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540B1 -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540B1
KR101098540B1 KR1020090091723A KR20090091723A KR101098540B1 KR 101098540 B1 KR101098540 B1 KR 101098540B1 KR 1020090091723 A KR1020090091723 A KR 1020090091723A KR 20090091723 A KR20090091723 A KR 20090091723A KR 101098540 B1 KR101098540 B1 KR 101098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ice
communication device
ambient noise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253A (ko
Inventor
성 운 한
최창권
Original Assignee
성진씨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씨앤티(주) filed Critical 성진씨앤티(주)
Priority to KR1020090091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5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입력받아서 주변 소음신호로 생성하는 소음감지부; 수화 음성신호를 전송받아서 고막을 진동시키는 수화음을 출력하고, 송화음에 따른 고막의 진동, 수화음 및 주변 소음에 따른 진동신호를 입력받아서 발신신호로 생성하는 음성감지부;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감지부로 전송하고, 소음감지부의 주변 소음신호 및 음성감지부의 발신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신호에서 상기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제거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기에 전송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유닛 구조로 이루어지는 음성감지부를 이용하여 수화음 출력과 송화음 입력이 모두 가능하게 됨으로써, 부피 및 무게가 작아서 이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고, 송화음에 중첩될 수 있는 수화음 및 주변 소음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더욱 선명한 송화음을 전송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주변의 환경 소음 중에서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송화자가 들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음성 통신 도중에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가청 가능한 소리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reducing noise and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유닛 구조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주변의 환경 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주변의 환경 소음 중에서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들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주변 소음이 차단된 고품질의 음성 통신이 가능하고, 동시에 음성 통신 도중에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가청 가능한 소리를 청취할 수 있게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무선 통신 분야에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수화기와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송화기를 각각 구비하는 송수화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화기로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이 있고, 송화기로는 마이크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이러한 송화기와 수화기는 헤드셋(headset)에 통합되어 이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헤드셋의 문제점은 송화기가 사용자 주위의 주변 소음(ambient noise)도 함께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송화기와 수화기가 분리됨으로 인해 헤드셋의 무게 및 부피가 커져서 휴대 및 이용이 불편한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처럼 송화기와 수화기가 분리된 헤드셋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사용자의 음성이 입에서 포착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이도(ear canal) 내의 골전도(bone conduction)를 통하여 포착되는 골전도 마이크 또는 스피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골전도 장치는 헤드셋에 비해 무게 및 부피가 적어서 이용이 편리하고, 골전도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신호가 주변 소음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그러나 이처럼 골전도를 통하여 감지된 음성신호의 음질 역시 아직까지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고, 특히 이러한 골전도 장치에 있어서도 송화부와 수화부가 별개로 구비되어야 하는 점은 상기 헤드셋과 유사하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송화부와 수화부가 분리되지 않고 단일 유닛 구조로 이루어지는 송수화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단일 유닛 구조의 송수화장치는 단일 트랜스듀서 소자를 사용하여 음성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송화부와 수화부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없고, 그로 인해 무게 및 부피가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단일 유닛 구조의 송수화장치는 울림 제거(echo-cancellation) 기능 및 주변 소음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울림 제거 기능은 송 수화 음성신호에서 울림 성분을 제거하여 보다 선명하게 전송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리고 주변 소음 차단 기능은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송화 음성신호에 중첩되지 않게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신뢰할 수 있을 정도의 울림 제거 기능 및 주변 소음 차단 기능을 모두 구비한 단일 유닛 구조의 송수화장치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고,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단일 유닛 구조의 송수화장치가 아직 실제적으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군사 매복 작전과 같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불필요한 소음을 걸러내어 선명한 음성만을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주변의 인기척이나 옆 사람의 말소리 등과 같은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구성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즉, 