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817B1 -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 - Google Patents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8817B1 KR101098817B1 KR1020100087290A KR20100087290A KR101098817B1 KR 101098817 B1 KR101098817 B1 KR 101098817B1 KR 1020100087290 A KR1020100087290 A KR 1020100087290A KR 20100087290 A KR20100087290 A KR 20100087290A KR 101098817 B1 KR101098817 B1 KR 1010988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am sheet
- pipe
- sheet
- pipes
- heating wir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5485 electric he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933 burial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04 Blow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12 Metallocene polyethylene (PE-M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8 molte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05B3/565—Heating cables flat cab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적어도 두개의 오수관 파이프(18)(18')의 연결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융착이음관(10)이 내면으로부터 발포시이트(12), 지지시이트(14)와, 고정밴드(16)로 구성되고, 상기 발포시이트(12)가 발포제를 포함하는 시이트재(22)(24) 사이에 길이방향의 중간부분(27)을 두고 양측으로 나란히 두개의 전열선패널(26)(28)이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전열선패널(26)(28)이 상기 발포시이트(12)가 연결될 상기 두 파이프(18)(18')의 연결단부상에 권취될 때 상기 발포시이트(12)의 일측단부(12a)에 중첩되는 타측단부(12b)에 넓은 간격을 갖는 광폭패널부분(26')(28')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분(27)의 경계를 이루는 상기 일측 광폭패널부분(26')의 변부가 상기 중간부분(27)을 지나 상기 타측 광폭패널부분(28')의 대응하는 변부에 좁은 간격을 두고 근접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융착이음관이 결합된 오수관용 파이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부와 단부가 접합되어 연결되는 두 오수관의 이러한 연결단부상에 권취되어 전기융착방식으로 고정되는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오수관(또는 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은 재질이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이고 외면이 평활하며 단면형태가 솔리드형 단면이거나 중간에 채널형 공간을 갖는 이중벽관 또는 삼중벽관의 파이프로 되어 있으며, 일정한 길이의 단위 오수관을 이들 오수관의 매설지 구거에 차례로 배열하고 이들 오수관의 단부와 단부를 맞대어 연결하며 이러한 연결단부상에 이음관을 연결고정하여 오수관이 접합단부에서 누수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오수관용 파이프는 오수관으로 설치될 때 인접한 파이프의 단부와 단부를 맞댄 다음 이들 파이프 연결단부를 전기융착으로 누수없이 밀폐연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하나의 예로서는 파이프 연결단부의 주위를 충분히 감쌀 수 있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시이트의 내면에 전기발열체를 얕게 매입되게 부착시킨 것이 있다. 이러한 전기융착용 시이트는 파이프 연결단부에 그 내면측이 밀착되게 권취한 다음 고정밴드 등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발열체의 발열에 의하여 파이프의 표면 일부와 시이트 내면의 일부가 용융되어 서로 접합되고 냉각후에는 누수없이 밀폐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융착용 시이트는 전기발열체의 발열에 의하여 파이프의 표면 일부와 시이트 내면의 일부가 용융되어 접합이 이루어지기는 하나 이들의 용융후 냉각시에 부분적으로 체적수축이 일어나 연결될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가 완벽하게 밀폐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0402687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0440350호에는 파이프 연결단부에 발포융착되는 발포시이트가 소개되고 있다. 이들 특허문헌에 소개된 발포시이트는 시이트 자체에 발포성분이 혼합되어 있고 시이트 내부에 전열선이 매입되어 있다. 이러한 발포시이트는 그 외면에 중첩하여 사용되는 지지시이트와 함께 연결되는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상에 권취되고 그 외부에 고정밴드가 채워진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될 때 전열선이 발열하면서 발포시이트를 용융시킴과 동시에 용융물을 발포시킴으로서 파이프의 연결단부와 지지시이트 사이가 발포되는 용융물에 의하여 충만된 상태로 융착되어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단부에 발포융착되는 발포시이트가 소개된 실용신안등록 제0402687호에서는 내부의 전열선이 발포시이트의 전폭에 걸쳐 지그재그 형태로 매입되어 있는 반면에, 실용신안등록 제0440350호에는 발포시이트내에 매입되는 전열선이 두 그룹의 전열선패널로 나누어져 중앙부분을 남기고 발포시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두 인접한 파이프의 연결단부상에 권취되어 사용되는 발포시이트는 이러한 발포시이트가 용융 및 발포되는 과정에서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에 인접한 파이프의 표면부분에 사이의 발포융착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연결되어야 하는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는 이들을 가능한 한 근접하여 접속시킨다 하여도 이들 대응하는 연결단부 사이에는 간극이 남아 있게 마련이다.