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702B1 - Food storage apparatus - Google Patents

Food storag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702B1
KR101100702B1 KR1020110066945A KR20110066945A KR101100702B1 KR 101100702 B1 KR101100702 B1 KR 101100702B1 KR 1020110066945 A KR1020110066945 A KR 1020110066945A KR 20110066945 A KR20110066945 A KR 20110066945A KR 101100702 B1 KR101100702 B1 KR 101100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d
food storage
temperatur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김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경 filed Critical 김재경
Priority to KR1020110066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7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702B1/en
Priority to PCT/KR2012/005224 priority patent/WO2013005957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05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0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F10/06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staurant service systems

Abstract

PURPOSE: A food storage apparatus is provided to use power of a vehicle for storing food at the proper warm or cool temperature, and to remove a reheating process of the food. CONSTITUTION: A food storage apparatus comprises the following: a body including plural food storage units for storing food; a temperature switching unit(150) including a thermoelectric device with a heat absorption unit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and cooling the food storage units; a refrigeration unit for cooling the food; a warm storing unit for storing the food at the warm temperature; receiving containers(131) formed on each food storage unit; and a cover(160) opening and closing the food storage units. The refrigeration unit includes the thermoelectric device having the heat absorption unit facing the receiving containers. The warm storing unit contains the thermoelectric device having the heating unit facing the receiving containers.

Description

식품보관장치{FOOD STORAGE APPARATUS}Food storage device {FOOD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식품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을 적절한 온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식품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foo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주지된 바와 같이, 식품은 식재료의 종류 및/또는 조리 방법에 따라 상대적으로 신선도 및 풍미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는 보관온도를 가질 수 있다. As is well known, the food may have a storage temperature that can maintain relatively freshness and flavor longer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and / or the cooking method.

조리된 음식물은 상온에서 보관할 경우 쉽게 신선도가 저하되거나 산패가 진행되어 취식에 적합하지 아니하게 변질될 수 있다. Cooked foods can be easily degraded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or deteriorate as rancidity becomes unsuitable for eating.

보다 구체적으로, 조리된 음식물 중 상하기 쉬운 나물류, 두부반찬류 등은 상온에서 쉽게 변질되므로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erishable herbs, tofu side dishes, etc. of cooked foods are easily deteriorated at room temperature, so it may be desirable to store them at a temperature lower than room temperature.

또한,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등 육류음식물은 상온에서 보관할 경우 유지가 고형화되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보관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t, such as pork, beef, chicken meat, if stored at room temperature solids can be used to store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음식물의 보관시 음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음식물이 변질되는 것만을 방지하기 위해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method of refrigeration of food is mainly used to prevent food from being deteriorated regardless of the type of foo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보관방법에 있어서는, 음식물의 종류와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냉장 보관하고 있어, 일부 음식(예를 들면 육류, 또는 국물이 있는 음식물)은 적당한 온도로 다시 가열한 후 취식을 할 수 있다. 이때, 음식물을 냉장고에서 조리기기로 이동한 후 다시 식탁으로 이동하여야 하고, 필요 시 음식물을 보관용기에서 조리에 적합한 조리용기 또는 가열용기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식사 준비가 번거롭게 될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food storage method, regardless of the type of food, it is uniformly stored and refrigerated, and some foods (for example, meat or food with broth) can be eaten after being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gain. have. At this time, the food must be moved from the refrigerator to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n back to the table, and if necessary, food must be mov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to the cooking vessel or heating container suitable for cooking, which can be time-consuming and time-consuming. have.

또한, 음식물을 재가열하는 일은 조리에 익숙하지 아니하거나 거동이 불편한 가족 구성원에게 있어서는 다소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고, 이를 우려하여 음식물의 취식을 하지 아니하게 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reheating food may cause some risks for family members who are unfamiliar with cooking or have difficulty in moving, and may not eat food due to this concern.

또한, 일부 음식물은 음식물의 보관에 적합한 보관온도보다 더 낮은 냉장온도에서 보관하게 될 경우 음식물의 식감 및/또는 풍미가 저하될 수 있다. In addition, some foods may reduce the texture and / or flavor of the food when stored at a refrigeration temperature lower than the storage temperature suitable for food storage.

따라서, 본 발명은, 식품을 적절한 온도로 보관할 수 있는 식품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foo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은, 상차림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식품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storage device capable of simplifying loading.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냉장 또는 온장할 수 있는 식품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storage device capable of refrigerating or warming food using a vehicle power sourc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식품이 수납되는 식품수납부를 구비한 바디; 상기 식품수납부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절환유닛;을 포함하는 식품보관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ody having a food storage portion is accommodated food; It provides a food storage device comprising a; temperature switching unit for heating or cooling the food storage.

여기서, 상기 온도절환유닛은 흡열부 및 발열부를 구비한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may comprise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heat absorbing portion and a heat generating portion.

상기 식품수납부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ood storage un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상기 식품수납부는, 식품을 냉장하는 냉장부; 및 식품을 온장하는 온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ood storage unit, the refrigeration unit for refrigerating food; And a warming portion for warming foo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식품수납부는 열전도체로 형성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ood storage unit may include a storage container formed of a heat conductor.

상기 수납용기에는 단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may be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ember.

상기 수납용기와 상기 열전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도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nd a heat conductor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냉장부는 흡열부가 상기 수납용기를 향해 배치되는 열전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온장부는 발열부가 상기 수납용기를 향해 배치되는 열전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unit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in which a heat absorbing portion is disposed toward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warming unit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in which a heat generating unit is disposed toward the storage container.

상기 냉장부의 열전소자와 상기 온장부의 열전소자를 상호 열 전달가능하게 연결하는 열전달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element of the refrigerating unit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of the warm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eat transfer member to enable mutual heat transfer.

상기 열전달체는 히트파이프(HEAT PIP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heat carrier may include a heat pipe.

상기 식품수납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od storage.

상기 온도절환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용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교류전원입력부; 또는 직류 전원에 연결되는 직류전원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AC power input unit connected to the commercial AC power; Or a DC power input unit connected to the DC power source.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온도절환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le switching switch for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상기 식품수납부에 수용되고 내부에 식품이 저장되는 식품저장용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ood sto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food storage unit and the food is stored there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을 적절한 온도로 보관할 수 있어 음식물의 식감 및 풍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can be stor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o prevent the food texture and flavor from being lowered.

또한, 음식물의 재가열 등 준비작업을 줄일 수 있어 상차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eparation work such as reheating food can be quickly and easily put on.

