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361B1 -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361B1
KR101100361B1 KR1020110013421A KR20110013421A KR101100361B1 KR 101100361 B1 KR101100361 B1 KR 101100361B1 KR 1020110013421 A KR1020110013421 A KR 1020110013421A KR 20110013421 A KR20110013421 A KR 20110013421A KR 101100361 B1 KR101100361 B1 KR 101100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microalgae
water
delete delete
culture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620A (ko
Inventor
최병진
김경일
장성원
에이치. 최 찰스
Original Assignee
(주)이노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비드 filed Critical (주)이노비드
Publication of KR2011009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2Photo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95Specific microorg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가스포집장치, 용수를 정제하기 위한 용수정제장치, 및 가스포집장치 및 용수정제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용수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배양하기 위한 광생물반응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발전소 등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고정함으로써 지구온난화에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효과를 갖고 또한, 본 발명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의 운전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SYSTEM FOR FIXATION OF CARBON DIOXIDE USING MICROALGAE}
본 발명은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광생물반응기에서 미세조류를 배양함으로써 이산화탄소를 고정화하는 시스템 및 시스템의 생산 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시스템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달로 인한 대량의 화석연료 소비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증가시켜 지구온난화에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인 환경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에 의한 기후 변화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량이 탄소순환을 통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생태계의 불균형에서 기인하였고, 앞으로도 가속될 전망이다. 한센(Hansen)과 레베데프(Lebedeff) 등이 지구 평균온도의 상승을 보고하였고, General Circulation Model(GCM)에 의한 예측 또한 지구 표면 온도가 상승할 것이라 한다. 국내에서도 온실가스의 배출저감을 주 내용으로 하는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협약이 체결된 이후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억제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절감하는 방법과 이산화탄소를 분리, 회수하여 고정화하는 방법이 있는데, 후자의 방법으로는 물리·화학적 제어 방법, 생물학적 고정화 방법, 해양 저장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생물학적 고정화 방법은 자연계의 탄소 순환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장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고 1980년대 중반 이후로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생물학적으로 고정하는 방법은 광합성효율이 식물에 비해 우수하고 물에서 반응이 진행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광 활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여 장기간 지속적으로 이산화탄소를 고정화할 수 있는 공정의 개발이 필수적이고, 생산된 바이오매스를 적절히 재활용하여 또 다른 폐기물이 생성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하며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조류를 고농도·대량 배양하여 이산화탄소를 고정화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직접 고정화하고, 이의 운전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가스포집장치; 용수를 정제하기 위한 용수정제장치; 및 상기 가스포집장 및 상기 용수정제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용수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배양하기 위한 광생물반응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은 상기 가스포집장치 및 상기 용수정제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용수를 공급받아 이산화탄소 수용액을 제조하여 상기 광생물반응기에 공급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생물반응기에 의해 배양된 미세조류를 저장하기 위한 바이오매스(biomass tank)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내에 설치된 각 센서들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 받고, 상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포집장치는 배기가스로부터 이산화황을 제거하기 위한 배연탈황유닛;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열교환기; 배기가스 내의 미세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여과기; 및 상기 배연탈황유닛, 상기 열교환기, 상기 공기여과기를 거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기 위한 가스수집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수정제장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거친 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용수정제저장소; 상기 용수정제저장소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로 공급되는 용수에 포함된 미생물 등을 살균하기 위한 멸균유닛; 및 용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소정제저장소는 저장된 용수의 수질을 검사하기 위한 수질검사센서와 수온을 검사하기 위한 수온검사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질검사센서는 클로로필-a, 남조류, 용존산소량, 및 pH 등의 수질항목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생물반응기는 배양용기; 상기 배양용기 중심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수직하며 나선형 경로를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양용기는 배양탱크로부터 미세조류 및 배양액을 공급받는 미세조류 및 배양액 공급부; 상기 가스포집장치로부터 상기 배양용기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이산화탄소공급부; 상기 용수정제장치로부터 상기 배양용기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공급부; 상기 배양용기 내의 이산화탄소와 산소를 배출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및 산소 배출부; 상기 