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761B1 - System for controlling toy robot and toy robot controll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System for controlling toy robot and toy robot controll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761B1
KR101097761B1 KR1020110013313A KR20110013313A KR101097761B1 KR 101097761 B1 KR101097761 B1 KR 101097761B1 KR 1020110013313 A KR1020110013313 A KR 1020110013313A KR 20110013313 A KR20110013313 A KR 20110013313A KR 101097761 B1 KR101097761 B1 KR 10109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robo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oy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철
서명천
신정근
유지경
Original Assignee
에스알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알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알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3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7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3Manipulators for entertai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9Tele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PURPOSE: A toy robot control system and a toy robot which is controll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to control a toy robot without separate additional device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TITU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10) drives a control application. A toy robot(12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wireless interface device(130) transmits the signal data between the toy robo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applica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The control application provides a story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SYSTEM FOR CONTROLLING TOY ROBOT AND TOY ROBOT CONTROLL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Toy robot controlled by toy robot control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FOR CONTROLLING TOY ROBOT AND TOY ROBOT CONTROLL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완구용 로봇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완구용 로봇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ntrolling a toy robo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oy robot controll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ntrolling a toy robot through an application execu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oy robot controlled through a control application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교육용 완구는 기존 블록식 교육용 완구에서 최근 마이크로칩을 탑재한 교육용 로봇 형태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용 로봇은 각종 센서, 리모컨 조작 및 로봇에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형태를 갖는다.Educational toys are being released in the form of educational robots equipped with microchips from existing block educational toys. The educational robot has a form of operation through a variety of sensors, remote control operation and the program set in the robot.

즉, 완구 로봇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교환하거나 확장하지 않는 이상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various contents unless the programs stored in the toy robot are exchanged or expanded.

리모컨을 통한 조작은 리모컨이라는 한정된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완구 로봇을 제어하므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고, 한정된 거리 내에서만 제어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peration through the remote control is difficult to perform a variety of operations, because the toy robot is controlled through a limited interface device called a remote control,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be controlled only within a limited distance.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The toy robot controlled by the toy robot control system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 없이 완구용 로봇을 제어하고자 한다.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the toy robot without additional devices.

둘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완구용 로봇을 제어하고자 한다.Second, to control the toy robot through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셋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와 완구용 로봇의 동작이 연동되어, 완구용 로봇이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현실에서 재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ird, the content of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is linked, the toy robot plays a role in reproducing the application content in reality.

넷째,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도록 한다. Fourth, the toy robot controll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control comman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various paths.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은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및 상기 완구용 로봇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신호 데이터를 전달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스토리를 제공하고 상기 스토리에 대한 동작 신호 데이터에 의해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완구용 로봇이 캐릭터가 되는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기능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 신호 송수신기, 상기 완구용 로봇의 통신 신호 송수신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완구용 로봇 간의 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기지국을 포함한다.Robot control system for to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riving the control application; A toy robot controlled by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interface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 data between the toy robo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applica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and provides a story on a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data for the story to perform a storytelling animation mode in which the toy robot becomes a character, the wireless interface device uses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signal trans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signal transceiver of the toy robot and a base station for relaying a communication signa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oy robo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완구용 로봇에 제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모듈, 완구용 로봇의 동작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완구용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입력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 data to a toy robot, a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operation signal data of the toy robot, a command input module for controlling the toy robot, and an application screen. It includes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본 발명에 따른 명령 입력 모듈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터치 패널,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command inpu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of a keypad, a touch panel, a tilt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완구용 로봇의 조립 과정 또는 구동동작이 3D 시뮬레이션으로 표시되는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이 더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a simulation application in which the assembly process or driving operation of the toy robot is displayed in 3D simulation is further driven.