또한, 구성이 간단하고 이동 및 취급이 간편하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e and the movement and handling can be simplified.

또한,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 이동중 음식물을 냉장 또는 온장할 수 있어 차량 이동중에 음식물이 변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can be refrigerated or warmed while the vehicle is moving by using the power supply of the vehicle, thereby suppressing the deterioration of the food during the vehicle mov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식품보관장치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식품보관장치의 바디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식품보관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열전소자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열전달부재영역의 저면도,
도 8은 도 6의 식품보관장치의 열전달부재의 변형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장치의 바디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식품보관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ure 1,
3 is a plan view of the body of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region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of the heat transfer member region of FIG. 6;
8 is a modification of the heat transfer member of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
9 is a plan view of the body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장치(100)는, 식품이 수납되는 식품수납부(120)를 구비한 바디(110)와, 상기 식품수납부(120)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절환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food storag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10 having a food storage unit 120, the food is stored and the food storage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for heating or cooling (120).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는 내부에 식품이 수납될 수 있게 복수의 식품수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품수납부(120)는 상향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ood storage parts 1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to accommodate food therein. The food container 120 may be formed to be upwardly open.

상기 바디(110)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품수납부(120)는 상기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ong length compared to the width. The food storage unit 12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상기 바디(110)는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는 판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1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상기 바디(110)는 테이블 또는 식탁 등의 상면에 올려 놓여진 상태로 이용될 수 있게 상기 테이블 또는 식탁에 비해 축소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ody 110 may be configured to be reduced in size compared to the table or table so that the body 110 may be used while being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able or table.

예를 들면, 상기 바디(110)는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10)는 평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예를 들면,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body 110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body 110 may be formed in a flat cross section in a circular, oval or polygonal shape (for example, pentagon, hexagon, octagon, etc.).

상기 바디(110)는 합성수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ody 110 may be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member.

상기 바디(110)는 위생적이고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부재, 예를 들면 에이비에스(ABS)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ody 110 may be made of a hygienic and excellent strength synthetic resin member, for example, ABS (ABS) resin.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는 상기 식품수납부(120)를 개폐할 수 있게 커버(16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160 to open and close the food storage unit 120.

상기 커버(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하향 개구된 공간부(162)가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over 16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space portion 162 downwardly opened therein is formed.

상기 커버(160)의 내부의 공간부(162)는 상기 식품수납부(120)에 대응되게 구획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식품수납부(120)와 상호 협조적으로 식품보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space 162 inside the cover 160 may be partitioned to correspond to the food storage 120. As a result, the food storage space may be formed to cooperate with the food storage unit 120.

상기 커버(160)의 내부에는 구획판(163)이 구비될 수 있다. The partition plate 163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ver 160.

상기 구획판(163)은 상기 식품수납부(120)들의 경계영역에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plate 163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boundary regions of the food storage units 12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160)가 하나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커버(16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cover 160 is configured as one example is illustrated, but the cover 160 may be configured in plural.

상기 커버(160)는 투명부재 또는 반투명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ver 160 may be composed of a transparent member or a translucent member.

예를 들면, 상기 커버(160)는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ver 160 may be made of polycarbonate.

상기 커버(160)와 상기 바디(11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실링부재(167)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바디(110)와 상기 커버(160)에 의해 형성된 식품보관공간이 외부와 기밀적(氣密的)(내,외부 간의 공기의 유동이 억제되게)으로 차단될 수 있다. A sealing member 167 may be provided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ver 160 and the body 110. As a result, the food storage space formed by the body 110 and the cover 160 may be blocked to the outside and hermetic (to prevent the flow of air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상기 실링부재(167)는 탄성부재(예를 들면, 고무부재 또는 실리콘수지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167)는 오링(O r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67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for example, a rubber member or a silicone resin). More specifically, the sealing member 167 may be implemented as an O ring.

상기 실링부재(167)는 상기 커버(16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 167 may be provided in the cover 160.

상기 커버(160)의 저부면에는 상기 실링부재(167)가 결합되는 실링부재결합부(166)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결합부(166)는 상기 커버(160)의 저면에 상향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160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coupling portion 166 to which the sealing member 167 is coupled. The sealing member coupling part 166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upwar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160.

상기 구획판(163)의 저면에는 상기 실링부재(167)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식품수납공간들 간의 공기 유동이 억제되어 각 식품수납공간의 내부 온도 관리가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 167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artition plate 163. As a result, the air flow between the food storage spaces is suppressed, so that internal temperature management of each food storage space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한편, 상기 식품수납부(120)는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의 수납용기(13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od storage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rical receiving container 131 is opened upward.

상기 수납용기(131)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상기 수납용기(131)는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131)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sizes.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be formed in the same size.

상기 수납용기(131)는, 저판부(132) 및 상기 저판부(132)의 테두리에서 상향 절곡된 측판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include a bottom plate portion 132 and a side plate portion 133 bent up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portion 132.

예를 들면, 상기 수납용기(131)는 내부에 상향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o form a storage space upwardly opened therei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용기(131)는, 직사각형의 저판부(132)와, 상기 저판부(132)의 각 변부에서 상향 절곡된 복수의 측판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include a rectangular bottom plate portion 132 and a plurality of side plate portions 133 bent upward at each side of the bottom plate portion 132.

상기 각 측판부(133)는 상측으로 향할수록 내폭이 확장되게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Each side plate portion 133 may be formed to be spread outwardly so that the inner width is extended toward the upper side.

상기 각 측판부(133)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134)가 형성될 수 있다.A flange 134 bent outward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each side plate part 133.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110)에는 상기 각 수납용기(131)가 수용결합되는 수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의 상단에는 상기 플랜지(134)가 안착될 수 있게 플랜지안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각 수납용기(131)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안착부(114)는 상기 각 플랜지(134)에 대응되는 두께 및 폭으로 상기 바디(110)의 상면(표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Correspondingly, the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art 112 for accommodating the respective accommodating containers 131. The flange mounting part 114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art 112 to allow the flange 134 to be seated. As a result, each of the storage containers 131 may be stably supported. The flange seating portion 114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from an upper surface (surface) of the body 110 in a thickness and width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langes 134.

상기 수납용기(131)는 열전도체 또는 열전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열전달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고, 상기 수납용기(131)의 온도 편차가 작아질 수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be formed of a heat conductor or a heat conductive member. As a result, heat transfer may be quick and easy, and a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be reduced.

상기 수납용기(131)는 금속부재(예를 들면, 알루미늄(aluminium) 또는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be formed of a metal member (for example, aluminum or stainless steel).