배양용기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양용기 내 수용액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제1 pH센서; 및 배양이 끝난 미세조류를 배출하기 위한 미세조류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이산화탄소공급부는 제1 pH센서에서 측정한 값이 관리자가 설정한 pH값 이상인 경우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는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 상기 용수정제장치로부터 상기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공급부; 상기 가스포집장치로부터 상기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제2 이산화탄소공급부; 이산화탄소 수용액을 배출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수용액 배출부; 및 상기 제2 이산화탄소공급부에서 공급받은 이산화탄소를 기포로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 탱크는 상기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 탱크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 탱크 내의 이산화탄소 수용액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제2 pH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기포 발생부는 복수개의 홀(hole)을 갖고 상기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수신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서버에 저장하고 관리자 및 웹(Web)서버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웹서버는 수신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의 운전 효율, 생산 수율을 분석, 통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상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및 상기 관리서버간 통신은 PLC통신 또는 이진부호분할다중접속(B-CDMA) 방식 통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생물반응기는 복수개의 모듈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광생물반응기를 순차적으로 운전하는 순차모드, 상기 복수의 광생물반응기를 동시에 운전하는 일괄모드, 또는 상기 복수의 광생물반응기 중 특정한 한 개의 광생물반응기만을 선택하여 운전하는 특정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운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운전 방법은 이산화탄소 가스를 포집하는 단계; 용수를 정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집된 이산화탄소 및 상기 정제된 용수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된 이산화탄소 및 상기 정제된 용수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단계는, 상기 포집된 이산화탄소 및 상기 정제된 용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수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운전 방법은 상기 배양된 미세조류를 바이오매스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운전 방법은 관리서버가 상기 시스템 내에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시스템의 각 단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발전소 등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고정함으로써 지구온난화에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의 운전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포집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정제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생물반응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어부 및 관리자 서버부의 블록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은 가스포집장치(1000), 용수정제장치(2000), 광생물반응기(3000)를 포함하며 구성될 수 있다.
가스포집장치(1000)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소 등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용수정제장치(2000)는 해수 또는 담수로부터 미세조류의 배양에 필요한 용수를 정제하여 저장한다. 광생물반응기(3000)는 가스포집장치(1000) 및 용수정제장치(2000)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용수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배양한다. 이에의해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고정화함과 더불어 연료물질, 화장품, 사료, 식용 색소와 의약용 원료 물질 등의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미세조류를 배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포집장치(10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스포집장치(1000)는 배연탈황유닛(1100), 열교환기 (1200), 공기 여과기(1300) 및 가스수집탱크(14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소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로부터 미세조류 배양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광생물반응기(3000)에 공급한다.
배연탈황유닛(1100)은 배기가스 내에 함유된 이산화황을 제거하는 유닛이다. 배연탈황이란 매연·배기가스 속에 함유된 황산화물(주로 이산화황)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습식법과 건식법으로 나뉜다. 습식법은 매연·배기가스를 암모니아수·수산화나트륨 용액, 석회유 등으로 세척하는 것이고, 건식법은 활성탄, 탄산염 등의 입자·분말을 매연·배기가스와 접촉시켜 이산화황을 흡착 또는 반응시킴으로써 제거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습식법에 의할 것이다.
열교환기(1200)는 배연탈황된 배기가스를 일정 온도로 낮춘다. 배연탈황된 배기가스는 발전소나 공장 등에서 연소과정 후 발생하여 온도가 높기 때문에 미세조류의 배양에 사용하기 적당한 온도로 낮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기여과기(1300)는 배연탈황되고 열교환기(1200)를 거쳐 온도가 낮아진 배기가스에 포함된 먼지 등의 미세입자를 제거한다.
가스수집장치(1400)는 배기가스가 상술한 일련의 배연탈황유닛(1100), 열교환기(1200) 및 공기여과기(1300)을 거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주성분을 이루게 된 가스를 저장한 후, 광생물반응기(3000)로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정제장치(200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용수(用水)정제장치(2000)는 필터(2100), 용수정제저장소(2200), 멸균유닛(2300), 및 온도조절유닛(2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용수정제저장소(2200)는 저장된 용수의 수질을 검사하기 위한 수질검사센서 및 수온을 검사하기 위한 수온검사센서(2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수정제장치(2000)는 발전소 냉각수 또는 담수 등을 정제하여 광생물반응기(3000)에 미세조류 배양에 필요한 용수를 공급한다.
필터(2100)는 발전소 냉각수나 담수 등에 포함된 모래 또는 미세입자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며, 여과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여과크기가 다른 필터를 복수 개 설치할 수 있다.
