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812B1 -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812B1
KR101099812B1 KR1020110086258A KR20110086258A KR101099812B1 KR 101099812 B1 KR101099812 B1 KR 101099812B1 KR 1020110086258 A KR1020110086258 A KR 1020110086258A KR 20110086258 A KR20110086258 A KR 20110086258A KR 101099812 B1 KR101099812 B1 KR 101099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int
management server
network poi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식
Original Assignee
(주)이시컨트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시컨트롤 filed Critical (주)이시컨트롤
Priority to KR102011008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1Identifying conges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중앙 시스템 등의 관리 서버의 시스템 과부하를 줄이고, 전달이 누락되는 데이터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인,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체크하는 단계;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을 초과하여,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한다는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한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포인트와 관리 서버 사이에 가상 포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가상 포인트가 네트워크 포인트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POINT}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에 있어서, 복수의 노드로부터의 데이터가 집중되는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에 따라서 관리 서버로의 데이터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데이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게임, 온라인 커뮤니티뿐 아니라, 시설 안전 등을 위해 사용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양 또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센서 등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시설, 장치 등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예를 들어, 다종, 다량의 센서를 이용하한 원격 경비 서비스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의 경우, 경비 업체의 관리 서버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그 양이 매우 크고, 데이터의 송수신량의 변화량이 커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센싱 데이터가 관리 서버에 송신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경비 업체의 관리 서버에 데이터 집중에 의한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 데이터가 제시간에 관리 서버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아예 누락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현장을 감시해야 하는 경비 서비스의 결함이 발생하여,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관리 서버뿐 아니라, 센서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송수신 단위인 노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가 집중되는 점인 네트워크 포인트에서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때 노드에서 데이터가 네트워크 포인트에 집중될 경우,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서 네트워크 포인트에서 관리 서버에 전달되는 데이터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 역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네트워크 포인트 및 관리 서버로의 데이터 과부하를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네트워크 포인트에 집중되는 데이터의 양을 가공하여 전송함으로써, 관리 서버 및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을 안정화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인,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을 초과하여,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한다는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한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와 상기 관리 서버 사이에 가상 포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포인트가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합산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상기 합산된 데이터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출하는 단계는, 오동작이 발생한 네트워크 포인트의 식별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인,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포인트 정보 수신부; 및 상기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함을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와 상기 관리 서버 사이에,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가상 포인트를 생성하는 가상 포인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합산하고, 기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합산된 데이터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 포인트 생성부는, 오동작이 발생한 네트워크 포인트의 식별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데이터가 집중되는 네트워크 포인트에서, 관리 서버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급증하더라도, 가상 포인트를 통해 데이터를 가공하여 적은 양을 관리 서버에 송신하게 되기 때문에, 관리 서버의 통신망에 대한 과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 포인트 및 관리 서버의 시스템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가상 포인트의 작동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가상 포인트의 작동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체크하는 단계(S1)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발생되는 데이터가 집중 수신되고, 이를 결합하여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의미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센서, 계량기, 일반 단말과 같이, 데이터 송수신의 주체가 되는 통신 기능을 갖춘 기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위해, 주변의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송출하는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에서는 주변의 환경 정보, 예를 들어 온도, 속도, 습도 등의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는 특정 포맷을 갖는 데이터로 생성된다. 센싱 데이터는, 노드로부터 관리 서버에 전송되고, 관리 서버에서는 노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통해 주변 환경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센서는 그 측정 범위에 따라 복수개가 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생성된 센싱 데이터가 관리 서버에 한꺼번에 직접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집중 장치에 수신되고, 집중 장치에서 관리 서버에 연결된 단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가 송신된다.
결국, 센싱 데이터는, 센서로부터 집중 장치인 네트워크 포인트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전달된다. 네트워크 포인트는 따라서 다중 입력 포트와 단일 출력 포트를 갖는 게이트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에 관한 정보(트래픽량 또는 트래픽 변화량)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포인트에서 관리 서버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제어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게 되는 것이다.
S1 단계 후, 체크된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가 수행된다. S2 단계에서는,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네트워크 포인트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S2 단계는 네트워크 포인트에서 데이터 송수신에 오동작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도 이해될 수 있다.