상기 수납용기(131)는 도장층(1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장층(135)은 분체도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수납용기(131)의 내식성, 방수성 및 위생성이 제고될 수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include a coating layer 135. The coating layer 135 may be formed by powder coating. As a result, corrosion resistance, waterproofness, and hygiene of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be improved.

예를 들면, 상기 도장층(135)은 상기 수납용기(131)의 내면(또는 사용면)에 형성되는 법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수납용기(131)의 사용면의 찍힘, 긁힘(또는 스크래치) 등에 의한 손상 및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수납용기(131)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고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ating layer 135 may include an enamel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r use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31. As a result, damage and deformation due to the stamping, scratching (or scratching) of the use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31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contamin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be prevented, and washing may be easily performed and hygienically managed.

상기 수납용기(131)의 표면(외면)에는 단열부재(137)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수납용기(131)의 내부와 외부가 단열되어 내부의 열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131)의 표면에 수증기의 수분이 응결되는 소위 결로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member 137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31. As a resul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be insulated so that heat from the inside may be leak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a so-called condensation phenomenon in which moisture of water vapor condenses on the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31 can be suppressed.

상기 단열부재(137)는 부착 표면에 접착층(138)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단열부재(137)가 상기 수납용기(131)의 표면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37)는 단열접착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member 137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138 on the attachment surface. As a result, the heat insulating member 137 may be quickly and easi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31. The heat insulating member 137 may be formed of a heat insulating adhesive sheet.

한편, 상기 식품수납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보관부 또는 냉장부(130)(이하, "냉장부(130)"로 표기함)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od storage unit 120, as shown in Figure 4, the refrigerated storage unit or refrigeration unit 130 (referred to as "refrigeration unit 130") for storing the food inside the refrigeration It may be provided with.

상기 식품수납부(120)는 내부의 식품을 온장 보관하는 온장보관부 또는 온장부(140)(이하, "온장부(140)"로 표기함)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ood storage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 warm storage unit or a warming unit 1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rm section 140") for storing the food inside.

여기서, 상기 냉장부(130)는 대략 0℃ 내지 15℃의 온도 범위 이내에서 식품을 보관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장부(140)는 대략 30℃ 내지 60℃의 온도 범위 이내에서 식품을 보관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냉장부(130) 및 온장부(140)의 온도 범위는 적절한 온도 범위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refrigerat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store food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 approximately 0 ℃ to 15 ℃. The warming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store food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 approximately 30 ℃ to 60 ℃.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and the warming unit 140 may be set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of course.

또한, 상기 식품수납부(120)는 냉장부(130) 및 온장부(140)를 동시에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품수납부(120)가 냉장부(130) 및 온장부(140)를 동시에 구비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바디(110)는 냉장부(130)만을 구비하거나 온장부(140)만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ood storage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frigeration unit 130 and a warming unit 140 at the same tim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ood storage unit 120 is provided with the refrigeration unit 130 and the heating unit 140 at the same time, but the body 110 has only the refrigeration unit 130 or the heating unit 140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only.

상기 냉장부(130) 및 온장부(140)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on unit 130 and the warming unit 140 may be formed in different sizes.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부(130)가 온장부(140)에 비해 크게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으나, 그 각각의 크기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case where the refrigerating unit 130 is configured larger than the warming unit 140, but the size of each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상기 식품수납부(120)의 내부에는 식품을 저장하는 식품저장용기(148)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저장용기(148)는 상기 식품수납부(12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게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ood storage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 food storage container 148 for storing food. Here, the food storage container 148 may be formed in a suitable size to be accommodated in the food storage unit 120.

상기 식품저장용기(148)는 대략 식품수납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육면체로 형성된 식품수납부(120)에 대응되게 식품저장용기(148)가 식품수납부(120)에 비해 축소된 크기를 가지는 직육면체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식품저장용기(148)는 다양한 단면 형상(예를 들면, 원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ood storage container 148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ood storage unit 120. This embodiment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ood storage container 148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reduced size compared to the food storage unit 120 to correspond to the food storage unit 120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food storage container 148 may be formed in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for example, circular, hexagonal, or octagonal).

상기 냉장부(130) 및 온장부(140)는 온도절환유닛(15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on unit 130 and the warming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상기 온도절환유닛(150)은 흡열부(153) 및 발열부(154)를 구비한 열전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소자(Thermoelectric module)(152)는, 열전반도체소자(Thermoelectric semiconductor)를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연결하고, 열적으로는 병렬로 각각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전소자(152)는 대략 두께가 얇은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판면은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153)이고, 다른 판면은 열을 방열하는 발열부(154)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may be provid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heat absorbing portion 153 and a heat generating portion 154. As is well known, the thermoelectric module 152 may be configur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a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in series and thermally in parallel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thin thickness, one plate surface is an endothermic portion 153 for absorbing heat, and the other plate surface is composed of a heat generating portion 154 for radiating heat. Can be.

상기 냉장부(130)는, 수납용기(131)와, 상기 수납용기(131)를 냉각시키는 온도절환유닛(15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장부(130)의 온도절환유닛(150)은 열전소자(152)의 흡열부(153)가 상기 수납용기(131)를 향해 배치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unit 130 may include a storage container 131 and a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for cooling the storage container 131. 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eat absorbing unit 153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is disposed toward the storage container 131.

상기 온장부(140)는, 수납용기(131)와, 상기 수납용기(131)를 가열하는 온도절환유닛(15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장부(140)의 온도절환유닛(150)은 열전소자(152)의 발열부(154)가 상기 수납용기(131)를 향해 배치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warming unit 140 may include a storage container 131 and a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for heating the storage container 131. 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of the heating unit 1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eat generating unit 154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is disposed toward the storage container 13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장부(140)는 1개의 열전소자(152)를 구비하고, 상기 냉장부(130)는 2개의 열전소자(152)를 구비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온장부(140) 및 냉장부(130)의 각 열전소자(152)의 개수는 상기 열전소자(152)의 용량, 상기 온장부(140) 및 냉장부(130)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warming unit 140 includes one thermoelectric element 152 and the refrigerating unit 130 includes two thermoelectric elements 152, but the warming unit ( The number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s 152 of the 140 and the refrigerating unit 130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the size of the warming unit 140 and the refrigerating unit 130.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소자(152)의 일 측에는 열전도체(1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열전소자(152)의 일 측이 열전달 가능하게 보호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may be provided with a thermal conductor 155. As a result,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may be protected to be heat transferabl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도체(155)는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의 흡열부(153)와 냉장부(130)의 수납용기(13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체(155)는 상기 온장부(140)의 열전소자(152)의 발열부(154)와 상기 온장부(140)의 수납용기(13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hermal conductor 15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heat absorbing portion 153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portion 130 and the storage container 131 of the refrigerating portion 130. In addition, the thermal conductor 15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heat generating part 154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heating part 140 and the storage container 131 of the heating part 140.

