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287B1 -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 - Google Patents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287B1
KR101098287B1 KR1020090059550A KR20090059550A KR101098287B1 KR 101098287 B1 KR101098287 B1 KR 101098287B1 KR 1020090059550 A KR1020090059550 A KR 1020090059550A KR 20090059550 A KR20090059550 A KR 20090059550A KR 101098287 B1 KR101098287 B1 KR 101098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ase
decorative
lifting
play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123A (ko
Inventor
안경모
Original Assignee
안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모 filed Critical 안경모
Priority to KR102009005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2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8Musical 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4Friction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단순한 놀이수단으로서의 이용범위를 넘어, 현대적 기술이 접목된 형태로서, 시,청각적인 효과를 통해 민속 문화를 간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회동유도구와, 케이스 수용부, 그리고 거치돌기를 형성한 팽이본체 ;
상기 케이스 수용부로 결합,설치되는, 장식물 수용케이스;
상기 캐릭턱 수용부로 내설 연결되는 캐릭터 승강장치;
상기 캐릭터 승강장치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캐릭터 장식물;
상기 팽이본체를 탈,부착 구조로 거치하는 받침케이스
상기 받침케이스로 내설되는 음향 입/출력장치로 구성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Multifunction Top}
본 발명은 팽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 놀이수단으로 이용되는 팽이를 장식적인 물품형태로 개선하고, 여기에 프로그램화된 음향 입/출력기능과, 다양한 형태의 입체 캐릭터 표출 기능 등을 부여되도록 하여, 고유의 전통 민속놀이를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팽이라 함은, 고유의 민속놀이기구의 일종으로서, 이는, 박달나무, 대속나무와 같이 무겁고 단단한 나무를 원뿔모양으로 절삭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이며, 이러한, 팽이는 주로 겨울철 얼음판 위에 올려놓고, 그 얼음판 위에 올려진 팽이의 몸통을 채로 쳐서 회전되게 하는 놀이 수단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사람, 동물, 건축물, 기하학 도형 등, 기타 다양한 형태의 형상적 이미지를 장식적 소품으로 축소화 시켜 제작한 일반적인 기념용도로서의 공예품, 여기서도 특히, 민속공예품이라 함은 자신들의 삶의 터전에서 이루어지는 생활의 풍습과 감정, 취미 및 기호 따위 등에 맞추어 제작한 실용적인 형태의 조형 예술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민속공예품은 크게 서민적 문화유산인 고(古) 민예품과, 고(古) 민예품의 장점을 현대생활에 연장,적응시킨 신작민예품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옛 장인(匠人)들이 땀과 혼을 담아 수공(手) 제작한 물건들을 고민예품으로 분류하여, 이를, 유산(遺産)적 가치와, 그에 따른 원형 보존, 그리고, 계승(繼承)적 차원에 중점을 두고 취급된 것이 일반적인 것이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상기한 고 민예품의 소박한 미(渼)가 많은 사람의 기호에 맞게 되자, 이러한 민속공예품은 일반, 대중화되어, 세계적으로 자신들의 전통문화 내지 풍습를 알리는 도구로서, 유행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현재 각 국가 또는 지방 차원에서, 그 지역 전통에 바탕을 둔 신작민예품이 양산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 서아시아의 도자기,염직물, 동,북유럽이나 러시아의 목공품, 서유럽의 금속공예품, 남유럽의 피혁제품 등에서 그 뿌리깊은 민속의 전통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수많은 분야의 신작민예품에 있어서, 특히, 국,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 내지 풍습 등을 알리기 위해 제작, 판매되는 장식용 공예품, 즉, 관광기념품의 일반적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통상, 문화적 호기심을 시각적으로 가장 효과 있게 충족시킬 수 있는 형태로서, 신분에 따라 전통 의복을 차려입고, 다양한 모습의 장식적 포즈를 취하고 있는 각종 인형, 혹은, 각종 전통악기 내지 전통 생활도구 등을 장식적인 물품형태로 소형화하여, 미니어처(Mminiature)로 제작한 기념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축소된 