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970B1 -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 - Google Patents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970B1
KR101099970B1 KR1020110063500A KR20110063500A KR101099970B1 KR 101099970 B1 KR101099970 B1 KR 101099970B1 KR 1020110063500 A KR1020110063500 A KR 1020110063500A KR 20110063500 A KR20110063500 A KR 20110063500A KR 101099970 B1 KR101099970 B1 KR 101099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facility
leisure sports
anchor poi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걸 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버클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버클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버클래스
Priority to KR1020110063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2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parate haulage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설물 이용자 또는 운영요원에 의해 수동으로 이탈이 될 수 있도록 고안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탈 장치는 웨빙이 비중이 되어 몸체가 형성되고, 몸체의 양 측면으로는 카라비너, 앵커 포인트, 케이블와이어, 팔자형 하강기 등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웨빙 재질의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케이블와이어 및 이탈 손잡이에 연결
된 이탈 핀을 몸체에 구성된 웨빙 끈 고리로 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하강 및 낙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고공지역 및 산악지역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전력 차단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

Description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 {leisure sports release system}
본 발명은 스캐드다이빙, 빅스윙(스카이X와 동일), 케이블코스터(짚라인, 짚와이어, 하강코스, 플라잉폭스와 동일)등을 운영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이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저스포츠시설 이용 시 시설물 이용자 또는 운영요원에 의해 수동으로 이탈되어 낙하 및 하강함으로써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고공지역 및 산악지역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전력 차단 등으로 인한 미연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수동식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Release system)에 관한 것이다.
먼저 관광레저스포츠 또는 에코레저스포츠로 불리 우는 스캐드다이빙, 빅스윙,
케이블코스터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도록 한다.
스캐드다이빙이란 아직까지 국내에 도입되지 않은 신종 레저 스포츠시설의 일종으로서 40m ~ 50m의 타워구조물에 설치된 승물을 지상에서 탑승하여 설정된 높이
(40m~50m)까지 이동하게 되며 이후 승물과 시설물 이용자를 연결시켜 주었던 이탈 장치를 이탈시킴으로써 시설물 이용자가 승물에서 이탈되어 2중 안전네트로 낙하
하는 시설이다.
유사 레저스포츠 시설인 번지점프, 스카이점프(케이블와이어 및 번지코드 등에
연결되어 지상으로 빠른 속도로 하강하는 시설), 스카이폴(케이블와이어에 연결되어 지상으로 일정한 속도로 하강하는 시설)등과는 달리 번지코드 및 케이블 와이어 등에 구애받지(연결되지 않은 채)않은 채 자유낙하 함으로써 스릴과 재미를 즐길 수 있는 관광레저스포츠 시설이다.
케이블코스터란(짚라인, 짚와이어, 하강코스, 플라잉폭스 등과 동일)산, 계곡, 강, 바다 등 5°이상의 편차를 두고 설치한 케이블와이어에 활강기(도르레)를 연결하여 하강의 짜릿함을 즐기는 신종 레저스포츠 시설로써 현재에는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21세기형 친환경 레저스포츠 시설이다.
마지막으로 빅스윙(스카이 X와 동일)은 하네스(안전장비) 착용 후 엎드린 자세로 케이블와이어에 연결되며 윈치 시스템에 의해 후방 40m 내외의 고공 높이로 끌어올려진 후 이탈 장치에 의해 이탈 시 80m내외의 반원을 그리며 앞, 뒤로 이동하는
시설로써 마치 엎드린 자세로 큰 그네를 타는 듯한 장면을 연상시키는 레저스포츠 시설이다.
