2) 및 제2배출압력센서(s3)에서 감지된 압력값은 최종의 토출부(200)에서 토출 이상 시 알람기능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ure value detected by the first discharge pressure sensor s2 and the second discharge pressure sensor s3 may be utilized for an alarm function when the discharge is abnormal in the discharge part 200.

상기 토출부(200)는, 상기 제1배출라인(136) 및 상기 제2배출라인(138)과 연통되어 유체를 토출시키는 부분이다. The discharge part 20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discharge line 136 and the second discharge line 138 to discharge the fluid.

상기 토출부(200)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는 실러 건(미도시) 등과 같은 분사수단을 통해 분사되어 실링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00 is injected through injection means such as a sealer gun (not shown) to enable a sealing operation.

한편, 상기 토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3배출압력센서(s4)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third discharge pressure sensor (s4)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00 may be provided.

제3배출압력센서(s4)에서 감지된 압력값은 상기 제1배출압력센서(s2) 또는 제2배출압력센서(s3)에서 감지된 압력값과 비교하여 토출부(200)를 통한 유체의 토출이 정상적으로 이뤄지는지 감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The pressure value detected by the third discharge pressure sensor s4 is discharged from the fluid through the discharge part 200 in comparison with the pressure value detected by the first discharge pressure sensor s2 or the second discharge pressure sensor s3. This can be used to monitor whether this is done normally.

예를 들어, 제3밸브(v3)를 통해 유체가 배출시, 상기 제3배출압력센서(s4)에서 감지된 압력값과 상기 제1배출압력센서(s2)의 압력값을 비교하여, 두 압력값이 일정 범위 내로 비슷할 경우에는 상기 토출부(200)를 통한 유체의 배출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valve v3, the pressure value detected by the third discharge pressure sensor s4 is compared with the pressure value of the first discharge pressure sensor s2, and thus the two pressures are discharged. When the values are simila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ischarge of the flui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00 is not normal.

이는, 토출부(200)를 통해 분사수단으로 분사되는 유체의 배출이 분사수단의 막힘 등의 불량으로 인하여 토출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음에 따라 상기 제3배출압력센서(s4)에서 감지된 압력값과 상기 제1배출압력센서(s2)의 압력값이 비슷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ressure value detected by the third discharge pressure sensor s4 as the discharge of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00 to the injection means is not normally performed due to a blockage of the injection means, and the lik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ressure value of the first discharge pressure sensor s2 is similar.

또한, 제1배출압력센서(s2)와 제2배출압력센서(s3)은 장비 동작 중의 제1밸브(v1) 내지 제4밸브(v4)의 고장 진단 기능으로도 활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pressure sensor s2 and the second discharge pressure sensor s3 may also be utilized as a failure diagnosis function of the first valve v1 to the fourth valve v4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피스톤(122)의 왕복 운동 및 상기 제1밸브(v1), 제2밸브(v2), 제3밸브(v3), 제4밸브(v4)의 개방/폐쇄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122 and opening / closing of the first valve v1, the second valve v2, the third valve v3, and the fourth valve v4. do.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공급압력센서(s1)의 감지값에 근거하여 상기 압력조절기(20)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라인(131)을 통해 상기 정량 공급 실린더(100)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pressure regulator 20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supply pressure sensor s1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fixed quantity supply cylinder 100 through the fluid supply line 131. Pressure can also be controlled.

상기 제어부(300)에 의한 피스톤(122), 제1밸브(v1), 제2밸브(v2), 제3밸브(v3), 제4밸브(v4)의 구체적인 제어는 다음과 같이 이뤄진다. Detailed control of the piston 122, the first valve (v1), the second valve (v2), the third valve (v3), the fourth valve (v4) by the control unit 300 is performed as follows.

상기 피스톤(122)이 상기 제1실(112)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300)에 의한 제어동작시 상기 제2, 3밸브(v2, v3)가 개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4밸브(v1, v4)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제어할 수 있다. The second and third valves v2 and v3 are opened during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controller 300 so that the piston 122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12 is reduced. The control unit 300 may control the first and fourth valves v1 and v4 to be closed.

