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159B1 -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159B1
KR101100159B1 KR1020040053567A KR20040053567A KR101100159B1 KR 101100159 B1 KR101100159 B1 KR 101100159B1 KR 1020040053567 A KR1020040053567 A KR 1020040053567A KR 20040053567 A KR20040053567 A KR 20040053567A KR 101100159 B1 KR101100159 B1 KR 10110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display device
main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450A (ko
Inventor
백승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1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구현시 주화면과 부화면간의 휘도차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화면의 휘도 자동 조정 장치는 주화면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 영상 신호 생성부와, 부화면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2 영상 신호 생성부와, 상기 주화면 및 부화면을 소정 개수의 셀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 셀의 휘도 레벨을 감지하는 스케일러와, 상기 스케일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각 셀의 휘도 레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각 셀의 휘도 레벨을 이용하여 주화면의 평균 휘도 레벨과 부화면의 평균 휘도 레벨이 일치하게 되도록 상기 스케일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BRIGHTNESS OF DOUBLE PICTURE IN AN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셀로 분할된 주/부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 도면 부호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제1 영상 신호 생성부
12 : 제2 영상 신호 생성부
14 : 스케일러
15 : 메모리
16 : 제어부
17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의 영상 표시 기기의 휘도 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화면 구현시 주화면과 부화면간의 휘도차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표시 기기, 예컨대 TV, 모니터 등은 전체 화면에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이중 화면 표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주화면과 부화면에 서로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의 경우 사용자는 주/부화면에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동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TV의 경우 사용자는 2개의 채널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 화면 표시 모드에서는 주화면과 부화면의 휘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양 화면간의 휘도가 달라지는 경우 사용자의 눈을 쉽게 피로하게 하고, 콘트라스트를 열화시키는 문제점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주/부화면간의 휘도차를 조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품 출하전 테스트 단계에서 오퍼레이터가 주/부화면에 소정의 테스트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후, 육안으로 주/부화면의 휘도차를 비교하여 양자의 휘도를 조정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동 방식을 채용할 경우, 사람의 육안에 의존하여 주/부화면간의 휘도차를 조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조정이 힘들고 단품간에 편차가 발생하 며 테스트 공정 시간도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제품 원가 상승의 원인으로도 이어진다.
따라서,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구현시 주/부화면간의 휘도차를 자동 보정할 수 있는 장치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메모리에 저장된 주/부화면 영역의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차를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 이외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통하여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장치는 주화면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 영상 신호 생성부와, 부화면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2 영상 신호 생성부와, 상기 주화면 및 부화면을 소정 개수의 셀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 셀의 휘도 레벨을 감지하는 스케일러와, 상기 스케일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각 셀의 휘도 레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각 셀의 휘도 레벨을 이용하여 주화면의 평균 휘도 레벨과 부화면의 평균 휘도 레벨이 일치하게 되도록 상기 스케일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의 평균 휘도 레벨 은 주화면 영역에 있는 셀들의 평균 휘도 레벨이고, 상기 부화면의 평균 휘도 레벨은 부화면 영역에 있는 셀들의 평균 휘도 레벨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방법은 (a)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 영역을 소정 개수의 셀로 분할하는 단계와, (b) 상기 각 셀에 해당하는 영역의 휘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각 셀의 휘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d) 주화면 및 부화면에 해당하는 각 셀의 휘도 정보에 기초하여 주화면 및 부화면의 평균 휘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e) 상기 주화면의 평균 휘도와 부화면의 평균 휘도를 동일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주화면의 평균 휘도와 부화면의 평균 휘도가 상이한 경우, 상기 부화면 영역의 휘도를 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주/부화면 영역의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차를 자동 보정하기 때문에 이중 화면 구현시 나타나는 콘트라스트의 열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장치는 주화면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 영상 신호 생성부(10), 부화면의 영상 신호를 생성하 여 출력하는 제2 영상 신호 생성부(20)와, 상기 주화면 및 부화면을 복수 개의 셀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 셀의 휘도 레벨을 감지하는 스케일러(14)와, 상기 스케일러(14)로부터 출력되는 각 셀의 휘도 레벨을 저장하는 메모리(15)와, 상기 자동 휘도 조정 장치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와, 상기 스케일러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7)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셀로 분할된 주/부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체 화면은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양분되어 있고, 각 주/부화면은 9개의 셀로 다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스케일러(14)는 상기 각 셀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레벨을 상기 메모리(15)에 저장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메모리(15)에 기저장된 각 셀의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주/부화면의 휘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상기 스케일러(14)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영상 표시 기기 세트의 전원이 ON된 후(단계 10), '이중 화면 모드'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경우(단계 12에서 "예"),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부(16)는 메모리(15)에 저장된 각 셀의 휘도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14). 