주변의 소음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송화 음성신호에 대해서는 주변 소음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송신하지만, 그러한 주변 소음 중에서도 송신자에게 필요한 소리는 송신자가 청취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단일 유닛 구조의 송수화장치는 귀마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주변에서 발생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송신자에게 선명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송화부와 수화부가 분리되지 않고 단일 유닛 구조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통신장치를 제공하되, 신뢰할 수 있을 정도의 울림 제거 기능 및 주변 소음 차단 기능을 모두 구비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송신자에게 선명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는, 무전기 또는 휴대폰과 같은 무선 통신기에 대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양방향 통신장치에 있어서,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입력받아서 주변 소음신호로 생성하는 소음감지부; 수화 음성신호를 전송받아서 고막을 진동시키는 수화음을 출력하고, 송화음에 따른 고막의 진동, 수화음 및 주변 소음에 따른 진동신호를 입력받아서 발신신호로 생성하는 음성감지부;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감지부로 전송하고, 소음감지부의 주변 소음신호 및 음성감지부의 발신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신호에서 상기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제거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기에 전송하는 신호처리부;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수화 음성신호가 제1노드에 연결되고, 음성감지부에서 생성되는 발신신호가 제2노드와 제4노드를 통해 신호처리부로 전송되는 4변 구조의 브리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브리지 회로는, 제1노드와 제2노드 사이를 연결하고 병렬 연결되는 리액턴스와 컨덕턴스를 구비하는 제1변; 제2노드와 제3노드 사이를 연결하고 음성감지부를 구비하는 제2변; 제3노드와 제4노드 사이를 연결하고 제2저항을 구비하는 제3변; 제4노드와 제1노드 사이를 연결하고 제1저항을 구비하는 제4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신호처리부는, 소음감지부의 주변 소음신호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외부 출력을 위해 음성감지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는,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신된 수화 음성신호를 위상 반전시키고, 소음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주변 소음신호를 위상 반전시킨 후, 음성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발신신호에 상기 위상 반전된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합성시킴으로써,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가 제거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부는,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신된 수화 음성신호를 딜레이시킨 후 위상 반전하고, 소음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주변 소음신호도 딜레이시킨 후 위상 반전하며, 음성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발신신호도 딜레이시킨 후 상기 위상 반전된 수화 음성신호 및 주변 소음신호와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는, 발신신호에서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가 제거된 송화 음성신호에 대해 울림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는, 발신신호에서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가 제거된 송화 음성신호에 대해 손상된 음성 성분을 보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음성감지부에서 생성된 발신신호를 수화 음성신호의 수준으로 증폭시키는 제1 차동증폭부; 소음감지부에서 생성된 주변 소음신호를 수화 음성신호의 수준으로 증폭시키는 제2 차동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신호처리부의 수화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변환부; 음성감지부의 발신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 AD변환부; 소음감지부의 주변 소음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 AD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푸시 투 토크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기에 대해, 송수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PTT 신호가 무선 통신기로 전송되도록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PTT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이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폰 캡; 음성감지부와 고막 사이에서 음성신호가 이동하는 음성 통로관; 상기 음성감지부를 하나의 변으로 구비하는 브리지 회로와, 신호처리부를 구비하는 PCB 기판; 음성 통로관, 음성감지부, PCB 기판 및 소음감지부를 내장하고, 이어폰 캡의 후방에 결합되는 몸체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성감지부는 이어폰 캡의 후방에 위치 하며, 상기 소음감지부는 PCB 기판의 후방에 위치하여 신호처리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무선 통신기로부터 음성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송수신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변복조하는 변복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무선 통신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무선 통신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유선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연결부, 디지털 음성 신호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음성 코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무선 통신기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기와 양방향 통신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전기 또는 휴대폰과 같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기;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입력받아서 주변 소음신호로 생성하는 소음감지부와, 수화 음성신호를 전송받아서 고막을 진동시키는 수화음을 출력하고, 송화음에 따른 고막의 진동, 수화음 및 주변 소음에 따른 진동신호를 입력받아서 