상기 피스톤(122)이 상기 제2실(114)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300)에 의한 제어동작시 상기 제1, 4밸브(v1, v4)가 개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 3밸브(v2, v3)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and fourth valves v1 and v4 are opened during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controller 300 so that the piston 122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114 is reduced. The controller 300 may control the second and third valves v2 and v3 to be closed.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122), 제1밸브(v1), 제2밸브(v2), 제3밸브(v3), 제4밸브(v4)가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상기 토출부(200)를 통해 정량의 유체가 토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iston 122, the first valve (v1), the second valve (v2), the third valve (v3), the fourth valve (v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0, the discharge Quantitative fluid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unit 200.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로드(124)가 내장된 일측 실(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122)의 운동 속도가 타측 실(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122)의 운동 속도보다 빠르도록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is a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speed of the piston 122 mov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one side chamber in which the driving rod 124 is built is reduced is the volume of the other side chamber. Control to be faster than the movement speed of the piston 122 moving to.

이는, 상기 일측 실(室)의 체적 감소에 의한 단위시간당 유체배출량과 상기 타측 실(室)의 체적 감소에 의한 단위시간당 유체배출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make the fluid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due to the decrease in the volume of the one side seal and the fluid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due to the decrease in the volume of the other seal.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장치에 대한 설명 중 상기 유체는 차체 보강용 실러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러 이외에도 RPP(Rock Panel Primer), 데드너(DEADNER), LASD(Liquid Applied Sound Dumper), 페인트, 기타 다른 고점도 액체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quantitativ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luid has been described only for the body reinforcement sealer, in addition to the sealer RPP (Rock Panel Primer), Deadner (DEADNER), LASD Liquid Applied Sound Dumper, paint and other high viscosity liquids are also applicabl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장치의 피스톤(122)이 제1실(112)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4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iston 122 of the metering suppl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12 is reduc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장치의 피스톤(122)이 제2실(114)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ston 122 of the me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114 is reduced.

유체공급원(10)으로부터 대략 150bar ~ 250bar의 압력으로 유체가 압력조절기(20)로 공급될 수 있고, 압력조절기(20)로 공급된 유체는 대략 30~150bar의 압력으로 조절되어 정량 공급 실린더(100)로 공급될 수 있다. The fluid may be supplied to the pressure regulator 20 at a pressure of approximately 150 bar to 250 bar from the fluid source 10, and the fluid supplied to the pressure regulator 20 may be adjusted to a pressure of approximately 30 to 150 bar to supply the fixed quantity supply cylinder 100. Can be supplied.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제1실(112)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22)이 이동하는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piston 122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12 is reduc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제어부(300)가 제1실(112)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22)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00)는 제1밸브(v1)와 제4밸브(v4)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제2밸브(v2)와 제3밸브(v3)는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iston 12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12 is reduced, the controller 300 is the first valve (v1) and the fourth valve (v4) It is controlled to close, and the second valve v2 and the third valve v3 are controlled to open.

따라서, 압력조절기(20)를 통해 대략 30~150bar의 압력으로 조절된 유체가 개방된 제2밸브(v2)와 제2공급라인(134)을 통해 제2실(114)로 공급됨과 동시에 폐쇄된 제1밸브(v1)에 의해 제1공급라인(132)을 통한 제1실(112)로의 유체 공급이 차단된다. Therefore, the fluid adjusted to a pressure of approximately 30 to 150 bar through the pressure regulator 20 is supplied to the second chamber 114 through the open second valve v2 and the second supply line 134 and closed at the same time. The fluid supply to the first chamber 112 through the first supply line 132 is blocked by the first valve v1.

상기 제2실(114)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은 유체의 양, 유체의 흐름속도 등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기(20)에 의해 30~150bar의 범위 내에서 일정한 기준 압력으로 조절된다.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second chamber 114 is adjusted to a constant reference pressure within the range of 30 ~ 150bar by the pressure regulator 20 according to the amount of fluid, the flow rate of the fluid.

또한, 개방된 제3밸브(v3)와 제1배출라인(136)을 통해 제1실(112)에 충전된 유체가 배출가능한 상태가 됨과 동시에 폐쇄된 제4밸브(v4)에 의해 제2배출라인(138)을 통한 제2실(114)의 유체배출이 차단된다. In addition, the fluid filled in the first chamber 112 through the open third valve v3 and the first discharge line 136 becomes dischargeable and is discharged by the fourth valve v4 closed. Outflow of the second chamber 114 through line 138 is blocked.