상기 열전도체(155)는 상기 열전소자(152)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체(155)는 상기 열전소자(152) 및 상기 수납용기(131)와 각각 면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체(155)와 상기 열전소자(152) 및 상기 수납용기(131) 사이에는 써멀 그리스(thermal grease) 또는 써멀 컴파운드(thermal compound) 등 열전달물질(158)이 개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열전도체(155)와 상기 열전소자(152) 및 상기 수납용기(131)의 상호 접촉영역에 존재하는 공기(층)이 감소되어 열전달이 촉진될 수 있다. The thermal conductor 155 may be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The thermal conductor 155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and the storage container 131, respectively. Here, a heat transfer material 158 such as a thermal grease or a thermal compound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thermal conductor 155,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and the storage container 131. As a result, air (layer) existing in the mutual contact area between the thermal conductor 155,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and the storage container 131 may be reduced, thereby facilitating heat transfer.

상기 열전소자(152)의 타 측에는 히트싱크(heat sink)(157)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열전소자(152)의 열 교환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157)는 주지된 바와 같이, 열교환이 촉진될 수 있게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리브 또는 핀(fin)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may be provided with a heat sink (157). As a result, heat exchang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may be promoted. The heat sink 157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ribs or fin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air so as to facilitate heat exchange, as is well know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장부(130)의 온도절환유닛(150)은 열전소자(152)의 발열부(154)에 구비되는 히트싱크(157)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의 방열이 촉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may include a heat sink 157 provided in the heat generating unit 154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As a result, heat dissip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may be promoted.

상기 온장부(140)의 온도절환유닛(150)은 열전소자(152)의 흡열부(153)에 구비되는 히트싱크(157)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온장부(140)의 열전소자(152)의 흡열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of the heating unit 140 may include a heat sink 157 provided in the heat absorbing unit 153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As a result, the heat absorbing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heating portion 140 may be smooth.

여기서, 상기 열전소자(152)와 상기 히트싱크(157) 사이에도 써멀 그리스 또는 써멀 컴파운드 등 열전달물질(158)이 개재될 수 있다. Here, a heat transfer material 158 such as a thermal grease or a thermal compound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and the heat sink 157.

한편, 본 실시예의 식품보관장치(100)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ood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70 for power supply.

상기 전원공급유닛(170)은 상기 온도절환유닛(150)에 전원을 공급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예를 들면, 상기 전원공급유닛(170)은 가정용 상용 교류 전원에 연결되게 상용전원연결부(17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ercial power connection unit 171 to be connected to the commercial AC power for home use.

상기 상용전원연결부(171)는, 가정용 콘센트에 연결될 수 있게 코드(172) 및 플러그(17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mmercial power connection unit 17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rd 172 and a plug 173 to be connected to a household outlet.

예를 들면, 상기 전원공급유닛(170)은 자동차 또는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직류전원연결부(17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류전원연결부(175)는, 코드(176)와, 상기 코드(176)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이 자동차의 시거 잭(전원 잭) 단자(미도시)에 연결되는 시거잭 플러그(17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C power connection unit 175 to be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car or the vehicle to receive DC power. More specifically, the DC power connector 175, a cord 176, a cigar jac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rd 176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cigar jack (power jack) terminal (not shown) of the vehicle. It may be configured with a plug 177.

상기 직류전원연결부(175)는 상기 전원공급유닛(170)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요시 상기 전원공급유닛(170)에 연결하여 상기 전원공급유닛(170)에 직류전원을 공급되게 할 수 있다. The DC power connector 175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power supply unit 170. As a result, when necessary, DC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70 by connecting to the power supply unit 170.

본 실시예의 식품보관장치(100)는 상용전원연결부(171) 및 직류전원연결부(175)를 모두 구비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용전원연결부(171) 및 직류전원연결부(175)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food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s a case in which both the commercial power connector 171 and the DC power connector 175 are provided, but any one of the commercial power connector 171 and the DC power connector 175 is provided. Of course, it can be provided with.

본 실시예의 식품보관장치(100)는 식품수납부(1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온도조절부(18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od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unit 180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ood storage unit 120.

예를 들면, 상기 온도조절부(180)는 상기 바디(11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mperature controller 180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상기 온도조절부(18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18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85)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10)에는 상기 식품수납부(120)의 운전을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는 버튼(18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튼(187)은 조작 회수 또는 조작 시간 등을 달리하여 상기 냉장부(130) 및/또는 온장부(140)의 온 및 오프 등 기능을 수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or FIG. 3, the temperatur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button unit 185 for inputting a signal. The button unit 185 may be configured in plural numbers. The body 110 may include a button 187 for turning on or off the operation of the food container 120. The button 187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turning on and off the refrigerating unit 130 and / or the warming unit 140 by varying the number of times of manipulation or operating time.

상기 온도조절부(180)는 온도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18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표시부(186)는, 예를 들면, 복수의 눈금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눈금은 조절된 온도 상태에 따라 점등하는 조명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설정 온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표시부(186)는 숫자 또는 문자로 온도를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ler 18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mperature display unit 186 for displaying a temperature setting state.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186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plurality of scales. The scale may be configured with illumination that lights according to the adjusted temperature state. Thereby, the set temperature can be easily identified. Here,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186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temperature in numbers or letters.

예를 들면, 상기 온도조절부(180)는 상기 버튼부(185)의 조작 회수에 따라 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되고, 상기 온도표시부(186)는 상기 버튼부(185) 조작시 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를 각각 표시하게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mperature controller 180 increases or decreases th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button unit 185, and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186 increases or decreases the temperature when the button unit 185 is operated. It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each state.

여기서, 상기 버튼부(185)는 단일의 버튼부(185)를 연속 조작 회수 또는 시간 등에 의해 온도를 조절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온도 상승을 위한 버튼부 및 온도 하강을 위한 버튼부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버튼부(185)의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Here, the button unit 185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single button unit 185 by the number of times of continuous operation or the like, but the button unit f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and the button unit for lowering the temperature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It may be. The number of button portions 185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조절부(180)는 상기 냉장부(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장온도조절부(183) 및 상기 온장부(14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장온도조절부(18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the refrigerating temperature control unit 183 and the warming temperature control unit 184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warming unit 140. It may be provided with.

