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935B1 -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 - Google Patents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935B1
KR101097935B1 KR1020110098173A KR20110098173A KR101097935B1 KR 101097935 B1 KR101097935 B1 KR 101097935B1 KR 1020110098173 A KR1020110098173 A KR 1020110098173A KR 20110098173 A KR20110098173 A KR 20110098173A KR 101097935 B1 KR101097935 B1 KR 10109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osion
storage tank
tank
fixing
strong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세혁
Original Assignee
(주) 동양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양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 동양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1009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물질을 수용하는 금속 탱크 내 벽면에 구비되는 유리벽의 파손시, 그 파손부위를 보수할 수 있는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는, 내부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부식부위를 감싸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부식방지부; 및 상기 저장탱크와 부식방지부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선단이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상기 부식방지부 외면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저장탱크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부식방지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MAINTENANCE APPARATUS OF CORROSION AND MAINTENANCE METHOD OF CORROSION}
본 발명은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물질을 수용하는 금속 탱크 내 벽면에 구비되는 유리벽의 파손시, 그 파손부위를 보수할 수 있는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상화학물질은 경질유, 중질유, 윤활유 등의 석유 정제품, 석유계 용제 등의 석유화학품, 황산, 염산, 인산 등의 무기산류, 알코올류, 유기용제 등의 화성화학제품, 동물유, 식물유, 와인 등의 식품이 액상의 상태로 저장용 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액상을 저장하는 탱크에는 부식성이 높은 강산 물질이나 강염기성 물질 등의 화학물질을 저장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석유 저장 탱크와는 달리, 내식 강판, 예컨대 SUS304, SUS316 그레이드의 스테인레스강(순수함) 또는 그들을 접합재로 한 스테인레스클래드강이 사용되고 있다.
비료, 세제, 사료, 의약품 등의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인산도, 액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화학물질이다.
조제 인산은 그 제조과정에서는 50℃를 넘는 온도가 형성되는데, 부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대략 50℃ 이하의 온도로 인산의 온도가 저하된 후에 저장 탱크에 저장되고 있다.
이 특정의 조제 인산은, 인산이 약 75중량%, 황산이 약 수중량% 함유되는 외, 원료인 인광석중의 성분을 반영하여 1중량% 이하의 불소, 염소, 철, 규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저장 탱크에 저장된 조제 인산용액으로부터 증발된 규불소화합물(Si-O-F)과 SO2, SO3 등의 황산화물의 혼합물이 증발 물로서 함유되어 있고, 이 증발물이 스테인레스강과 반응하여 C, Si, O, Fe, Cl을 함유하는 금속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부식생성물을 생성하여 부식을 발생시킨다고 알려져 왔다.
이 부식생성물을 생성하는 부식속도는 상당히 빠르고, 스테인레스강의 두께가 2∼3㎜정도인 경우에는 수십회의 조제 인산의 수송에 의해 스테인레스강의 판두께를 관통하는 부식구멍을 발생할 위험도 있다.
이러한 인산 등의 강산 물질 또는 염기성 물질에 대하여, 저장탱크 내부의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장탱크 내면에는 유리소재의 원료가 코팅되어 있다.
그러나, 저장탱크 내면의 유리소재 코팅층이 훼손될 경우, 저장탱크 내부는 빠른속도로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강산 물질이나 강염기성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내부의 일 부분에서 부식이 발생 될 경우, 저장탱크를 통째로 교체해야하거나 저장탱크 내면에 유리소재의 원료로 된 코팅층을 다시 입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저장탱크의 일 부분에 부식이 발생할 경우, 기존에는 부식 발생 부위에 고가의 탄탈룸(TANTALUM) 소재를 판 형태로 가공하여 저장탱크 내부의 부식 확산을 방지하는 보수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탄탈룸 소재는 고가의 재료이기 때문에, 부식된 부위를 충분히 감싸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저장탱크 내부의 부식부위에 탄탈룸 플레이트는, 저장탱크 가동중 쉽게 부식부위에서 이탈되어 부식 확산을 차단하는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은, 강산 물질이나 강염기성 물질을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저장탱크 내면에 발생 되는 부분 부식에 대하여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은, 강산 물질이나 강염기성 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 내면에 발생 되는 부분 부식을 보수 가능하고, 저장탱크 내부에 발생 되는 고압에 견딜 수 있는 보수설비를 사용하면서도, 보수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은, 강산 물질이나 강염기성 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 내면에 발생 되는 부분 부식의 보수를 통해 저장탱크를 통째로 교체하거나 저장탱크 내부를 전면적으로 보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는, 내부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부식부위를 감싸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부식방지부; 및 상기 저장탱크와 부식방지부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선단이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상기 부식방지부 외면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저장탱크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부식방지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식방지부는, 상기 부식부위에 밀착되는 상기 부식방지부 부위에 구비되어,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상기 부식부위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부식방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머리판과; 상기 머리판을 감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강산성 액체에 의해 상기 머리판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막과; 상기 머리판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탱크 외부로 노출형성되는 볼트봉과; 상기 저장탱크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봉 부위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저장탱크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한다.