이러한 상태에서는, 고압의 공급측과, 공급측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저압의 배출측의 압력차로 인해 상기 피스톤(122)에 제1실(112)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유체의 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pressure of the fluid may ac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12 is reduced in the piston 122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side of the high pressure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low pressure lower than the supply side pressure.

상기 유체의 압력 작용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제1실(112)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는 경우에, 상기 구동수단은 적은 출력으로도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piston is forced to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12 is reduced by the pressure action of the fluid, the driving means may move the piston with a small output.

예를 들어, 상기 피스톤(122)이 자유이동이 가능하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유체의 압력 작용에 의한 상기 피스톤(122)의 이동 속도가 기설정된 토출량을 토출하기에 적합한 기준속도라면 실제로 상기 피스톤(122)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의 출력은 거의 요구되지 않는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piston 122 is freely movable, if the moving speed of the piston 122 by the pressure action of the fluid is a reference speed suitable for discharging a predetermined discharge amount, the piston ( The output of the drive means for moving 122 is hardly required.

한편, 상기 유체의 압력 작용에 의한 상기 피스톤(122)의 이동 속도가 기설정된 토출량보다 많은 양을 토출하는 속도, 즉, 기준속도보다 "α만큼 빠른 속도"라면, 실제로 상기 피스톤(122)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은 "α만큼 빠른 속도"가 기준속도가 되도록 "α" 만큼 상기 유체의 압력 작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moving speed of the piston 122 by the pressure action of the fluid is a speed for discharging a larger amount than a predetermined discharge amount, that is, "speed as fast as α" than the reference speed, actually moving the piston 122 The drive means for making it necessary to provide a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pressure action of the fluid by " α " so that " speed as α " becomes the reference velocity.

한편, 상기 유체의 압력 작용에 의한 상기 피스톤(122)의 이동 속도가 기설정된 토출량보다 적은 양을 토출하는 속도, 즉, 기준속도보다 "β만큼 느린 속도"라면, 실제로 상기 피스톤(122)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은 "β만큼 느린 속도"가 기준속도가 되도록 "β" 만큼 상기 유체의 압력 작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moving speed of the piston 122 due to the pressure action of the fluid is a speed for discharging an amount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charge amount, that is, "speed as slow as β" than the reference speed, actually moving the piston 122 The drive means for making it necessary to provide a for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essure action direction of the fluid by "β" so that "speed as slow as β" becomes the reference spe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α" 만큼 상기 유체의 압력 작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힘, "β" 만큼 상기 유체의 압력 작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힘은 종래기술의 모터실린더(도 1의 31, 36)의 출력에 비해 상당히 작은 힘으로 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for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ssure action direction of the fluid by "α", the for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essure action direction of the fluid by "β" is a conventional motor cylinder (Fig. 1). Can be seen as a relatively small force compared to the output of.

상세하게, 종래기술의 모터실린더(도 1의 31, 36)는 기준속도로 동작시키기 위한 힘 및 기준속도와의 편차에 해당하는 속도(α, β)를 위한 힘을 함께 제공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구동수단은 기준속도로 동작하기 위한 힘은 유체의 압력 작용으로 제공받고, 기준속도와의 편차에 해당하는 속도(α, β)를 위한 힘만 제공하면되므로 저출력의 구동수단으로도 상기 피스톤을 동작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ior art motor cylinders 31 and 36 of FIG. 1 provide a force for operating at a reference speed and a force for speeds α and β corresponding to a deviation from the reference speed, The driving means receives the force for operating at the reference speed by the pressure action of the fluid, and only the force for the speed (α, β) corresponding to the deviation from the reference speed is required to operate the piston as a low output driving means. Can be.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제2실(114)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22)이 이동하는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piston 122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114 is reduc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제어부(300)가 제2실(114)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22)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00)는 제2밸브(v2)와 제3밸브(v3)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제1밸브(v1)와 제4밸브(v4)는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iston 12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114 is reduced, the controller 300 is the second valve (v2) and the third valve (v3) It is controlled to close, and the first valve (v1) and the fourth valve (v4) is controlled to open.