발신신호로 생성하는 음성감지부,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감지부로 전송하고, 소음감지부의 주변 소음신호 및 음성감지부의 발신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신호에서 상기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제거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기에 전송하는 신호처리부, 무선 통신기로부터 음성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안테나, 송수신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변복조하는 변복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방 향 통신장치; 무선 통신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무선 통신기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양방향 통신장치로 무선 송신하고, 양방향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무선 통신기로 보내기 위해,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송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변복조하는 변복조부, 디지털 음성 신호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음성 코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단일 유닛 구조로 이루어지는 음성감지부를 이용하여 수화음 출력과 송화음 입력이 모두 가능하게 됨으로써, 부피 및 무게가 작아서 이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송화음에 중첩될 수 있는 수화음 및 주변 소음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더욱 선명한 송화음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송화음에 대해 울림 성분 제거 및 손상된 음성 성분의 보상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선명한 송화음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변의 환경 소음 중에서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송화자가 들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음성 통신 도중에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가청 가능한 소리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 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통신장치는, 무전기 또는 휴대폰과 같은 무선 통신기에 대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입력받아서 주변 소음신호로 생성하는 소음감지부(32)와, 수화 음성신호를 전송받아서 고막을 진동시키는 수화음을 출력하고, 송화음에 따른 고막의 진동, 수화음 및 주변 소음에 따른 진동신호를 입력받아서 발신신호로 생성하는 음성감지부(22), 그리고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감지부(22)로 전송하고, 소음감지부(32)의 주변 소음신호 및 음성감지부(22)의 발신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신호에서 상기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제거한 송화 음성신호를 무선 통신기에 전송하는 신호처리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음감지부(32)는 송화자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주변 환경 소음을 입력받아서 주변 소음신호로 생성하여 신호처리부(10)로 전송하게 된다. 이처럼 소음감지부(32)에 입력되는 주변 환경 소음에는, 옆 사람의 말소리나 물체의 이동에 따른 소리 등과 같이 인체가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 그리고 인체가 들을 수 없지만 음성신호에 중첩되어 잡음을 일으킬 수 있는 소음 등이 모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감지부(22)는 음성신호의 입출력이 모두 가능한 단일 유닛 구조로 이루어지고, 통상적으로 코일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성감지부(22) 는, 신호처리부(10)에서 수화 음성신호를 받아서 수화음을 외부에 출력하고, 송화음에 따른 고막의 진동, 수화음 및 주변 소음을 입력받아서 발신신호로 생성하여 신호처리부(10)로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음성감지부(22)는, 신호처리부(10)로부터 수신되는 수화 음성신호의 전압을 진동신호로 변환시켜서 이용자의 고막을 진동시키는 방식으로 수화음을 외부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감지부(22)는, 이용자가 말하는 송화음에 따라 형성되는 고막의 미세한 진동과, 고막을 진동시키는 수화음 및 주변에서 발생되는 주변 소음에 따른 진동신호를 입력받아서 발신신호로 생성하여 신호처리부(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부(10)는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감지부(22)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는, 무선 통신기로부터 음성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안테나(12)와, 송수신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는 변복조부(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복조부(14)는 안테나(12)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고, 또한 안테나(12)를 통해 송신하는 디지털 신호를 무선 송신이 가능한 고주파 신호로 변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10)는 소음감지부(32)로부터 주변 소음신호를 전송받고, 음성감지부(22)로부터 발신신호를 전송받은 후, 발신신호에서 상기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이용자가 본래 전송하고자 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기로 전송하게 된다.
즉, 음성감지부(22)에는 이용자가 말하는 송화음에 따른 고막의 진동 이외에도 수화음과 주변 소음이 함께 입력될 수 있고, 그로인해 이용자가 본래 전송하고자 하는 송화음이 변질될 우려가 있는 바, 음성감지부(22)에서 신호처리부(10)로 전송하는 발신신호에서 본래의 송화음 이외의 신호, 즉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가 제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용자가 본래 전송하고자 하는 송화음에 해당되는 송화 음성신호만 무선 통신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음성감지부(22)는 수화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송화음이 입력되는 마이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일 유닛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때 음성감지부(22)를 통해 출력되는 수화음에 의한 고막의 진동에 비해, 음성감지부(22)에 입력되는 송화음에 의한 고막의 진동이 훨씬 미세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음성감지부(22)를 통해 수화음이 출력되는 도중에, 이용자의 송화음으로 인한 미세한 고막의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송화음에 따른 고막의 미세한 진동을 채집하기 위한 브리지 회로(20)가 양방향 통신장치에 더 포함된다.