모형 구조를 이루는 전통공예품(기념품)으로서의 인형 내지 각종 미니어처(Mminiature) 등의 기념품은, 단순한 고정식 장식물에 불과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에게 방문국가 내지 방문지역을 추억할 수 있는 기념적 기능과, 기타, 시각적인 호기심을 만족시키는 기능을 행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와 같은 단순 추억 및 시각적 측면의 장식기능 이외에는, 별도의 부가적 기능은 전혀 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이에, 사용자에게 쉽게 식상 함을 갖게 하는 것이었으며, 특히, 그 미니어처(Mminiature) 기념품이, 사용용도를 쉽게 파악할 수 없는 전통악기 내지 생활도구 등의 장식물일 경우에 있어서는, 일부, 사용자(외국인 등)들에게 그 기념품의 용도에 대한 의아심만을 자아내게 할 뿐, 그 물품의 사용용도 내지 기능 등에 관하여는 결코 설명할 수 없는, 제한적인 취급상의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식적 기념물품으로 이용되는 종래 공예기념품의 제한적 기능과 활용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놀이기능과, 장식기능을 병행할수 있도록, 팽이의 구조를 개선하고, 이와 같이, 개선된, 팽이에 자동 회전제어기능과, 음향 입/출력기능, 입체 캐릭터 표출기능 등을 더 접목되게 하여, 단순한 놀이수단으로 뿐만 아니라, 현대적 기술이 접목된 형태로서, 시,청각적인 효과를 통해 민속 문화를 간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팽이본체의 회전작용에 따라 표출되는 캐릭터 장식물을 선택적으로 교환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팽이를 이용한 장식물의 주제를 사용자 임의에 따라 변경가능하게 함으로서, 활용성을 증대되도록 하고, 특히, 이와 같은, 캐릭터 장식물의 선택적 교환기능에 따라, 우리의 민속고유의 문화를 그 교환되는 캐릭터 인형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간접 체험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호기심을 만족시키고, 사용기능 또한 극대화 시킬수 있도록 한,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회동유도구와, 케이스 수용부, 그리고 거치돌기를 형성한 팽이본체 ;
상기 케이스 수용부로 결합,설치되는, 장식물 수용케이스;
상기 캐릭턱 수용부로 내설 연결되는 캐릭터 승강장치;
상기 캐릭터 승강장치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캐릭터 장식물;
상기 팽이본체를 탈,부착 구조로 거치하는 받침케이스
상기 받침케이스로 내설되는 음향 입/출력장치로 구성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는, 팽이 고유의 놀이기능에, 새로운 형태의 장식기능을 더 병행되게 하여, 단순한 놀이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현대적 기술이 접목된 형태로서, 시,청각적인 효과를 통해 민속 문화를 간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팽이본체로 결합되는 캐릭터 장식물을 선택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하여, 활용성을 증대되도록 하고, 아울러, 그러한, 캐릭터 장식물을 통해 우리의 민속문화를 간접 체험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호기심 또한 증대되게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분해사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결합, 작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요부 작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그 일련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팽이본체(1)와, 장식물 수용케이스(2)와, 캐릭터 승장장치(3)와, 캐릭터 장식물(4)과, 받침케이스(5)와, 음향 입/출력장치(6)와, 보조마감부재(7)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팽이본체(1)는, 나무를 절삭 가공하여, 제작한, 종래 전통 팽이와 그 외형적 구조가 동일한 형태를 취하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팽이본체(1)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1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본체(1)의 상부 외측 둘레에, 결착홈(111)이 구비된 회동유도구(베어링)(11)를 결합, 형성시키고, 팽이본체(1)의 내측 중앙부에, 상부면이 개방된 소정깊이의 케이스 수용부(12)를 형성시키며, 재차, 상기 팽이본체(1)의 하부면 내측둘레에, 다수개의 광반사체(13)를 결합시키고, 상기 팽이본체(1) 하부면 중앙에 소정길이로 돌출된 거치돌기(14)를 일체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팽이본체(1)에 있어, 상기 케이스 수용부(12)는, 그 내측 하부면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체결공(121)을 더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식물 수용케이스(2)는, 전술한 팽이본체(1)의 케이스 수용 