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457B1 -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 - Google Patents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457B1
KR101098457B1 KR1020090085440A KR20090085440A KR101098457B1 KR 101098457 B1 KR101098457 B1 KR 101098457B1 KR 1020090085440 A KR1020090085440 A KR 1020090085440A KR 20090085440 A KR20090085440 A KR 20090085440A KR 101098457 B1 KR101098457 B1 KR 101098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eceiving
signal
cow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374A (ko
Inventor
백광수
박수봉
김현섭
박성재
임현주
최유림
김춘수
Original Assignee
김춘수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수,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김춘수
Priority to KR102009008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4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61D17/002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for detecting period of heat of animals, i.e. for detecting oest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phys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에 인공수정을 하기 전에 발정발견을 무인상태에서 하여 발정발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는, 소의 후지 발목에 부착되어 소의 승가 시 충격에 의해 작동되는 충격접지부와, 상기 충격접지부에 의해 감지된 충격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모듈과,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부로 전송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의 신호를 입력받아 소의 인식코드와 승가횟수와 최초 승가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 승가횟수, 최초 승가시간, 충격접지

Description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Unmanned detector for mounting of cow}
본 발명은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에 인공수정을 하기 전에 발정발견을 무인상태에서 하여 발정발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번식관리로 그중에서도 발정발견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소의 발정주기는 보통 18-24일이고 평균 21일이다.
발정난 소는 승가행위를 들 수 있는데 상기 승가행위는 발정난 소가 옆에 있는 다른 소의 승가행위를 용인한다던지 다른 소의 등에 올라타는 행위를 말하며, 소의 승가행위에 따라 소의 발정을 발견하게 된다.
종래에는 소의 승가허용 원리를 이용하여 개발된 발정발견 보조기구 및 장치가 개발되었고, 그 밖에도 질 점액 저항치, 행동빈도수, 보행수 및 속도, 발정기 발성음과 행동감시 등의 원리를 이용한 보조기구 및 장치들이 다수 있으나, 소의 행동 및 사육여건이 변화함에 따라 정확도가 일정하지 않고 사용상 불편함이 있으며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발정이 발현되면 승가허용 횟수가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최근에는 발정발현 시 승가 행동빈도수가 승가허용 행동빈도수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동빈도수에 원리를 두는 보조기구 및 장치들은 사육환경이 각각 다르고 근래에는 미약발정과 같은 발정이상의 발생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발정발현 시에도 행동빈도수가 적게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의 인공수정을 하기 전에 발정발견을 무인상태에서 하여 발정발견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승가횟수를 표시하여 발정발견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최초 승가시간을 표시하여 인공수정 실시 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공수정과 관련된 종합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는, 소의 후지 발목에 부착되어 소의 승가 시 충격에 의해 작동되는 충격접지부와, 상기 충격접지부에 의해 감지된 충격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모듈과,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부로 전송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의 신호를 입력받아 소의 인식코드와 승가횟수와 최초 승가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는, 소의 승가 시 충격에 의한 접지 방법을 적용하여 승가횟수와 최초 승가시간이 표시되어 무인상태에서 발정발견 및 인공수정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소의 사육여건 변화, 번식장애우 및 미약발정우의 증가 등으로 발정발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승가검출기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축산농가에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는, 소의 후지 발목에 부착되어 소의 승가 시 충격에 의해 작동되는 충격접지부와, 상기 충격접지부에 의해 감지된 충격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모듈과,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부로 전송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의 신호를 입력받아 소의 인식코드와 승가횟수와 최초 승가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접지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고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무게 추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개방측에 구비되어 충격에 의해 무게 추와 접촉되는 전극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접지부의 외부에는 소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보호케이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모듈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충격접지부에서 감 지된 충격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RF모듈과, 상기 송신RF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모듈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수신RF모듈과, 상기 수신RF모듈에서 