용수정제저장소(2200)는 필터(2100)에 의해 여과된 용수를 저장한다. 용수정제저장소(2200)에 설치된 수질검사센서 및 수온검사센서(2210)는 용수정제저장소(2200)에 저장된 용수에 포함된 클로로필-a, 남조류, 용존산소량(DO), pH 등의 수질검사 항목 등을 검사하고 수온을 측정한다.
멸균유닛(2300)은 자외선 등을 이용하여 용수에 포함된 미생물 등을 살균한다.
온도조절유닛(2400)은 용수의 수온을 미세조류 배양에 적당한 온도로 조절한다.
발전소 냉각수 등은 필터(2100)를 거쳐 용수정제저장소(2200)에 저장된다. 이때 수질검사센서 및 수온검사센서(2210)는 용수정제저장소(2200)에 저장된 용수의 수질 및 수온을 검사한다. 검사결과 용수의 수질 및/또는 수온이 미세조류 배양에 적당하지 않은 경우 용수를 멸균유닛(2300) 및/또는 온도조절유닛(2400)을 통과시켜 광생물반응기(3000)에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생물반응기(3000)의 구성도이다.
광생물반응기(3000)는 배양용기(3100), 배양용기 중심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200), 및 회전축에 수직하며 나선형 경로를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광원(3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생물반응기(3000)는 배양용기(3100) 내의 미세조류가 최적의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나선형 광원(3300)이 설치된 회전축(3200)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판형태의 미세조류의 성장층을 형성시켜 반응용기의 모든 부분에 균일한 광도의 빛을 제공하고, 또한 회전축(3200)의 회전으로 배양용기(3100) 내의 미세조류를 부양시켜 이산화탄소와의 접촉을 활성화하며, 배양액, 이산화탄소, 미세조류를 교반하여 미세조류의 배양 효율을 높인다.
배양용기(3100)는 미세조류 및 배양액 공급부(3400), 제1 이산화탄소공급부(3500), 용수 공급부(3600), 이산화탄소와 산소를 배출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및 산소 배출부(3700), 제1 pH센서(3800), 및 미세조류 배출부(39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양용기(3100)가 미세조류 및 배양액 공급부(3400)를 통해 배양탱크로부터 미세조류 및 미세조류 배양에 필요한 배양액을 공급받고, 제1 이산화탄소공급부(3500)를 통해 가스포집장치(1000)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으며, 용수 공급부(3600)를 통해 용수정제장치(2000)로부터 용수를 공급받으면, 광생물반응기(3000)는 회전축(3200)을 회전시키고 복수의 나선형 광원(3300)을 활성화하여 미세조류의 배양을 시작한다.
이때, 제1 pH센서(3800)는 배양용기(3100) 내측에 구비되어 배양용기(3100) 내 수용액의 pH를 측정하고, 제1 이산화탄소공급부(3500)는 제1 pH센서(3800)에서 측정된 pH값이 미세조류 배양에 적합하도록 관리자가 설정한 pH값보다 높은 경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배양용기(3100) 내 수용액의 pH값을 미세조류를 배양하기에 적정한 값으로 조절한다.
이산화탄소 및 산소 배출부(3700)는 미세조류의 배양 동안 미세조류의 광합성에 의해 발생하는 산소 가스 및 제1 이산화탄소공급부(3500)에 의해 공급되었으나 수용액에 용해되지 않은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양용기(3100) 밖으로 배출한다.
미세조류 배출부(3900)은 광생물반응기(3000)에 의해 배양이 끝난 미세조류를 배출한다.