상기한 스캐드다이빙 및 빅스윙을 운영하기 위해선 시설물 이용자를 이탈시키기
위한 핵심장비인 이탈 장치 사용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이탈 장치는 시설물 이용자의 머리 위 또는 이용자의 후방 등 이용자와의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대부분 시설물 이용자의 시선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불안요소 대상에서는 제거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탈 장치는 전기식 기계장치로 이탈레버(lever)에 연결된 이탈
장치가 무거운 철재 또는 복합재 결합에 의해 구성되어있어 이탈 시 이용자의 신체 일부와 부딪혀 피부손상 및 외상을 입히는 등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전기식 기계장치의 특성상 전기 차단 시 이탈 레버를 작동할 수 없는 문제로 시설물 이용자가 장시간 40m~50m의 상공에 매달려 있게 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 코스터의(짚라인, 짚와이어, 하강코스, 플라잉폭스 등과 동일)경우 별도의 이탈 장치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문제로 케이블와이어에 연결된 활강기와 시설물 이용자를 연결하기 위해선 1名의 운영요원이 활강기가 미끌려 내려가지 못하도록 활강기를 지지하여야 하며 또 다른 1名의 운영요원이 이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하네스(안전장비)와 활강기를 연결한 후 지지하던 활강기를 놓아주어 시설물 이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이륙장에 최소 2名 운영요원이 소요되어 탄력적인
인력 활용이 불가능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에서 대두된 문제점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기술로 보완하고 새로운
형태의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를 제작하여 접목함으로써 시설물 이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며 고공지역 및 산악지역 등 전기가 인입되지 않는 불가피한 공간에 수동식 이탈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레저스포츠 시설을 지향하고 이용객의 이용 만족도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고안한
레저스포츠용 수동식 이탈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저스포츠용 수동식 이탈 장치는 기존 전기식 기계장치와는 달리 웨빙이 비중이 되어 몸체가 구성되며 구성된 몸체부에 이탈 핀 및 이탈손잡이를 접목·구성하여 줌으로써 시설물 이용자 또는 운영요원이 이탈 손잡이를 당김으로써 하강 및 낙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켜 더욱 안전하고
원활한 시설 운영을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레저스포츠용 수동식 이탈 장치의 구조는 기존 전기식
기계장치와는 달리 전력을 사용하지 않아 자연친화적이며 스캐드다이빙, 케이블코스터, 빅스윙 등 시설물 이용자가 이탈되어 이루어지는 다양한 레저스포츠 시설에 접목되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 및 편의성이 배가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대두되어온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광레저스포츠 시설인 스캐드다이빙, 케이블코스터, 빅스윙 등 고공지역 및 산악지역에 설치된 시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인력에 의한 수동식 이탈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레저스포츠용 수동식 이탈 장치는 웨빙 띠가 비중이 되어 직사각형 형태의
몸체를 구성하며 몸체의 양 쪽 끝 중 선택되는 일면으로는 카라비너를 연결할 수 있도록 몸체와 동일한 재질의 웨빙을 사용하여 연결고리를 구성하여 주며 대면하는 면 역시 동일한 형태로 연결고리를 구성하여 주되 박음질 전 웨빙 연결고리 안으로 원형 강철 고리를 삽입하여 구성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빙으로 구성된 몸체부에 이탈 핀과 이탈 핀을 이탈시키기 위한 와이어로프(2mm)를 구성하며 이탈 핀과 연결된 와이어로프(2mm) 끝으로는 스트랩 재질로 이탈 손잡이를 구성하여 줌으로써 시설물 이용자 및 운영요원의 안전을 확보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는 외부로 돌출되어 와이어가 엉키거나 시설물 이용자와의
접촉을 막을 수 있도록 웨빙으로 구성된 몸체부에 웨빙 띠를 한 겹 덧대어 가이드라인을 구성하여 줌으로써 유도한 이동구간만 유동되게 하여 와이어로프의 이탈 및 엉킴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에서 서술한 내용과 같이 형성된 레저스포츠용 수동식 이탈 장치는 기존 전기식 기계장치가 지녔던 단점인 인체 접촉시의 외상, 빈번한 고장, 전기 차단 시의 문제 등을 보완하여 인력에 의한 수동식 이탈 장치로 개선함으로써 고공지역 및
산악지역에서 별도의 전기 인입 없이 시설물 운영을 가능케 하며 기존 불가피하게 2名의 운영요원 체제를 구성하여야 했던 케이블코스터 류 운영업체에서는 수동식 이탈 장치 사용으로 1人 체제를 구축하여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이용자의 인체와 접촉 시 웨빙으로 구성된 몸체로 인해 외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시설물 운영업체에 부담을 덜어주는 등 다양한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 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 몸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의 일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의 연결방법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의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를 스캐드다이빙에 접목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의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를 빅스윙에 접목한 예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의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를 케이블코스터에 접목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저스포츠용 수동식 이탈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저스포츠용 수동식 이탈 장치는 도 1과 도 2 및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단강도가 강한 웨빙이 비중이 되어 긴 띠 형상을 이룬 몸체(10)와 몸체(10)의 양쪽 끝으로 카라비너 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웨빙 연결고리(10C) 및 레저스포츠 시설에 설치된 케이블 와이어 또는 앵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제 2 웨빙 연결고리(10D)가 각각 배치되며 제 2 웨빙 연결고리
(10D)에는 강철 원형 구(14)가 별도로 구성된다.