이러한 브리지 회로(20)는, 신호처리부(10)에서 출력되는 수화 음성신호가 제1노드(20a)에 연결되고, 음성감지부(22)에서 생성되는 발신신호가 제2노드(20b)와 제4노드(20d)를 통해 신호처리부(10)로 전송되는 4변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음성감지부(22)에서 생성되는 발신신호 중 양의 신호는 후술하는 제1 차동증폭부(24)의 양 단자에 접속되고, 음성감지부(22)에서 생성되는 발신신호 중 음의 신호는 제1 차동증폭부(24)의 음 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브리지 회로(20)의 제3노드(20c)는 접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브리지 회로(20)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노드(20a)와 제2노드(20b) 사이를 연결하고 병렬 연결되는 리액턴스(ZL)와 컨덕턴스(ZC)를 구비하는 제1변, 제2노드(20b)와 제3노드(20c) 사이를 연결하고 음성감지부(22)를 구비하는 제2변, 제3노드(20c)와 제4노드(20d) 사이를 연결하고 제2저항(R2)을 구비하는 제3변, 제4노드(20d)와 제1노드(20a) 사이를 연결하고 제1저항(R1)을 구비하는 제4변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브리지 회로(20)는, 음성감지부(22)를 통해 수화음만 출력되고 송화음의 입력이 없을 때는 별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않지만, 음성감지부(22)를 통해 수화음이 출력되는 도중에 송화음이 입력되면, 그러한 송화음에 따른 고막의 미세한 진동을 채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송신자에게 선명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신호처리부(10)가 소음감지부(32)의 주변 소음신호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외부 출력을 위해 음성감지부(22)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신호처리부(10)는 소음감지부(32)로부터 주변 소음신호를 전송받아서, 음성감지부(22)로부터 전송된 발신신호에서 주변 소음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또한 주변 소음신호에서 필터링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음성감지부(22)로 전송하여 외부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는 이용자에게 필요한 외부 소음, 예를 들어 옆 사람의 말 소리, 물체의 이동 소리, 각종 기기들에서 생기는 소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 통신장치에서 무선 통신기로 전송하는 송화 음성신호에는 주변 소음이 완전히 제거된 본래의 송화음만 포함되고, 반면 이용자(즉, 송화자)는 주변 소음 중에서 필요한 소리(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선명하게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처리부(10)가 발신신호에서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신된 수화 음성신호를 위상 반전시키고, 소음감지부(32)로부터 입력된 주변 소음신호 역시 위상 반전시킨다. 이후, 음성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발신신호에 상기 위상 반전된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합성시킴으로써,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가 제거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적절한 타이밍에 발신신호와 위상 반전된 수화 음성신호 및 주변 소음신호를 합성시키기 위해, 상기 신호처리부(10)는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신된 수화 음성신호를 딜레이(delay)시킨 후 위상 반전하고, 소음감지부(32)로부터 입력된 주변 소음신호도 딜레이(delay)시킨 후 위상 반전하며, 음성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발신신호도 딜레이(delay)시킨 후 상기 위상 반전된 수화 음성신호 및 주변 소음신호와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처럼 발신신호에서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가 제거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한 신호처리부(10)는, 상기 송화 음성신호에 대해 울림 성분을 제거(echo-cancellation)하는 과정을 더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성감지부(22)에서 발신신호가 생성되는 과정 또는 발신신호에서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가 제거되는 과정에서, 송화 음성신호의 음성 성분이 일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신호처리부(10)에서 송화 음성신호에 대해 손상된 음성 성분을 보상하는 과정을 더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신호처리부(10)의 수화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변환부(16)와, 아날로그 변환된 수화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음성증폭부(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신호처리부(10)에서 수신된 디지털 수화 음성신호는, DA변환부(16)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음성증폭부(17)에서 청취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증폭된 후, 음성감지부(22)를 통해 수화음으로 출력되어 고막을 진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음성감지부(22)의 발신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 AD변환부(26)와, 소음감지부(32)의 주변 소음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 AD변환부(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음성감지부(22)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발신신호 및 소음감지부(32)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주변 소음신호는, 각각 제1 AD변환부(26)와 제2 AD변환부(36)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처리부(10)로 전송된다.