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상에 권취된 발포시이트를 용융 및 발포시키는 과정에서 발포용융물이 상기 간극을 통하여 파이프의 내부로 진출하여 응고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진출하여 응고된 응고물은 파이프내를 흐르게 되는 유체의 유동에 대하여 저항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실용신안등록 제0402687호에 소개된 발포시이트의 경우 내부의 전열선이 발포시이트의 전폭에 걸쳐 지그재그 형태로 전개되어 있으므로 이를 사용하여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연결할 때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 사이에 해당하는 발포시이트의 중앙축선부분에서도 용융 및 발포가 일어나 발포용융물이 두 파이프 연결단부 사이의 간극으로 파이프내로 진출하여 응고됨으로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응고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전열선이 두 그룹의 전열선패널로 나누어져 발포시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것이 소개된 실용신안등록 제0440350호의 경우에 있어서는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상에 권취되었을 때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 사이에 놓이는 발포시이트의 중앙축선부분에 전열선이 배치되어 있지 않아 이러한 부위에서는 용융발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발포용융물이 생성되지 않아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파이프의 내부로 용융물이 진출하여 응고물을 형성하지 않는다.
응고물이 형성되지 않는 잇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440350호에 소개된 발포시이트로서 전열선이 두 그룹의 전열선패널로 나누어져 발포시이트는 이를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상에 권취하였을 때 이러한 전열선패널에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에 해당하는 발포시이트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은 용융되어 융착되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이러한 중간부분을 통한 누수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발포시이트를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상에 권취하였을 때 발포시이트의 단부부분이 중첩되므로 중첩된 부분의 전열선패널이 이중으로 중첩되어 전원인가시에 이러한 중첩부분이 과열되는 현상을 보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중첩부분의 전열선 간격을 더 넓게 함으로서 중첩부분의 과열현상을 해소하도록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언급된 두 특허문헌의 발포융착시이트를 포함하는 종래의 전기융착용 시이트 또는 전기발포융착 시이트를 이용하여 오수관 또는 우수관을 구성하는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융착이음관은 전형적으로 오수관 파이프가 매설되는 매설지 구거와 같은 매설현장에서 두 파이프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오수관을 구성하는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매설현장에서 전기융착이음관으로 연결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럽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매설현장은 하절기와 동절기의 심한 기온차와 같은 일기상황에 노출되어 있어 전기융착이음관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공급조건이 일기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변화는 오수관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완벽하게 연결하도록 하는데 큰 제약을 준다. 지중에 매설된 오수관의 연결단부가 볼완전하게 연결되어 누수가 있는 경우 환경오염이나 배수저항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재시공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으로는 단부와 단부가 접합되어 연결되는 두 오수관의 이러한 연결단부상에 권취되어 전기융착방식으로 고정되는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융착이음관을 구성하는 발포시이트에서 실질적인 융착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길이방향 중간부분을 통한 누수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전기융착이음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수관 파이프의 제공자 작업장에서 오수관 파이프의 일측단부에 전기융착이음관의 일부분, 예를 들어 전기융착이음관의 반부분만을 융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오수관 매설지의 현장에서 오수관 파이프의 타측단부에 전기융착이음관의 나머지 반부분을 융착시켜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일측단부에 전기융착이음관의 반부분이 융착연결된 오수관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는 오수관 매설지의 현장에서 오수관 연결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전기융착이음관을 이용하여 오수관을 연결하는 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중에 매설되는 적어도 두개의 오수관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융착이음관이 내면으로부터 발포시이트, 지지시이트, 고정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발포시이트가 발포제를 포함하는 시이트재 사이에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을 두고 양측으로 나란히 두개의 전열선패널이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전열선패널이 발포시이트가 연결될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상에 권취될 때 상기 발포시이트의 일측단부에 중첩되는 타측단부에 넓은 간격을 갖는 광폭패널부분을 갖는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을 제공하는바, 중간부분의 경계를 이루는 일측 광폭패널부분의 변부가 중간부분을 지나 타측 광폭패널부분의 대응하는 변부에 좁은 간격을 두고 근접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융착이음관이 일측 오수관 파이프의 일측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융착이음관을 구성하는 발포시이트, 지지시이트 및 고정밴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보인 전기융착이음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융착이음관을 구성하는 발포시이트의 전열선 패턴을 보인 설명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융착이음관이 일측 오수관 파이프의 일측단부에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일측단부에 전기융착이음관의 반부분이 연결된 일측 파이프에 대하여 타측 파이프의 타측단부가 연결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에 발포시이트가 권취된 것을 보인 설명도.