상기 냉장온도조절부(183)는,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185)와, 온도 조절 상태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18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on temperature control unit 183 may include a button unit 185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and a temperature display unit 186 for displaying a temperature control state.

상기 온장온도조절부(184)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185)와, 온도 조절 상태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18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warm temperature control unit 184 may include a button unit 185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and a temperature display unit 186 for displaying a temperature control stat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식품보관장치(100)를 이용하여 식품 또는 음식물을 보관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전원공급유닛(170)이 전원에 연결되도록 한다.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food or food is to be stored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100, the power supply unit 170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상기 커버(160)를 분리하여 상기 수납용기(131)가 개방되도록 한다. 보관될 식품을 보관 온도별로 분리하여 해당 식품수납부(120), 즉 냉장부(130) 및/또는 온장부(140)에 각각 수용되게 한다. 이때, 일부 음식물은 상기 식품보관장치(100)에 구비된 식품저장용기(148)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음식물은 그릇에 담긴 채로 수납될 수 있으며, 음료 등은 음료용기 채로 식품수납부(120)에 수납될 수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131 is opened by removing the cover 160. The food to be stored is separated by storage temperature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food storage unit 120, that is, the refrigeration unit 130 and / or the warming unit 140, respectively. In this case, some foods may be used a food storage container 148 provided in the food storage device 100. In addition, some food may be stored in a bowl, drinks, etc. may be stored in the food storage unit 120 in a beverage container.

다음 온도조절부(180)를 조작하여 식품수납부(120)(냉장부(130) 및 온장부(140))의 온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관된 식품이 원하는 온도로 냉장 및/또는 온장 보관될 수 있다. Next,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80 may be operated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ood storage unit 120 (the refrigeration unit 130 and the warming unit 140), respectively. Thereby, the stored food can be refrigerated and / or stored at a desired temperature.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일부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The same and equivalent par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duplicate descriptions of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본 실시예의 식품보관장치(100)는, 식품이 수납되는 식품수납부(120)를 구비한 바디(110)와, 상기 식품수납부(120)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절환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ood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110 having a food storage unit 120 for storing food, and a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for heating or cooling the food storage unit 120. It can be configured.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는 상기 식품수납부(120)를 개폐하는 커버(160)가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1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od container 120.

상기 식품수납부(12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ood storage unit 1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상기 식품수납부(120)는,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부(130) 및 식품을 온장 보관하는 온장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ood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a refrigerating unit 130 for storing food and a warming unit 140 for storing food.

상기 바디(110)에는 전원공급유닛(170)이 구비될 수 있다.The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70.

상기 전원공급유닛(170)은, 상용전원에 연결되는 상용전원연결부(171) 및 자동차의 시거 잭에 연결되는 직류전원연결부(175)를 구비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include a commercial power connector 171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a DC power connector 175 connected to a cigar jack of a vehicle.

상기 바디(110)에는 상기 냉장부(130) 및 온장부(14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unit 180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and the warming unit 140.

상기 냉장부(130)는, 수납용기(131)와, 상기 수납용기(131)를 냉각시키는 온도절환유닛(15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절환유닛(150)은 열전소자(15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unit 130 may include a storage container 131 and a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for cooling the storage container 131.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may be configur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152.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는 흡열부(153)가 상기 수납용기(131)를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의 발열부(154)에는 히트싱크(157)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portion 130, a heat absorbing portion 153 may be installed toward the storage container 131. A heat sink 157 may be provided in the heat generating part 154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part 130.

상기 온장부(140)는, 수납용기(131)와, 상기 수납용기(131)를 가열하는 온도절환유닛(15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절환유닛(150)은 열전소자(15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장부(140)의 열전소자(152)는 발열부(154)가 상기 수납용기(131)를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장부(140)의 열전소자(152)의 흡열부(153)에는 히트싱크(157)가 구비될 수 있다. The warming unit 140 may include a storage container 131 and a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for heating the storage container 131.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may be configur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152.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heating unit 140, a heating unit 154 may be installed toward the storage container 131. A heat sink 157 may be provided at the heat absorbing part 153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warming part 140.

한편, 본 실시예의 식품보관장치(100)는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와 상기 온장부(140)의 열전소자(152)를 상호 열 전달가능하게 연결하는 열전달체(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의 방열 및 상기 온장부(140)의 열전소자(152)의 흡열이 각각 촉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ood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heat transfer member 190 for connect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heating unit 140 to enable mutual heat transf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As a result, heat dissip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and heat absorp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heating unit 140 may be promoted, respectively.

상기 열전달체(190)는 예를 들면 히트파이프(heat pipe)(192)로 구성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파이프(192)는,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192)는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 일 측에서 작동유체가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되고, 타 측에서 방열되어 응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192)의 밀폐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작용유체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모세관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The heat carrier 19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heat pipe 192. As is well known, the heat pipe 192 may include a sealed container and a working fluid accommodated in the sealed container. The heat pipe 19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working fluid absorbs the surrounding heat from one side of the sealed container to evaporate and radiates heat from the other side to condense. A capillary structure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aled container of the heat pipe 192 such that the working fluid may be moved by a capillary phenomen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달체(190)의 일 단부는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의 히트싱크(157)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온장부(140)의 열전소자(152)의 히트싱크(157)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의 발열부(154)의 방열작용이 촉진되어 신속하게 냉각되고, 상기 온장부(140)의 열전소자(152)의 흡열부(153)의 흡열작용이 촉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one end of the heat transfer body 190 is connected to the heat sink 157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 transfer unit 140 is thermoelectric. It may be connected to the heat sink 157 of the element 152. As a result, the heat dissipation action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54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is accelerated to cool rapidly, and the heat absorbing unit 153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heating unit 140 is cooled. The endothermic action of can be promoted.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달체(190)는 열전달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체(190)는 긴 판상의 열전달플레이트(194)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phase heat transfer body 190 may be formed of a heat transfer member. The heat transfer body 190 may be composed of a long plate heat transfer plate 194.