상기 부식방지부는, 상기 머리판이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턱이 더 포함된다.
상기 부식방지부는, 상기 머리판과 상기 안착턱 사이에 배치되어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상기 부식방지부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방법은, 내부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부식부위에 구멍을 형성하는 홀가공공정; 상기 홀가공공정이 완료된 상기 부식부위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부식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하는 부식방지부를 가공하는 부식방지부가공공정; 및 상기 부식방지부가 상기 부식부위에 밀착된 채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로 상기 부식방지부를 고정하는 고정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공정은, 상기 부식방지부를 설치한 후, 상기 저장탱크 내면에 밀착된 상기 부식방지부 밀착부위 테두리에 상기 부식부위로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킹을 설치하는 패킹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공정은,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상기 고정부와 상기 부식방지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스켓을 설치하는 가스켓설치공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은, 강산 물질이나 강염기성 물질을 원활하게 저장탱크에 저장하면서도, 저장탱크에 발생 되는 부식의 확산을 방지하고,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은, 강산 물질이나 강염기성 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에 부분적으로 발생 되는 부식에 대하여, 부식의 확산을 차단하면서도 보수하는데 발생 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은, 강산 물질이나 강염기성 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에 발생 되는 부식확산을 방지하면서도, 저장탱크 내의 고압에 견딜 수 있는 물질로 부식 부위를 보수하여, 저장탱크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의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내부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물질을 수용하는 금속 탱크 내 벽면에 구비되는 유리벽의 파손시, 그 파손부위를 보수할 수 있는 기술분야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 [ 특히, 부식방지부, 고정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병행참조하여,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는, 내부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부식부위(32)를 감싸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10)이 형성되는 부식방지부(100)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부식방지부(100)는, 일 예로 테플론(teflon) 소재로 이루어지고 블록(block)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식방지부(100)가 블록 형태를 이루는 이유는,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부식부위(32)의 범위에 따라 상기 부식방지부(100) 블록을 상기 부식부위(32)를 감쌀 수 있을만한 크기와 넓이로 가공하여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상기 부식방지부(100)는, 다양한 형태의 블록으로 형성가능하며, 상기 부식부위(32)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성형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또한,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30)가 부식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두께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이루는 테플론은, 불소와 탄소의 강력한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 매우 안정된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거의 완벽한 화학적 비활성 및 내열성, 비 점착성, 우수한 절연 안정성, 낮은 마찰계수 등의 특성들을 갖는다.
또한, 상기 부식방지부(100)는, 200℃ 이상의 온도에서 견디는 내열성이 높은 특성이 있다.
그리고, 강산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에 저항성이 강하다.
