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052B1 - 승강기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052B1
KR101098052B1 KR1020100027340A KR20100027340A KR101098052B1 KR 101098052 B1 KR101098052 B1 KR 101098052B1 KR 1020100027340 A KR1020100027340 A KR 1020100027340A KR 20100027340 A KR20100027340 A KR 20100027340A KR 101098052 B1 KR101098052 B1 KR 101098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elevator
floor number
flo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059A (ko
Inventor
이종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10002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0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조작 장치는 복수의 층번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층번호를 다른 층번호와 구별하여 표시하는 층번호 표시부, 입력시마다 상기 선택된 층번호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제1 버튼, 입력시마다 상기 선택된 층번호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2 버튼 및 입력에 의해 상기 선택된 층번호를 운행층으로 확정하는 확인 버튼을 포함함으로써, 적은 공간에, 저비용으로, 미려하게 승강기 조작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기 조작 장치{ELEVATOR OP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기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3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운행층을 선택할 수 있는 승강기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시장의 추세는 다른 여러 사용자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와 마찬가지로 상품의 실용성과 효율성뿐만 아니라 감각적인 아름다움과 공간적인 조화를 추구하는 디자인의 가치에 대한 평가를 중요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제조사들은 엘리베이터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승강기 내부 구성 요소에 대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그 중 한가지 방안이 승강기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기 조작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승강기 조작반에 사용되던 기계적인 텍트 스위치(Tact Switch), 멤브레인(얇은 막) 접촉 스위치 등을 이용한 투박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승강기 조작반을 대체하고자 터치 센서 스위치 기술을 적용한 승강기 조작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강기 조작반을 개선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품질의 신뢰성과 기능적인 효율성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승강기 내부의 사용 환경에서 보다 향상된 감각적인 아름다움과 공간적인 조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승강기 조작반은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설비되며, 이때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승강기 도어가 설비되는 승강기 내부 벽면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한곳이다.
그러나, 승강기 사용자가 많을 경우 승강기 안쪽에 위치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가로막힌 승강기 조작반에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승강기 안쪽에 위치한 사용자는 승강기 조작반에 인접한 다른 사용자에게 목적층을 입력해 줄 것을 부탁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형태는 승강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승강기 안쪽이나 측면에도 승강기 조작반을 구비할 수 있으나, 목적층을 나타내는 복수의 버튼이 복수로 설비됨으로써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또한 감각적인 아름다움과 공간적인 조화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 조작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승강기 조작반(10)은 층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층번호 버튼(11), 승강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버튼(13), 긴급시 이용하는 긴급 버튼(15), 긴급 버튼 입력시 구동되는 마이크 겸 스피커(17), 층번호 버튼 입력에 의해 선택된 층번호를 나타내는 운용 디스플레이(19)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승강기 조작반은 0 ~ 9의 층번호 버튼이 구비된 텐키 입력 방식의 승강기 조작반으로 층번호 버튼의 조합을 표시하기 위한 운용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입력 방식의 승강기 조작반에서는 선택된 층번호 버튼을 발광시키는 등의 방식을 통해 선택된 층번호가 표시되므로 운용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승강기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조작반(10)은 승강기 도어가 설비된 내부 벽면의 좌우측에 설비되고, 장애인을 위해서 측면 벽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승강기 도어 측보다 낮은 위치에 설비된다. 각각의 승강기 조작반은 통신선(20)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어느 승강기 조작반을 이용하더라도 사용자의 입력을 승강기내 제어반에 전달하게 된다. 승강기내 제어반은 사용자의 입력을 컨트롤 박스에 설비되는 주 제어반에 전송하고 주 제어반은 전송받은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게 된다.
승강기 내부에 승강기 조작반이 많이 설비될수록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이와 같이 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설치에 필요한 공간(면적)이 크고 승강기 내부 벽면과 조화롭지 못한 각종 버튼의 배열로 인하여 미관을 훼손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비용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설치 공간이 큼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많을 경우 원하지 않게 각종 버튼이 입력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용상으로도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승강기 내부에는 한정된 개수의 승강기 조작반이 설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강기 사용자가 많을 경우(탑승자가 많을 경우) 승강기 안쪽의 사용자는 승강기 조작반을 입력하기 어렵다.