배양 탱크는 미세조류 및 미세조류 배양에 필요한 영양분을 저장하고, 광생물반응기(3000) 동작시 이를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은 가스포집장치(1000) 및 용수정제장치(2000)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용수를 공급받아 이산화탄소 수용액을 제조하여 광생물반응기(3000)에 공급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4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생물반응기에 의해 배양된 미세조류를 저장하기 위한 바이오매스(biomass tank)(50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시스템 내에 설치된 각 센서들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 받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관리서버(6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4000)는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4100), 용수 공급부(4200), 제2 이산화탄소공급부(4300), 이산화탄소 수용액 배출부(4400), 및 기포 발생부(45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4000)는 미세조류의 중요 성장인자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기존 광생물반응기가 광생물반응기에 직접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것과 달리 이산화탄소를 용수에 용해하여 이산화탄소 수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광생물반응기(3000)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용수 공급부(4200)는 용수정제장치(2000)로부터 공급받는 용수를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4100)에 일정량 채운다. 이후 제2 이산화탄소공급부(4300)는 가스포집장치(1000)로부터 공급받은 이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4100)에 공급한다. 이때 제2 이산화탄소공급부(4300)는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4100)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가 상승하면서 기포 발생부(4500)에 의해 미세한 기포로 형성될 수 있도록 기포 발생부(4500)보다 낮은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410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 발생부(4500)는 복수개의 홀을 갖는 격벽이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4100)의 내측에 복수의 층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이산화탄소 공급부(4300)를 통해 공급받은 이산화탄소가스가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4100)의 상부로 상승하며 격벽의 홀을 통과하면서 미세한 기포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미세한 기포는 상승하는 도중 용수에 보다 잘 용해되게 되어 미세조류 배양에 필요한 이산화탄소 수용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2 이산화탄소공급부(4300)에 의한 이산화탄소 공급이 진행되는 동안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4100) 내측에 설치된 제2 pH센서(4600)는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4100) 내의 이산화탄소 수용액의 pH를 측정하고,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4100) 내 이산화탄소 수용액이 미세조류 배양에 적정한 pH에 해당하는 경우 제2 이산화탄소공급부(4300)로부터의 이산화탄소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적정 pH의 이산화탄소 수용액을 제조하여 이산화탄소 수용액 배출부(4400)를 통해 광생물반응기(3000)에 공급한다. 이경우 이산화탄소수용액과 배양액의 혼합 비율은 1:0.0045가 바람직할 것이다.
바이오매스 탱크(5000)는 광생물반응기(3000)에의해 배양이 끝난 미세조류를 저장한다. 바이오매스 탱크(5000)에 저장된 미세조류는 동물 또는 치어의 사료로 활용되거나 미세조류의 지질을 분리하여 바이오디젤(biodiesel), 바이오제트(biojet), 그린디젤(green diesel)을 생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의 관리서버의 블록도이다.
관리서버(6000)는 시스템 내에 설치된 각 센서들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 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인 가스포집장치(1000), 용수정제장치(2000), 광생물반응기(3000),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40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관리서버(6000)는 시스템 내의 각 센서 즉, 제1 pH센서(3800), 제2 pH센서(4600)뿐만 아니라 시스템 매 각 밸브의 동작이나 용존이산화탄소, 용존산소, 수온, 수질, 이산화탄소, 조도 및 외부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고, 이를 기초로 시스템 내의 각 밸브의 개폐, 모터의 동작 등과 같은 시스템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또한, 관리서버(6000)는 수신 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서버에 저장하고 관리자 및 웹(Web)서버로 송신한다. 웹서버는 수신 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의 운전 효율, 생산 수율 등을 분석, 통계 관리한다.
이에 의해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시스템 상태 데이터를 전송 받고, 웹서버를 통해 장소에 구애됨 없이 시스템의 운전 효율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및 관리서버간 데이터 통신은 PLC통신 및/또는 이진부호분할다중접속(B-CDMA) 방식에 의한 통신일 수 있다.
PLC(Power Line Communication)통신은 전력선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 인터넷 등을 고속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별도의 통신망을 갖추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 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다.
B-CDMA 기술은 CDMA기술을 기반으로 복잡한(Multi Level) 신호 파형을 2진화(Binary) 형태로 단순화한 기술로서, 최근에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산업용 무선 네트워크 표준안으로 채택된 후 기술 상용화가 급진전되고 있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시스템 내에 별도의 케이블 공사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에서 광생물반응기를 모듈형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미세조류 배양 계획에 맞추어 광생물반응기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경우 관리자는 복수의 광생물반응기를 순차적으로 운전하는 순차모드(sequential mode), 복수의 광생물반응기를 동시에 운전하는 일괄모드(batch mode), 또는 복수의 광생물반응기 중 특정한 한 개의 광생물반응기만을 선택하여 운전하는 특정모드(special mode)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운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미세조류 배양 계획, 시스템의 운전 상태나 환경 등에 따른 최선의 시스템 운전 방법을 선택하여 미세조류를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의 운전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운전방법은 가스포집장치가 이산화탄소 가스를 포집하고, 용수정제장치가 용수를 정제하여 이 포집된 이산화탄소 및 정제된 용수를 이용하여 광생물반응기가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운전될 수 있다.