또한 몸체(10)의 중앙부로는 이탈을 위한 이탈 핀(15)이 구성되어 2mm 케이블와이어(16)에 취합되며 이탈 핀(15)과 취합된 2mm케이블와이어(16)의 반대 끝 부분으로는 스트랩 재질의 이탈 손잡이(17)가 매듭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이탈 핀(15)이 배치된 몸체(10)의 뒷면으로는 제 1 웨빙 끈 고리(18) 및 제 2 웨빙 끈 고리(19)가 반구형의 형태로 각각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저스포츠용 수동식 이탈 장치의 몸체(1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를 이룬 동일한 제 1 웨빙 띠(10A) 및
제 2 웨빙 띠(10B)를 포개어 두고 양 측 면 중 선택되는 일 측면의 가장자리에 20mm 가량의 원형 구를 각각 형성하여주어 제 2 웨빙 끈고리가 원형 홀(13) 안쪽 방향으로 삽입되어 통과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준다.
포개어진 제 1 웨빙 띠(10A) 및 제 2 웨빙 띠(10B)의 사이로는 지름 20mm의 가량의 원형 홀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강철판(13A)을 삽입하여 구성하며 제 1 웨빙 띠(10A) 및 제 2 웨빙 띠(10B)에 구성된 원형 홀과 강철판(13A)의 원형 홀이 일치하도록 배치한다.
제 1 웨빙 띠(10A), 제 2 웨빙 띠(10B) 및 강철판(13A)를 중첩되게 포개어둔 상태에서 제 1 웨빙 띠(10A) 및 제 2 웨빙 띠(10B)의 가장 자리를 박음질로 연결, 고정하여주며 제 1 웨빙 띠(10A) 및 제 2 웨빙 띠(10B) 의 사이에 구성된 강철판(13A)의 가장자리를 박음질을 해줌으로써 강철판(13A)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웨빙 띠(10A), 제 2 웨빙 띠(10B) 및 강철판(13A)의 원형 홀 내측 면으로는 알루미늄 또는 유사한 성질의 철재로 원형 장식(13)을 구성해 줌으로써 원형 장식(13)을 통해 강철판(13A)의 유동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 웨빙 띠(10A) 및 제 2 웨빙 띠(10B)에 구성된 원형 홀의 내측 면이 마찰에 의해 올이
풀리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원형 홀의 주변은 이탈 핀(15)과의 마찰이 잦은 부위로 두껍지 않은 가죽 또는
내구성이 강한 재질의 섬유로 덧댄 후 철재 원형 장식(13) 처리를 해 줌으로써
이탈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몸체(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2mm케이블와이어(16)을 구성하여 준다.
케이블와이어(16)의 양쪽 끝 중 선택되는 일면을 이탈 핀(15)에 구성된 원형 구
안으로 삽입 통과 시켜 와이어 슬리브로 고정하여 수축튜브로 마감처리를 하며
이탈 핀(15)과 연결 된 케이블와이어(16)의 반대 방향으로는 끝에서 100mm 가량을 반으로 접어 와이어 슬리브로고정하여 수축튜브로 마감해 줌으로써 원형 구를 구성할 수 있으며 스트랩 재질의 이탈 손잡이(17)를 매듭에 의해 손쉽게 연결할 수
있게된다.
상기 이탈 핀(15)의 길이는 110mm, 지름은 6mm의 강철로 구성되며 길이 및 지름의 오차범위는 길이 ± 10mm, 지름 ± 1mm로 극히 제한된다. 만약 이탈 핀(15)의 길이 및 지름이 제시한 오차 범위를 초과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이탈 핀(15) 이탈되지
않아 이탈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약간의 힘에 의해서도 쉽게 이탈되어 이탈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구성된 이탈 핀(15), 케이블와이어(16), 이탈 손잡이(17)는 이탈 장치의 몸체(10) 중앙부로 배치되며 그 위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웨빙 띠(11)를 한겹 덧대어 넒은 면을 박음질로 고정하여 케이블와이어(16)의 가이드라인을 구성하여 줌으로써 케이블와이어(16)가 유도한 이동구간만 유동 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와이어(16)의 이탈 및 엉킴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3 웨빙 띠(11)의 좁은 면은 제 4 웨빙 띠(12)를 박음질로 덧대어 줌으로써 케이블와이어(16)의 이동시 제 3 웨빙 띠(11)의 좁은 면이 해지거나 손상 되는 것을 보완 해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케이블와이어(16)가 배치된 이탈 장치의 몸체(10) 뒷면으로는 제 1 웨빙 끈 고리(18) 및 제 2 웨빙 끈 고리(19)을 구성하여 준다.
