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812B1 - 퇴적물 준설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 Google Patents

퇴적물 준설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812B1
KR101100812B1 KR1020090043372A KR20090043372A KR101100812B1 KR 101100812 B1 KR101100812 B1 KR 101100812B1 KR 1020090043372 A KR1020090043372 A KR 1020090043372A KR 20090043372 A KR20090043372 A KR 20090043372A KR 101100812 B1 KR101100812 B1 KR 10110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artition wall
adsorption
rainwat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403A (ko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투원퓨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원퓨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투원퓨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81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11)과 네 벽면(12) 및 상면(13)에 의해 밀폐되고 내부에 복수의 구획벽(14a~14d)이 마련된 본체(10); 상기 벽면(12) 일측에 우수 유입을 위한 유입구(15)가 마련되고 내부 구획벽(14a,14d)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들 구획벽(14a,14d)에 각각 우수통로(14a1,14d1)가 형성된 1차침전조(20); 상기 1차침전조(20)의 맞은편 구획벽(14a) 너머에 해당되고 우측의 구획벽(14b)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 구획벽(14b)에 우수통로(14b1)가 형성된 2차침전조(30); 상기 2차침전조(30)의 구획벽(14b) 건너편에 해당되고 내부에 흡착필터(42)가 배치되며 맞은편 구획벽(14c)에 우수통로(14c1)가 형성된 흡착조(40): 및 상기 흡착조(40)의 구획벽(14c) 건너편에 해당되고 벽면(12)에 방류구(16)가 형성된 방류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우수를 1, 2차침전조와 흡착조를 거쳐 방류시키는 동안 침전물이 바닥에 침전되도록 하고 부유 이물질은 흡착조에서 흡착 걸러지도록 한 후 바닥면의 침전물을 에어리프트를 통해 준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을 최대한 걸러내어 오염원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1차침전조, 흡착조, 방류조, 에어리프트