또한, 승강기 조작반 자체가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주변 승강기 내부 벽면과 어울리지 않는 각종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터치 센서 입력 방식을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감각적인 아름다움과 공간적인 조화의 효과를 크게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층번호 버튼만을 분리하여 보조 승강기 조작반을 구성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은 3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층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승강기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조작 장치는 복수의 층번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층번호를 다른 층번호와 구별하여 표시하는 층번호 표시부, 입력시마다 상기 선택된 층번호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제1 버튼, 입력시마다 상기 선택된 층번호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2 버튼 및 입력에 의해 상기 선택된 층번호를 운행층으로 확정하는 확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의 외곽에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보다 돌출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승강기 내부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상기 승강기 내부 벽면의 폭 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승강기 도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상기 승강기 내부 벽면의 둘레 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기 내부 벽면에 설비되는 광고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상기 광고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고판의 폭 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접착이 가능한 패드형 버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 각각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승강기내 제어반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하나의 패드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의 입력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승강기내 제어반으로 전송하는 통합 무선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조작 장치는 3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층번호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승강기 조작반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승강기 내부 벽면과 어울리는 미적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버튼을 승강기 내부 벽면 여러 곳에 복수로 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경우 미관을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승강기 내 어느 위치에서라도 사용자가 층번호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 조작반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승강기 조작반 설비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에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에서 층번호 표시부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에서 외곽에 가이드가 형성된 제1 버튼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에서 각 버튼의 연장 범위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에서 각 버튼의 연장 범위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승강기 조작 장치는 복수의 층번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층번호를 다른 층번호와 구별하여 표시하는 층번호 표시부(110), 입력시마다 상기 선택된 층번호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제1 버튼(130), 입력시마다 상기 선택된 층번호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2 버튼(150) 및 입력에 의해 상기 선택된 층번호를 운행층으로 확정하는 확인 버튼(170)을 포함하고 있다.
층번호 표시부(110)는 층번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요소이다. 이때 층번호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층번호는 일 시점에서 하나일 수도 있으며 복수일 수도 있다. 일 시점에서 하나의 층번호를 표시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층번호가 표시되지 않음으로써 표시 중인 층번호가 선택된 층번호임을 바로 알 수 있다.
일 시점에 복수의 층번호를 표시할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선택된 층번호를 발광시킨다던지 점멸시킨다던지 하는 표시 방식을 통해 다른 층번호와 선택된 층번호를 구별하여야 한다.
층번호 표시부는 LED, 8-세그먼트, TFT, 층번호가 인쇄된 발광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버튼(130)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시마다 선택된 층번호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현재 선택된 층번호가 5(5층)인 경우, 제1 버튼이 입력되면 선택된 층번호는 한단계 증가한 6이 된다. 도 5와 같이 층번호 표시부가 층번호가 인쇄된 발광체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에는 5의 발광이 중지되고 5보다 한단계 증가한 6이 발광하게 된다.
제2 버튼(150)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시마다 선택된 층번호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킨다. 제1 버튼과 반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로 도 4에서와 같이 선택된 층번호가 5인 경우, 제2 버튼이 입력되면 선택된 층번호는 한단계 감소한 4가 된다.
확인 버튼(170)은 입력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층번호를 운행층으로 확정(운행 예약)하게 된다. 현재 선택되어 있는 층번호는 제1 버튼 또는 제2 버튼에 의하여 선택된 층일 수 있다.
제1 버튼과 제2 버튼은 사용자가 운행하기를 원하는 층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것인데, 제1 버튼과 제2 버튼에 의해 원하는 층번호가 선택되어졌다 하더라도 운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무의미하다. 이와 같이 제1 버튼과 제2 버튼에 의해 선택된 층번호를 운행층으로 확정하는데 확인 버튼이 이용된다.
이상에 따르면 단 3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층번호를 선택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층번호 표시부는 앞의 도 1에서 살펴본 운용 디스플레이(19)와 같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3개의 버튼(제1 버튼, 제2 버튼, 확인 버튼)은 설치 면적이 작아 승강기 내벽면 어디라도 내벽면과 어울리게 설비가 가능하다. 이는 3개의 버튼을 일종의 내벽면 장식재처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적은 수의 버튼을 이용해 저비용으로 또한 주위 미관을 해치지 않게 복수로 설비가 가능해지는데, 이때 탑승한 사용자가 원하지 않게 3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는 경우를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3개의 버튼은 가이드(19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의 가이드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 및 확인 버튼의 외곽에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보다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3개의 버튼을 신체로 압박한다 하더라도 가이드에 의해 버튼은 입력되지 않게 된다.
제1 버튼과 제2 버튼 및 확인 버튼의 배치 위치 및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다만 사용자가 층번호를 선택하기 위함을 인지할 수 있는 거리 내에 3개의 버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각 버튼이 동일한 폭을 가질 경우 각 버튼 간의 거리는 상기 폭 이내의 범위일 수 있다.