따라서, 압력조절기(20)를 통해 대략 30~150bar의 압력으로 조절된 유체가 개방된 제1밸브(v1)와 제1공급라인(132)을 통해 제1실(112)로 공급됨과 동시에 폐쇄된 제2밸브(v2)에 의해 제2공급라인(134)을 통한 제2실(114)로의 유체 공급이 차단된다. Therefore, the fluid regulated at a pressure of approximately 30 to 150 bar through the pressure regulator 20 is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112 through the first valve v1 and the first supply line 132 which are opened and closed at the same time. The fluid supply to the second chamber 114 through the second supply line 134 is blocked by the second valve v2.

또한, 개방된 제4밸브(v4)와 제2배출라인(138)을 통해 제2실(114)에 충전된 유체가 배출가능한 상태가 됨과 동시에 폐쇄된 제3밸브(v3)에 의해 제1배출라인(136)을 통한 제1실(112)의 유체배출이 차단된다. In addition, the fluid discharged to the second chamber 114 through the opened fourth valve v4 and the second discharge line 138 becomes dischargeable, and is discharged first by the closed third valve v3. Outflow of the first chamber 112 through line 136 is blocked.

이러한 상태에서는, 고압의 공급측과, 공급측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저압의 배출측의 압력차로 인해 상기 피스톤(122)이 제2실(114)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유체의 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pressure of the fluid may ac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114 of the piston 122 decreases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side of the high pressure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low pressure lower than the supply side pressure.

따라서, 제1실(112)의 유체배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의 적절한 개폐제어를 통해 고압의 공급측 압력과 구동수단(120)의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병행 이용함으로써, 저출력 구동수단(120)을 이용하여 유체의 지속적인 정량토출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refore, as in the case of the fluid discharge of the first chamber 112, by using the high pressure supply side pressure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eans 120 through the prope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supply line and the discharge line, the low output drive means 120 ),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quantitatively discharge the flui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로드(124)가 내장된 일측 실(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122)의 운동 속도가 타측 실(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122)의 운동 속도보다 빠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00 is a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speed of the piston 122 mov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one side seal in which the driving rod 124 is built is reduced in the volume of the other side seal. It may be controlled to be faster than the movement speed of the piston 122 moving to.

이에 따라 상기 일측 실(室)의 체적 감소에 의한 단위시간당 유체배출량과 상기 타측 실(室)의 체적 감소에 의한 단위시간당 유체배출량이 동일하게 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per unit time due to the decrease in volume of the one side seal may be the same as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per unit time due to the decrease in the volume of the other seal.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가 제1실(112)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22)이 이동완료한 상태와 제2실(114)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22)이 이동완료한 상태에 근거하여 실린더의 체적을 계산하고, 이러한 계산값에 근거하여 제1실(112)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22)이 이동하는 속도와 제2실(114)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22)이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한다. For example, the piston 30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rol unit 300 moves the piston 12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12 is decreased 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114 is reduced. The volume of the cylinder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movement completion state, and the speed at which the piston 122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12 decreases based on the calculated value and that of the second chamber 114 The speed at which the piston 122 moves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volume is controlle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토출부(200)를 통해 분사수단으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방향이 a->b->c->d->e->f->g->h->i->j->k의 순서로 이뤄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for example,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fluid injected to the injection means through the discharge unit 200 is a-> b-> c-> d-> e-> f-> g This can be done in the order-> h-> i-> j-> k.

P1~P2구간, P3~P4구간, P5~P6구간, P7~P8구간에서 토출부(200)를 통한 유체의 토출이 이뤄지고, P2~P3의 사이, P4~P5의 사이, P6~P7의 사이 구간에서는 토출부(200)를 통한 유체의 토출이 중단될 수 있다. The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00 in the P1 to P2 sections, the P3 to P4 sections, the P5 to P6 sections, and the P7 to P8 sections, and are arranged between P2 and P3, between P4 and P5, and between P6 and P7. In the section, the discharge of the flui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00 may be stopped.

이때, 토출부(200)를 통한 유체의 토출이 이뤄지는 동안(P1~P2구간, P3~P4구간, P5~P6구간, P7~P8구간)에는 상기 구동수단(120)에 의한 피스톤은 일측 방향으로만 동작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during the discharge of the flui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00 (P1 ~ P2 section, P3 ~ P4 section, P5 ~ P6 section, P7 ~ P8 section) the piston by the drive means 120 in one direction It is desirable to be controlled to operate only.

