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290B1 -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290B1
KR101098290B1 KR1020090047947A KR20090047947A KR101098290B1 KR 101098290 B1 KR101098290 B1 KR 101098290B1 KR 1020090047947 A KR1020090047947 A KR 1020090047947A KR 20090047947 A KR20090047947 A KR 20090047947A KR 101098290 B1 KR101098290 B1 KR 101098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user
wearing
image
m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400A (ko
Inventor
장동영
홍석기
황호진
임영환
반창우
양시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서울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서울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서울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090047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29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Abstract

사용자가 의류를 직접 착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가 사용자에게 적합한지의 여부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를 판매하는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간단히 얻을 수 있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 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판매자의 단말기와, 통신수단과 정보저장수단과 상기 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부가 구비된 중앙서버, 및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포함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공간에서 사용자가 실제 의상을 착용하는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의류 구매 시 사용자가 의류를 직접 착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가 사용자에게 적합한지의 여부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류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마음에 드는 의류를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VIRTUAL CLOTHES WEARING SYSTEM BASE ON VIRTUAL CLOTHES WEA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CLOTHES WEARING SER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의류를 직접 착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가 사용자에게 적합한지의 여부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를 판매하는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간단히 얻을 수 있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기기들이 사람들의 실생활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보편적인 보급에 편승하여, 사람들은 먼 거리에 위치하는 매장이나 백화점에 방문하지 않고도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홈페이지와 같은 가상의 공간에서 물건을 고르고 직접 구매하는 것이 일상적인 생활의 형태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는 업체들도 광고와 홍보용도로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물품구매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많은 경우 매장에 직접방문하기 전에 인터넷을 통해 물품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는 실정이다.
즉, 홈페이지와 같은 가상의 공간에서 사람들의 관심을 유발하는 것은, 문자 형태로 나타나는 정보보다는, 이미지 등과 같은 시각적인 요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물품을 판매하거나 광고/홍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시각적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
이와 같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상거래 중에서도, 취급물품이 의류인 경우 시각적인 요소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그 이유는 의류의 경우 전체적인 형상뿐만 아니라 미묘한 색상 차나 옷감의 미세구조를 표현함을 통해 재질감을 전달할 수 있는지에 따라 사람의 시선을 끌고,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의류와 같은 물품을 고를 때, 사람들은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보는 것과 대등한 정도의 사실적인 시각적 정보를 원하고, 또 그러한 정보를 접했을 때 제품에 대한 신뢰와 만족감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보편적으로 이러한 신뢰가 구매결정으로 연결된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의상의 경우 단순한 형상뿐만 아니라 옷감의 재질감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현실감을 더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의 상의 형상은 어느 정도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겠으나, 단순한 색상을 표현하는 정도는 넘지 못함에 따라, 고유의 색상과 직조패턴을 포함하는 옷감의 미세구조를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재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를 보완하고자, 3차원 모델링 응용프로그램(예를 들어, Maya, 3d Max) 또는 의상 디자인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의상을 제작하거나,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은 고도의 전문지식을 보유한 숙련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임에도, 실제 의상에 근접하는 재질감을 표현하는 것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면서도 그에 상당하는 가시적인 효과를 얻기는 어려운 실정이라 하겠다.