부(12)로 탈,부착 결합되며, 후술하는 캐릭터 장식물(4)을 수용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장식물 수용케이스(2)는, 그 내측 중앙부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11)가 구비된 캐릭터 수용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캐릭터 수용부(21) 상부면에, 선택적으로 열림 및 닫힘되는 개폐셔터(22)를 더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장식물 수용케이스(2)에 있어, 상기 개폐셔터(22)는 일반적인 카메라 렌즈의 셔터 개방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이는, 도 3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둘레에 다수개의 구동돌기(D)가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된 회동기어판(221)과, 상기 회동기어판(221) 상부면의 각 구동돌기와 결합되는 형태로서, 나선회동작용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는 슬라이딩 유도홈(H)이 구비된 다수개의 단속날개(222), 그리고, 상기 회동기어판(221)에 동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축(223)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캐릭터 승강장치(3)는, 전술한 장식물 수용케이스(2)의 캐릭터 수용부(21)로 내설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이에, 이러한, 캐릭터 승강장치(3)는,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캐릭터 결합구(311)가 구비된 원판형 구조의 승강판(31)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판(31) 하부면 중앙에,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링크(321)와, 회동로드(322), 그리고, 승강축(323)으로 이루어진 링크조합체(32)를 힌지구조로 더 연결시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캐릭터 승장장치(3)에 있어, 상기 승강링크(321)는,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은 2절 링크구조로서, 그 상부측이 승강판과 수직연결되는 소정길이 의 랙기어(L)로 형성되고, 그 렉기어에 피니언기어(P)를 치합시킨 구조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캐릭터 장식물(4)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정 제작되는 구성으로서, 이와 같은, 캐릭터 장식물(4)은, 사물놀이, 농악놀이, 전통악기연주, 제기차기, 전통무용 등, 우리 민족고유의 놀이문화를 표현하는 다양한 형태의 모습을, 역동성(力動性)을 갖는 캐릭터 인형으로 형상화하여, 이들을, 장식적 물품 형태를 취하는 입체 미니어처(Mminiature)로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러한, 형태의 캐릭터 장식물 저면부에는, 요홈구조의 장착홈(도시생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케이스(5)는, 전술한 팽이본체(1)를 장식물 형태로 거치되게 하고, 아울러, 실질적인 사용관계로서, 팽이본체(1)를 지면에서 회전작용 되도록 하는 구성인바, 이에, 이와 같은, 받침케이스(5)는, 그 상부면 중앙에, 도 1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511)과, 거치홈(512)을 구비한 외접기어 형태의 회동유도부재(51)가 결합, 형성되고, 받침케이스(5) 내측 일면에, 상기 회동유도부재(51)와 치합 형태를 이루며, 그 치합된 회동유도부재(51)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하는 동력모터(52)를 내설하며, 재차, 상기 회동유도부재(51) 하부면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안내 보조축(531)과, 캠(532), 그리고 구동모터(533)로 이루어진 승강구동장치(53)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케이스(3) 하부면에 한쌍의 탄성스프링(541)과, 한쌍의 탈,착 조절레버(542)가 구비된 요홈구조의 팽이결착홈(54)을 더 형성토록 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 부호 G는 구동기어, S는 힌지스프링, B는 제어기판, C는 작동제어 스위치)
이때, 상기 받침케이스(5)에 있어서, 동력모터(52)는 도 3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타측면에 베벨기어(521)가 결합된 보조구동축(522)을 더 형성하고, 상기 보조구동축(522)의 베벨기어(521)와 치합되는 또 다른 형태의 동력전달 수단으로서, 마찰로울러(551)가 구비된 회전제어 유닛(55)을 더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향 입/출력장치(6 )는, 각종 단자(LED, OSC, Vcc, Vss, AUDIO, PA 1, PA2 ,PA3 등)와 트랜지스터(T) 등을 구비한 통상의 컨트롤보드(61)와, 스피커(62)로 이루어지는 구성인바, 이에 이와 같은 음향 입/출력장치(6)는, 우리 고유의 민속음악 내지 기타 다양한 형태의 민속악기 등의 원음을 프로그램화 하여 저장시킨, 통상의 음원 저장칩(도시생략)을 더 장착 구성한다.