이는, 상기 구동수단(120)에 의한 피스톤이 일측 방향에서 타측 방향으로 전환되는 일시점에는 토출부(200)를 통한 유체의 토출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discharge of the flui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00 may be temporarily stopped at a time point when the piston by the driving means 120 is switched from one direction to the other direction.

예를 들어, 실린더의 전체 체적이 1000cc이고, P1~P2구간의 토출량이 100cc, P3~P4구간의 토출량이 150cc, P5~P6구간의 토출량이 70cc, P7~P8구간의 토출량이 80cc라고 하였을 때, 모든 구간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총합이 400cc이므로 각 구간에서 상기 피스톤은 전진만을 하거나 후진만을 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전 구간에 걸쳐 토출을 완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otal volume of the cylinder is 1000cc,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1 to P2 sections is 100cc,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3 to P4 sections is 150cc,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5 to P6 sections is 70cc, and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7 to P8 sections is 80cc. Since the total of the fluid discharged in all sections is 400cc, the piston in each section may control the forward or backward to complete the ejection over the entire section.

다른 예로서, 실린더의 전체 체적이 300cc이고, P1~P2구간의 토출량이 100cc, P3~P4구간의 토출량이 150cc, P5~P6구간의 토출량이 70cc, P7~P8구간의 토출량이 80cc라고 하였을 때, P1~P2구간 및 P3~P4구간에서는 전진, P5~P6구간 및 P7~P8구간에서는 후진하도록 상기 피스톤을 제어함에 따라 전 구간에 걸쳐 토출을 완성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total volume of the cylinder is 300cc,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1 to P2 sections is 100cc,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3 to P4 sections is 150cc,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5 to P6 sections is 70cc, and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7 to P8 sections is 80cc. The discharge may be completed over the entire section by controlling the piston to move forward in the P1 to P2 sections and the P3 to P4 sections, and to reverse in the P5 to P6 sections and the P7 to P8 section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량공급장치는 종래의 정량공급장치에 비해 작은 구동력으로 지속적인 유체의 정량토출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quantitative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ontinuous quantitative discharge of fluid with a small driving forc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quantitative supply device.

예를 들어, 종래의 정량공급장치는 1마력을 갖는 복수의 구동부가 필요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량공급장치는 0.5마력을 갖는 구동수단(120)만으로 지속적인 유체의 정량토출이 가능하게 되므로, 종래의 정량공급장치에 비해 1/2 이하의 구동력만으로 유체를 정량토출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conventional metering device is required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having a horsepower, but the met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tinuous quantitative discharge of the fluid only by the drive means 120 having a 0.5 horsepower, Compared to the fixed-quantity supply device,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fluid with only 1/2 or less driving forc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variations.

100:정량 공급 실린더 110:케이싱
112:제1실 114:제2실
120:구동수단 122:피스톤
124:구동로드 132:제1공급라인
134:제2공급라인 136:제1배출라인
138:제2배출라인 200:토출부
300:제어부 v1:제1밸브
v2:제2밸브 v3:제3밸브
v4:제4밸브
100: quantity supply cylinder 110: casing
112: first room 114: second room
120: drive means 122: piston
124: drive rod 132: first supply line
134: second supply line 136: first discharge line
138: second discharge line 200: discharge unit
300: control unit v1: the first valve
v2: second valve v3: third valve
v4: fourth valve

Claims (10)