더 나아가, 의상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착용해보지 않고는 구매하고자 하는 의상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곤란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각각의 의상을 모두 직접 착용하는 것은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특정 의상의 경우 착용자체를 금지하는 경우도 있다. 종래 방법의 경우, 단순히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이미 제작된 2차원 이미지와 결합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만족스런 결과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일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042048호(2007.4.20 공개)에서는 사용자가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을 이용한 쇼핑 중에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을 가상으로 생성된 자신의 3D 이미지에 가상으로 미리 착용해 볼 수 있는 가상 의류 착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사용자와 잘 어울리는지 또는 치수가 잘 맞는지 미리 확인해 볼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반품하거나 교환하게 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가상 의류 착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가 의복을 가상으로 착용한 모습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은 액정으로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의복의 디테일한 부분을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를 판매하는 판매자의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류를 판매하는 인접지역의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사용자 및 의류의 실제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를 실제로 착용한 것과 같은 느낌과 모습을 제공할 수 있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을 이용한 개선된 형태의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가 포함된 상품정보를 송신하는 판매자의 단말기;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품정보를 수집하는 통신수단과, 수집된 상기 상품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수단과, 상기 정보저장수단으로부터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송신하는 호스트부를 포함하는 중앙서버; 및 상기 호스트부로부터 송신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의류의 상품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의류의 상품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출력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를 입력받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수신부, 저장부,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이미지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상기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포함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판매자로부터 제공된 의류의 이미지 및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의류를 모의 착용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모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에 있어서,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가 포함된 상품정보가 모의 의류 착용장치의 수신부로 수집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의류 의 상품정보를 제어부로 추출하고,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 1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의류의 상품정보를 확인하고,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의류를 선택하면, 카메라로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이미지를 제어부를 통해 합성하여 모의 착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모의 착용 이미지를 제 2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공간에서 사용자가 실제 의상을 착용하는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류를 직접 착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가 사용자에게 적합한지의 여부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류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마음에 드는 의류를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한 의류를 직접 착용해 보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의류를 구매하기 위해 소요되는 총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모의 의류 착용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동일지역 범위에 존재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상기 판매자로부터 소정의 대금을 지불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모의 의류 착용이미지의 제공에 대한 사용요금을 꾸준히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은 사용자가 실제로 착용하고 있는 의류 중 일부만을 제거할 수 있어, 선택된 의류와 기 착용된 의류를 교환하여 선택된 의류가 착용하고 있는 다른 의류와 어울리는지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제 착용하고 있는 상의 및 구두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로, 기 착용된 하의만 새로운 하의로 변경된 이미지를 제공하여, 새로운 하의와 실제 착용하고 있는 상의 및 구두와의 어울림을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지역별 상점을 기반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 제공방법(이하,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 제공방법"이라고 한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의 온라인 연결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업로드된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가 포함된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배포하는 중앙서버(300)와 상기 중앙서버(300)에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 워크(200)(이하, "네트워크"라 한다.)를 통해 접속된 다수의 유·무선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무선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판매자의 단말기(100)와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은 판매자의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100)는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가 포함된 상품정보를 중앙서버(300)로 송신하는 것으로서, 판매자에 의해 촬영되거나 의류 생산자에 의해 공개된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중앙서버(3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의류는 의복, 액세서리, 신발, 모자, 장갑, 또는 가방을 의미한다. 