이러한 상기 부식방지부(100)는,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부식부위(32)를 감싸면서, 상기 부식부위(32)에 더 이상의 강산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부식부위(32)가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부식방지부(100)는, 상기 부식부위(32)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상기 부식방지부(100)는 고정부(200)를 통해 상기 부식부위(32)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저장탱크(30)와 부식방지부(100)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선단이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상기 부식방지부(100) 외면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저장탱크(30)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고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에 배치되는 머리판(210)과, 상기 머리판(210)을 감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에 저장된 강산성 액체에 의해 상기 머리판(21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막(220)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막(220)은,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에 부식되지 않는, 유리 소재의 분말로 이루어지고, 유리 분말이 고형화되어, 상기 머리판(210) 외면에 코팅되어, 상기 머리판(210) 외면에 견고하게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유리막(22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머리판(210)이 부식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머리판(210)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탱크(30) 외부로 노출형성되는 볼트봉(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저장탱크(30)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봉(230) 부위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저장탱크(30)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나사(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머리판(210)과 상기 볼트봉(230) 및 상기 고정나사(240)는, 일 예로 강철 등의 내구성이 강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부식방지부(100)는, 상기 부식부위(32)를 감싸면서 부식의 확산을 차단하고,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부식방지부(100)가 상기 부식부위(32)를 감싼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의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저장탱크(30)는, 외부로 노출된 외측탱크(31)와, 상기 외측탱크(31) 내부에 형성되면서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을 저장하는 내측탱크(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는, 강철 등의 내구성이 강한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측탱크(33) 내면에는,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에 의해 상기 내측탱크(33)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 소재의 분말로 이루어져 상기 내측탱크(33) 내면에 코팅된 후 고형화되는 유리코팅층(35)이 형성된다.
상기 유리코팅층(35)이 훼손되게 되면,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에 의해 상기 내측탱크(33)가 부분적으로 부식되는 부식부위(32)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내측탱크(33)에 부식부위(32)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내측탱크(33)는 빠른 속도로 상기 부식부위(32)가 확산 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식방지부(100)로 상기 부식부위(32)를 감싸게 된다.
또한, 상기 부식방지부(100)로 상기 부식부위(32)를 감싼다 하더라도,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이 액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측탱크(33)와 상기 부식방지부(100)의 밀착된 사이로 액상이 스며들 수 있다.
상기 내측탱크(33)와 상기 부식방지부(100)의 밀착된 부위에 액상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패킹(120)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패킹(120)은, 테플론이 반죽 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부식방지부(100)와 상기 내측탱크(33)의 밀착되는 부위에 배치되도록 한 후 고형화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120)을 상기 부식방지부(100)와 상기 내측탱크(33)의 밀착되는 부위에 배치시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호 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패킹(120)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LOCTITE 572를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패킹(120)은, 상기 내측탱크(33)와 상기 부식방지부(100)의 밀착되는 부위인 상기 부식방지부(100)의 테두리 부위에 배치되어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의 액상이 상기 내측탱크(33)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패킹(120)은, 상기 내측탱크(33)와 상기 부식방지부(100)의 밀착되는 부위 사이에 기포가 발생 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부식방지부(100)가 상기 부식부위(32)를 감싸게 되면, 상기 부식방지부(100)가 상기 부식부위(32)를 감싼 채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상기 부식부위(32)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200)가 사용되게 된다.
특히, 상기 저장탱크(30)는, 외부로 노출된 외측탱크(31)와, 상기 외측탱크(31) 내부에 형성되면서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을 저장하는 내측탱크(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30)는,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 사이에 저장되어 상기 저장탱크(30)의 온도가 물의 순환을 통해 변화되도록 하는 순환수(3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온도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도보다 낮아지게 될 경우, 상기 순환수(35)는 온수를 사용하여,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 사이에서 순환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도로 상승 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온도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도보다 높아지게 될 경우, 상기 순환수(35)는 냉각수를 사용하여,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 사이에서 순환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도로 하강 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부(200)의 상기 볼트봉(230)은, 상기 저장탱크(30)를 관통하게 되는데, 상기 볼트봉(230)에 상기 순환수(35)가 닿게 되면, 상기 볼트봉(230)이 부식되어 훼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수(35)가 상기 부식방지부(100)와 상기 고정부(200)의 다른 부위로 침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볼트봉(230)이 관통된 부위와 상기 순환수(37)는 격리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볼트봉(230)이 관통되는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부위는, 관 형태의 격리관(3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격리관(37)은, 상기 볼트봉(230)과 상기 순환수(35)가 격리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부위에 수평방향으로 용접을 