도 10은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에 발포시이트가 권취된 것을 그 중첩부분을 통하여 보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융착이음관을 구성하는 발포시이트, 지지시이트 및 고정밴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보인 전기융착이음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융착이음관을 구성하는 발포시이트의 전열선 패턴을 보인 설명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융착이음관이 일측 오수관 파이프의 일측단부에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일측단부에 전기융착이음관의 반부분이 연결된 일측 파이프에 대하여 타측 파이프의 타측단부가 연결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에 발포시이트가 권취된 것을 보인 설명도.
도 10은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에 발포시이트가 권취된 것을 그 중첩부분을 통하여 보인 설명도.
지중에 매설되는 오수관, 또는 우수관의 연결용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전기융착이음관(10)은 발포시이트(12), 지지시이트(14)와, 고정밴드(16)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융착이음관(10)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오수관으로 사용되는 두 파이프(18)(18')의 연결단부를 누수없이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전기융착이음관(10)은 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인 발포시이트(12), 지지시이트(14)와, 고정밴드(16)를 차례로 설명한다.
발포시이트
(12)
발포시이트(12)는 주재료인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에 발포제로서 아조디키본아마이드가 혼합되어 시이트재(22)(24)로 제조되고, 이들 시이트재(22)(24) 사이에 이들 시이트재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두개의 전열선패널(26)(28)을 배치하고 시이트재(22)(24)를 합체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전열선패널(26)(28)은 본원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0440350호에 소개된 발포시이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열선패널과 같이 피복전열선이 직물지에 지그재그로 직조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들 전열선패널(26)(28)은 이들을 구성하기 위하여 지그재그로 직조되는 피복전열선(3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는 피복전열선(30)의 간격을 "t1"로 표시하였다. 한편, 전열선패널(26)(28)은 발포시이트(12)의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하여 양측에 일정한 간격(d1)을 두고 배치된다. 따라서, 전열선패널(26)(28) 사이에는 전열선이 없는 간격 d1 의 중간부분(27)이 형성된다.
이러한 발포시이트(12)의 각 전열선패널(26)(28)을 구성하는 피복전열선(30)은 발포시이트(12)이 양단에서 외측으로 각각 도선(32)(32')이 연장되어 전원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전열선패널(26)(28)의 위치에서 온도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도센서(34)가 배치되고 그 도선(36)은 온도감지기(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되어 도선(32)(32')에 연결되는 전원장치(역시 도시하지 않았음)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발포시이트(12)는 연결될 두 파이프(18)(18')의 연결단부상에 권취될 때 그 일측단부(12a)가 타측단부(12b)에 중첩된다. 이와 같이 발포시이트(12)가 중첩되는 부분에서는 피복전열선(30)의 배치량이 배가되어 발열량이 커서 과열이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발포시이트(12)의 일측단부(12a)에 대하여 상측으로 중첩되어 덮이는 타측단부(12b)내에 배치되는 피복전열선(30)의 간격(t2)을 다른 부위의 피복전열선(30)의 간격(t1) 보다 넓게 하여 이 부분에서 발열량이 낮도록 한다. 