또한, 판매정보는 상기 의류의 재고수량, 제조사, 사이즈, 재질, 가격,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는 상기 의류를 판매하는 판매자의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주소, 전화번호, 지도, 상호, 판매자의 성명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무선 클라이트 단말기(100, 400)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이때,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는 PCS, 셀룰러폰, PDA, IMT-2000,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는 인터넷 접속 수단 을 갖는 개인용 컴퓨터, 통신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의 단말기(100)는 판매자가 판매하는 의류에 대한 이미지 및 판매정보를 중앙서버(300)에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에 대한 중앙서버(300)로의 대금 청구에 따라 대금을 지불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화물의 배송시스템은 중앙서버(3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의 중앙서버(3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업로드된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를 포함한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가 위치한 지역과 동일지역 범위에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한 판매자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판매자가 업로드한 의류의 상품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지역이란 동일한 상권지역, 행정 구역 상 동일한 동 또는 구, 또는 상기 의류 착용장치를 기준으로 반경 100 내지 5,000m 이내의 지역을 의미하며, 이는 중앙서버(300)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유기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서버(300)는 전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320)과, 다수의 판매자가 송신한 의류의 상품정보가 분류되고 저장되어 있는 정보저장수단(330)과,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부(310)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200)에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상기 중앙서버(300)에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력수단(3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300)에 포함된 통신수단(32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판매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네트워크(200)를 통해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에 의류의 상품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300)에 포함된 정보저장수단(330)은 수집된 상기 의류의 상품정보, 즉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정보저장수단(330)은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의류의 카테고리별 DB, 판매정보 DB, 회원정보 DB, 중계정보 DB, 이미지 D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카테고리별 DB는 의류가 각각 의복, 액세서리, 신발, 모자, 장갑, 가방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DB로서, 모의 착용장치(400)에 카테고리별 의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모의 착용장치(400)의 사용자가 특정 의류, 예컨대 의복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의복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매정보 DB는 각 지역을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는 판매자 및 상기 판매자가 판매하는 의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DB로서, 의류의 재고수량, 제조사, 사이즈, 재질, 가격,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DB는 통신수단(320)을 통해 수집된 의류의 이미지를 사용자 이미지와 원활하게 매칭될 수 있도록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DB로 전환하여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300)에 포함된 입력수단(350)은 각 지역에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의류의 상품정보를 상기 통신수단(320)을 통하지 않고 중앙서버(300)의 관리자가 직접 중앙서버(300)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업로드된 의류의 상품정보가 정보저장수단(33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수단(350)으로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입력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특정적으로는 키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300)에 포함된 호스트부(310)는 상기 통신수단(320), 정보저장수단(330), 입력수단(350)에 연결되어 상기 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312) 및 상기 프로세서(312)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316)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스트부(310)는 프로세서(312), 오퍼레이팅 시스템(314)(Operating System, OS), 파일(318), 및 파일(318)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 램(316) 등이 내장되고 프로세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프로세서(312)는 상기 프로그램(316)에 따라, 각 판매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의류의 상품정보가 수신되어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되면, 상기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된 각 의류의 상품정보를 취합하여, 취합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프로세서(312)는 상기 프로그램(316)에 따라, 각 판매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의류의 상품정보가 수신되어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되면, 상기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된 각 의류의 상품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의류를 카테고리별(의류의 종류별), 지역별(오프라인 매장의 위치별), 가격별 등으로 분리 및 추출하도록 동작하고, 추출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상기 통신수단(320)을 통해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프로세서(312)는 상기 프로그램(316)에 따라,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가 상기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가 위치한 지역과 동일지역 범위에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의류가 구비된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별로 분리하고, 이를 상기 통신수단(320)을 통해 해당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로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312)는 사용된 프로그램(316)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호스트부(310)는 판매자의 단말기(100)와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로 부터 회원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100)와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로부터 회원정보, 예컨대 성명(상호), 주민등록번호(사업자등록번호), 성별, 나이, 주소, 이메일 주소, 유·무선 단말기 번호, 비밀번호 등을 전송받아 이를 인증하여 ID, 비밀번호를 부여한 후 관련 회원 정보를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부(310)는 상기 통신수단(320)을 통해 판매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의류의 상품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100)에 상기 의류의 홍보 및 광고에 따른 대금을 청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부(310)는 상기 통신수단(320)을 통해 수집된 의류의 이미지를 사용자 이미지와 원활하게 매칭될 수 있도록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DB)로 전환하여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은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의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는 상기 호스트부(310)로부터 송신된 의류의 상품정보와 직접 촬영한 사용자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신부(410)와 저장부(420)와 제 1 디스플레이부(430)와 카메라(440)와 제어부(45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460)로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상기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는 상기 수신부(410)와 저장부(420)와 제 1 디스플레이부(430)와 카메라(440)와 제어부(45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460)를 내부에 구비하도록 외형을 제공하는 하우징(47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에 포함된 수신부(410)는 상기 호스트부(310)로부터 송신된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중앙서버(300)로부터 송신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수집하며, 이를 저장부(420)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에 포함된 저장부(420)는 상기 제어부(450)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부(410)에 의류의 상품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450)에 