이때, 상기 음원 저장칩의 출력방식은 음원 저장칩 생산업체에서 지원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그 방식이 결정되는 것이며, 그 저장되는 음향 또한 민속음악 내지 민속악기 소리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필요에 따라 각종 음향들을 장르에 구애받음 없이 선택적으로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끝으로, 상기 보조 마감부재(7)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를 단순한 장식수단으로서의 사용범위를 넘어, 실질적, 놀이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한 보조구성인바, 이에, 이와 같은, 보조 마감부재(7)는, 도 5 내지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 구조로서, 그 상부면에, 손잡이(711)가 구비된 탈,부착 구조의 캡(71)을 형성하고, 하부면 중앙에 소정길이 돌출된 수나사 구조의 체결돌기(72)를 형성하며, 재차 그 내부에, 건전지(731)와, 보조음원 저장칩(732)과, 복수개의 보조스피커(733), 그리고, 소정길이의 탄성 접지축(734)으로 이루어진 보조음향 제어장치(73)를 내설되게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 부호 74는 접지단자, 735는 탄성 접지스프링)
이때, 상기 보조음원 저장칩(732)은 우리 고유의 민속음악 내지 기타 다양한 형태의 민속악기 등의 원음을 프로그램화 하여 저장시킨, 통상의 음원 저장칩, 즉, 전술한, 음향 입/출력 장치(6)로 구비된 음원칩과 상이함이 없는 동일 구성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이는, 도 1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본체(1)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팽이본체(1)의 케이스 수용부에, 캐릭터 승강장치(3)와, 장식물 수용케이스(2)를 순차적으로 내설시키고, 상기 내설된 캐릭터 승강장치(3)의 승강판(31) 상부면에 캐릭터 장식물(4)을 장착, 고정시키며, 재차, 이와 같이, 구성된 팽이본체(1) 하부면의 거치돌기(14)를,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케이스(5)의 상부면, 즉, 회동유도부재(51)의 거치홈(512)에 억지끼움 형태로, 삽입, 거치되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결합관계에 있어, 팽이본체(1)가 받침케이스(5) 상부면으로 거치될 경우, 캐릭터 승강장치(3)의 승강축(323)과, 승강구동장치(53)의 승강안 내 보조축(531)은,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구조로 축 연결되는 것이며, 아울러, 음향 입/출력장치(6)는, 일반적인 공지의 구성으로서, 이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케이스(5)의 내측 일면 임의의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이와 같은, 결합관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받침케이스(5)에 구비된 제어기판(B)의 작동제어 스위치(C)를 터치하여, 동력모터(52)와, 구동모터(533)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동력모터(52)에 의해, 팽이본체(1)는 회전작용을 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모터(533)는 캐릭터 승강장치(3)에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은, 승,하강 동력을 전달하여, 팽이본체(1)에 수용된 캐릭터 장식물(4)을, 개폐셔터(22)를 통해 외부로, 노출, 및 수용시키는 동작을 반복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캐릭터 장식물(4)의 승,하강 작용에 따른 개폐셔터(22)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이는, 도 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링크(321)가 상,하 이동작용을 행할 경우, 그 승강링크(321)에 있어, 렉기어(L)에 치합된 피니언기어(P)는, 정,역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그 동력을 구동벨트(V) 연결에 의해 베벨기어축(223)으로 전달하게 되고, 이에, 베벨기어축(223)은, 상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동기어판(331)을 정,역 회전시키며, 다수개의 단속날개(222)를 통상의 카메라 셔터와 같은 원리로서, 슬라이딩 개폐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팽이본체(1)가 회전되고, 캐릭터 장식물(4)이 승,하강 작동됨에 있어, 받침케이스(5) 내부로 설치된 음향 입/출력장치(6)로 부터는 멜로디가 출력되며, 외형적 심미감과 음향적 효과로서, 장식기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 다.