또한, 포집된 이산화탄소 및 정제된 용수를 이용하여 광생물반응기가미세조류를 배양하는 단계는, 가스포집장치에 의해 포집된 이산화탄소 및 용수정제장치에 의해 정제된 용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가 이산화탄소수용액을 제조한 후, 이 이산화탄소수용액을 광생물반응기에 공급하여 광생물반응기가 이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의 운전방법은 광생물반응기에 의해 배양된 미세조류를 바이오매스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관리서버가 시스템 내에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는 단계, 및 관리서버가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시스템의 각 단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운전 될 수 있다.
이하 도 5의 구성을 갖는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의 작동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가스포집장치(1000)는 발전소 등의 배기가스를 상술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가스수집탱크(1400)에 저장한다. 가스수집탱크(1400)에 배치된 센서는 가스수집탱크(1400)에 저장되는 가스의 양을 측정해 관리서버(6000)에 전송하고 관리서버(6000)는 가스수집탱크(1400)에 일정량의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경우 가스수집탱크(1400)의 밸브를 잠그고 가스포집을 중단한다.
용수정제장치(2000)는 발전소 냉각수 등을 여과시켜 용수정제저장소(2200)에 저장한다.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4000)가 가동을 시작하면 용수정제장치(2000)는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4000)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수질검사센서 및 수온검사센서(2210)는 용수정제저장소(2200)에 저장된 용수의 수질 및 수온을 검사하여 관리서버(6000)에 전송하고, 관리서버(6000)는 저장된 용수의 수질 및 수온이 정상인 경우 저장된 용수를 직접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40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지만, 수질 및/또는 수온이 적당하지 않은 경우는 용수가 멸균유닛(2300) 및/또는 온도조절유닛(2400)을 거치도록 제어한다.
일정량의 용수가 공급된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4000)에 가스수집탱크(140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공급되게 되고 이산화탄소 수용액제조 탱크(4100) 내측에 구비된 제2 pH센서(4600)는 이산화탄소 수용액의 pH를 측정하여 관리서버(6000)에 전송하고, 관리서버(6000)는 이산화탄소 수용액이 미세조류를 배양하기에 적당한 pH에 해당하면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중단시킨다.
이산화탄소 수용액의 제조가 완료된 후 광생물반응기(3000)는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4000)로부터 이산화탄소수용액을 공급받고 배양탱크로부터 배양액 및 미세조류를 공급받아 미세조류의 배양을 시작한다. 이때 배양용기 내측에 구비되는 제1 pH센서(3800)는 배양용기(3100) 내의 pH를 측정하여 관리서버(600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6000)은 전송 받은 pH값이 미세조류 배양에 적합하도록 관리자가 설정한 pH값 이상인 경우 제1 이산화탄소공급부(3500)를 동작시켜 배양용기(3100) 내 수용액의 pH값을 조절한다.
광생물반응기(3000)의 운전이 끝난 후 배양된 미세조류는 바이오매스 탱크(5000)로 운반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가스포잡장치 2000 : 용수정제장치
3000 : 광생물반응기 4000 : 이산화탄소 수용액 제조장치
5000 : 바이오매스 탱크 6000 : 관리서버

Claims (23)

  1. 이산화탄소 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가스포집장치;
    용수를 정제하기 위한 용수정제장치; 및
    상기 가스포집장치 및 상기 용수정제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용수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배양하기 위한 광생물반응기를 포함하되,
    상기 광생물반응기는, 배양용기;
    상기 배양용기 중심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수직하며 나선형 경로를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는
    배양탱크로부터 미세조류 및 배양액을 공급받는 미세조류 및 배양액 공급부;
    상기 가스포집장치로부터 상기 배양용기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이산화탄소공급부;
    상기 용수정제장치로부터 상기 배양용기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공급부;
    상기 배양용기 내의 이산화탄소와 산소를 배출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및 산소 배출부;
    상기 배양용기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양용기 내 수용액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제1 pH센서; 및
    배양이 끝난 미세조류를 배출하기 위한 미세조류 배출부를 포함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산화탄소공급부는
    제1 pH센서에서 측정한 값이 관리자가 설정한 pH값 이상인 경우 동작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생물반응기는 복수개의 모듈형식으로 구성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생물반응기를 순차적으로 운전하는 순차모드, 상기 복수의 광생물반응기를 동시에 운전하는 일괄모드, 또는 상기 복수의 광생물반응기 중 특정한 한 개의 광생물반응기만을 선택하여 운전하는 특정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운전할 수 있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10013421A 2010-02-26 2011-02-15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KR101100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8213 2010-02-26
KR1020100018213 2010-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620A KR20110098620A (ko) 2011-09-01