통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격리관(37)이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부위에 고정되는 방법은, 상기 격리관(37) 내부로 상기 볼트봉(230)이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고, 상기 격리관(37)이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면 다양한 고정 방법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격리관(37)은, 상기 순환수(35)와 격리된 채로,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저장탱크(30) 외부에서 상기 저장탱크(30)크 내부로 상기 볼트봉(230)이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격리관(37)은 관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저장탱크(30)와 부식방지부(100)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선단이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상기 부식방지부(100) 외면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저장탱크(30)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고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에 배치되는 머리판(210)과, 상기 머리판(210)을 감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에 저장된 강산성 액체에 의해 상기 머리판(21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막(220)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막(220)은,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에 부식되지 않는, 유리 소재의 분말로 이루어지고, 유리 분말이 고형화되어, 상기 머리판(210) 외면에 코팅되어, 상기 머리판(210) 외면에 견고하게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유리막(22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머리판(210)이 부식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머리판(210)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탱크(30) 외부로 노출형성되는 볼트봉(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저장탱크(30)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봉(230) 부위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저장탱크(30)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나사(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머리판(210)이 상기 부식방지부(100)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서, 상기 부식방지부(10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상기 관통공(11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식방지부(100)는, 상기 머리판(210)이 견고하게 안착 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턱(1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턱(130)은, 상기 머리판(210)이 상기 부식방지부(100)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판(210)과 대응된 형태로 음각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안착턱(130)과 상기 머리판(210)의 밀착된 부위로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상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턱(130)과 상기 머리판(210)의 견고한 밀착을 위한 가스켓(140)이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가스켓(14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재질은, 용점이 327℃의 결정성 폴리머로 연속사용온도는 260℃이고 -268℃의 저온에서까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내약품성은 유기 재료 중에서는 최고의 물질중 하나로써, 산, 알카리, 각종 용제에는 전혀 침해되지 않고, 불소 가스, 용융 알칼리 금속, 3불호염소 등의 특수한 약품에 가혹한 조건에서만 침해된다.
이렇게, 상기 안착턱(130)과 상기 머리판(210)의 밀착부위 사이에 상기 가스켓(14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내측탱크(33) 내부에 저장된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상이 상기 부식방지부(10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견고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판(210)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상에 의해 부식될 수 있어, 상기 유리막(220)은, 상기 머리판(210) 외면에 코팅되어 상기 머리판(210)의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유리막(22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머리판(210)이 부식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봉(230)은, 상기 머리판(210)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탱크(30) 외부로 노출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볼트봉(230)은, 외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나사(240)와 원활하게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나사(240)는, 상기 저장탱크(30)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봉(230) 부위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저장탱크(30) 외면에 밀착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나사(240)가 상기 볼트봉(230)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탱크(31) 외면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되기 위해서, 상기 고정나사(240)와 상기 볼트봉(230) 사이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가스켓(미도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통해, 강산 물질이나 강염기성 물질을 원활하게 저장탱크에 저장하면서도, 저장탱크에 발생 되는 부식의 확산을 방지하고,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은, 강산 물질이나 강염기성 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에 부분적으로 발생 되는 부식에 대하여, 부식의 확산을 차단하면서도 보수하는데 발생 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도 2를 병행참조하여,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부식 재보수방법은, 내부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30)의 부식부위(32)에 구멍을 형성하는 홀가공공정(S100)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30)는, 외부로 노출된 외측탱크(31)와, 상기 외측탱크(31) 내부에 형성되면서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을 저장하는 내측탱크(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는, 강철 등의 내구성이 강한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측탱크(33) 내면에는,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에 의해 상기 내측탱크(33)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 소재의 분말로 이루어져 상기 내측탱크(33) 내면에 코팅된 후 고형화되는 유리코팅층(35)이 형성된다.
상기 유리코팅층(35)이 훼손되게 되면,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에 의해 상기 내측탱크(33)가 부분적으로 부식되는 부식부위(32)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홀가공공정(S100)은, 상기 부식부위(32)를 상기 부식방지부(100)로 감싼채로 상기 부식방지부(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고정부(200)의 상기 볼트봉(230)이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을 상기 외측탱크(31)와 내측탱크(33)에 형성하는 공정이다.