Description

퇴적물 준설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Facilities for decreasing non-point source}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를 1, 2차침전조와 흡착조를 거쳐 방류시키는 동안 이들 공간 내에서 침전물이 바닥에 침전되도록 하고 부유 이물질은 흡착조에서 흡착 걸러지도록 한 후 바닥면의 침전물을 에어리프트를 통해 준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을 최대한 걸러내어 오염원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하는 퇴적물 준설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이라고 함은 오염원이 일정한 장소가 있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인 오염원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자동차나 농경지 또는 시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의 발생처를 비점오염원이라고 하며 다른 말로는 비특정(非特定)오염원, 면(面)오염원, 이동오염원 또는 기타수질 오염원이라고도 하는데, 공장폐수나 생활하수 등 점오염원이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진 것과는 달리 비점오염원은 도시노면 배수나 농경지 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장소 또는 지역을 가리킨다.
수질환경보전법상의 '특정시설'에서 '기타수질오염원'으로 명칭이 변경된 수산물양식시설, 골프장시설, 운수장비, 정비 또는 폐차장시설, 농축수산물 단순가공시설, 사진처리시설 등과 여기에 추가된 농지, 하역장, 제품야적장, 토지형질변경지역 등의 기타시설이 비점오염원에 해당된다.
비점오염물질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식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자연 동/식물의 잔여물,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오염물질을 포함한 채 배출되는 빗물이 실제로 주된 비점오염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비점오염물질은 대개 많은 비가 와야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 계절 간 배출량의 차이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기상조건, 지질, 지형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배출기준을 정하지는 않고 있다.
수도권 주민의 주 상수원인 한강수계의 팔당댐 상류지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연구용역'(2000년 6월 실시) 결과, 1999년 말 기준으로 총 발생부하량(BOD기준) 16만 9702t/년 중 생활하수,산업폐수,축산폐수 등 점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부하량은 80.4%인 13만 6509t/년이고, 비점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부하량은 19.6%인 3만 3193t/년으로 조사되었다.
또, 총 배출부하량(BOD기준)으로는 비점오염원이 44.5%에 이르는 것으로 추 정되어, 비점오염원이 수질오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4대 수계에 속하는 금강, 낙동강, 영산강 수계도 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규제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점오염원들에 대한 규제가 계속 강화되고 환경기초시설들이 확충됨에 따라 비점오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력의 비중이 점차 증가할 것이다.
오염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도시지역의 노면배수는 저류조(貯留槽)를 설치하여 초기에 내린 비로 인해 발생한 오염물질을 침전시킨 후 방류하도록 하고,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비료, 농약성분이 다량 함유된 농업배수는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저류조, 습지정화시설, 수초대(水草帶) 등을 설치해야 한다. 이와 함께 제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질환경보전법 등 법규상의 관련규정을 강화하거나 관련법을 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키기 위한 별도의 시설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시지역의 노면배수는 저류조(貯留槽)를 설치하여 초기에 내린 비로 인해 발생한 오염물질을 침전시킨 후 방류하도록 하고,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비료, 농약성분이 다량 함유된 농업배수는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저류조, 습지정화시설, 수초대(水草帶) 등을 설치해야 하거나, 또는 제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질환경보전법 등 법규상의 관련규정을 강화하거나 관련법을 제정하는 정도였으나 이러한 대비책도 한계가 있어 전반적으로 비점오염을 저감시키기가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우수를 1, 2차침전조와 흡착조를 거쳐 방류시키는 동안 이들 공간 내에서 침전물이 바닥에 침전되도록 하고 부유 이물질은 흡착조에서 흡착 걸러지도록 한 후 바닥면의 침전물을 에어리프트를 통해 준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을 최대한 걸러내어 오염원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하는 퇴적물 준설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은 바닥면과 네 벽면 및 상면에 의해 밀폐되고 내부에 복수의 구획벽이 마련된 본체; 상 기 벽면 일측에 우수 유입을 위한 유입구가 마련되고 내부 구획벽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들 구획벽에 각각 우수통로가 형성된 1차침전조; 상기 1차침전조의 맞은편 구획벽 너머에 해당되고 우측의 구획벽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 구획벽에 우수통로가 형성된 2차침전조; 상기 2차침전조의 구획벽 건너편에 해당되고 내부에 흡착필터가 배치되며 맞은편 구획벽에 우수통로가 형성된 흡착조: 및 상기 흡착조의 구획벽 건너편에 해당되고 벽면에 방류구가 형성된 방류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각각의 조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수단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점검수단은, 상기 1, 2차침전조 및 방류조의 상면에는 맨홀이 