여기에서, 발포시이트(12)의 타측부분(12b)에 배열된 전열선패널은 다른 부분의 전열선패널(26)(28)의 피복전열선(30)의 간격(t1) 보다 넓은 간격(t2)을 갖는 광폭패널부분(26')(28')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발포시이트(12)에 배치되는 전열선패널(26)(28)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발포시이트(12)의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하여 양측에 일정한 간격 d1 의 중간부분(27)을 두고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발포시이트(12)에 배치되는 전열선패널(26)(28)의 간격(d1)을 일정하게 두는 이유는 이러한 중간부분(27)이 연결될 두 파이프(18)(18')의 연결단부 사이의 간극에 놓이도록 하여 이러한 중간부분(27)이 용융발포되지 않으므로서 두 파이프(18)(18')의 연결단부가 부분적으로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러한 연결단부 사이의 간극으로 용융물이 침투되어 응고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시이트(12)에서 일측단부(12a)에 중첩되는 타측단부(12b)내에 배치되는 광폭패널부분(26')(28') 부분은 발포시이트(12)를 연결될 두 파이프(18)(18')의 연결단부상에 권취하여 고정할 때 발포시이트(12)의 일측단부(12a)에 중첩되는 타측단부(12b)가 그 중첩부분의 중간부분(27)의 영역을 포함하여 전체에서 발포시이트(12)의 일측단부(12a)에 확고하게 융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간부분(27)의 경계를 이루는 일측 광폭패널부분(26')의 변부를 길이방향 축선(L)을 지나 타측 광폭패널부분(28')의 대응하는 변부에 간격 d1 보다 좁은 간격 d2을 두고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발포시이트(12)의 일측단부(12a)에 중첩되는 타측단부(12b)가 그 중첩부분의 중간부분(27)의 영역을 포함하여 전체에서 발포시이트(12)의 일측단부(12a)에 확고하게 융착되어 융착작용이 일어나지 않은 중간부분(27)을 따라 누수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시이트
(14)
이러한 지지시이트(14)는 본원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0402687호에서 보인 지지시이트의 목적과 동일하게 발포시이트(12)를 연결될 두 파이프(18)(18')의 연결단부상에 권취하여 고정할 때 발포시이트(12)를 외측에서 받쳐주어 발포시이트(12)의 발포용융이 연결될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측으로 향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시이트(14)는 폴리에틸렌 시이트재로 구성되며, 기계적인 강도와 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내부에 코드사 등의 보강사로 직조되거나 또는 금속망으로 되어 있는 망상시이트(38)가 매입되어 있다. 이러한 망상시이트(38)의 경사와 위사는 상호결합되어 있고 이들의 방향이 지지시이트(14)의 세로와 가로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지지시이트(14)의 강도와 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지시이트(14)의 타측단부에는 지지시이트(14)가 중첩되었을 때 중첩부분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절취면(4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밴드(16)
본 발명에서 고정밴드(16)는 그 전체가 철판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고정밴드(16)는 양단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루우프(42)를 가지며 이들 루우프(42)내에 삽입된 체결봉(44)을 볼트(46)와 너트(48)로 체결하여 조임으로서 고정밴드(16)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발포시이트
(12),
지지시이트
(14) 및 고정밴드(16)의 조립
이들 발포시이트(12), 지지시이트(14) 및 고정밴드(16)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고정밴드(16)상에 차례로 지지시이트(14)와 발포시이트(12)를 배치한다. 이때에, 지지시이트(14)와 발포시이트(12)의 일측단부를 고정밴드(16)의 일측단부에 거의 일치되게 정렬시켜 지지시이트(14)와 발포시이트(12)의 타측단부는 고정밴드(16)의 타측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배치상태에서, 즉, 고정밴드(16)상에 차례로 지지시이트(14)와 발포시이트(12)를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전체를 발포시이트(12)가 내측으로 향하는 상태로 거의 원형을 이루도록 만곡시킨 다음, 리벳트 등으로 이들 고정밴드(16)와 지지시이트(14) 그리고 발포시이트(12)를 일체로 취급할 수 있도록 고정조립한다. 이들 고정밴드(16), 지지시이트(14)와 발포시이트(12)를 고정조립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 언급된 리벳트 이외에 소형의 볼트-너트 조립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전기융착이음관(10)은 다음과 같이 오수관 또는 우수관을 구성하는 두 파이프(18)(18')의 연결단부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먼저, 제1단계에서, 고정밴드(16), 지지시이트(14)와 발포시이트(12)로 구성되는 전기융착이음관(10)은, 도 5 내지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 반부분이 일측 파이프(18)의 일측단부에 연결고정된다. 이러한 연결과정은 파이프(18)(18')의 매설지 현장이 아닌 파이프의 제공자 작업장에서 수행된다.