상기 홀가공공정(S100)에서는, 상기 부식부위(32)가 발생 된 상기 내측탱크(33)를 중심으로 구멍을 내고, 그 구멍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외측탱크(31)에도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홀가공공정(S100)에서는, 상기 내측탱크(33)와 상기 외측탱크(31)의 형성된 구멍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부분연마를 추가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홀가공공정(S100)이 완료되면 상기 홀가공공정(S100)이 완료된 상기 부식부위(32)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부식부위(32)를 감쌀 수 있도록 하는 부식방지부(100)를 가공하는 부식방지부가공공정(S200)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부식방지부가공공정(S200)은, 테플론(teflon) 소재로 이루어지고 블록(block)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상기 부식부위(32)를 감쌀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가공하는 공정이다.
상기 부식방지부가공공정(S200)에서는, 상기 부식부위(32)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따라 상기 부식방지부(100)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가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식방지부가공공정(S200)에서는, 다음 공정에서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상기 볼트봉(230)이 관통하기 때문에, 상기 부식방지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110)을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식방지부가공공정(S200)에서는, 다음 공정에서 상기 부식방지부(100)에 상기 머리판(210)이 안착 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부식방지부(100)에 상기 머리판(210)과 대응된 형태의 안착턱(130)이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부식방지부(100)의 가공이 마무리되면, 상기 부식방지부(100)가 상기 부식부위(32)에 밀착된 채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200)로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고정하는 고정공정(S300)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고정공정(S300)에서는, 상기 부식방지부(100)가 고정부(200)를 통해 상기 부식부위(3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공정(S300)에서는, 상기 부식방지부(100)가 상기 내측탱크(33)의 상기 부식부위(32)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홀가공공정(S100)을 통해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볼트봉(230)이 상기 저장탱크(30)와 부식방지부(100)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홀가공공정(S100)에서는,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로 이루어진 상기 저장탱크(30)를 상기 고정부(200)의 일부분이 관통시,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 사이에 저장되는 순환수(35)가 상기 고정부(200)와 격리 되도록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 부위에 관 형태의 격리관(37)을 설치하는 격리관설치공정(S110)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탱크(30)는, 외부로 노출된 외측탱크(31)와, 상기 외측탱크(31) 내부에 형성되면서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을 저장하는 내측탱크(33)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30)는,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 사이에 저장되어 상기 저장탱크(30)의 온도가 물의 순환을 통해 변화되도록 하는 순환수(3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온도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도보다 낮아지게 될 경우, 상기 순환수(35)는 온수를 사용하여,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 사이에서 순환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도로 상승 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온도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도보다 높아지게 될 경우, 상기 순환수(35)는 냉각수를 사용하여,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 사이에서 순환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도로 하강 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부(200)의 상기 볼트봉(230)은, 상기 저장탱크(30)를 관통하게 되는데, 상기 볼트봉(230)에 상기 순환수(35)가 닿게 되면, 상기 볼트봉(230)이 부식되어 훼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수(35)가 상기 부식방지부(100)와 상기 고정부(200)의 다른 부위로 침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볼트봉(230)이 관통된 부위와 상기 순환수(37)는 격리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격리관설치공정(S110)에서는, 상기 볼트봉(230)이 관통되는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부위에 관 형태의 격리관(3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격리관(37)은, 상기 볼트봉(230)과 상기 순환수(35)가 격리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부위에 수평방향으로 용접을 통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격리관(37)이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부위에 고정되는 방법은, 상기 격리관(37) 내부로 상기 볼트봉(230)이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고, 상기 격리관(37)이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면 다양한 고정 방법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격리관(37)은, 상기 순환수(35)와 격리된 채로,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저장탱크(30) 외부에서 상기 저장탱크(30)크 내부로 상기 볼트봉(230)이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격리관(37)은 관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내측탱크(33) 내부에 진입된 상기 볼트봉(230)에는 상기 머리판(210)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머리판(210)이 상기 부식방지부(100)의 상기 안착턱(130)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탱크(31)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봉(230)에는, 상기 고정나사(240)가 체결되게 된다.