본 발명에 따른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완구용 로봇 간의 대전 모드, 완구용 로봇의 스포츠 게임 모드, 완구용 로봇을 이용한 보드게임 모드, 완구용 로봇의 주행 모드 또는 완구용 로봇의 비행 모드 중 하나 이상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trol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play mode between toy robots, sports game mode of the toy robot, board game mode using the toy robot, driving mode or toy of the toy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performs one or more of the flight mode of the dragon robot.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의 동작 제어는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 신호 데이터를 완구용 로봇이 수신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peration control of the toy robo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y robo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data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application is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은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 완구용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완구용 로봇의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모듈,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 및 신호수신모듈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Toy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gnal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device, a power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toy robot,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toy robot, for toys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receives a signal from at least one drive motor and a signal receiving module for the operation of the robot.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의 구동 모터는 초음파모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motor of the toy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 of an ultrasonic motor.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는 블루투스 장치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블루투스 송수신기와 완구용 로봇에 포함된 블루투스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신호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less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signal data using a Bluetooth transceiver inclu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luetooth transceiver included in a toy robot as a Bluetooth devic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에 있어서,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 상기 신호수신모듈에서 수신되는 제어 신호 데이터를 기준으로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완구용 로봇의 동작 신호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송신하는 신호송신모듈; 상기 신호수신모듈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신호수신모듈, 상기 구동 모터, 상기 신호송신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스토리를 제공하고 상기 스토리에 대한 동작 신호 데이터에 의해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완구용 로봇이 캐릭터가 되는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oy robot controll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y robot controlle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ing: a signal receiv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control signal data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ontrol application is driven; At least one driving motor operating based on control signal data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module;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operation signal data of the toy robot operated by the driving motor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module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signal receiving modul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And a power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ignal receiving module, the driving motor, the signal transmitting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wherein the control applica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the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torytelling animation mode in which the toy robot becomes a character is provided by providing a story on a screen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based on the motion signal data for the story.

본 발명에 따른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완구용 로봇 간의 대전 모드, 완구용 로봇의 스포츠 게임 모드, 완구용 로봇을 이용한 보드게임 모드, 완구용 로봇의 주행 모드 또는 완구용 로봇의 비행 모드 중 하나 이상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trol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play mode between toy robots, sports game mode of the toy robot, board game mode using the toy robot, driving mode or toy of the toy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performs one or more of the flight mode of the dragon robot.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toy robot controlled by the toy robot control system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이동통신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다양한 명령으로 완구용 로봇이 제어된다.First, the toy robot is controlled by various command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둘째, 이동통신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교육용 등의 목적을 달성하는 완구용 로봇이 제공된다.Second, a toy robot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entertainment, education, etc. is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cont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셋째,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근거리뿐만 아니라 원거리에 있는 완구용 로봇도 제어가능하다.Third, it is possible to control not only the short distance but also the toy robot at a long distanc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중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이 표시되는 화면 및 이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완구용 로봇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완구용 로봇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완구용 로봇이 신호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y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screen displaying a storytelling animation among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oy robot operating in association with the same.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oy robo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ructur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th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data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oy robo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ar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there is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100)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12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toy robot control system 100 and a toy robot 120 controll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y robot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100)은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통신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120) 및 완구용 로봇(120)과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신호 데이터를 전달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130)를 포함한다.The toy robot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ontrol application is driven, a toy robot 120 controlled by a control appli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oy robot 120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interface device 130 for transmitting signal data.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 장비를 의미한다.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 스마트폰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완구용 로봇(120)이 제어되면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fers to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mobile terminal is preferably a smart phone that can run a variety of applications. This is because a variety of contents may be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execu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while controlling the toy robot 120 through this.

이동통신단말기는 완구용 로봇(120)에 제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모듈(111), 완구용 로봇(120)의 동작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111), 완구용 로봇(120)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입력모듈(113) 및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11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은 자명하다. 명령입력모듈(113)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터치패널, 마우스 등 다양한 입력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transmitting module 111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 data to the toy robot 120, a receiving module 111 for receiving operation signal data of the toy robot 120, and a toy robot 12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mmand input module 113 for controlling the display module 114 for displaying the application screen. Of course, it is obvious to include all the general configurations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mmand input module 113 includes one or more of various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 touch panel, and a mo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나아가 명령입력모듈(113)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각종 센서를 활용한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움직임 자체, 순간적으로 이동하는 속도, 평판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 정도 등이 입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단말기 자체의 움직임 및 위치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입력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완구용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mmand input module 113 may include an input means utilizing various sensors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the tilt sensor or the gyro sensor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itself, the instantaneous speed of movement,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lat mobile terminal are used as input means. Can be. It can be used as a new input interface means by using the movement and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through which it can control the toy robot.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손쉽게 완구용 로봇(120)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The control application is preferably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based application. This is because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toy robot 120 through the application.