즉, 파이프제공자의 작업장에서 생산되어 준비된 파이프(18)의 일측단부의 외면에 전기융착이음관(10)이 약간 전개된 상태에서 그 반부분만 덮어씌우듯이 삽입된다(도 6 참조). 그리고 전기융착이음관(10)의 나머지 반부분에는 파이프(10)의 직경과 동일하나 길이가 전기융착이음관(10)의 반폭길이에 해당하는 지지관(50)을 삽입한다. 그리고 고정밴드(16)를 볼트(46)로 조여 그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서 전기융착이음관(10)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발포시이트(12)가 파이프(18)와 지지관(50)의 외면상에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파이프(18)의 일측단부의 외면에 전기융착이음관(10)의 반부분이 배치됨으로서 발포시이트(12)는 이러한 반부분의 위치에 놓이는 전열선패널(28)이 파이프(18)의 단부외면상에 배치될 것이다. 그리고 발포시이트(12)의 중간부분(27)의 중앙은 파이프(18)와 지지관(50)의 경계선상에 놓일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발포시이트(12)의 전열선패널(28)에 온도센서(34)를 이용하여 발포시이트(12)내의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동시에 도선(32)(32')을 통하여 전원을 인가하여 발포시이트(12)내의 전열선패널(28)이 발열되게 한다.
발포시이트(12)의 전열선패널(28)이 발열되면 발포시이트(12) 자체가 용융되기 시작하고 이에 혼합되어 있는 발포제의 작용으로 용융물이 발포되면서 체적이 증가한다. 이러한 전열선패널(28)에 의한 발포시이트의 용융, 발포와 동시에 전열선패널(28)의 발열에 의하여 파이프(18)의 연결단부의 외면 일부도 극히 제한적이지만 부분적인 용융이 일어나 용융발포되는 발포시이트(12)와의 열융착이 이루어진다. 또한 동일한 조건으로 전열선패널(28)에 해당하는 발포시이트(12)의 부분과 지지시이트(14) 사이에도 열융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기융착이음관(10)의 발포시이트(12)가 그 반부분에서 전열선패널(28)의 발열로 열융착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반부분의 내부에는 지지관(50)이 지지된 상태에서 파이프(18)는 그 일측단부에 부분적으로 전기융착이음관(10)이 결합된 상태로 제공자에 의하여 오수관 매설지로 공급될 수 있다.
일측단부에 부분적으로 전기융착이음관(10)이 결합된 상태로 오수관 매설지로 공급된 파이프(18)들은 이미 이러한 일측 파이프(18)에 전기융착이음관(10)이 융착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파이프(18)에 연결되는 타측 파이프(18')(이러한 타측 파이프역시 일측단부에 전기융착이음관이 부분적으로 융착결합되 있는 것이다)의 타측단부를 접속하여 전기융착이음관의 나머지 반부분을 융착결합할 수 있다. 즉, 오수관 매설지에 공급된 파이프(18)에서 체결되어 조여져 있는 전기융착이음관(10)의 고정밴드(16)를 느슨히 풀고 지지관(50)을 분리해낸다. 그리고 융착작용이 일어나지 않은 발포시이트(12)의 전열선패널(26)에 해당하는 반부분의 위치에 타측 파이프(18')의 타측단부를 삽입하고 고정밴드(16)를 조여 전기융착이음관(10)의 나머지 반부분이 타측 파이프(18')에 밀착되게 한다. 타측 파이프(18')의 타측단부상에 위치하는 발포시이트(12)의 전열선패널(26)에 온도센서(34)를 이용하여 발포시이트(12)의 이러한 전열선패널(26)내의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동시에 도선(32)(32')을 통하여 전원을 인가하여 발포시이트(12)내의 전열선패널(26)이 발열되게 한다.
발포시이트(12)의 전열선패널(26)이 발열되면 전열선패널(26)에 의한 발포시이트의 용융, 발포와 동시에 전열선패널(26)의 발열에 의하여 파이프(18')의 외면과 함께 부분적인 용융이 일어나 용융발포되는 발포시이트(12)와의 열융착이 이루어진다. 또한 동일한 조건으로 전열선패널(26)에 해당하는 발포시이트(12)의 부분과 지지시이트(14) 사이에도 열융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발포시이트(12)의 타측부분(12b)에서 중간부분(27)의 경계를 이루는 일측 광폭패널부분(26')의 변부가 길이방향 축선(L)을 지나 타측 광폭패널부분(28')의 대응하는 변부에 좁은 간격 d2을 두고 근접하여 배치되이 있으므로 발포시이트(12)의 일측단부(12a)에 중첩되는 타측단부(12b)가 그 중첩부분의 중간부분(27)의 영역을 포함하여 전체에서 발포시이트(12)의 일측단부(12a)에 확고하게 융착되어 융착작용이 일어나지 않은 중간부분(27)을 따라 누수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전기융착이음관, 12: 발포시이트, 14: 지지시이트, 16: 고정밴드, 18, 18': 파이프, 22, 24: 시이트재, 26, 28: 전열선패널, 26', 28'; 광폭패널부분, 27: 중간부분, 30: 피복전열선, 32, 32': 도선, 34: 온도센서, 36: 도선, 38: 망상시이트, 40: 경사절취면, 42: 루우프, 44: 체결봉, 46: 볼트, 48: 너트, 50: 지지관.