한편, 신호처리부(10)에서 발신신호에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합성시키기 위해서는, 발신신호와 수화 음성신호 및 주변 소음신호가 모두 동일한 수준의 크기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음성감지부(22)에서 생성된 발신신호를 수화 음성신호의 수준으로 증폭시키는 제1 차동증폭 부(24)와, 소음감지부(32)에서 생성된 주변 소음신호를 수화 음성신호의 수준으로 증폭시키는 제2 차동증폭부(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방향 통신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기가 푸시 투 토크 방식으로 통신을 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신호처리부(10)를 제어하여 송수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PTT 신호를 무선 통신기로 전송하는 PTT 스위치(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용자가 양방향 통신장치의 PTT 스위치(18)를 누르면 신호처리부(10)가 무선 통신기로 PTT 신호를 전송하고, 이러한 PTT 신호를 수신한 무선 통신기는 송신 모드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양방향 통신장치의 PTT 스위치(18)를 누르지 않으면 신호처리부(10) 역시 무선 통신기로 PTT 신호를 전송하지 않게 되고, 이처럼 PTT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무선 통신기는 수신 모드 상태로 설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성감지부(22)와 브리지 회로(20)의 구성으로 인해 별도로 송수신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송화음과 수화음이 혼동되어 적절하게 송화음을 송신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강제적으로 송수신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PTT 스위치(18)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에는 무선 통신기 또는 하기에서 설명할 무선 접속부재에 등록되기 위한 등록스위치(1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의 외부 구조 및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통신장치는, 이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폰 캡(42), 음성감지부(22)와 고막 사이에서 음성신호가 이동하는 음성 통로관(46), 상기 음성감지부(22)를 하나의 변으로 구비하는 브리지 회로(20)와 신호처리부(10)를 구비하는 PCB 기판(56), 그리고 상기 음성 통로관(46)과 음성감지부(22), PCB 기판(56) 및 소음감지부(32)를 내장하는 몸체 케이스(54)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음성감지부(22)는 이어폰 캡(42)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소음감지부(32)는 PCB 기판(56)의 후방에 위치하여 신호처리부(10)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 케이스(54)는 이어폰 캡(42)의 후방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음성 통로관(46)으로 공기중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제1공기필터(44)와, 음성감지부(22)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음성감지부 케이스(50), 음성감지부 케이스(50)를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 홀더(52), 소음감지부(32)로 공기중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제2공기필터(6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이외에도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부(60), 볼륨 조절을 위한 볼륨 스위치(58),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전원 스위치(66)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의 동작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화음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무선 통신기로부터 디지털 수화 음성신호가 안테나(12)를 통해 양방향 통신장치에 수신된 후(S10), 변복조부(14)에서 복조된다(S12). 이후, 상기 수화 음성신호는 신호처리부(10)에서 딜레이(S14), 울림 성분 제거(S16), 그리고 잡음 신호 필터링 과정(S18)을 차례로 거치게 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0)를 거친 디지털 수화 음성신호는 DA변환부(16)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S23), 음성증폭부(17)에서 수신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증폭된다(S24). 이러한 과정을 모두 거친 수화 음성신호는 음성감지부(22)에서 수화음으로 출력되어 고막을 진동시키게 된다(S26).
다음에는 송화음을 무선 통신기에 전송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수화음으로 출력하는 과정에서, 상기 신호처리부(10)는 잡음 신호가 필터링된 수화 음성신호를 딜레이시킨 후(S20), 위상 반전시키는 과정을 더 거치게 된다(S22).