제 1 웨빙 끈 고리(18)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구의 외경 측면에 박음질로 고정되며 박음질로 고정된 제 1 웨빙 끈 고리를 몸체(10)방향으로 반을 접을 경우 제 1 웨빙 끈 고리(18)의 끝이 원형 구의 외경에서 25mm밖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 2 웨빙 끈 고리(19)가 몸체(10)방향으로 반을 접은 제 1 웨빙 끈 고리(18) 안쪽 사이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제 2 웨빙 끈 고리(19)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 장치의 몸체(10) 부분에 박음질로 고정이 되며 박음질로 고정된 제 2 웨빙 끈 고리는 제 1 웨빙 끈 고리
(18)를 몸체(10)방향으로 반을 접어 형성된 반구형 안으로 통과시킨 후 몸체(10)에 구성된 원형 구에 삽입 시 이탈 핀(15)이 위치한 몸체(10) 방향으로 10mm가량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탈 핀(15)을 돌출된 제 2 웨빙 끈 고리(19) 사이로 삽입 시 꽉 끼지도 너무 헐렁하지도 않게 형성되며 제 2 웨빙 끈 고리(19)에 의해 고정된 이탈 핀(15)을 시설물이용자 또는 운영요원이 잡아당김으로써 이탈 핀(15) 해체로 인해 고정되어 있던 시설물 이용자가 이탈되어 레저스포츠 시설을 이용 할 수 있다.
상기 내용에 따라 구성된 레저스포츠용 수동식 이탈 장치를 스캐드다이빙에 접목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캐드다이빙 승물에 구성된 엥커 포인트에 레저스포츠용 수동식 이탈 장치의 제 1 웨빙 연결고리(10C)를 카라비너를 활용하여 연결한다. 이때 카라비너는 2개를 사용하여 카라비너의 입구가 서로 마주보게 하여 연결함으로써 카라비너의 풀림을 방지 할 수 있으며 혹여 1개의 카라비너가 파단 될 경우 또 다른 1개의 카라비너로 시설물 이용자를 지탱해줌으로써 이용자의 안전을 2중으로 보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케이블와이어에 연결된 이탈 장치의 제 2 웨빙 연결고리(10D)를 시설물 이용자가 착용한 하네스(안전장비)와 연결하여야 한다.
이때 제 2 웨빙 연결고리(10D)에 구성 된 갈철 구(14)를 이용자의 하네스(안전장비)에 구비된 앵커 포인트(ex: 8자형 하강기 등)의 안으로 통과 시킨 후
통과된 갈철 구(14)의 안쪽으로 제 1 웨빙 끈 고리(18)를 몸체(10)방향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통과시켜 삽입하며 삽입된 제 1 웨빙 끈 고리(18)를 몸체(10)방향으로
최대한 당긴 후 제 1 웨빙 끈 고리(18)의 안쪽으로 제 2 웨빙 끈 고리(19)를 바깥쪽 방향에서 몸체(10)방향으로 통과시켜 삽입하여 몸체(10)에 구성된 원형 홀(13)로 통과시킨다.
이후 돌출된 제 2 웨빙 끈 고리(19)의 안으로 이탈 핀(15)삽입 시킴으로써 이탈 핀(15)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때 이탈 핀(15)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웨빙 끈(19)에 반 정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과 같이 실시한 예는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후 승물이 40m~50m의 상공으로 이동 하였을 경우 운영요원이 이탈 손잡이(17)를 잡아 당겨 시설물 이용자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케이블코스터에 접목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면 먼저 케이블코스터 이륙 플랫폼에 위치한 앵커 포인트에 제 1 웨빙 끈 고리
(10C)를 카라비너를 활용하여 연결하며 제 2 웨빙 끈 고리(10D)를 케이블 와이어에 연결 된 활강기와 연결한다.
제 2 웨빙 연결고리(10D)의 연결 방법은 스캐드다이빙에 접목한 실시 예의 방법과 동일하며 이후 활강기와 시설물 이용자를 연결 한 후 운영요원이 이탈 손잡이(17)를 잡아당김으로써 시설물 이용자는 이탈되어 케이블코스터를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빅스윙(스카이 X와 동일)에 접목한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면 빅스윙 스프레드 바의 앵커 포인트에 제 1 웨빙 끈 고리(10C)를
카라비너를 활용하여 연결하며 제 2 웨빙 끈 고리(10D)는 빅스윙 윈치에 연결 된 케이블 와이어에 연결한다.