Claims (3)
- 지중에 매설되는 적어도 두개의 오수관 파이프(18)(18')의 연결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융착이음관(10)이 내면으로부터 발포시이트(12), 지지시이트(14)와, 고정밴드(16)로 구성되고, 상기 발포시이트(12)가 발포제를 포함하는 시이트재(22)(24) 사이에 길이방향의 중간부분(27)을 두고 양측으로 나란히 두개의 전열선패널(26)(28)이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전열선패널(26)(28)이 상기 발포시이트(12)가 연결될 상기 두 파이프(18)(18')의 연결단부상에 권취될 때 상기 발포시이트(12)의 일측단부(12a)에 중첩되는 타측단부(12b)에 넓은 간격을 갖는 광폭패널부분(26')(28')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분(27)의 경계를 이루는 상기 일측 광폭패널부분(26')의 변부가 상기 중간부분(27)을 지나 상기 타측 광폭패널부분(28')의 대응하는 변부에 좁은 간격을 두고 근접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7290A KR101098817B1 (ko) | 2010-09-07 | 2010-09-07 |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7290A KR101098817B1 (ko) | 2010-09-07 | 2010-09-07 |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5679A Division KR101214144B1 (ko) | 2011-08-26 | 2011-08-26 | 전기융착이음관을 이용한 오수관의 연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8817B1 true KR101098817B1 (ko) | 2011-12-26 |
Family
ID=4550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7290A KR101098817B1 (ko) | 2010-09-07 | 2010-09-07 |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881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65144A (en) | 1980-03-10 | 1982-12-21 | Georg Fischer Aktiengesellschaft | Apparatus for welding a joint between plastic pipes |
-
2010
- 2010-09-07 KR KR1020100087290A patent/KR1010988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65144A (en) | 1980-03-10 | 1982-12-21 | Georg Fischer Aktiengesellschaft | Apparatus for welding a joint between plastic pip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49038A (en) | Apparatus for welding a joint between plastic pipes | |
KR101187761B1 (ko) | 파이프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방법 | |
EP1276583B1 (en) | Apparatus for fusing wrap piece to plastic coated pipe | |
AU2001234836A1 (en) | Apparatus for forming field joints on plastic coated pipe | |
JP6134061B2 (ja) | 配管系の設置及び修理の方法及び装置 | |
KR100533366B1 (ko) |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 |
HUE025539T2 (en) | A method for connecting two sections of a longitudinal conduit | |
US8372229B2 (en) | Method for coupling corrugated pipe segments | |
EP0918619B1 (en) | Electrofusion fitting | |
KR101214144B1 (ko) | 전기융착이음관을 이용한 오수관의 연결방법 | |
JP2018003973A (ja) | 凍結防止用配水管、及びフランジ継手 | |
KR101098817B1 (ko) |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 | |
US5743989A (en) | Method of welding plastics sheets together and a joint used therein | |
JP5820169B2 (ja) | 保温材付き管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00029288A (ko) | 지중매설관 연결용 연결관조립체 | |
KR101655315B1 (ko) | 이중보온관용 열수축관 우레탄 폼 발포 홈 마개, 그 홈 마개의 제조방법, 및 그 발포 홈 마개의 설치방법 | |
KR20150005067A (ko) | 나선파형관의 연결구조 | |
AU709765B2 (en) | A cable sheath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heath, and a machin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 |
KR20140077434A (ko) | 오수관 연결용 전기융착이음관 | |
KR20130056964A (ko) | 전기융착형 편수이음관과 이러한 편수이음관을 갖는 파이프 | |
CN113915438A (zh) | 一种超深埋地复合管道防渗漏密封结构 | |
KR200319044Y1 (ko) | 합성수지제 전기융착 접합시트 | |
KR200409892Y1 (ko) |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 |
KR102252202B1 (ko) | 지역 난방 배관 시공 방법 | |
KR102712103B1 (ko) | 이중보온관의 연결부가 강화된 듀얼 열수축케이싱의 제조 및 설치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