구동수단(120)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피스톤(122)에 의해 제1실(室, 112)과 제2실(室, 114)로 구획되는 케이싱(110), 상기 제1실(112)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1공급라인(132)에 설치된 제1밸브(v1), 상기 제2실(114)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2공급라인(134)에 설치된 제2밸브(v2), 상기 제1실(112)에서 유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라인(136)에 설치된 제3밸브(v3), 상기 제2실(114)에서 유체를 배출하는 제2배출라인(138)에 설치된 제4밸브(v4)가 구비된 정량 공급 실린더(100);
상기 제1배출라인(136) 및 제2배출라인(138)과 연통되어 유체를 토출시키는 토출부(200); 및
상기 피스톤(122)의 왕복 운동 및 상기 제1 내지 제4밸브(v1, v2, v3, v4)의 개폐를 제어하되, 상기 제1실(112)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22) 이동 시에는 상기 제1실(112)의 유체 배출 측 라인 및 상기 제2실(114)의 유체 공급 측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실(114)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22) 이동 시에는 상기 제2실(114)의 유체 배출 측 라인 및 상기 제1실(112)의 유체 공급 측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토출부(200)를 통해 정량의 유체가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압펌프에 의해 유체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측 유체와 배출측 유체의 압력차에 의한 힘과 상기 구동수단(120)으로부터의 힘을 함께 제공받아 상기 피스톤(122)이 기준속도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공급장치.
The casing 110 and the first chamber 112 are partitioned into a first chamber 112 and a second chamber 114 by a piston 122 which is moved back and forth by the driving means 120. A first valve v1 installed in a first supply line 132 for supplying a fluid, a second valve v2 installed in a second supply line 134 for supplying a fluid to the second chamber 114, and the first valve A third valve (v3) installed in the first discharge line (136) for discharging the fluid from the first chamber (112), and a fourth valve installed in the second discharge line (138) for discharging the fluid from the second chamber (114) a fixed-quantity supply cylinder 100 provided with v4;
A discharge part 200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charge line 136 and the second discharge line 138 to discharge the fluid; And
While controll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122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to fourth valves (v1, v2, v3, v4), the piston 122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12 is reduced. In this case,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first chamber 112 and the fluid supply side line of the second chamber 114 are controlled to be opened, and the piston 122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114 is reduced. During the movement,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second chamber 114 and the fluid supply side line of the first chamber 112 are controlled to be opened so that the quantity of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200. The control unit 300 is configured to include, and is provided with a force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side fluid and the discharge sid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10 by the pressure pump and the force from the drive means 120 Metering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ston 122 is operated at a reference spe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라인(132) 및 상기 제2공급라인(134)과 연통되어 상기 정량 공급 실린더(100)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131), 상기 유체공급라인(131)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절기(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upply line 132 and the second supply line 134 is supplied through the fluid supply line 131, the fluid supply line 131 for supplying a fluid to the fixed-quantity supply cylinder 100 Metering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pressure regulator 20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라인(131)에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공급압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공급압력센서의 감지값에 근거하여 상기 압력조절기(20)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라인(131)을 통해 상기 정량 공급 실린더(100)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luid supply line 131 is provided with a supply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pressure regulator 20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supply pressure sensor to supply the fluid Metering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metered supply cylinder 100 through the line (1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22)은 구동로드(124)를 개재해서 상기 구동수단(120)과 연동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로드(124)가 내장된 일측 실(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122)의 운동 속도가 타측 실(室)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122)의 운동 속도보다 빠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iston 122 is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means 120 via the driving rod 124, and the control unit 300 is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one-side seal in which the driving rod 124 is incorporated is reduced. Quantitativ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speed of the piston (122) to move to be faster than the movement speed of the piston (122) mov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other chamber is reduc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고점도 실러(sealer), RPP(Rock Panel Primer), 데드너(DEADNER), LASD(Liquid Applied Sound Dumpe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공급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fluid is a high viscosity sealer (sealer), RPP (Rock Panel Primer), Deadner (DEADNER), LASD (Liquid Applied Sound Dumper)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supply devic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200)를 통해 유체가 토출되는 동안에, 상기 구동수단(120)에 의해 동작하는 피스톤(122)은 일측 방향으로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공급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le the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00, the piston 122, which is operated by the drive means 120 operates only in one direction.
구동수단(120)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피스톤(122)에 의해 케이싱(110)이 제1실(112)과 제2실(114)로 구획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실(112)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22) 이동 시에는 상기 제1실(112)의 유체 배출 측 라인 및 상기 제2실(114)의 유체 공급 측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실(114)의 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22) 이동 시에는 상기 제2실(114)의 유체 배출 측 라인 및 상기 제1실(112)의 유체 공급 측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되어,
가압펌프에 의해 유체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측 유체와 배출측 유체의 압력차에 의한 힘과 상기 구동수단(120)으로부터의 힘을 함께 제공받아 상기 피스톤(122)이 기준속도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공급장치.
The casing 110 is formed to be partitioned into the first chamber 112 and the second chamber 114 by the piston 122 operating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ing means 120.
When the piston 122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12 is decreased,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first chamber 112 and the fluid supply side line of the second chamber 114 are opened. Become,
When the piston 122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114 is decreased,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second chamber 114 and the fluid supply side line of the first chamber 112 are controlled to open. Became,
The piston 122 is operated at a reference speed by being supplied with the force from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side fluid and the discharge sid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10 by the pressure pump and the force from the driving means 120. A fixed quantity supply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22)은, 상기 제1실(112)의 체적 감소에 의한 단위시간당 유체배출량과 상기 제2실(114)의 체적 감소에 의한 단위시간당 유체배출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구동수단(120)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iston 122 has the driving means 120 such that the fluid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due to the volume reduction of the first chamber 112 and the fluid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due to the volume reduction of the second chamber 114 are the same. Metering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by.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고점도 실러(sealer), RPP(Rock Panel Primer), 데드너(DEADNER), LASD(Liquid Applied Sound Dumpe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he fluid is a high viscosity sealer (sealer), RPP (Rock Panel Primer), Deadner (DEADNER), LASD (Liquid Applied Sound Dumper)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supply devic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112)의 유체 배출 측 라인 또는 제2실(114)의 유체 배출 측 라인을 통해 유체가 토출되는 동안에, 상기 구동수단(120)에 의해 동작하는 피스톤(122)은 일측 방향으로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ile the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first chamber 112 or the fluid discharge side line of the second chamber 114, the piston 122 operated by the driving means 120 moves in one direction. Quantitativ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ly operating.
KR1020110024072A 2011-03-17 2011-03-17 Device for precision flow supplying KR101101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072A KR101101247B1 (en) 2011-03-17 2011-03-17 Device for precision flow supply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072A KR101101247B1 (en) 2011-03-17 2011-03-17 Device for precision flow supply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247B1 true KR101101247B1 (en) 2012-01-04