제 2 웨빙 끈 고리(10D)의 연결방법 역시 스캐드다이빙 및 케이블코스터에 접목된 방법과 동일하며 이후 빅스윙 스프레드 바에 시설물이용자를 연결 한 후 시설물
이용자가 40m의 상공으로 이동하게 되면 시설물이용자가 직접 이탈 손잡이(17)을 잡아당김으로써 이탈되어 빅스윙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10 : 레저스포츠용 수동식 이탈 장치 몸체 부
10A : 제 1 웨빙 띠
10B : 제 2 웨빙 띠
10C : 제 1 웨빙 연결고리
10D : 제 2 웨빙 연결고리
11 : 제 3 웨빙 띠
12 : 제 4 웨빙 띠
13 : 철재 원형 장식
13A : 20mm의 원형 홀을 갖는 강철판
14 : 강철 원형 구
15 : 이탈 핀
16 : 2mm 케이블와이어
17 : 스트랩 재질의 이탈 손잡이
18 : 제 1 웨빙 끈 고리
19 : 제 2 웨빙 끈 고리

Claims (3)

  1. 레저스포츠 시설 이용 시 인력에 의해 이탈 핀에 연결 된 이탈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시설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레저스포츠용 수동식 이탈 장치에 있어서,
    레저스포츠 시설물의 앵커 포인트 및 이용자의 하네스에 구성된 앵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웨빙으로 구성된 띠 형상의 스트랩이 직사각형 형태의 몸체(10)를 이루고;
    상기 직사각형 형태를 이룬 몸체(10)의 양끝으로 시설물의 앵커 포인트 및 이용자의 하네스에 구성된 앵커포인트와 좀 더 효과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몸체(10)의 일측에 카라비너등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웨빙 연결고리(10C)가 구성되며,
    레저스포츠 시설에 설치된 앵커 포인트 또는 이용자의 하네스에 구성된 앵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제 2 웨빙 연결고리(10D)가 몸체의 타측에 구성되어 시설물의 앵커 포인트 또는 이용자의 하네스에 구성된 앵커 포인트 등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탈 장치의 몸체(10) 중앙부로는 인력에 의한 이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블와이어(16) 및 이탈 손잡이(17)에 의해 연결 된 이탈 핀(15)을 구성 배치하며;
    상기 케이블와이어(16)의 이탈 및 엉킴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구성하여 줌으로써 케이블와이어(16)가 유도한 이동구간만 유동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0063500A 2011-06-29 2011-06-29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 KR101099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500A KR101099970B1 (ko) 2011-06-29 2011-06-29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500A KR101099970B1 (ko) 2011-06-29 2011-06-29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9970B1 true KR101099970B1 (ko) 2011-12-28

Family

ID=45507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500A KR101099970B1 (ko) 2011-06-29 2011-06-29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9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9645A (zh) * 2012-03-14 2014-11-19 瓦巴达达株式会社 可移动式悬吊溜索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9645A (zh) * 2012-03-14 2014-11-19 瓦巴达达株式会社 可移动式悬吊溜索系统
CN104159645B (zh) * 2012-03-14 2016-10-19 瓦巴达达株式会社 可移动式悬吊溜索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6397B2 (en) Harness configurations for a suspension device
US7356850B2 (en) Protective garment having a drag and rescue device accessible from the collar
US6732834B2 (en) Combination trucker's belt and extrication harness
US7942241B2 (en) Fire fighter's personal escape system
US7818818B2 (en) Protective garment, such as protective coat, and drag harness
CN1976740B (zh) 用于从高处紧急下降的装置、系统和方法
US20110030118A1 (en) Wrap-around harness assembly
KR100671167B1 (ko)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US8894457B1 (en) Surfer leash for a stand up paddle board
US20060195962A1 (en) Full body harness
CN204106893U (zh) 一种安全设备
KR101099970B1 (ko) 레저스포츠용 이탈 장치
CN109527670B (zh) 电力塔杆安全攀爬辅助器
US20150360062A1 (en) Personal Positioning Strap System
CN104511098A (zh) 低空应急救生伞
KR101705302B1 (ko)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KR101444898B1 (ko) 구조구난 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의류
US20210060365A1 (en) FireCoat FEDS (Fullbody Emergency Descent System)
CN109603027B (zh) 电力系统登高辅助装置
JP3222164U (ja) ホース供給を取り扱う方法および装置
WO2015113189A1 (zh) 低空应急救生伞
CN220938905U (zh) 一种多功能水带包布
KR200495358Y1 (ko) 구조자 보호용 구명기구
CN205287281U (zh) 帽式低空应急救生伞
CN208355956U (zh) 消防救生用拖拉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