전송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표시부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모듈의 주파수 대역은 433Mh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는 전광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충격접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송신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수신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전광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는 소의 후지 발목에 부착되어 소의 승가 시 충격에 의해 작동되는 충격접지부(1)와, 상기 충격접지부(1)에 의해 감지된 충격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모듈(2)과, 상기 송신모듈(2)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부(4)로 전송하는 수신모듈(3)과, 상기 수신모듈(3)의 신호를 입력받아 소의 인식코드와 승가횟수와 최초 승가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4)를 포함한다.
상기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장착 대상 소는 분만 후 40일 쯤 되는 소, 발정을 유기시키는 소, 인공수정 시킨 지 18-23일정도 되는 소들이 해당된다.
상기 충격접지부(1)는 소의 강한 발 구름에 의한 수직적 충격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상기 충격접지부(1)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의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삽입되고 스프링(12)으로 탄성 지지되는 무게 추(13)와, 상기 케이스(11)의 상부 개방측에 구비되어 충격에 의해 무게 추(13)와 접촉되는 전극판(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12)의 한쪽은 상기 케이스(11)의 상단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무게 추(13)에 고정된다. 따라서 발정난 소가 승가를 시도할 때 무게 추(13)가 충격에 의해 전극판(14)과 접촉하게 되면서 이로 인해 발생된 충격 신호를 송신모듈(2)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충격접지부(1)의 외부에는 소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보호케이스(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호케이스(5)의 외부에는 소의 후지 발목에 부착되어 고정시키도록 벨크로 타입의 고정벨트(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보호케이스(5)는 내부에 충격접지부(1)와 송신모듈(2)이 장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한 쌍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송신모듈(2)은 전원부(21), 제어부(22), 송신RF모듈(23), 안테나(24)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21)는 상기 송신모듈(2)에 연결되어 전체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배터리 또는 건전지 중에서 택일 사용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충격접지부(1)에서 감지된 충격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송신RF모듈(23)은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안테나(24)는 상기 송신RF모듈(23)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최대한 신호를 멀리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수신모듈(3)은 전원부(31), 수신RF모듈(32), 제어부(33), 테이터전송부(34)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31)는 상기 수신모듈(3)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배터리 또는 건전지 중에서 택일 사용한다.
상기 수신RF모듈(32)은 상기 송신모듈(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 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어부(33)는 상기 수신RF모듈(32)에서 전송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전송부(34)는 상기 제어부(33)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표시부(34)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배선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수신모듈(3)의 주파수 대역은 433Mhz이며, 상시 수신모듈(3)은 상기 표시부(4)에 장착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표시부(4)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는 전광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광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모듈(3)의 신호를 입력받아 소의 인식코드와 승가횟수와 최초 승가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가 장착된 해당 암소가 발정을 시작하게 되면 다른 암소의 등에 올라타게 되며, 이때 소의 승가 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가 작동하게 된다.
소의 승가 시 발생된 충격에 의해 충격접지부(1)의 스프링(12)이 늘어나면서 무게 추(13)가 전극판(14)과 접촉하면서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무게 추(13)와 전극판(14)에서 검출된 신호는 송신모듈(2)의 제어부(22)로 전송되고, 제어부(22)는 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2)에서 출력한 신호를 송신RF모듈(23)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송신RF모듈(23)에서 전송된 신호는 수신RF모듈(32)에서 수신 받아 제어부(33)로 전송하고, 이를 제어부(33)에서 신호를 전송하여 데이터전송부(34)를 통해 표시부(4)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수신모듈(3)의 신호를 입력받은 표시부(4)에는 소의 인식코드와 승가횟수와 최초 승가시간이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소의 인식코드와 승가횟수와 최초 승가시간을 무인 상태로 소의 발정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발정발견 및 인공수정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충격접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송신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수신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전광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격접지부
11 : 케이스
12 : 스프링
13 : 무게 추
14 : 전극판
2 : 송신모듈
21 : 전원부
22 : 제어부
23 : 송신RF모듈
24 : 안테나
3 : 수신모듈
31 : 전원부
32 : 수신RF모듈
33 : 제어부
34 : 데이터전송부
4 : 표시부
5 : 보호케이스

Claims (7)