설치되고, 흡착조의 상면에는 덮개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1차침전조 바닥면에 퇴적물이 일측으로 모이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2차침전조 바닥면에 퇴적물이 중앙으로 모이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흡착조의 흡착필터는 이 흡착조의 중앙부에 직립 설치되는 벽체 구조로 되고, 교체를 위해 외부로 인출이 가능하게 되며, 이 흡착필터의 전, 후단 바닥면에 퇴적물이 중앙으로 모이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1, 2차침전조 및 흡착조의 내부에 배치되되 그 하단부가 본체의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그 상단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바닥면의 퇴적물을 준설하는 에어리프트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에어리프트에 연결되어 에어를 불어넣는 블로어와, 에어리프트를 통해 준설된 퇴적물을 수거하고 여액을 다시 각각의 조 내부로 배출시키는 수거조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와 수거조는 별도의 이동차량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은 우수를 1, 2차침전조와 흡착조를 거쳐 방류시키는 동안 이들 공간 내에서 침전물이 바닥에 침전되도록 하고 부유 이물질은 흡착조에서 흡착 걸러지도록 한 후 바닥면의 침전물을 에어리프트를 통해 준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을 최대한 걸러내어 오염원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은 바닥면(11)과 네 벽면(12) 및 상면(13)에 의해 밀폐되고 내부에 복수의 구획벽(14a~14d)이 마련된 본체(10)와, 상기 벽면(12) 일측에 우수 유입을 위한 유입구(15)가 마련되고 내부 구획벽(14a,14d)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들 구획벽(14a,14d)에 각각 우수통로(14a1,14d1)가 형성된 1차침전조(20)와, 이 1차침전조(20)의 맞은편 구획벽(14a) 너머에 해당되고 우측의 구획벽(14b)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 구획벽(14b)에 우수통로(14b1)가 형성된 2차침전조(30)와, 이 2차침전조(30)의 구획벽(14b) 건너편에 해당되고 내부에 흡착필터(42)가 배치되며 맞은편 구획벽(14c)에 우수통로(14c1)가 형성된 흡착조(40) 및 이 흡착조(40)의 구획벽(14c) 건너편에 해당되고 벽면(12)에 방류구(16)가 형성된 방류조(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면(13)에는 각각의 조(20,30,40,50)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점검수단은, 상기 1, 2차침전조(20,30) 및 방류조(50)의 상면(13)에는 맨홀(60)이 설치되고, 흡착조(40)의 상면(13)에는 덮개(7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차침전조(20) 바닥면에는 퇴적물이 우수 유입방향을 향해 일측으로 모이도록 하는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차침전조(30) 바닥면에는 퇴적물이 중앙으로 모이도록 바닥면(11) 전, 후단부에 각각 경사면(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착조(40)의 흡착필터(42)는 이 흡착조(40)의 중앙부에 직립 설치되는 벽체 구조로 되고, 교체를 위해 외부로 인출이 가능하게 되며, 이 흡착필터(42)의 전, 후단 바닥면(11)에 퇴적물이 중앙으로 모이도록 하는 경사면(4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착필터(42)의 재질은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1, 2차침전조(20,30) 및 흡착조(40)의 내부에는 그 하단부가 본체(10)의 바닥면(11)까지 연장되고 그 상단부가 점검수단까지 연장되어 외부의 블로어(92)에 의해 바닥면(11)의 퇴적물을 외부로 준설하는 에어리프트(8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리프트(80)에 연결되어 에어를 불어넣는 블로어(92)와, 에어리프트(80)를 통해 준설된 퇴적물을 수거하고 여액을 다시 각각의 조(20,30,40) 내부로 배출시키는 수거조(94)가 더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로어(92)와 수거조(94)는 별도의 이동차량(96)에 탑재되어 퇴적물을 준설 후 별도의 수집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은 우수가 유입구(15)를 통해 1차침전조(20)로 유입되어 내부 공간에 채워진 후 우수통로(14a1)를 통해 2차침전조(30)로 유입되고 다시 우수통로(14b1)를 통해 흡착조(40)로 유입되어 흡착틸터(42)를 거친 후 다시 우수통로(14c1)를 통해 방류조(50)로 넘어가서 최종적으로 방류구(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각 조(20,30,40)를 거치는 동안 퇴적물들은 바닥면(11)에 가라앉게 되고, 또한 가라앉지 않는 부유물들은 흡착필터(42)에서 걸러지게 되면서 오염원이 완벽하게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퇴적된 각 조(20,30,40)의 퇴적물들은 각각의 에어리프트(80)에 의해 외부의 준설장치로 배출되면서 최종적으로 우수의 정화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퇴적물을 준설하는 방법은 별도의 차량(96)에 설치되어 있는 블로어(92)의 토출압에 의해 바닥면(11)의 퇴적물들이 에어리프트(80)를 통해 외부의 수거조(94)로 리프팅된 후 여과수는 다시 본체(10) 내부로 배수되고 나머지 퇴적물들만 수거조(94)에 수집된 상태에서 차량(96)을 통해 별도의 퇴적물 수집장소로 이동하여 폐기 처분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오염원을 포함한 우수가 깨끗하게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각 조(20,30,40)는 해당 맨홀(60)을 통해 조 내부의 퇴적물이 남아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흡착조(40) 내부는 덮개(70)를 통해 흡착필터(42)의 교체 여부를 확인하여 적절한 시간마다 흡착필터(42)를 교체하면서 여과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상단부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C-C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바닥면
12 : 벽면 13 : 상면
14a~14d : 구획벽 14a1~14d1 : 우수통로
20 : 1차침전조 22 : 경사면
30 : 2차침전조 32 : 경사면
40 : 흡착조 42 : 흡착필터
44 : 경사면 50 : 방류조
60 : 맨홀 70 : 덮개
80 : 에어리프트 92 : 블로어
94 : 수거조 96 : 차량