한편, 또 다른 사용관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팽이를 놀이수단으로 이용하고자 함에 있어서는, 도 5 내지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본체(1)로 부터 장식물 수용케이스(2)와 캐릭터 승장장치(3)를 분리한 후, 상기 구성(장식물 수용케이스, 캐릭터 승장장치)이 분리된 팽이본체(1)의 케이스 수용부(12)에 보조 마감부재(7)를 교환구조로, 설치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보조 마감부재(7)가 교환, 결합될 경우, 팽이본체(1)의 하부면 중앙으로는, 탄성 접지축(734)이 소정길이 노출된 형태로서, 팽이본체(1)의 중심 회전축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이와 같이, 보조 마감부재(7)가 결합된 팽이본체(1)를,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조절레버(542)를 이용하여, 받침케이스(5)의 저면 팽이결착홈(54)에, 결합시킨 상태하에, 동력모터(52)를 작동시키게 되면, 보조구동축(522)에 의해, 그 동력이 회전제어 유닛(55)으로 전달되어, 마찰로울러(551)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회전되는 마찰로울러(551)는 팽이결착홈(54)으로 결합된 팽이본체(1)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서, 그 팽이본체(1)를 마찰력에 의해 공회전 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팽이본체(1)가 팽이결착홈(54)에 결합되어, 공회전하고 있는 상태하에, 탈,착조절레버(542)를 누름되게 하여, 그 결합력을 해제시키게 되면, 공회전 되는 팽이본체(1)는 지면으로 낙하하여, 상기 탄성 접지축(734)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작용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 접지축(734)은, 회전되는 팽이본체(1)의 하중에 의해, 보조 마감부재(7)로 내설된 보조음향 제어장치(73)의 접지단자(74)를 탄성접지되게 하여, 보조스피커(733)를 통해 음향을 출력되게 하는 것이며, 팽이본체(1)의 회전력이 소진되어, 그 팽이본체(1)가 지면에 넘어질 경우, 상기 탄성 접지축(734)은 탄성복원 작용에 의해 접지력이 해제되며, 자동으로 보조 마감부재(7)의 음향 출력작용을 차단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결합, 작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요부 작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팽이본체 2 : 장식물 수용케이스 3 : 케릭터 승장장치
4 : 케릭터 장식물 5 : 받침케이스 6 : 음향 입/출력장치
7 : 보조 마감부재 11 : 회동유도구 12 : 케이스 수용부
14 : 거치돌기 21 : 케릭터 수용부 22 : 개폐셔터
31 : 승강판 32 : 링크조합체 51 : 회동유도부재
52 : 동력모터 53 : 승강구동장치 54 : 팽이결착홈
55 : 회전제어유닛 71 : 캡 72 : 체결돌기

Claims (5)

  1. 상부 외측면에 탈,착홈이 구비된 회동유도구(11)가 결합되고, 내측 중앙부에 케이스 수용부(12)가 형성되며, 저면 중앙에 거치돌기(14)가 일체로 형성된 팽이본체(1) ;
    상기 케이스 수용부(12)로 결합,설치되는, 캐릭터 수용부(21)와, 개폐셔터(22)를 구비한 장식물 수용케이스(2);
    상기 캐릭터 수용부(21)로 내설 연결되는 캐릭터 승강장치(3);
    상기 캐릭터 승강장치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캐릭터 장식물(4);
    상기 팽이본체(1)를 탈,부착 구조로 거치하는 받침케이스(5);
    상기 받침케이스(5)로 내설되는 음향 입/출력장치(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본체(1)는, 케이스 수용부(12) 내측 하부면에 나사체결공(121)을 더 구비하고;
    상기 나사체결공(121)이 구비된 케이스 수용부(12)에, 캡(71)과, 체결돌기(72), 그리고, 보조 음향제어장치(73)와, 탄성 접지축(734)이 연계 구성된, 보조 마감부재(7)를 교환구조로, 설치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승강장치(3)는, 캐릭터 장식물(4)이 탈,부착 결합되는 승강판(31)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판(31) 하부면 중앙에 승강링크(321)와, 회동로드(322), 그리고, 승강축(323)으로 이루어진 링크조합체(32)를 더 연결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케이스(5)는, 그 상부면 중앙에 베어링(511)과, 거치홈(512)이 구비된 회동유도부재(51)를 형성하고;
    상기 회동유도부재(51)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도록, 받침케이스(5) 내측 일면에 동력모터(52)를 내설하며;
