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828B1 -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828B1
KR101098828B1 KR1020090021065A KR20090021065A KR101098828B1 KR 101098828 B1 KR101098828 B1 KR 101098828B1 KR 1020090021065 A KR1020090021065 A KR 1020090021065A KR 20090021065 A KR20090021065 A KR 20090021065A KR 101098828 B1 KR101098828 B1 KR 101098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lient terminal
content management
information
digital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789A (ko
Inventor
구자범
나재훈
남택용
전용성
이승민
권혁찬
문용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62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04N21/63345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by transmitting keys

Abstract

본 발명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콘텐츠를 스크랩(scrap)하여 안전하게 저장하고, 이를 안전하게 편집하여 서버에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가 이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방안을 제공하여 IPTV 서비스를 증대시키는 IP 망에서의 콘텐츠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기술은, 사전에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 또는 로그인하여 개인 안전 정보를 요청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에 대해서 콘텐츠의 스크랩을 시행하면 시행 시점을 기준으로 한 전후의 장면을 셋톱박스에 스크랩 저장하며, 사용자 요청시에 셋톱박스에 저장된 콘텐츠를 편집하고, 스크랩 및 편집된 콘텐츠를 서버에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가 이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PTV, 스크랩 및 편집, 보안

Description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MANAGEMENT IN BIDIRECTIONAL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P(Internet Protocol) 콘텐츠를 스크랩(scrap)하여 안전하게 저장하고, 이를 편집 및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가 관람하도록 하는데 적합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2008-S-006-01, 유무선 환경의 개방형 IPTV(IPTV 2.0)기술개발]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시청자가 방송정보에 직접 관여할 수 있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기술이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의 대표적인 형태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이다.
IPTV는 품질이 보장되는 초고속 인터넷망(IP망)을 통해 채널 방송, 주문형 비디오(VOD), 정보제공, T 커머스(commerce)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양방향으 로 제공하는 것으로, 셋톱박스(set-top box)를 통해 초고속 인터넷망을 PC 모니터가 아닌 TV에 연결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IPTV의 급속한 보급은, 통신망의 광대역화 및 영상 압축기술의 발달로 고화질 영상을 IP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IPTV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기존의 TV와 유사한 방송 청취뿐만 아니라 기존 인터넷과 기존의 인터넷과 유사한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최근의 IPTV는, 단순한 TV 프로그램의 전달뿐만 아니라, 음성, 문자, 전자 메일(e-mail), 게임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IPTV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화면에 대해, 사용자는 자신의 의견 또는 지식을 표출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를 원한다. 즉, 일반적인 방송 시스템의 경우에는 방송사별 채널 번호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각 채널을 해당 방송사만이 구성할 수 있었으나, IPTV의 활성화로 인해 시청자가 단순히 방송을 감상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방송 프로그램 및 방송 콘텐츠에 대한 조작(operation) 및 설정과 같은 다양한 시청자 참여형 관리 환경이 필요하게 되었다.