Family

ID=4561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072A KR101101247B1 (en) 2011-03-17 2011-03-17 Device for precision flow supply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2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391B1 (en) * 2016-05-12 2017-10-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ump for anti-stripping ag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862A (en) * 1999-06-25 2001-03-21 Minoru Nakamura Liquid discharger
KR20050120994A (en) * 2004-06-21 2005-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ealer supplying device
KR100598850B1 (en) * 2004-06-30 2006-07-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ealer coating device for body panel reinforcement
KR20070021009A (en) * 2005-10-28 2007-02-22 주식회사 테크원엔지니어링 A sealer spray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862A (en) * 1999-06-25 2001-03-21 Minoru Nakamura Liquid discharger
KR20050120994A (en) * 2004-06-21 2005-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ealer supplying device
KR100598850B1 (en) * 2004-06-30 2006-07-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ealer coating device for body panel reinforcement
KR20070021009A (en) * 2005-10-28 2007-02-22 주식회사 테크원엔지니어링 A sealer spray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391B1 (en) * 2016-05-12 2017-10-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ump for anti-stripping ag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117B1 (en) Hydraulic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draulic actuator device using the same
JP4392474B2 (en) Material supply system
JP3238102B2 (en) Viscous fluid supply control device and method
US9677579B2 (en) Actuator unit
US201300397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pump system
US9038526B2 (en) Kinematic control in a hydraulic system
KR20060117577A (en) Hybrid actuator system of electric-hydraulic united control type
KR101101247B1 (en) Device for precision flow supplying
JP4512680B2 (en) Material supply system
US6488490B1 (en) Thermoplastic resin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the injecting unit including a rotary pump and torque limiter
KR20120051722A (en) Hydraulic power module
EP2459304B1 (en) Variable flow control using linear pumps
JP6585732B2 (en) High pressure fluid system
JP4837477B2 (en) Hydraulic circuit of injection device and back pressure control method
JP48255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quantitative supply control of paint
JP2023082671A (en) Supply unit, control method of supply unit and fluid discharge device
JP4823832B2 (en) Mold clamping device and mold clamping device control method
US11746803B2 (en) Hydraulic system for a cyclically working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on of such a hydraulic system
JP5234629B2 (en) Mixing paint supply device
CN114483509B (en) Pressure stabilizing and boosting device, pumping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of pumping equipment
US20090134076A1 (en) Screen Changer
CN116921146A (en) Servo gluing serial bidirectional quantitative device for car body gluing
KR20170061425A (en) Brake apparatus for vehicle and reservoir of brake apparatus for vehicle
JPS6399921A (en) Hydraulic circuit of cylinder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JPS58207963A (en) Means for controlling ejection of highly viscous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