특히, 상기 부식방지부(100)로 상기 부식부위(32)를 감싼다 하더라도,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이 액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측탱크(33)와 상기 부식방지부(100)의 밀착된 사이로 액상이 스며들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고정공정(S300)은, 상기 내측탱크(33)와 상기 부식방지부(100)의 밀착된 부위에 액상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패킹(120)을 구비하는 패킹공정(S310)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패킹공정(S310)에서 상기 패킹(120)은, 테플론이 반죽 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부식방지부(100)와 상기 내측탱크(33)의 밀착되는 부위에 배치되도록 한 후 고형화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공정(S310)에서, 상기 패킹(120)을 상기 부식방지부(100)와 상기 내측탱크(33)의 밀착되는 부위에 배치시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호 밀착력을 강화시키는 작업도 같이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공정(S300)은, 상기 머리판(210)이 상기 안착턱(130)에 견고하게 안착 되면서도, 상기 내측탱크(33)에 저장된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상이 상기 부식방지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설치공정(S320)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가스켓설치공정(S320)은, 상기 안착턱(130)과 상기 머리판(210)의 밀착된 부위로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상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턱(130)과 상기 머리판(210)에 상기 가스켓(140)을 설치하는 공정이다.
상기 가스켓설치공정(S320)을 통하여, 상기 안착턱(130)과 상기 머리판(210)이 상호 견고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켓설치공정(S320)을 통하여, 상기 안착턱(130)과 상기 머리판(210)의 밀착부위 사이에 상기 가스켓(14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내측탱크(33) 내부에 저장된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상이 상기 부식방지부(10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견고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가스켓설치공정(S320)이 마무리되면, 상기 고정공정(S300)에서는, 상기 외측탱크(31)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봉(230)에 상기 고정나사(240)를 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공정(S300)에서는, 상기 고정나사(240)가 상기 저장탱크(30)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봉(230) 부위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저장탱크(30) 외면에 밀착 고정되도록함으로써, 상기 부식방지부(100)가 상기 부식부위(32)를 감싼 채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 재보수방법은, 이러한 공정을 통하여, 강산 물질이나 강염기성 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에 발생 되는 부식확산을 방지하면서도, 저장탱크 내의 고압에 견딜 수 있는 물질로 부식 부위를 보수하여, 저장탱크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30 : 저장탱크 31 : 외측탱크
32 : 부식부위 33 : 내측탱크
35 : 유리코팅층 37 : 격리관
39 : 순환수
100 : 부식방지부 110 : 관통공
120 : 패킹 130 : 안착턱
140 : 가스켓
200 : 고정부 210 : 머리판
220 : 유리막 230 : 볼트봉
240 : 고정나사
S100 : 홀가공공정 S110 : 격리관설치공정
S200 : 부식방지부가공공정
S300 : 고정공정 S310 : 패킹공정
S320 : 가스켓설치공정

Claims (10)

  1. 내부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부식부위(32)를 감싸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10)이 형성되는 부식방지부(100); 및
    상기 저장탱크(30)와 부식방지부(100)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선단이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상기 부식방지부(100) 외면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저장탱크(30)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고정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하는 부식 재보수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부(100)는,
    상기 부식부위(32)에 밀착되는 상기 부식방지부(100) 부위에 구비되어,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상기 부식부위(32)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120)을 포함하는 부식 재보수설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에 배치되는 머리판(210)과;
    상기 머리판(210)을 감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에 저장된 강산성 액체에 의해 상기 머리판(21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막(220)과;
    상기 머리판(210)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탱크(30) 외부로 노출형성되는 볼트봉(230)과;
    상기 저장탱크(30)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봉(230) 부위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저장탱크(30)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나사(240)를 포함하는 부식 재보수설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부(100)는,
    상기 머리판(210)이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턱(130)이 더 포함되는 부식 재보수설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부(100)는,
    상기 머리판(210)과 상기 안착턱(130) 사이에 배치되어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상기 부식방지부(100)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스켓(140)을 더 포함하는 부식 재보수설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30)는,
    외부로 노출된 외측탱크(31)와,
    상기 외측탱크(31) 내부에 형성되면서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을 저장하는 내측탱크(33)와,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 사이에 저장되어 상기 저장탱크(30)의 온도가 물의 순환을 통해 변화되도록 하는 순환수(35)와,
    상기 고정부(200)의 일부분이 관통되는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수(35)와 격리 되도록 하는 격리관(37)을 포함하는 부식 재보수설비.