상기 열전달체(190), 즉 상기 열전달플레이트(194)의 일 단부는 상기 온장부(140)의 히트싱크(157)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냉장부(130)의 히트싱크(157)에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heat transfer body 190, that is, the heat transfer plate 194 may be connected to the heat sink 157 of the heating part 14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heat sink 157 of the refrigerating part 130. Can b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냉장부(130) 및 온장부(140)에 보관될 식품이 각각 수납되고, 상기 온도조절부(180)에 의해 상기 냉장부(130) 및 온장부(140)의 온도가 각각 설정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the food to be stored in the refrigerating unit 130 and the warming unit 140 is stored,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and the warming unit 140 by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80 is Each can be set.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의 흡열부(153)는 상기 수납용기(131)의 열을 흡수하여 상기 열전소자(152)의 발열부(154)를 통해 방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부(130)의 수납용기(131)가 냉각되어 상기 냉장부(130)의 수납용기(131)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The heat absorbing portion 153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portion 130 may absorb heat from the storage container 131 to radiate heat through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54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As a result, the storage container 131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may be cooled to maintain the storage container 131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at a set temperature.

상기 온장부(140)의 열전소자(152)의 흡열부(153)는 히트싱크(157)를 통해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상기 열전소자(152)의 발열부(154)를 통해 방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온장부(140)의 수납용기(131)는 가열되어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The heat absorbing portion 153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heating unit 140 may absorb heat around the heat through the heat sink 157 to radiate heat through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54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 As a result, the storage container 131 of the warming unit 140 may be heated and maintained at a set temperature.

이때, 열전달체(190)는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의 발열부(154)에서 방열된 열을 상기 온장부(140)의 열전소자(152)의 흡열부(153)로 신속하게 이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의 방열을 촉진하고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의 흡열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부(130)의 열전소자(152)의 냉각 작용 및 온장부(140)의 열전소자(152)의 가열 작용이 촉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eat carrier 190 radiates heat radi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part 154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part 130 to the heat absorbing part 153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heating part 140. By rapidly moving, the heat dissip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may be promoted, and the endothermic a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may be promoted. As a result, a cooling a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refrigerating unit 130 and a heating a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warming unit 140 may be promoted.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품보관장치(100)는, 식품이 수납되는 식품수납부(120)를 구비한 바디(110)와, 상기 식품수납부(120)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절환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9 and 10, the food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110 having a food storage unit 120 for storing food, and the food storage unit 120 is heated O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to cool.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는 식품수납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The food storage unit 1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는 식품수납부(120)를 개폐하는 커버(16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1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od storage unit 1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식품수납부(120)는 복수 개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식품수납부(120)는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ood storage unit 120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of a plurality, for example, the food storage unit 120 may be composed of one or three or more.

예를 들면, 상기 식품수납부(120)는 제1식품수납부(121) 및 제2식품수납부(12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품수납부(120)가 2개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으나, 식품수납부(120)의 수는 적절히 설정(조절)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ood container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food container 121 and a second food container 122. In this embodiment, the food storage unit 120 is composed of two cases, for example, but the number of the food storage unit 120 may be appropriately set (adjusted).

상기 식품수납부(120)는, 수납용기(131)와, 상기 수납용기(131)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온도절환유닛(15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ood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a storage container 131 and a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for cooling or heating the storage container 131.

상기 온도절환유닛(150)은 서로 다른 식품수납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온도절환유닛(151a) 및 제2온도절환유닛(151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절환유닛(151a) 및 제2온도절환유닛(151b)의 용량 및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may include a first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a and a second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b respectively disposed at different food storage units. Here, the capacity and number of the first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a and the second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b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는, 수납용기(131)와, 상기 수납용기(131)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1온도절환유닛(151a)을 구비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may include a storage container 131 and a first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a for heating or cooling the storage container 131.

상기 제2식품수납부(122)는, 수납용기(131)와, 상기 수납용기(131)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2온도절환유닛(151b)을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may include a storage container 131 and a second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b for heating or cooling the storage container 131.

상기 온도절환유닛(150)은 흡열부(153) 및 발열부(154)를 구비한 열전소자(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152 having a heat absorbing portion 153 and a heat generating portion 154.

상기 열전소자(152)는 일 측이 상기 수납용기(131)를 향해 설치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may be installed toward the storage container 131.

상기 열전소자(152)의 일 측과 상기 수납용기(131) 사이에는 열전도체(155)가 구비될 수 있다. A thermal conductor 155 may be provided betwee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and the storage container 131.

상기 열전소자(152)의 타 측에는 히트싱크(157)가 구비될 수 있다.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may be provided with a heat sink 157.

본 실시예의 식품보관장치(100)는 전원공급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od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70).

상기 전원공급유닛(170)은 상기 열전소자(152)에 전원을 공급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공급유닛(170)은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의 제1온도절환유닛(151a) 및 상기 제2식품수납부(122)의 제2온도절환유닛(151b)에 전원을 각각 공급하게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170 supplies power to the first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a of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and the second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b of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It can be configured to supply each.

상기 전원공급유닛(170)은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의 제1온도절환유닛(151a) 및 제2식품수납부(122)의 제2온도절환유닛(151b)의 전류 공급 방향을 절환하는 극전환스위치(220)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70 switches the current supply direc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a of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and the second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b of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ole switching switch 220 to each.

상기 극전환스위치(220)는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의 제1온도절환유닛(151a)의 극성을 전환하는 제1극전환스위치(221) 및 제2식품수납부(122)의 제2온도절환유닛(151b)의 극성을 전환하는 제2극전환스위치(2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온도절환유닛(151a) 및 제2온도절환유닛(151b)의 극성을 각각 절환할 수 있어 각 온도절환유닛(150)의 흡열부(153) 및 발열부(154)의 위치를 각각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 및 제2식품수납부(122)를 필요에 따라 냉장부 및/또는 온장부로 각각 절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pole switching switch 220 is formed of the first pole switching switch 221 and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for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first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a of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A second pole switching switch 222 for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two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b may be provided. As a result, the polarities of the first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a and the second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1b can be switched, respectively,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heat absorbing portion 153 a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54 of each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0 can be switched. You can change each one. According to this,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and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may be switched to the refrigeration unit and / or warming unit, respectively, as necessary.

본 실시예의 식품보관장치(100)는 식품수납부(1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온도조절부(18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od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unit 180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ood storage unit 120.

상기 온도조절부(180)는,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185)와, 온도 조절 상태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18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85)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85)는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 및 제2식품수납부(122)가 냉장부 또는 온장부로 운전될 수 있게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버튼(188)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188)은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 및 제2식품수납부(122)의 동작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button unit 185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and a temperature display unit 186 for displaying a temperature control state. The button unit 185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The button unit 185 may include a button 188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so that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and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may be operated as a refrigeration unit or a warmer unit. Can be. The button 188 may have a function of turning on or off operations of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and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조절부(180)는, 제1식품수납부(121)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부(181) 및 상기 제2식품수납부(122)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18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80,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181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and the second agent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storage unit 122 It may be configur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unit 182.