의해 상기 의류의 상품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의류의 카테고리별 DB, 판매정보 DB, 주간 판매량 및 월간 판매량 DB, 등록일자별 DB, 가격별 D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간 판매량 및 월간 판매량 DB는 주간 및 월간 판매량에 따른 순위별로 의류를 분리하여 저장한 DB를 의미하며, 등록일자별 DB는 중앙서버(300)에 해당 의류가 등록된 날자 별로 상기 의류를 분리하여 저장한 DB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판매량의 순위 또는 등록일자의 순서대로 의류의 상품정보를 나열하기 원하면, 제어부는 상기 주간 판매량 DB의 정보, 월간 판매량 DB의 정보 또는 등록일자별 DB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에 포함된 제 1 디스플레이부(430) 는 제어부(450)에 의해 상기 저장부(420)에 저장된 각 의류의 상품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출력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패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430)는 상기 의류의 상품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와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를 입력받는 선택부(미도시)로 각각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부는 LCD 패널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부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키버튼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에 포함된 카메라(440)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서, 제어부(4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사용자의 이미지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USB 포트 또는 CD-ROM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에 포함된 제어부(450)는 상기 수신부(410), 저장부(420), 제 1 디스플레이부(430), 카메라(440), 제 2 디스플레이부(460)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며, 제 1 디스플레이부(43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이미지와 상기 카메라(440)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상기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제 2 디스플레이부(46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50)는 전술한 호스트부(310)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카메라로(440)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 중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의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의류와 분리된 신체를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이미지와 합성하여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에 포함된 제 2 디스플레이부(460)는 상기 제어부(450)를 통해 생성된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전술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LCD 모니터 또는 프로젝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LCD 모니터는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사용자와 1:1 비율의 사이즈로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 디스플레이부(460)는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실제 사용자 및 의류의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의류의 미묘한 색상 차나 옷감의 미세구조를 표현함을 통해 재질감을 사실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는 인쇄부(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부(480)는 상기 제어부(450)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430)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의류를 선택하면, 제어부(450)로부터 상기 의류에 대한 판매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은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가 포함된 상품정보가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의 수신부(410)로 수집되면, 이를 저장부(420)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420)에 저장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요약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 1 디스플레이부(430)로 출력하는 단계(S400)와,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부(430)를 통해 의류의 상품정보를 확인하고, 제 1 디스플레이부(430)를 통해 특정 의류를 선택하면, 카메라(440)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제어부(45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이미지와 합성하여 모의 착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제어부(450)를 통해 생성된 모의 착용 이미지를 제 2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S600)가 포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단계(S400) 이전에는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가 포함된 상품정보를 중앙서버(300)에 송신하는 단계(S100)와, 상기 의류의 상품정보가 중앙서버(300)의 통신수단(320)으로 수집되면, 이를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저장수단(330)으로부터 의류의 상품정보를 호스트부(310)로 추출하는 단계(S200), 및 상기 호스트부(310)를 통해 추출된 상기 의류의 상품정보를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로 송신하는 단계(S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계(S400) 이후에는 모의 착용 이미지가 생성된 의류에 대한 판매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S7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중앙서버(300)의 호스트부(310)는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종 데이터를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하거나 정보저장수단(330)으로부터 읽어 들이며, 입력수단(350)을 통해 관리자의 명령 및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통신수단(320)과 네트워크 연결부(340)를 통해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동작이 시작된 다음, 판매자의 단말기(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중앙서버(300)의 통신수단(320)으로 접속하여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가 포함된 상품정보를 제공한 후 의류에 대한 모의 착용 서비스를 요청한다(S100).
그 다음, 상기와 같이 판매자의 단말기(100)를 통해 중앙서버(300)로 의류에 대한 모의 착용 서비스를 요청하면, 중앙서버(300)는 모의 착용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수단(320)에 연결된 호스트부(310)의 프로세서(312)는 해당 판매자의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판매자로 등록하고, 의류의 상품정보를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하는 한편, 상기 호스트부(310)의 프로세서(312)는 프로그램(316)에 따라,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카테고리별, 가격별, 지역별 등으로 분리 및 취합하여 추출한다(S200). 이때, 상기 호스트부(310)는 통신수단 을 통해 수집된 의류의 이미지를 사용자 이미지와 원활하게 매칭될 수 있도록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로 전환하여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호스트부(310)는 통신수단(320)을 통해 의류의 상품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의류의 상품정보를 송신한 판매자의 단말기(100)에 모의 착용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대금을 청구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100)는 모의 착용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대금을 청구하는 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호스트부(310)에 상기 대금을 지불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 호스트부(310)의 프로세서(312)는 추출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각 지역에 위치한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로 송신한다(S300).