IPTV 서비스를 응용하여 TV 영상과 같은 콘텐츠 중 사용자가 관심 있는 장면을 스크랩(scrap) 및 편집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IPTV 서비스 이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여기서, 스크랩 과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에 대해서 손쉽게 시행되어 셋톱박스에 그 내용이 저장되어야 하며, 편집 과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셋톱박스에 저장된 내용에 대해서 손쉽게 시행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스크랩되어 편집된 콘텐츠는 서버에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가 이를 관람할 수 있어야 하며, 스크랩 및 편집 과정은 안전하게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IPTV 콘텐츠의 원 저작자 정보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하고, 스크랩 및 편집을 시행한 사용자의 정보가 추가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IP 콘텐츠를 스크랩하여 안전하게 저장하고, 이를 안전하게 편집하여 서버에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가 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IP 망에서의 콘텐츠 관리 기술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콘텐츠 등록 요청에 따라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정당성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정당성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요청한 콘텐츠의 스크랩 및 편집을 허용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스크랩 및 편집된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 그 룹에 의해 스크랩 및 편집된 콘텐츠들이 저장되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콘텐츠 열람 요청에 따라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스크랩 및 편집된 콘텐츠들에 대한 콘텐츠 목록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상기 전송된 콘텐츠 목록에서 임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정당성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정당성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한 콘텐츠의 열람을 허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IP 망에서의 콘텐츠, 예컨대 IPTV의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가 스크랩하여 안전하게 저장하고, 이를 서버에 편집 및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바, IPTV 서비스와 같은 IP 망에서의 콘텐츠 서비스 이용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서비스 구성 블록도로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 IP 망(102), 콘텐츠 관리 서버(104), 클라이언트 정보 DB(106) 및 콘텐츠 DB(108)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서비스, 예를 들면 IPTV의 방송 콘텐츠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100/1~100/N)을 포함하며,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들(100/1~100/N)은, 예를 들면 양방향 디지털 방송을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일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임의의 콘텐츠를 스크랩 및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 등록 클라이언트 단말일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2(100/2)는 이미 등록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콘텐츠 열람 클라이언트 단말일 수 있을 것이다.
IP 망(102)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과 콘텐츠 관리 서버(104) 사이에서 통신 환경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면 IP를 이용한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IP 망(102)은, 예컨대 인터넷(Internet)으로서,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이 콘텐츠 관리 서버(104)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콘텐츠 관리 서버(104)는 IP 망(102)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게 콘텐츠 제공 서비스, 예컨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실시간 방송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주체로서, 클라이언트 정보 DB(106), 콘텐츠 DB(108)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콘텐츠 관리 서버(104)는 본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콘텐츠 등록 클라이언트 단말,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부터의 콘텐츠 등록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정당성을 검사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이 정당한 클라이언트 단말로 판정될 경우에 해당 콘텐츠를 스크랩 및 편집하여 콘텐츠 DB(108)에 저장(등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콘텐츠 관리 서버(104)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콘텐츠 열람 클라이언트 단말,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2(100/2)로부터의 콘텐츠 열람 요청에 따라 콘텐츠 DB(108)에 저장된 해당 콘텐츠가 클라이언트 단말2(100/2)에 의해 열람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100/2)는 콘텐츠의 단순 열람과 관련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이므로, 클라이언트 단말2(100/2)에 대한 정당성 검사는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클라이언트 정보 DB(106)에는 콘텐츠 관리 서버(104)에 의해 관리되는 클라이언트 정보,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ID, 패스워드(password) 등의 정보들이 저장된다. 이들 정보들은 콘텐츠 관리 서버(104)에 의해 취사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콘텐츠 DB(108)에는 콘텐츠 관리 서버(104)에 의해 관리되는 각종 콘텐츠 정보, 예컨대 IPTV 방송을 위한 방송 콘텐츠 정보들이 저장되며, 마찬가지로 이들 방송 콘텐츠 정보들은 콘텐츠 관리 서버(104)에 의해 취사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정보 DB(106) 및 콘텐츠 DB(108)는, 예컨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가지고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첨부한 도 2 내지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안전한 IPTV 콘텐츠 스크랩 및 편집 서비스를 위한 개인 안전 정보를 콘텐츠 관리 서버(104)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계(S200)에서는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이 IP 망(102)을 통해 콘텐츠 관리 서버(104)에 접속하여 개인 안전 정보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 한다.