상기 제1온도조절부(181) 및 제2온도조절부(182)는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 및 제2식품수납부(122)의 각 일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조절부(181) 및 제2온도조절부(182)는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181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182 may be formed on each side of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and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respectively.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ler 181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ler 18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respectively.

상기 제1온도조절부(181) 및 제2온도조절부(182)에는 상기 버튼(188)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181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182 may be provided with the button 188, respectively.

상기 제1온도조절부(181)는,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의 냉장부로 기능 전환시 온도를 조절하는 냉장온도조절부(183) 및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가 온장부로 기능 전환시 온도를 조절하는 온장온도조절부(18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181, the refrigeration temperature control unit 183 and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to control the temperature when the function is switched to the refrigeration unit of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is a warming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warm temperature control unit 184 to adjust the temperature when switching to the function.

상기 제1온도조절부(181)는,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185) 및 온도 조절 상태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18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표시부(186)는 예를 들면, 온도 조절 상태를 눈금으로 표시할 수 있게 복수의 눈금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온도조절부(183) 및 온장온도조절부(184)는 상기 버튼부(185) 및 온도표시부(186)를 각각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ler 181 may include a button unit 185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and a temperature display unit 186 for displaying a temperature control state.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186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scales, for example, to display the temperature control state in a scale. Here, the refrigerating temperature adjusting unit 183 and the warming temperature adjusting unit 184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button unit 185 and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186, respectively.

상기 제2온도조절부(182)는, 상기 제2식품수납부(122)의 냉장부로 기능 전환시 온도를 조절하는 냉장온도조절부(183) 및 온장부로의 기능 전환 시 온도를 조절하는 온장온도조절부(18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182, the refrigeration temperature control unit 183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when the function is switched to the refrigeration unit of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and the warmth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when switching the function to the warming unit The temperature controller 184 may be provided.

상기 제2온도조절부(182)의 냉장온도조절부(183) 및 온장온도조절부(184)는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185) 및 온도 조절 상태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186)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조절부(181) 및 제2온도조절부(182)의 각 버튼부(185) 및 온도표시부(186)는 해당 기능 선택 시 점등이 가능한 램프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on temperature control unit 183 and the warm temperature control unit 184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182 is provided with a button unit 185 for inputting a signal and a temperature display unit 186 for indicating a temperature control state, respectively. It can be configured. Here, each of the button unit 185 and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186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181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182 may be provided with a lamp that can be turned on when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selected.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가 냉장부로 기능할 경우 상기 제1온도조절부(181)의 냉장온도조절부(183)의 램프가 점등되고,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가 온장부로 기능할 경우 상기 제1온도조절부(181)의 온장온도조절부(184)의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functions as a refrigeration unit, the lamp of the refrigeration temperature control unit 183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181 is turned on, and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is ) May function as a warming part, the lamp of the warming temperature adjusting part 184 of the first temperature adjusting part 181 may be turned on.

마찬가지로, 상기 제2식품수납부(122)가 냉장부로 기능할 경우에는 상기 제2온도조절부(182)의 냉장온도조절부(183)의 램프가 점등되고, 상기 제2식품수납부(122)가 온장부로 기능할 경우에는 상기 제2온조조절부의 온장온도조절부(184)의 램프가 점등되게 구성될 수 있다. Similarly,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functions as a refrigeration unit, the lamp of the refrigeration temperature control unit 183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182 is turned on, and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is turned on. When it functions as a warm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the lamp of the warming temperature control unit 184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한편, 본 실시예의 식품보관장치(100)는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한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od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210 having a control program.

상기 제어부(210)는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식품수납부(120)를 냉장부 또는 온장부로 전환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10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he food storage unit 120 to the refrigerating unit or the warming unit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상기 제어부(21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부 및 온장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운전모드선택부(215)가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1, an operation mode selector 215 for selecting any one of a refrigerating unit and a warm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10 so as to transmit a signal.

상기 운전모드선택부(215)는,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의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제1운전모드선택부(216) 및 상기 제2식품수납부(122)의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제2운전모드선택부(21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식품수납부(121) 및 제2식품수납부(122)는 운전모드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는 냉장부로 기능하고 다른 하나는 온장부로 기능하거나, 둘 다 냉장부로 기능 전환할 수도 있으며, 둘 다 온장부로 기능 전환할 수도 있다.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215 selects an operation mode of the first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216 and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to select an operation mode of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The second driving mode selection unit 217 may be provided. As a result,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and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may function as a refrigeration unit and the other function as a heating unit, or both may be switched to the refrig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Both can also be switched to warm-up.

예를 들면, 상기 제1운전모드선택부(216) 및 제2운전모드선택부(217)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18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216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217 may include at least one button unit 185.

상기 제어부(210)에는 상기 제1식품수납부(121)의 열전소자(152)의 극성을 전환하는 제1극전환스위치(221) 및 상기 제2식품수납부(122)의 열전소자(152)의 극성을 전환하는 제2극전환스위치(222)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10 includes a first pole switching switch 221 for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2 of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Second pole switching switch 222 for switching the polarity of each can be connected to controllable.