일 실시 양태로서, 상기 호스트부(310)는 통신수단(320)을 통해 수집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지역별로 분리하고, 지역별로 분리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해당 지역 위치한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로 송신하도록 동작하여, 상기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가 동일 지역에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에 밀착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 다음, 상기 중앙서버(300)로부터 의류의 상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부(410)와 연결된 제어부(450)는 의류의 상품정보를 저장부(420)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420)에 저장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요약, 예컨대 목록화된 데이터 집합으로 추출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 1 디스플레이부(430)를 통해 영상으로 출력한다(S400).
그 다음,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부(430)를 통해 의류의 상품정보를 확인 하고, 특정 의류를 선택하면, 제 1 디스플레이부(430)에 연결된 제어부(450)는 상기 의류의 이미지를 저장부(420)로부터 추출하고, 카메라(440)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하며, 상기 의류의 이미지 및 사용자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사용자에 대한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생성한다(S500).
그 다음, 상기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생성한 제어부(450)는 이를 정보저장수단(330)에 저장하고,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의 사용자가 상기 모의 착용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 2 디스플레이부(460)를 통해 영상으로 출력한다(S600).
그 다음, 상기 모의 착용 이미지를 확인한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부(430)를 통해 모의 착용한 의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제어부(450)는 저장부(420)로부터 상기 의류에 대한 판매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 1 디스플레이부(430)로 상기 판매정보를 출력하거나 인쇄부(480)를 통해 상기 판매정보를 인쇄하고(S700) 모의 착용 시스템의 동작을 종료한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부(430)를 통해 다른 의류에 대한 상품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면(S750), 제어부(450)는 단계(S400)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을 사용하면, 착용하고 있는 의류 중 일부분을 제외한 의류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새롭게 구매하고자 하는 의류가 다른 의류에 어울리는지 모의 의류 착용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청바지를 선택한 사용자는 카메라(440)를 통해 촬영한 사용자의 이미지에서 기 착용한 하의만을 제거하고 나머지 착용 의류는 그대로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청바지가 추가로 착용된 모의 의류 착용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선택한 청바지가 사용자의 신체에 어울리는지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상의, 신발 등에 어울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의 사용자는 상기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가 위치한 지역과 동일지역에 오프라인 매장이 존재하는 의류에 대한 모의 착용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동일지역에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을 일일이 방문하여 의류를 착용해 보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는 상기 의류의 오프라인 매장의 인근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착용해보고 구매하고자 하는 의상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의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제공하므로, 상기 모의 의류 착용장치(400)를 통해 선택한 의류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직접 착용한 후 구매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은 다양한 의류를 가상으로 착용해 볼 수 있어 쇼핑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선택한 의류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정보도 즉시 제공받아 상기 매장을 찾는데 소요되는 불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 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의 온라인 연결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의 중앙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의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판매자의 단말기 200 : 네트워크
300 : 중앙서버 310 : 호스트부
312 : 프로세서 314 : 오퍼레이팅 시스템
316 : 프로그램 318 : 파일
320 : 통신수단 330 : 정보저장수단
340 : 네트워크 연결부 350 : 입력수단
400 : 모의 의류 착용장치 410 : 수신부
420 : 저장부 430 : 제 1 디스플레이부
440 : 카메라 450 : 제어부
460 : 제 2 디스플레이부 470 : 하우징
480 : 인쇄부

Claims (12)

  1.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가 포함된 상품정보를 송신하는 판매자의 단말기;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품정보를 수집하는 통신수단과, 수집된 상기 상품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수단과, 상기 정보저장수단으로부터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송신하는 호스트부를 포함하는 중앙서버; 및
    상기 호스트부로부터 송신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의류의 상품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의류의 상품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출력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를 입력받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수신부, 저장부,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이미지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상기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의 호스트부는 상기 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지역별로 분리하고, 지역별로 분리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해당 지역에 위치한 모의 의류 착용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의류 착용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에 대한 판매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정보는