이때,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ID(Identification)나 패스워드(passwor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개인 안전 정보 요청을 위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클라이언트의 ID와 패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서명 및 암호화를 목적으로 하는 개인키/공개키 쌍을 미리 생성하여 저장해 두며, 개인 안전 정보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100/1)에 저장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의 공개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안전 정보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는 콘텐츠 관리 서버(104)의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관리 서버(104)는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부터 전송된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고(S202), 요청 메시지의 분석 결과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클라이언트가 정당한 클라이언트로 판단된 경우(S204)에 한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 개인 안전 정보를 전송한다(S206).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당성 판단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ID 또는 패스워드를 분석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콘텐츠 관리 서버(104)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 전송되는 개인 안전 정보는, 해당 클라이언트가 IPTV 콘텐츠 스크랩 및 편집을 시행한 본인임을 증명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로서, 다른 클라이언트와 구분될 수 있는 유일한 문자열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개인 안전 정보는 상술한 단계(S200)에서 전송받은 사용자의 공개키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콘텐츠 관리 서버(104)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 전송된 개인 안정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100/1) 내의 저장 매체,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상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S208).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1(100/1) 내에 저장되는 개인 안전 정보는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클라이언트의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요청에 따라 임의의 콘텐츠를 스크랩 및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 등록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클라이언트가 VoD 동영상 또는 실시간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에 원하는 장면에 대한 콘텐츠 스크랩을 요청하는 경우(S300)에,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을 시행하고, 시행된 스크랩 결과물을 클라이언트 단말1(100/1) 내의 저장매체, 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상에 저장한다(S302).
이때, 콘텐츠 스크랩 시행은, 상술한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100/1) 내에 이미 저장된 개인 안전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콘텐츠 스크랩을 시행하면, 스크랩 시행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기설정된 구간(예컨대, 시간 또는 프레임)의 장면이 클라이언트 단말1(100/1) 의 저장매체 내에 안전하게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스크랩 시행 시점을 기준으로 한 전후의 장면은, 예를 들어 기설정된 구간이 시간인 경우에, 스크랩 시행 시점에서 10초 이전 장면부터 10초 이후 장면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의 전후 장면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항상 10초 이전 장면을 버퍼에 임시 기록하였다가, 클라이언트가 스크랩 명령을 요청했을 때, 버퍼에 임시 기록된 내용을 저장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개인 안정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스크랩 시행 시에는, 예를 들어 IPTV 콘텐츠의 원 저작자 정보와 개인 안전 정보를 안전하게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원 저작자 정보와 개인 안전 정보는 추적 정보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추적 정보는, 저장하는 각 장면마다 원 저작자 정보, 개인 안전 정보, 장면 영상 정보를 각각 해쉬한 정보를 사용자의 개인키로 서명하여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단계(S304)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의 편집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하고, 콘텐츠의 편집이 요청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저장된 콘텐츠를 로딩한 후 콘텐츠 편집을 시행한다(S306).
이때의 콘텐츠 편집 시행은, 상술한 스크랩 시행 및 저장 단계(S302)와 마찬가지로, 이미 저장된 개인 안전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의 콘텐츠 편집 시행 시에도, 예를 들어 IPTV 콘텐츠의 원 저작자 정보와 상기 개인 안전 정보를 안전하게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원 저작자 정보와 개인 안전 정보는 추적 정보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추적 정보는, 편집하는 각 장면마다 원 저작자 정보, 개인 안전 정보를 포함하고, 원 저작자 정보와 개인 안전 정보, 장면 영상 정보를 각각 해쉬한 정보를 사용자의 개인키로 서명하여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콘텐츠 편집 시행 시, IPTV 콘텐츠의 편집 내역을 문자열 목록인 편집 정보로 변환하여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데, 이러한 편집 정보는 편집하는 각 장면마다 사용자의 편집 내역을 수록한 문자열을 목록으로 하여 생성하고, 이를 해쉬한 정보를 사용자의 개인키로 서명하여 생성한다.
이와 같이 편집 시행 및 저장된 콘텐츠는 도 4 및 도 5과 같이 예시될 수 있다.