다음, 주화면 및 부화면의 평균 휘도를 계산한다(단계 16). 상기 평균 휘도는 주/부화면에 해당하는 각 셀의 휘도 레벨의 평균을 구함으로써 계산된다. 다 음, 상기 주화면 및 부화면의 평균 휘도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8). 판단 결과, 상기 주화면 및 부화면의 평균 휘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단계 18에서 "아니오"), 상기 스케일러(14)를 제어하여 부화면의 휘도 레벨을 조정한 후(단계 20), 단계 18로 되돌아간다. 상기 단계 18 및 단계 20의 반복을 통하여 주화면 및 부화면의 평균 휘도가 동일하게 되는 경우(단계 19에서 "예"), 본 절차를 모두 종료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화면을 3개 이상 분할에서 상이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도 쉽게 응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에 저장된 주/부화면 영역의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차를 자동 보정하기 때문에 이중 화면 구현시 나타나는 콘트라스트의 열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화면의 휘도차가 자동 조정되기 때문에, 수동에 의존하는 경우 보다 정확한 조정이 가능하고, 제품 제작 단계의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제품 원가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본 발명이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므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영상 표시 기기의 모드가 이중 화면 표시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드가 이중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 영역을 소정 개수의 셀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각 셀에 해당하는 영역의 휘도 정보를 감지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각 셀의 휘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주화면 영역 및 부화면 영역에 해당하는 각 셀의 휘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화면 영역 및 상기 부화면 영역의 평균 휘도 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주화면 영역의 평균 휘도 값과 상기 부화면 영역의 평균 휘도 값의 차이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 값 자체를 이용하여 상기 주화면 영역의 평균 휘도 값과 동일하도록 상기 부화면 영역의 평균 휘도 값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방법.
  4. 삭제
KR1020040053567A 2004-07-09 2004-07-09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110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567A KR101100159B1 (ko) 2004-07-09 2004-07-09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567A KR101100159B1 (ko) 2004-07-09 2004-07-09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450A KR20060004450A (ko) 2006-01-12
KR101100159B1 true KR101100159B1 (ko) 2011-12-28

Family

ID=3711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567A KR101100159B1 (ko) 2004-07-09 2004-07-09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074B1 (ko) * 2014-10-28 2016-12-15 주식회사 이디비젼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CN114296664A (zh) * 2021-04-25 2022-04-0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副屏亮度调节方法及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450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4827B2 (en) White balance correction method
US7525514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US757675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timizing a luminance characteristic curve
EP1398757A2 (en) Image brightness and colour temperature control
EP184820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image
JP2006129456A (ja) 画像表示装置の補正データ生成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5321664A (ja) 映像表示装置
JP5509729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KR2007006879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WO2005076637A1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EP313637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determination method
US7046257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4573719B2 (ja) 画像表示装置、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システム、及び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方法
EP2573671A2 (en) Colour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100159B1 (ko) 영상 표시 기기의 이중 화면 휘도 자동 조정 장치 및 방법
JP2008158117A (ja) 画像処理装置
KR20090020790A (ko) 시야각에 따른 화질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432668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그 장치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장치
JP4886992B2 (ja)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43972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휘도조정방법
KR201400611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출력 방법
KR10070223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화질설정방법
KR10077400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37390A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균일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JP5381641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