    상기 회동유도부재(51) 하부면에 승강안내 보조축(531)과,캠(532), 그리고, 구동모터(533)로 이루어진 승강구동장치(53)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케이스(5) 하부면에 한쌍의 탄성스프링(541)과, 한쌍의 탈,착 조절레버(542)가 구비된 요홈구조의 팽이결착홈(54)을 더 형성토록 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모터(52)는, 그 타측면에 베벨기어(521)가 결합된 보조구동축(522)을 더 형성하고;
    상기 보조구동축(522)의 베벨기어(521)와 치합되는 동력전달 수단으로, 마찰로울러(551)가 구비된 회전제어 유닛(55)을 더 형성토록 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
KR1020090059550A 2009-07-01 2009-07-01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 KR101098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550A KR101098287B1 (ko) 2009-07-01 2009-07-01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550A KR101098287B1 (ko) 2009-07-01 2009-07-01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23A KR20110002123A (ko) 2011-01-07
KR101098287B1 true KR101098287B1 (ko) 2011-12-26

Family

ID=4361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550A KR101098287B1 (ko) 2009-07-01 2009-07-01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10B1 (ko) * 2015-04-24 2017-01-18 주식회사 로보로보 완구용 팽이로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703Y1 (ko) 2002-12-25 2003-07-23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라 팽이 완구
JP2003265867A (ja) 2002-01-11 2003-09-24 Masayoshi Suyama こまを回す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867A (ja) 2002-01-11 2003-09-24 Masayoshi Suyama こまを回す装置
KR200320703Y1 (ko) 2002-12-25 2003-07-23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라 팽이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23A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894B2 (en) Toy with sound-activated motion
US20060135034A1 (en) Robot-like electronic device
KR101098287B1 (ko) 장식 문화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팽이
US20180311590A1 (en) Clicking Mechanism Toys
CN202818544U (zh) 变音麦克风结构
JP3205633U (ja) 組み立て式フレーム構造
US11794125B2 (en) Handheld illusion device
CN204093028U (zh) 玩具学习机
KR101059015B1 (ko) 음향 및 영상 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기념품
US6386940B1 (en) Motion toy transmission mechanism
KR200401676Y1 (ko) 치과놀이용 완구
WO2020232567A1 (zh) 一种带液体旋转的音箱设备
JP3018898U (ja) 装飾具収納装置
US9403101B2 (en) Multiple activity toy
CN205832634U (zh) 电动音乐玩具
WO2019077765A1 (ja) 乳幼児用回転観賞玩具
CN204840963U (zh) 皮影戏道具箱盒体结构
CN217280007U (zh) 一种按键驱动式活动座以及音乐盒
JP3137861U (ja) オルゴール装置
JP2006141965A (ja) コレクタ−ズテ−ブル
CN209392734U (zh) 一种八音琴不倒翁玩具
Joensson Iconic Product Design: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 World's Most Innovative Devices
US7861664B2 (en) Toy door knocker, and construction and educational kits including a door knocker
Jamieson et al. Australia wide
CN204619377U (zh) 玩具风扇学习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