설치 위치를 살펴보면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승강기 내부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버튼이 상향, 제2 버튼이 하향의 의미를 포함하므로, 제2 버튼은 제1 버튼의 하부에 형성하는 것이 사용상 바람직하다. 확인 버튼은 선택된 층번호의 확정/예약을 나타내는데 이는 다시 말해 제1 버튼과 제2 버튼의 입력을 종료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버튼과 제2 버튼 및 확인 버튼을 승강기 내부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순서는 상관 없음)한 경우 각 버튼을 좌우 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때의 연장 범위는 도 10에서와 같이 승강기 내부 벽면의 폭 범위 내이다. 근래 미적 외관을 중시하여 승강기 본체가 육면체가 아닌 경우가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승강기 본체가 원통형과 같이 구성되어 승강기 내부 벽면의 폭 범위를 결정짓기 곤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도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상기 승강기 내부 벽면의 둘레 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정리하면 3개의 버튼을 승강기 내부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한 경우 각 버튼을 좌우 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강기 내 어느 위치에서라도 3개의 버튼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3개의 버튼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경우 승강기 내부 벽면의 장식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미적 외관을 훼손하지 않게 된다.
또한, 3개의 버튼만으로 승강기 조작반을 형성할 경우 건물에 따라서 바람직하지 못할 수도 있다. 특히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운행층을 선택하기 위해 제1 버튼 또는 제2 버튼을 무수히 반복하여 입력하여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3개의 버튼과 층번호 표시부로 이루어진 승강기 조작 장치는 기존의 승강기 조작반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도 11에서 승강기 도어 좌우측에 설비된 승강기 조작반은 기존의 승강기 조작반일 수 있다.
승강기 내부 벽면에 광고판이 설비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상기 광고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고판의 폭 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3개의 버튼이 광고판의 일부인 것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접착이 가능한 패드형 버튼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설비된 승강기에도 3개의 버튼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가 좌우로 연장된 형태의 패드형 버튼으로 구성된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승강기 조작 장치는 제1 버튼(130), 제2 버튼(150), 확인 버튼(170)이 각각 분리되어 상하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버튼의 외곽에는 각각의 버튼보다 돌출된 가이드(190)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버튼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 버튼에는 승강기내 제어반에 연결되는 연결 배선(160)이 구비되어야 한다. 연결 배선은 도면에서와 같이 각 버튼의 측면으로 돌출될 수도 있으나, 미관을 해치게 되므로 패드형 버튼의 부착면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3개의 버튼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3개의 버튼이 도 8에서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체로 형성할 경우 각 버튼의 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며 승강기 조작반에 연결되는 연결 배선(160)은 하나만 있으면 족하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가 좌우로 연장된 형태의 패드형 버튼으로 구성된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승강기 조작 장치는 제1 버튼(230), 제2 버튼(250), 확인 버튼(270)이 상하로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버튼에는 무선 송신부(28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각 버튼의 외곽에는 가이드(290)가 형성되어 있다. 일체로 이루어진 패드형 버튼에서 안쪽 두개의 가이드(제1 버튼과 제2 버튼 사이의 가이드, 제2 버튼과 확인 버튼 사이의 가이드)는 서로 다른 버튼에 공유된다.
무선 송신부(28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승강기내 제어반으로 전송하는 요소이다. 각각의 버튼을 패드형 버튼으로 하는 것은 승강기 내부에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조작 장치를 용이하게 설비하도록 하기 위함인데, 연결 배선을 이용하여 승강기내 제어반에 연결할 경우 승강기 내부 벽면을 가공하고 또한 연결 배선을 승강기내 제어반에 연결시키는 복잡한 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각 버튼의 입력을 승강기내 제어반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280)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이를 위해서 승강기내 제어반은 상기 무선 송신부의 송신 데이터를 전송받는 승강기내 무선 수신부가 구비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각 버튼은 도 7의 연결 배선이 필요치 않으며, 또한 승강기 내부 벽면에 연결 배선을 위한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무선 송신부를 각각의 버튼에 설비하는 것은 3개의 버튼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물론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도 각각의 버튼에 무선 송신부를 설비하여도 무방하나, 일체로 형성된 패드에는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의 입력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승강기내 제어반으로 전송하는 통합 무선 송신부가 하나만 설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9에는 승강기 조작 장치뿐만 아니라 승강기 조작 장치의 동작에 관여하는 승강기내 제어반과 주제어반까지 함께 나타내었다.