S2 단계에서 네트워크 포인트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한다는 정보가 송출된다(S3). S3 단계에서 송출되는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한다는 정보에는, 오동작이 발생한 네트워크 포인트의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S4 단계에서 생성된 가상 포인트의 생성 위치를 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량 및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 역시, 가상 포인트에서 관리 서버로 데이터를 송신할 단위 시간을 정하기 위해 함께 송출될 수 있다. 이후, 네트워크 포인트와 관리 서버 사이에 가상 포인트가 생성되는 단계(S4)가 수행된다.
가상 포인트는 가상적으로 네트워크 포인트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가공하여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S4 단계에서 가상 포인트가 생성되면, 네트워크 포인트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는, 가상 포인트에서 가공되어 관리 서버에 전송되게 된다(S5).
본 발명에서 가상 포인트는 적분형 가상 미들웨어로도 지칭된다. 즉, 가상 포인트에서는, 데이터들이 계속하여 적분되며, 기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적분, 즉 합산된 데이터의 평균값이 연산된다.
예를 들어, 1/100초마다 센싱되는 온도 정보가 가상 포인트에 전달되면, 가상포인트에서는 100개의 온도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데이터에 포함된 온도 정보를 합산하게 된다. 이후 100으로 합산된 온도 정보를 나누게 되면 1초 사이에 100번 측정된 온도의 평균값이 연산된다.
이때 가상 포인트에서는, 1/100초마다 전달되는 온도 정보를 1초마다 관리 서버에 전달하게 되면서, 관리 서버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양이 1/100으로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가상 포인트의 작동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가상 포인트의 작동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가상 포인트는, 네트워크 포인트로부터 복수의 노드에서 송출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S6).
각 데이터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네트워크 포인트에 집중되면, 데이터의 종류를 데이터의 식별키(예를 들어 데이터 헤더)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종류를 구분한 뒤, 각 데이터를 구분하게 된다.
이후, 각 데이터를 계속하여 누적(합산 또는 적분이라고도 함)하게 된다. 누적된 데이터에 대한 평균값이 단위 시간마다 연산된다(S7). 당연히, 평균값 연산에 사용된 데이터는 삭제될 것이다. 즉, 단위 시간마다 임시적으로 가상 포인트에 저장된 데이터는 초기화될 것이다.
연산된 평균값 데이터는, 가상 포인트로부터 관리 서버에 송신된다(S8). 즉 관리 서버는,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각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단위 시간마다 평균값으로 가공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과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장치(100)는, 포인트 정보 수신부(110)와 가상 포인트 생성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인트 정보 수신부(110)는 네트워크 포인트(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포인트(200)에서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동시에, 가상 포인트 생성 위치를 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포인트(2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 포인트(200)의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 포인트(200)로부터 관리 서버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가상 포인트(300)를 거쳐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포인트(200)의 IP 주소가 될 수 있다.
가상 포인트 생성부(120)는, 포인트 정보 수신부(110)로부터 네트워크 포인트(200)에서의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고, 트래픽 정보에 포함된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후, 네트워크 포인트(200)에서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포인트(200)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 서버(400)에 이를 전달하고, 네트워크 포인트(200)와 관리 서버(400)의 네트워크 연결 사이에,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관리 서버(400)에 전달하는 가상 포인트(300)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상 포인트(300)에서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신한 데이터를 합산한 뒤, 단위 시간마다 합산된 데이터를 종류별로 평균값을 연산한 뒤 관리 서버(400)에 전달하게 된다.
가상 포인트 생성부(120)에서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포인트(200)가 오동작함을 알리는 정보 이외에, 오동작이 발생한 네트워크 포인트(20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IP 주소)와 함께, 네트워크 포인트(200)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400)에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 네트워크(500) 내에는 복수의 센서(510)가 포함되어 있다. 복수의 센서(510)는 본 발명에서의 네트워크 노드들의 예이다. 각 센서(510)에서는 적어도 한 종류의 센싱 데이터가 생성되며, 생성된 센싱 데이터는 네트워크 포인트(200)에 집중된다.
정상적인 트래픽량 및 트래픽 변화량 범주 내에서는, 네트워크 포인트(200)에서 관리 서버(400)로의 직접 연결망(600)을 통해, 센싱 데이터가 전달된다.