그리고 소음감지부(32)는 이용자 주변의 각종 소음을 감지하여 주변 소음신호를 생성하고(S30), 제2 차동증폭부(34)에서 상기 주변 소음신호를 수화 음성신호의 수준으로 증폭시키게 된다(S32). 이후, 상기 아날로그 주변 소음신호는 제2 AD변환부(36)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S34), 신호처리부(10)로 전송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0)는 상기 디지털 주변 소음신호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고(S36), 필터링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DA변환부(16)로 전송하여 외부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10)는 디지털 주변 소음신호를 딜레이시킨 후, 위상 반전시키는 과정을 더 거치게 된다(S38).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감지부(22)에서 수화음으로 출력하고 있는 도중에, 이용자가 말을 하면(즉, 송화음이 입력되면)(S28), 음성감지부(22)에서 발신신호를 생성한다(S40). 여기서, 상기 발신신호에는 송화음에 따른 고막의 진동, 수화음 및 주변 소음신호에 따른 진동신호에 의해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신신호는 제1 차동증폭부(24)에 의해 수화 음성신호의 수준으로 증폭되고(S42), 제1 AD변환부(26)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S44), 신호처리부(1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부(10)는 발신신호를 딜레이시킨 후(S46), 발신신호에서 송화 음성신호를 추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48). 즉, 발신신호에 위상 반전된 수화 음성신호 및 주변 소음신호를 합성시킴으로써, 수화음과 주변 소음이 제거된 순수한 송화음만 구비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 송화 음성신호는 신호처리부(10)에서 딜레이(S50), 울림 성분 제거(S52), 그리고 손상된 음성 성분의 보상 과정(S54)을 차례로 거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모든 과정을 거친 송화 음성신호는 변복조부(14)에서 변조된 후, 안테나(12)를 통해 무선 통신기로 송신된다(S56).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양방향 통신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양방향 통신장치는 무선 통신기와 유선 통신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한다. 따라서 전술한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와 달리 유선 양방향 통신장치는, 안테나(12)와 변복조부(14)를 구비하지 않고, 대신 무선 통신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유선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연결부(11)와, 디지털 음성 신호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음성 코덱(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무선 통신기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는 디지털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기 위해 안테나(12)를 구비하지만, 유선 양방향 통신장치는 무선 통신기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유선으로 전송받기 때문에 안테나(12) 대신 신호연결부(11)를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연결부(11)는, 유선 양방향 통신장치를 무선 통신기에 유선 연결시키는 케이블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유선 양방향 통신장치를 무선 통신기에 직접 결합시키기 위한 접속 단자가 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에도 유선 양방향 통신장치를 무선 통신기에 내장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는 무선 통신기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디지털 신호를 변복조하기 위한 변복조부(14)를 구비하지만, 유선 양방향 통신장치는 무선 통신기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또는 그 반대로 변환시키기 위한 음성 코덱(13)을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유선 양방향 통신장치는 무선 통신기와 유선으로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동작 과정에 있어서도 전술한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살펴본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접속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은, 근거리에서 음성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기와 양방향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전기 또는 휴대폰과 같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기와, 무선 통신기와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양방향 통신장치, 그리고 무선 통신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무선 통신기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양방향 통신장치로 무선 송신하고, 양방향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무선 통신기로 보내는 무선 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양방향 통신장치는,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양방향 통신장치와 무선 통신기 사이의 음성신호 송수신을 중계하는 무선 접속부재는, 일대일 무선 통신을 위해 양방향 통신장치를 등록시키는 등록스위치(78)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72), 송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변복조하는 변복조부(74), 디지 털 음성 신호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음성 코덱(8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기가 푸시 투 토크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에는 송수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PTT 신호가 무선 통신기로 전송되도록 신호처리부(10)를 제어하는 PTT 스위치(18)가 더 포함되고, 상기 무선 접속부재에는 양방향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PTT 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기의 송수신 모드를 설정하는 PTT 처리부(82)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무선 접속부재는 양방향 통신장치를 등록하는 과정, 또는 안테나(72)를 통해 무선 디지털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램프(8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접속부재는 무선 통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86)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연결부(86)는 무선 접속부재를 무선 통신기에 유선 연결시키는 케이블이 될 수도 있고, 또는 무선 접속부재를 무선 통신기에 직접 결합시키기 위한 접속 단자가 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에도 무선 접속부재를 무선 통신기에 내장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양방향 통신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양방향 통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접속부재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신호처리부 16; DA변환부