승강기 조작 장치에서 층번호 표시부(110)는 승강기내 제어반의 승강기내 제어부(120)에 대해 출력 수단이 되며, 제1 버튼(130), 제2 버튼(150), 확인 버튼(170)은 입력 수단이 된다. 제1 버튼과 제2 버튼 및 확인 버튼을 기설비된 승강기에 설비할 경우 패드형 버튼으로 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층번호 표시부는 기설비된 승강기 조작반(310)의 운용 디스플레이부와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패드형 버튼일 경우 제1 버튼(230), 제2 버튼(250), 확인 버튼(270)의 입력은 버튼 제어부(220)에서 감지되어 무선 송신부(280)/통합 무선 송신부를 통해 승강기내 제어반으로 전송된다. 승강기내 제어반에는 무선 송신부(280)/통합 무선 송신부와 대응되는 승강기내 무선 수신부(180)가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입력을 전송받아 승강기내 제어부로 전송하고 승강기내 제어부는 승강기내 통신부(140)를 통해 CP에 위치한 주제어반(330)의 CP 통신부로(331) 제1 버튼, 제2 버튼, 확인 버튼의 입력을 전송한다. 참고로, 무선 송신부/통합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승강기 조작 장치의 경우 승강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연결 배선이 없으므로 자체적으로 전원을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적어도 버튼 제어부와 무선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40)를 포함하여야 한다. 상기 전송된 입력은 주제어부(333)에서 처리되며, 처리 결과는 다시 CP 통신부, 승강기내 통신부를 거쳐 승강기내 제어부로 전송되어 층번호 표시부 또는 승강기 조작반에 포함된 운용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많은 사용자를 탑승시킬 수 있는 대용량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내부 외관이 미려한 고급형 승강기에 적용할 경우에 유리하다.
110...층번호 표시부 130, 230...제1 버튼
150, 250...제2 버튼 170, 270...확인 버튼
190...가이드 160...연결 배선
280...무선 송신부 220...버튼 제어부
240...전원 공급부 180...승강기내 무선 수신부
120...승강기내 제어부 140...승강기내 통신부
330...주제어반 331...CP 통신부
333...주 제어부 310...승강기 조작반

Claims (9)

  1. 복수의 층번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층번호를 다른 층번호와 구별하여 표시하는 층번호 표시부;
    입력시마다 상기 선택된 층번호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제1 버튼;
    입력시마다 상기 선택된 층번호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2 버튼;
    입력에 의해 상기 선택된 층번호를 운행층으로 확정하는 확인 버튼; 및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의 외곽에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보다 돌출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승강기 내부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승강기 내부 벽면에 설비되는 광고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상기 광고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고판의 폭 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접착이 가능한 패드형 버튼이며,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은 하나의 패드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확인 버튼의 입력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승강기내 제어반으로 전송하는 통합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승강기 조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027340A 2010-03-26 2010-03-26 승강기 조작 장치 KR101098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40A KR101098052B1 (ko) 2010-03-26 2010-03-26 승강기 조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40A KR101098052B1 (ko) 2010-03-26 2010-03-26 승강기 조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059A KR20110108059A (ko) 2011-10-05
KR101098052B1 true KR101098052B1 (ko) 2011-12-26

Family

ID=4502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340A KR101098052B1 (ko) 2010-03-26 2010-03-26 승강기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2125A (zh) * 2012-09-27 2013-03-27 无锡莱吉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面板
US10303744B2 (en) * 2017-04-24 2019-05-28 Thyssenkrupp Elevator Ag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configuring content of elevator destination dispatch kiosk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3576A (ja) * 1998-09-29 2000-04-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運転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3576A (ja) * 1998-09-29 2000-04-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運転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059A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7773B2 (en) Haptic system: recline activation control
FI121010B (fi) Kutsupaneeli
US8763762B2 (en) Call inpu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CN103803364B (zh) 方法、装置和电梯系统
CA2823109C (en) Method of modernising a lift installation
KR100712719B1 (ko) 엘리베이터의 lcd 운전반
US20040244103A1 (en) Control panel and control system for a spa
CN107285150A (zh) 一种外置式电梯按键装置及其控制方法
CN111727163B (zh) 用于具有目标呼叫控制器的电梯设备的成本低廉的电梯伺服装置
KR101098052B1 (ko) 승강기 조작 장치
CN207108155U (zh) 一种外置式电梯按键装置
CN114127001B (zh) 用于行驶方向呼叫的触敏的电梯操纵装置
CN114269671B (zh) 用于具有触敏的屏幕系统的电梯操纵装置的运行方法
KR200457304Y1 (ko)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스위치 장치
EP2646360A1 (en) Elevator system with emergency operation and backup power supply at the same location as the elevator drive
US20220127112A1 (en) Elevator system with touchless elevator call entry
KR101293034B1 (ko)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
US2011010234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ablet personal computer
KR100901727B1 (ko) 리모콘방식 엘리베이터
CN113365934A (zh) 具有用于身体受限的乘客的电梯操作装置的电梯设备
US20240025698A1 (en) Elevator system having elevator operating devices for passengers with limited mobility
CN220376034U (zh) 一种带进度条的电梯按钮
CN103413713A (zh) 薄型化发光键盘
KR101224765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CN201515561U (zh) 一种电器控制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