  1. 소의 후지 발목에 부착되어 소의 승가 시 충격에 의해 작동되는 충격접지부(1)와, 상기 충격접지부(1)에 의해 감지된 충격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모듈(2)과, 상기 송신모듈(2)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부(4)로 전송하는 수신모듈(3)과, 상기 수신모듈(3)의 신호를 입력받아 소의 인식코드와 승가횟수와 최초 승가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4)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접지부(1)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의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삽입되고 스프링(12)으로 탄성 지지되는 무게 추(13)와, 상기 케이스(11)의 상부 개방측에 구비되어 충격에 의해 무게 추(13)와 접촉되는 전극판(14)으로 구성되고;
    상기 충격접지부(1)의 외부에는 소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보호케이스(5)가 설치되며;
    상기 송신모듈(2)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와, 상기 충격접지부(1)에서 감지된 충격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2)와,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RF모듈(23)과, 상기 송신RF모듈(23)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안테나(24)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모듈(3)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와, 상기 송신모듈(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수신RF모듈(32)과, 상기 수신RF모듈(32)에서 전송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3)와, 상기 제어부(33)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표시부(4)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34)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부(4)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는 전광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3)의 주파수 대역은 433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
  7. 삭제
KR1020090085440A 2009-09-10 2009-09-10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 KR101098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440A KR101098457B1 (ko) 2009-09-10 2009-09-10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440A KR101098457B1 (ko) 2009-09-10 2009-09-10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374A KR20110027374A (ko) 2011-03-16
KR101098457B1 true KR101098457B1 (ko) 2011-12-26

Family

ID=4393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440A KR101098457B1 (ko) 2009-09-10 2009-09-10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042B1 (ko) 2017-04-05 2018-09-11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발정감지 시스템의 가축 발정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774B1 (ko) * 2013-05-20 2015-02-17 대한민국 소 행동형 발정인식 시스템
KR101471906B1 (ko) * 2014-03-28 2014-12-11 차병권 동물 발정 감지 시스템 및 장치와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5165A (en) 1987-10-02 1990-01-23 Blair William D Electronic estrus detector
KR200309657Y1 (ko) * 2002-12-16 2003-04-03 (주)한경게놈텍 발정감지기 및 이의 부착수단
KR100387226B1 (ko) * 2000-08-03 2003-06-12 윤종택 무인 자동 정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5165A (en) 1987-10-02 1990-01-23 Blair William D Electronic estrus detector
KR100387226B1 (ko) * 2000-08-03 2003-06-12 윤종택 무인 자동 정보 시스템
KR200309657Y1 (ko) * 2002-12-16 2003-04-03 (주)한경게놈텍 발정감지기 및 이의 부착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042B1 (ko) 2017-04-05 2018-09-11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발정감지 시스템의 가축 발정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374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15690T3 (es) Sistema y método para la detección de murciélagos y su impacto en instalaciones eólicas
ES2778301T3 (es) Sistema para monitorización de la salud de animales de compañía
US7809435B1 (en) Adjustable wireless electromyography sensor and system
US911937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estrus
US9538730B1 (en) Mating sensor device for livestock
CN102415876B (zh) 一种pc网络监护奶牛脊背便携太阳能多功能匹配终端
CN102144571B (zh) 一种pc网络遥测多参数采集太阳能/温差电源奶牛领带
KR101098457B1 (ko) 소의 무인 승가검출기
AU2017239570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dentification, monitoring and control of animals
JP2007124966A (ja) 動物の発情情報、出産情報及び/又は生体情報検知装置。
CN104904615B (zh) 一种奶牛体温和活动状态监测仪
CN103329816A (zh) 一种畜牧养殖质量监测太阳能温差电源腰带形紧固胸圈
WO2020161360A2 (en) Bovine motion sensor tag
JP2003333950A (ja) 畜産動物管理用idタグ並びにそれを用いた畜産動物個体情報送信方法及び畜産動物個体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8272163A (ja) 生体情報モニターシステム
US20180136712A1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30345907A1 (en) Animal collar assembly
KR101423879B1 (ko) 온도센서를 탑재한 캡슐 형태의 생체주입형 rfid 태그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질병관리 시스템
WO2016103079A1 (es) Sistema y dispositivo para el monitoreo de la actividad reproductiva de animales
CN203087204U (zh) 一种畜牧监护自检识别立桩爬跨太阳能多功能电子领带
US201902234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estrus and optimal time for embryo transfer or artificial insemination in animals
US20180035648A1 (en) Mounting behavior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US10918091B2 (en) Long range low power livestock monitoring
CN208476374U (zh) 可拆式杆状鸟类称重装置
JP7449510B2 (ja) センサ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