18; PTT 스위치 20; 브리지 회로
22; 음성감지부 24; 제1 차동증폭부
26; 제1 AD변환부 32; 소음감지부
34; 제2 차동증폭부 36; 제2 AD변환부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무전기 또는 휴대폰과 같은 무선 통신기에 대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양방향 통신장치에 있어서,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입력받아서 주변 소음신호로 생성하는 소음감지부;
    수화 음성신호를 전송받아서 고막을 진동시키는 수화음을 출력하고, 송화음에 따른 고막의 진동, 수화음 및 주변 소음에 따른 진동신호를 입력받아서 발신신호로 생성하는 음성감지부;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감지부로 전송하고, 소음감지부의 주변 소음신호 및 음성감지부의 발신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신호에서 상기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제거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기에 전송하는 신호처리부;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수화 음성신호가 제1노드에 연결되고, 음성감지부에서 생성되는 발신신호가 제2노드와 제4노드를 통해 신호처리부로 전송되는 4변 구조의 브리지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브리지 회로는,
    제1노드와 제2노드 사이를 연결하고 병렬 연결되는 리액턴스와 컨덕턴스를 구비하는 제1변;
    제2노드와 제3노드 사이를 연결하고 음성감지부를 구비하는 제2변;
    제3노드와 제4노드 사이를 연결하고 제2저항을 구비하는 제3변;
    제4노드와 제1노드 사이를 연결하고 제1저항을 구비하는 제4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소음감지부의 주변 소음신호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외부 출력을 위해 음성감지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신된 수화 음성신호를 위상 반전시키고, 소음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주변 소음신호를 위상 반전시킨 후, 음성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발신신호에 상기 위상 반전된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합성시킴으로써,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가 제거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신된 수화 음성신호를 딜레이시킨 후 위상 반전하고, 소음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주변 소음신호도 딜레이시킨 후 위상 반전하며, 음성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발신신호도 딜레이시킨 후 상기 위상 반전된 수화 음성신호 및 주변 소음신호와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발신신호에서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가 제거된 송화 음성신호에 대해 울림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발신신호에서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가 제거된 송화 음성신호에 대해 손상된 음성 성분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음성감지부에서 생성된 발신신호를 수화 음성신호의 수준으로 증폭시키는 제1 차동증폭부;
    소음감지부에서 생성된 주변 소음신호를 수화 음성신호의 수준으로 증폭시키는 제2 차동증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1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신호처리부의 수화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변환부;
    음성감지부의 발신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 AD변환부;
    소음감지부의 주변 소음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 AD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11.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푸시 투 토크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기에 대해, 송수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PTT 신호가 무선 통신기로 전송되도록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PTT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12.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폰 캡;
    음성감지부와 고막 사이에서 음성신호가 이동하는 음성 통로관;
    상기 음성감지부를 하나의 변으로 구비하는 브리지 회로와, 신호처리부를 구비하는 PCB 기판;
    음성 통로관, 음성감지부, PCB 기판 및 소음감지부를 내장하고, 이어폰 캡의 후방에 결합되는 몸체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성감지부는 이어폰 캡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소음감지부는 PCB 기판의 후방에 위치하여 신호처리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13.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기로부터 음성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송수신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변복조하는 변복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무선 통신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14.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유선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연결부, 디지털 음성 신호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음성 코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무선 통신기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15. 무선 통신기와 양방향 통신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전기 또는 휴대폰과 같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기;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입력받아서 주변 소음신호로 생성하는 소음감지부와, 수화 음성신호를 전송받아서 고막을 진동시키는 수화음을 출력하고, 송화음에 따른 고막의 진동, 수화음 및 주변 소음에 따른 진동신호를 입력받아서 발신신호로 생성하는 음성감지부,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감지부로 전송하고, 소음감지부의 주변 소음신호 및 음성감지부의 발신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신호에서 상기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제거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기에 전송하는 신호처리부, 무선 통신기로부터 음성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안테나, 송수신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변복조하는 변복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방향 통신장치;