    상기 의류의 재고수량, 제조사, 사이즈, 재질, 가격,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의 호스트부는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의류의 상품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에 대금을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 중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의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의류와 분리된 신체를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이미지와 합성하여 모의 착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의류의 모의 착용 이미지를 실제 사용자 및 의류의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8. 판매자로부터 제공된 의류의 이미지 및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의류를 모의 착용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모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에 있어서,
    (ⅰ)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가 포함된 상품정보를 중앙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ⅱ) 상기 의류의 상품정보가 중앙서버의 통신수단으로 수집되면, 이를 정보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저장수단으로부터 의류의 상품정보를 호스트부로 추출하는 단계;
    (ⅲ)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추출된 상기 의류의 상품정보를 지역별로 분리하고, 지역별로 분리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해당 지역에 위치한 모의 의류 착용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ⅳ) 의류의 이미지 및 판매정보가 포함된 상품정보가 모의 의류 착용장치의 수신부로 수집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의류의 상품정보를 제어부로 추출하고,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 1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
    (ⅴ)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의류의 상품정보를 확인하고,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의류를 선택하면, 카메라로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이미지를 제어부를 통해 합성하여 모의 착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ⅵ)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모의 착용 이미지를 제 2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모의 착용 이미지를 사용자 및 의류의 실제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부는 통신수단을 통해 의류의 상품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의류의 상품정보를 송신한 판매자의 단말기에 대금을 청구하고,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는 상기 호스트부에 상기 대금을 지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
KR1020090047947A 2009-06-01 2009-06-01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 KR101098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947A KR101098290B1 (ko) 2009-06-01 2009-06-01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947A KR101098290B1 (ko) 2009-06-01 2009-06-01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400A KR20100129400A (ko) 2010-12-09
KR101098290B1 true KR101098290B1 (ko) 2011-12-26

Family

ID=4350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947A KR101098290B1 (ko) 2009-06-01 2009-06-01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057B1 (ko) * 2014-06-24 2016-03-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케이스에 일회성으로 압축포장된 의류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44347B1 (ko) * 2017-11-09 2019-11-13 (주)코아시아 가상의류 피팅미러 장치를 이용한 의류 구매 시스템
WO2022065821A1 (ko) * 2020-09-22 2022-03-31 주식회사 스타일봇 보유 의류와 미 보유 의류를 구분하여 의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400A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6885B2 (ja) 検索システム、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133839B2 (en)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sharing an image of a virtual try-on scene
KR100956573B1 (ko) 선택된 상품을 갖는 소비자 모습 렌더링
US20140279289A1 (en)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for Virtual Dressing Room Visualization
KR101620938B1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GB2381352A (en) Fashion information server device and fash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20130027801A (ko)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스타일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21110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 smart fixture
KR100857178B1 (ko) 코디네이팅을 통한 상품 중개 시스템 및 그 중개방법
JP2006318113A (ja) トータルコーディネート販売システム
KR101098290B1 (ko) 모의 의류 착용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모의 의류 착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의류 착용서비스의 제공방법
KR101563617B1 (ko) 사용자의 인체모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34475B1 (ko) 가상 의류 착용 방법
KR20110125866A (ko) 증강현실을 통한 정보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10016378A (ko)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 의류 서비스 사업 방법 및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20130027800A (ko) 아이템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스타일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373266A (ja) ファッション商品のコーディネート販売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141322A (ko) 가상 피팅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00329A (ko) 온라인 의류쇼핑시스템
JP2003030496A (ja) ネットワーク上のコーディネート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2544595B1 (ko) 가상 공간과 실제 아이템을 판매하는 플랫폼을 연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46974B1 (ko) 실감형 메타버스 기반의 공간 관리 운영시스템
KR20190000130A (ko) 온라인 의류쇼핑시스템
JP2003041421A (ja) 試着システム、および通信販売システム
JP2006133981A (ja) アイテムコーディネート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情報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