그러나, 트래픽량이 임계값을 벗어나는 경우(예를 들어 최대 데이터 송수신량의 70% 초과) 또는 트래픽 변화량이 임계값을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트래픽 변화량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장치(100)에서 그 내역을 측정한 뒤, 트래픽 변화량이 지금까지 측정된 트래픽 변화량의 평균치보다 2배인 값이 임계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장치(100)에 의해 가상 포인트(300)가 생성되며, 이 경우, 가상 포인트(300)가 포함된 연결망(610)을 통해 데이터가 관리 서버(400)로 전달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가상 포인트의 작동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위 시간은 t2-t1, t2-t3, t4-t3의 시간을 의미하며, 이 세 값은 모두 동일할 것이다.
센서 네트워크(500)로부터는 t11 내지 t16, t21 내지 t26 등의 시점에 센싱 데이터가 전달된다. 이때, 처음 t2-t1의 구간을 참조하면, t11 내지 t16의 시점에 센싱 데이터가 가상 포인트에 전달되며, 가상 포인트에서는 전달된 센싱 데이터를 적분(합산)하게 된다.
하나의 단위 시간이 종료되는 t2의 시점에서는, 각 데이터의 평균값이 연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데이터의 평균값이 연산될 것이다.
Figure 112011066930921-pat00001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d2는 t2-t1의 구간에서의 데이터들의 평균값을 의미하며, dt는 t11 내지 t16에서 각각 수신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연산된 d2는 이후 관리 서버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t3-t2의 구간에서는, d3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되어 관리 서버에 전달된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래 6개의 데이터가 관리 서버에 송신되어야 하지만, 가상 포인트에 의해, 1개의 데이터만이 전달되게 된다. 다른 예를 들면, 100ms마다 측정되는 데이터가 단위 시간을 1초로 설정하는 경우, 약 1/10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관리 서버에 대한 시스템 과부하가 그만큼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인,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을 초과하여,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한다는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한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와 상기 관리 서버 사이에 가상 포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포인트가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합산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상기 합산된 데이터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하는 단계는,
    오동작이 발생한 네트워크 포인트의 식별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
  4.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인,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포인트 정보 수신부; 및
    상기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가 오동작함을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와 상기 관리 서버 사이에,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가상 포인트를 생성하는 가상 포인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합산하고, 기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합산된 데이터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포인트 생성부는,
    오동작이 발생한 네트워크 포인트의 식별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포인트의 트래픽량과 트래픽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장치.
KR1020110086258A 2011-08-29 2011-08-29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99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258A KR101099812B1 (ko) 2011-08-29 2011-08-29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258A KR101099812B1 (ko) 2011-08-29 2011-08-29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9812B1 true KR101099812B1 (ko) 2011-12-27

Family

ID=45507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258A KR101099812B1 (ko) 2011-08-29 2011-08-29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844B1 (ko) * 2016-09-20 2018-02-08 주식회사 한컴엠디에스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844B1 (ko) * 2016-09-20 2018-02-08 주식회사 한컴엠디에스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7617B2 (ja) ネットワーク障害検出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障害検出装置
KR101476368B1 (ko) 분산 컴퓨팅 시스템에서 신뢰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60277547A1 (en) Packet monitoring device and packet monitoring method for communication packet
US202103736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systems monitoring and/or failure detection
WO2013058852A2 (en) Distributed assured network system (dans)
US20070230364A1 (en) Signal degrade detecting method, signal restoration detecting method, devices for those methods, and traffic transmission system
CN108141369A (zh) 机器对机器装置的操作状态的建立
JP2015076780A (ja) 遅延監視システムおよび遅延監視方法
CN104125590A (zh) 链路故障诊断装置以及方法
JP6037987B2 (ja) 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099812B1 (ko) 네트워크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
AU2019404523A1 (en) Detection device,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program
CN111149322B (zh) 控制装置及控制装置系统
US113300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data communications
US11316770B2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abnormality detection program
KR102275065B1 (ko) 보안 통제 장치 및 방법
JP2010204289A (ja) 暗号トラヒック識別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暗号トラヒック識別システム
EP391695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systems monitoring and/or failure detection
CN106937350B (zh) 基于移动终端的路由方法及系统
US10862759B2 (en) Communication network determin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network determin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ommunication network determination program recorded therein
EP391695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systems monitoring and/or failure detection
CN113595240B (zh) 电力数据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00369B1 (ko) 배전자동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보안 통신 방법
KR20180090037A (ko) 비정상행위를 탐지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장치
WO2023161831A1 (en) Notification-based load balancing in 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