    무선 통신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무선 통신기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양방향 통신장치로 무선 송신하고, 양방향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무선 통신기로 보내기 위해,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송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변복조하는 변복조부, 디지털 음성 신호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호 변환시키 는 음성 코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접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제1노드가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수화 음성신호에 연결되고, 제2노드가 음성감지부에서 생성되는 발신신호를 신호처리부로 출력하는 4변 구조의 브리지 회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소음감지부의 주변 소음신호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외부 출력을 위해 음성감지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신된 수화 음성신호를 위상 반전시키고, 소음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주변 소음신호를 위상 반전시킨 후, 음성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발신신호에 상기 위상 반전된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합성시킴으로써,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가 제거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19.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기는 푸시 투 토크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양방향 통신장치는 송수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PTT 신호가 무선 통신기로 전송되도록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PTT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접속부재는 양방향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PTT 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기의 송수신 모드를 설정하는 PTT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90091723A 2009-09-28 2009-09-28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098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723A KR101098540B1 (ko) 2009-09-28 2009-09-28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723A KR101098540B1 (ko) 2009-09-28 2009-09-28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253A KR20110034253A (ko) 2011-04-05
KR101098540B1 true KR101098540B1 (ko) 2011-12-26

Family

ID=4404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723A KR101098540B1 (ko) 2009-09-28 2009-09-28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5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239A1 (ko) * 2015-05-29 2016-12-08 소리젠플러스 주식회사 노이즈 제거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장치 및 노이즈 제거 방법
KR20230090918A (ko)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수현테크 스마트 무전 귀마개 및 이의 동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239A1 (ko) * 2015-05-29 2016-12-08 소리젠플러스 주식회사 노이즈 제거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장치 및 노이즈 제거 방법
KR20230090918A (ko)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수현테크 스마트 무전 귀마개 및 이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253A (ko)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5297B2 (en)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sound reproduction method for echo cancelling and noise reduction
US6671379B2 (en) Ear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US20070237339A1 (en) Environmental noise reduction and cancellation for a voice over internet packets (VOIP) communication device
US20110051977A1 (en) Ear Canal Microphone
US20090196454A1 (en) Earphone set
JP2008263383A (ja) 発声音キャンセル装置、及び発声音のキャンセル方法
US20120237052A1 (en) Dual mode electronic headset with local and remote focused microphones
JPH07107146A (ja) 骨伝導イヤホンマイクを用いた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8170229B2 (en) Audio privacy apparatus and method
KR100809549B1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KR101098540B1 (ko)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KR20110080306A (ko)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JP4027009B2 (ja) 送受話器
TWI554117B (zh) 語音輸出之方法及耳機
KR970056594A (ko) 핸드프리 보청 전화기
JPH10276250A (ja) 携帯端末装置
JPS59500744A (ja) オト−ラリンジエアル通信システム
JP2000069127A (ja) 音響センサー付携帯電話装置
KR100692773B1 (ko) 리시버-라우드 스피커 통합형의 이중 스피커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337939A (ja) 騒音制御装置、騒音制御装置付き携帯電話及び騒音制御装置付きヘッドセット
JP2007228344A (ja) 送受話装置
KR2003008331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노이즈 제거장치
WO2017026631A1 (ko) 소리 필터링 시스템
US11477571B2 (en) Electrical device for reducing noise
KR920020873A (ko) 음성통신장치 및 음향에코 캔슬러의 트레이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