Claims (9)

  1. 바닥면(11)과 네 벽면(12) 및 상면(13)에 의해 밀폐되고 내부에 복수의 구획벽(14a~14d)이 마련된 본체(10);
    상기 벽면(12) 일측에 우수 유입을 위한 유입구(15)가 마련되고 내부 구획벽(14a,14d)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들 구획벽(14a,14d)에 각각 우수통로(14a1,14d1)가 형성된 1차침전조(20);
    상기 1차침전조(20)의 맞은편 구획벽(14a) 너머에 해당되고 우측의 구획벽(14b)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 구획벽(14b)에 우수통로(14b1)가 형성된 2차침전조(30);
    상기 2차침전조(30)의 구획벽(14b) 건너편에 해당되고 내부에 흡착필터(42)가 배치되며 맞은편 구획벽(14c)에 우수통로(14c1)가 형성된 흡착조(40): 및
    상기 흡착조(40)의 구획벽(14c) 건너편에 해당되고 벽면(12)에 방류구(16)가 형성된 방류조(50) 및;
    상기 1, 2차침전조(20,30) 및 흡착조(40)의 내부에 배치되되 그 하단부가 본체(10)의 바닥면(11)까지 연장되고 그 상단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바닥면(11)의 퇴적물을 준설하는 에어리프트(80);
    상기 에어리프트(80)에 연결되어 에어를 불어넣는 블로어(92)와;
    에어리프트(80)를 통해 준설된 퇴적물을 수거하고 여액을 다시 각각의 조(20,30,40) 내부로 배출시키는 수거조(94)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로어(92)와 수거조(94)는 별도의 이동차량(96)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43372A 2009-05-19 2009-05-19 퇴적물 준설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10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372A KR101100812B1 (ko) 2009-05-19 2009-05-19 퇴적물 준설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372A KR101100812B1 (ko) 2009-05-19 2009-05-19 퇴적물 준설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403A KR20100124403A (ko) 2010-11-29
KR101100812B1 true KR101100812B1 (ko) 2012-01-02

Family

ID=4340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372A KR101100812B1 (ko) 2009-05-19 2009-05-19 퇴적물 준설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559B1 (ko) * 2015-08-05 2016-07-12 주식회사 에코스타 슬러지를 여과하여 건조시키는 비점오염저감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93B1 (ko) * 2012-04-04 2013-10-08 주식회사 대경산업 비점오염 처리 장치
CN105948378A (zh) * 2016-04-27 2016-09-21 常州大学 一种内置污水净化系统的农田排水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504A (ja) * 1991-07-19 1993-02-02 Inax Corp 沈澱槽の攪拌装置
KR20040031389A (ko) * 2002-10-05 2004-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듀티싸이클 보정을 수행하는지연동기루프 회로 및 이의 듀티싸이클 보정방법
KR200431389Y1 (ko) * 2006-06-27 2006-11-23 보문기공 주식회사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0904177B1 (ko) 2008-08-25 2009-07-24 (주)유성환경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20100020867A (ko) * 2008-08-13 2010-02-23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504A (ja) * 1991-07-19 1993-02-02 Inax Corp 沈澱槽の攪拌装置
KR20040031389A (ko) * 2002-10-05 2004-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듀티싸이클 보정을 수행하는지연동기루프 회로 및 이의 듀티싸이클 보정방법
KR200431389Y1 (ko) * 2006-06-27 2006-11-23 보문기공 주식회사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20100020867A (ko) * 2008-08-13 2010-02-23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KR100904177B1 (ko) 2008-08-25 2009-07-24 (주)유성환경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559B1 (ko) * 2015-08-05 2016-07-12 주식회사 에코스타 슬러지를 여과하여 건조시키는 비점오염저감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403A (ko) 201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691763B1 (ko)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
KR100810415B1 (ko) 비점오염물질 우수받이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1146226B1 (ko) 장치형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KR101163520B1 (ko) 초기우수 분리장치
KR100883959B1 (ko) 초기 빗물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
KR101181863B1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09797839B (zh) 一种城市道路雨水口高效截污装置及截污操作方法
KR101103269B1 (ko) 퇴적물 준설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0897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20150045187A (ko)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1560289B1 (ko) 비점오염 자연 정화 시스템
KR101100812B1 (ko) 퇴적물 준설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CN105174635A (zh) 多级雨水生物处理装置
KR101826790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52117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자연형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KR101912323B1 (ko) 침전 및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N114457900A (zh) 一种柔性多功能雨水口截污袋及雨水井
KR101092245B1 (ko) 비점오염처리장치
CN108118769B (zh) 海绵城市雨水蓄渗净化系统
KR101311001B1 (ko) 모래여과조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