  7. 내부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30)의 부식부위(32)에 구멍을 형성하는 홀가공공정(S100);
    상기 홀가공공정(S100)이 완료된 상기 부식부위(32)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부식부위(32)를 감쌀 수 있도록 하는 부식방지부(100)를 가공하는 부식방지부가공공정(S200); 및
    상기 부식방지부(100)가 상기 부식부위(32)에 밀착된 채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200)로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고정하는 고정공정(S300)을 포함하는 부식 재보수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홀가공공정(S100)은,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로 이루어진 상기 저장탱크(30)를 상기 고정부(200)의 일부분이 관통시,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 사이에 저장되는 순환수(35)가 상기 고정부(200)와 격리 되도록 상기 외측탱크(31)와 상기 내측탱크(33)의 관통 부위에 관 형태의 격리관(37)을 설치하는 격리관설치공정(S110)을 포함하는 부식 재보수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정(S300)은,
    상기 부식방지부(100)를 설치한 후, 상기 저장탱크(30) 내면에 밀착된 상기 부식방지부(100) 밀착부위 테두리에 상기 부식부위(32)로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킹(120)을 설치하는 패킹공정(S310)을 포함하는 부식 재보수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정(S300)은,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상기 고정부(200)와 상기 부식방지부(100)가 연결되는 부위에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가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스켓(140)을 설치하는 가스켓설치공정(S320)을 더 포함하는 부식 재보수 방법.
KR1020110098173A 2011-09-28 2011-09-28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 KR10109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173A KR101097935B1 (ko) 2011-09-28 2011-09-28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173A KR101097935B1 (ko) 2011-09-28 2011-09-28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935B1 true KR101097935B1 (ko) 2011-12-23

Family

ID=4550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173A KR101097935B1 (ko) 2011-09-28 2011-09-28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361B1 (ko) * 2016-08-31 2016-12-05 조태영 저장탱크의 보수 및 라이닝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3125A (ja) 2007-09-07 2009-03-26 Bridgestone Corp 座金及び水槽
KR200447693Y1 (ko) 2009-08-27 2010-02-11 영성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물탱크용 수밀구조를 갖는 체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3125A (ja) 2007-09-07 2009-03-26 Bridgestone Corp 座金及び水槽
KR200447693Y1 (ko) 2009-08-27 2010-02-11 영성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물탱크용 수밀구조를 갖는 체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361B1 (ko) * 2016-08-31 2016-12-05 조태영 저장탱크의 보수 및 라이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935B1 (ko) 부식 재보수설비 및 부식 재보수방법
US51491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vessels
Guo et al. Failure analysis of welded 0Cr13Al tube bundle in a heat exchanger
Yaakob Top of the Line Corrosion in CO 2/H 2 S Environments
JP2007321146A (ja) プロセス装置特に安全装置上のポリマーの蓄積を最小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設備
KR20160137771A (ko)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JP4775706B2 (ja) 耐圧室付き耐環境特性評価試験機とこれを使用した試験方法
Yaakob et al. Top of the line corrosion behavior in highly sour environments: Effect of the gas/steel temperature
Fernando et al. Critical assessment of PVDF multilayer barriers in unbonded flexible risers: applications and benefits
Singer Top of the line corrosion in sour environment–Study of the controlling parameters
O'Kane et al. Detection and monitoring of naphthenic acid corrosion in a visbreaker unit using hydrogen flux measurements
US8763445B2 (en) Detecting leaks in a fluid cooling system by sensing for a drop of fluid pressure in the system
WO2015022979A1 (ja) 石油プロセスにおける熱交換器の汚れ防止方法
CN204487541U (zh) 一种穿芯螺栓划线装置
Toba et al. Corrosion of carbon steel and alloys in ammonium chloride salt
ITUD20130023A1 (it) Dispositivo di supporto per tubi di trasporto fluidi e relativ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EP2503095B1 (fr) Procédé de réparation in situ d'une bride de base d'une tête de puits.
KR101556102B1 (ko) 열교환기 전열관의 기계식 관막음 장치
Ali et al. Performance of selected materials in flue gas environment
Barker Stress Corrosion Cracking in Twin Ferrule Compression Fittings in SS31600
US20200207001A1 (en) PVDF Pip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Azarbayjani et al. System development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corrosion resistant coatings exposed to molten copper chloride salt
KR101871789B1 (ko) 유체 계량기 및 그 제조 방법
Žužek et al. Open zinc freezing-point cell assembly and evaluation
Elliott Designing to minimize corro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