먼저, 도 4는, IP 망(102)을 통해 제공된 임의의 콘텐츠를 스크랩 및 편집 시행한 결과를 TV 화면 상에 예시한 것으로, 사용자는 하나의 화면을 편집하였으며, 편집 대상이 된 하나의 화면에는 3개의 텍스트 정보(A, B, C)가 각각 삽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는 사용자의 편집 내역을 문자열 목록(a, b, c)으로 예시한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308)에서는 콘텐츠 관리 서버(104)가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부터 콘텐츠 등록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한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클라이언트가 IP 망(102)을 통해 콘텐츠 관리 서버(104)에 접속 또는 로그인하여 현재 클라이언트 단말1(100/1)에 편집 저장된 콘텐츠(예를 들어, 도 4 의 화면 정보)의 등록을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의 콘텐츠 등록 요청은, 상술한 단계(S302)에서와 같이, 안전하게 편집되어 저장된 콘텐츠를 콘텐츠 관리 서버(104)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해당 콘텐츠 등록 요청에 필요한 정보에는 추적 정보와 편집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S308)의 판단 결과, 편집된 콘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콘텐츠 관리 서버(104)는 단계(S310)로 진행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0/1)에 의해 요청된 콘텐츠를 콘텐츠 DB(108)에 저장한다.
이때, 콘텐츠 관리 서버(104)는 해당 콘텐츠가 안전하게 스크랩되어 편집된 콘텐츠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판단은, 상술한 단계(S302) 및 단계(S306)에서 발생된 추적 정보와 편집 정보를 검토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추적 정보 검토는, 단계(S302) 및 단계(S306)에서 각 장면마다 포함된 원 저작자 정보와 사용자의 개인 안전 정보가 콘텐츠 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원 저작자 정보와 개인 안전 정보와 장면 영상 정보를 해쉬한 정보가 추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해쉬 정보와 일치하고, 사용자의 개인키로 서명되어 있음을 각각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집 정보 검토는, 단계(S306)에서 각 장면마다 사용자의 편집 내역을 수록한 문자열 목록이 콘텐츠 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편집 내역이 콘텐츠 편집 규칙에 위배되지 않고, 사용자의 개인키로 서명되어 있음을 각각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 정보 검토를 위해서, 콘텐츠 관리 서버(104)는, 각 콘텐츠 마다 고유의 콘텐츠 편집 규칙을 저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콘텐츠 편집 규칙은 콘텐츠 원 저작자에 의해 지정된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안전하게 편집된 콘텐츠만 콘텐츠 DB(108)에 저장되어 콘텐츠 목록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S312).
다른 한편,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100/2)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 DB(108)에 등록된 임의의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콘텐츠 열람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2(100/2)가 IP 망(102)을 통해 콘텐츠 관리 서버(104)에 접속하여 콘텐츠 DB(108)에 저장된 콘텐츠 목록을 요청하면(S400), 콘텐츠 관리 서버(104)는 요청된 콘텐츠 목록을 클라이언트 단말2(100/2)에게 전송한다(S402).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2(100/2)가 임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콘텐츠 열람을 요청하면(S404), 콘텐츠 관리 서버(104)는 단계(S406)로 진행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100/2)가 정당한 클라이언트인지, 예컨대 개인 안전 정보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른 개인 안전 정보가 클라이언트 단말2(100/2)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개인 안정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2(100/2)의 클라이언트의 ID, 패스워드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100/2)는 콘텐츠의 단순 열람과 관련될 수 있는 클 라이언트 단말이므로,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2(100/2)에 대한 정당성 검사는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단계(S406)의 판단 결과, 클라이언트 단말2(100/2)가 정당한 클라이언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콘텐츠 관리 서버(104)는 단계(S408)로 진행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100/2)가 선택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IP 망에서의 콘텐츠, 예컨대 IPTV의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가 스크랩하여 안전하게 저장하고, 이를 서버에 편집 및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게 함으로써, IPTV 서비스와 같은 IP 망에서의 콘텐츠 서비스 활성화를 구현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증하는 것이며,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많은 다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청구항에서는, 괄호 안에 있는 어떤 참조 기호도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포함하는", "포함한다" 등의 표현은, 전체적으로 모든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열거된 것을 제외한 구성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 요소의 단수의 참조부는 그러한 구성 요소의 복수의 참조부를 배제하지 않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몇몇 별개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수단 및 적절히 프로그램된 컴퓨터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몇몇 수단을 열거하는 청구항에서, 이들 수단의 몇몇은 하드웨어의 같은 항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종속항에 확실한 수단이 기술되었다고 하는 단순한 사실은, 이러한 수단의 조합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 환경을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구체적으로 개인 안전 정보 요청 및 제공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구체적으로 콘텐츠 등록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콘텐츠를 스크랩 및 편집 시행한 결과를 예시한 TV 캡쳐 화면,
도 5는 사용자의 편집 내역을 문자열 목록으로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구체적으로 콘텐츠 열람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Claims (12)