KR101100361B1 true KR101100361B1 (ko) 2011-12-30

Family

ID=4495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421A KR101100361B1 (ko) 2010-02-26 2011-02-15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2461B2 (en) 2019-04-10 2021-10-12 Sk Innovation Co., Ltd. Method for recycling carbon dioxi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986B1 (ko) * 2010-10-27 2012-03-12 한국환경공단 미세조류를 이용한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제거방법
KR101250856B1 (ko) * 2011-10-04 2013-04-04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탄산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 장치의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 제어 방법
KR20130036506A (ko) * 2011-10-04 2013-04-12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이산화탄소 고정 장치 및 이의 이산화탄소 고정 효율 실시간 측정 방법
KR101470078B1 (ko) * 2012-08-21 2014-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산화탄소 포집ㆍ고정ㆍ전환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및 부가가치화 방법
KR101673873B1 (ko) * 2014-07-17 2016-11-09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미세조류 생산 통합관리 시스템
KR101539257B1 (ko) * 2014-10-08 2015-07-28 지랜드 주식회사 조류 배양을 이용한 실내 대기질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3773B1 (ko) * 2020-04-27 2021-12-28 한국지역난방공사 도심발전소 적용 이산화탄소 컴팩트 분리막 및 탄소 자원화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2536052B1 (ko) * 2021-02-01 202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KR102612831B1 (ko) * 2021-06-07 2023-12-13 한국지역난방공사 유출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도심발전소 적용 이산화탄소 컴팩트 분리막 및 탄소 자원화 하이브리드 시스템
KR20230161677A (ko) 2022-05-19 2023-11-28 주식회사 이산 하·폐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와 처리수 내 질소 및 인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기술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14B1 (ko) * 2009-08-28 2010-03-2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성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액을 이용한 조류생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14B1 (ko) * 2009-08-28 2010-03-2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성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액을 이용한 조류생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2461B2 (en) 2019-04-10 2021-10-12 Sk Innovation Co., Ltd. Method for recycling carbon diox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620A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361B1 (ko)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
CN106999834B (zh) 用于可逆吸附二氧化碳的方法和装置
JP6204333B2 (ja) 空気から二酸化炭素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A2777567C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lgae growth
US20050064577A1 (en) Hydrogen production with photosynthetic organisms and from biomass derived therefrom
EP2981604B1 (en) Photobioreactor for co2 biosequestration with immobilised biomass of algae or cyanobacteria
CN103789195A (zh) 一种实现原位固液分离的膜微藻光生物反应器及其培养方法
KR101122986B1 (ko) 미세조류를 이용한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제거방법
CN101654653A (zh) 一种系统化培养微藻的光生物反应器
CA2697983C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CN102533528A (zh) 基于模拟微藻扩大培养的封闭连续培养实验装置
CN201501861U (zh) 一种系统化培养微藻的光生物反应器
CN204134473U (zh) 一种新型生物滴滤塔装置
CN102676391A (zh) 一种利用化工厂副产co2、nh3及废水生产微藻的方法及装置
CN108546648A (zh) 一种环保型微藻培养方法
KR101297821B1 (ko) 혐기성 소화조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 방법
CN101574623A (zh) 利用微藻源光合微生物净化烟道气的装置及其方法
KR20120073432A (ko) 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 생산장치
CA2780103A1 (en) Growing microorganisms using exhaust gas as a nutrient supply
CN209383617U (zh) 一种养殖尾水三级过滤系统
WO2009034365A1 (en) Systems of total capture and recycling of used organic and inorganic matter of selfsustainable human habitations
CN1793313A (zh) 环保型螺旋藻养殖碳源补充方法及装置
CN107694308A (zh) 降低二氧化碳排放量的处理方法
TWI433647B (zh) 微藻養殖模組
WO2015102529A1 (en) System for mass cultivation of microorganisms and products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