한편, 상기 제어부(210)에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181) 및 제2온도조절부(182)의 각 램프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amps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ler 181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ler 182 may be controlab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10.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제1운전모드선택부(216) 및 제2운전모드선택부(217)에 의해 냉장부 또는 온장부의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제1식품수납부(121) 및 제2식품수납부(122)가 해당 선택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상기 제1극전환스위치(221) 및 제2극전환스위치(222)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function of the refrigerating unit or the warming unit is selected by the first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216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217, the control unit 21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The first pole switch 221 and the second pole switch 222 may be controlled to allow the first food storage unit 121 and the second food storage unit 122 to perform the selected function.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제1운전모드선택부(216) 및 제2운전모드선택부(217)에 의해 운전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온도조절부(181) 및 제2온도조절부(182)의 해당 램프가 점등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해당 식품수납부(120)의 선택된 운전모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식품수납부(120)의 온도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lected by the first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216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217, the control unit 210 selects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181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182.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the lamp.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selected operation mode of the food storage unit 12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the temperature of the food storage unit 120.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s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tail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Further, even when the embodiments not lis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ave been described, it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10 : 바디 120 : 식품수납부
130 : 냉장부 131 : 수납용기
134 : 플랜지 137 : 단열부재
140 : 온장부 150 : 온도절환유닛
152 : 열전소자 153 : 흡열부
154 : 발열부 155 : 열전도체
157 : 히트싱크 160 : 커버
170 : 전원공급유닛 171 : 상용전원연결부
175 : 직류전원연결부 180 : 온도조절부
183 : 냉장온도조절부 184 : 온장온도조절부
185 : 버튼부 186 : 온도표시부
210 : 제어부 215 : 운전모드선택부
216 : 제1운전모드선택부 217 : 제2운전모드선택부
220 : 극전환스위치 221 : 제1극전환스위치
222 : 제2극전환스위치
110: body 120: food storage
130: refrigeration unit 131: storage container
134: flange 137: heat insulating member
140: heating section 150: temperature switching unit
152: thermoelectric element 153: heat absorbing portion
154: heat generating unit 155: thermal conductor
157: heat sink 160: cover
170: power supply unit 171: commercial power connection
175: DC power supply connection 180: temperature control
183: refrigeration temperature control unit 184: temperature control temperature unit
185: button portion 186: temperature display portion
210: control unit 215: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216: first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217: second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220: pole change switch 221: first pole switch
222: second pole switch

Claims (15)

식품이 수납되는 복수 개의 식품수납부를 구비한 바디; 및
흡열부 및 가열부를 구비한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품수납부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절환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식품수납부는, 식품을 냉장하는 냉장부 및 식품을 온장하는 온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식품수납부는 열전도체로 형성되는 수납용기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냉장부는 흡열부가 상기 수납용기를 향해 배치되는 열전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온장부는 발열부가 상기 수납용기를 향해 배치되는 열전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냉장부의 열전소자와 상기 온장부의 열전소자 사이에는 상기 냉장부의 열전소자와 상기 온장부의 열전소자를 상호 열 전달가능하게 연결하는 열전달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장치.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food storage unit for receiving food; And
And a temperature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heat absorbing unit and a heating unit, and configured to heat or cool the food storage unit.
The food storage unit includes a refrigeration unit for refrigerating food and a warming unit for warming food,
Each food storage unit includes a storage container formed of a thermal conductor,
The refrigerating unit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in which a heat absorbing portion is disposed toward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warming unit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in which a heat generating portion is disposed toward the storage container.
Food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of the refrigerating unit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of the warming unit is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member for connect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s of the refrigerating unit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of the warming unit to be mutually heat transf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에는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ood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와 상기 열전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식품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hermal conductor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체는 히트파이프(HEAT PIP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6 or 7,
The heat carrier is a food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t pipe (HEAT PIPE).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수납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식품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6 or 7,
Food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od stor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수납부에 수용되고 내부에 식품이 저장되는 식품저장용기;를 더 포함하는 식품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6 or 7,
And a food sto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food storage unit and storing food therein.
KR1020110066945A 2011-07-06 2011-07-06 Food storage apparatus KR101100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45A KR101100702B1 (en) 2011-07-06 2011-07-06 Food storage apparatus
PCT/KR2012/005224 WO2013005957A2 (en) 2011-07-06 2012-07-02 Food storag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45A KR101100702B1 (en) 2011-07-06 2011-07-06 Food storag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0702B1 true KR101100702B1 (en) 2011-12-30

Family

ID=4550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945A KR101100702B1 (en) 2011-07-06 2011-07-06 Food storage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0702B1 (en)
WO (1) WO2013005957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31B1 (en) * 2012-07-03 2014-04-25 한국식품연구원 Thermoelectric element-applie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delivering agrifo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3253A (en) 2001-05-06 2002-11-22 Masahiko Obata Peltier module warmth or cold keeping container
KR200323582Y1 (en) 2003-05-23 2003-08-14 주식회사 동지하이테크 Side dish storage box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KR200323808Y1 (en) * 2003-04-11 2003-08-19 박종관 Food vessel by thermoelectric module
KR100599841B1 (en) 2005-11-03 2006-07-12 신병환 Structure of food storage for cooling and warm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479B1 (en) * 1989-01-30 1991-04-23 신근식 Refrigerator and its controller of foods
JP2000245541A (en) * 1999-02-25 2000-09-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arm-cool shed
KR20050006844A (en) * 2003-07-10 2005-01-17 최시성 A table having cool and hot-storage pl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3253A (en) 2001-05-06 2002-11-22 Masahiko Obata Peltier module warmth or cold keeping container
KR200323808Y1 (en) * 2003-04-11 2003-08-19 박종관 Food vessel by thermoelectric module
KR200323582Y1 (en) 2003-05-23 2003-08-14 주식회사 동지하이테크 Side dish storage box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KR100599841B1 (en) 2005-11-03 2006-07-12 신병환 Structure of food storage for cooling and warm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31B1 (en) * 2012-07-03 2014-04-25 한국식품연구원 Thermoelectric element-applie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delivering agrif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5957A3 (en) 2013-04-11
WO2013005957A2 (en)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0445B (en) Electric cooker
US9909789B2 (en) Heating and cooling unit with canopy light
US20140251164A1 (en) Food Preparation Appliance
TWI542304B (en) Microwave heating insulation pad and the heating pad with the insulation package
US20180028012A1 (en) Slow cooker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709574B1 (en) Tray cooling/heating unit
JP2006102234A (en) Cordless warming and cooling apparatus, cordless warming apparatus and cordless cooling apparatus
US9930993B2 (en) Food warming device
KR101100702B1 (en) Food storage apparatus
KR20160122457A (en) Multi-Function Table as Insulating and Cooling
KR200323808Y1 (en) Food vessel by thermoelectric module
CN104905671A (en) Electric rice cooker with refrigerating function
KR101136689B1 (en) The table to possess the refrigerator and heating cabinet
CN204743710U (en) Electric rice cooker of area refrigeration function
US11421892B2 (en) Cooking and cooling apparatus
CN100441132C (en) Cold/hot chopping board
KR101997151B1 (en) Assembly lunch box capable of temperature control
KR100630299B1 (en) keeping warm eating table
KR20120127150A (en) Tableware for keeping food
KR960003710Y1 (en) Device to keep foods hot
JPH11276358A (en) Cooked material heat-insulation device
US606684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ood in a casserole dis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ood in a casserole dish
KR200143484Y1 (en) Table having heating and cooling means
JP3577700B2 (en) Cooking warmth tray
US20240023210A1 (en) Auto Heat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