  1.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내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콘텐츠 등록 요청에 따라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정당성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정당성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요청한 콘텐츠의 스크랩 및 편집을 허용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스크랩 및 편집된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랩 및 편집 허용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클라이언트에 의한 스크랩 요청시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된 개인 안전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을 시행하되, 상기 콘텐츠의 원 저작자 정보와 상기 개인 안정 정보를 추적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한 편집 요청시에 상기 개인 안전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콘텐츠에 대한 편집을 시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당성 검사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개인 안전 정보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의 분석 결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정당한 클라이언트 단말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개인 안전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되어 전송된 개인 안전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복호화하여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ID(Identification), 패스워드(password)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공개키 기반의 암호화된 메시지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정당성 판단은,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클라이언트의 ID 및/또는 패스워드를 분석함으로 써 구현되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안전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분할 수 있는 문자열로 구성되는 공개키 기반의 암호화된 정보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장면 영상 정보, 상기 원 저작자 정보, 상기 개인 안전 정보를 각각 해쉬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각 장면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클라이언트의 개인키로 서명하여 생성한 정보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콘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된 개인 안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 안전 정보의 확인 과정에 따른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랩 시행 과정 및 편집 시행 과정에 따른 콘텐츠 결과물을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의 콘텐츠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11.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에 의해 스크랩 및 편집된 콘텐츠들이 저장되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내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콘텐츠 열람 요청에 따라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스크랩 및 편집된 콘텐츠들에 대한 콘텐츠 목록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상기 전송된 콘텐츠 목록에서 임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정당성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정당성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한 콘텐츠의 열람을 허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랩 및 편집된 콘텐츠들은, 원 저작자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된 개인 안전 정보를 추적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된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당성 검사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된 개인 안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KR1020090021065A 2008-12-01 2009-03-12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KR101098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0805 2008-12-01
KR1020080120805 2008-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789A KR20100062789A (ko) 2010-06-10
KR101098828B1 true KR101098828B1 (ko) 2011-12-26

Family

ID=4236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065A KR101098828B1 (ko) 2008-12-01 2009-03-12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8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721A (ko) 2011-09-27 201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 및 방법
KR101451399B1 (ko) * 2011-10-18 2014-10-16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KR101504990B1 (ko) * 2014-06-16 2015-03-23 현석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여행 컨텐츠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789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8070B2 (en) Authenticating credentials for mobile platforms
US11937010B2 (en) Data segment service
US103896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streaming media content
US8843736B2 (en)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or internet video client
US73283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d to end securing of content for video on demand
CN101427316B (zh) 组播多媒体内容分发系统
KR101411739B1 (ko) 세컨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tv 스크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캡쳐하고 이를 소셜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902353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streaming content
US20140344846A1 (en) Receiver, program and receiving method
WO2005086006A1 (ja) アクセス制御方法、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メタデータ制御機、及び送信系装置
US9160720B2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of streaming contents and services
CN112165596A (zh) 监控视频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WO2016110048A1 (zh) 一种分享媒体内容的方法和装置
KR101098828B1 (ko)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CN104378325B (zh) 网络电子数据采集固化、验证还原方法及系统
WO2017197817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服务器
TWI818344B (zh) 影像資料管理方法及系統
Narasimhan et al. TV clips: using social bookmarking for content discovery in a fragmented TV ecosystem
KR20230062817A (ko) 신뢰되지 않은 시스템 상에서 미디어 파일의 원격 소유권 및 콘텐츠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07137A (ko)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세팅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08127092A2 (en) Device and method for gaining conditional access to a dat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