완구용 로봇(120)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에 사용자 ID 및/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전에 특정 시리얼 번호를 갖는 완구만을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완구용 로봇(120)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본인의 이동통신단말기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완구용 로봇(120)만을 각자 제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It is desirable to have a step of verifying a user ID and / or password before the application controlling the toy robot 120 is execute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application is set to control only toys having a specific serial number in advance. This is because even when a plurality of users control their toy robots 120, it is necessary to control only the toy robots 120 assigned to thei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이를 통해 한 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완구용 로봇(120)을 제어하는 콘텐츠 외에도 복수의 상용자가 동시에 복수 개의 완구용 로봇(120)을 제어하는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Through this, in addition to the content of one user controlling one toy robot 120, a content of a plurality of commercial users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toy robots 120 may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나아가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툴을 이용하든지, 컴퓨터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맞춤형 동작을 수행하는 완구용 로봇(120)이 제공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user can use the tools provided by a specific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create the content of the application through a computer. That is, a toy robot 120 for performing a user-customized opera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완구용 로봇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지만, 레고 블록과 같은 구성품을 조립하여 특정한 로봇을 만드는 완구용 로봇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완구용 로봇의 조립 과정 또는 구동동작이 3D 시뮬레이션으로 표시되는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도 있다.Although various forms of the toy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 toy robot for assembling components such as lego blocks to make a specific robot is preferable.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drive a simulation application in which the assembly process or driving operation of the toy robot is displayed in 3D simulation.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완구용 로봇 간의 대전 모드, 완구용 로봇이 참여하는 스포츠 게임 모드, 완구용 로봇이 말로 참여하는 보드게임 모드, 완구용 로봇의 주행 모드, 완구용 로봇의 비행 모드 또는 완구용 로봇이 캐릭터가 되는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모드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각각의 모드가 하나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각각이 별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Control application i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play mode between toy robots, sports game mode in which the toy robot participates, board game mode in which the toy robot participates in words, driving mode of the toy robot, toys for The robot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light mode or the storytelling animation mode in which the toy robot becomes a character. Each of these modes may be performed in one control application, and each may be performed in a separate application.

어떤 경우라도 완구용 로봇의 동작 제어는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 신호 데이터를 완구용 로봇(120)이 수신하여 수행된다.In any case, the motion control of the toy robot is performed by the toy robot 120 receiving control signal data input by the user through a control application.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 중 하나는 이동통신단말기(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되고, 여러 가지 콘텐츠와 연동되어 완구용 로봇(120)이 제어된다는 것이다.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various contents are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execu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martphone), and the toy robot 120 is controlled in association with various contents.

구체적으로 대전 모드는 둘 이상의 완구로봇을 한 명 또는 두 명 이상이 제어하면서 완구용 로봇 간 결투를 벌이는 콘텐츠이다. 두 명 이상이 하나의 완구용 로봇을 제어할 수도 있다. 결투는 격투기 형식 또는 특정 경기장 안에서 상대방 로봇을 특정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승리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In more detail, the competitive mode is content in which one or more than two toy robots control a duel between toy robots. More than one person may control a toy robot. A duel can be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martial arts or how to win by moving your opponent's robot to a specific area within a specific arena.

스포츠 게임 모드는 완구용 로봇이 로봇 축구 등의 스포츠 게임에 선수로 플레이하는 콘텐츠이다. 주행 모드는 완구용 로봇이 다리를 걷거나 바퀴를 이용해 일정한 경로를 이동하는 콘텐츠이고, 비행 모드는 비행기와 같은 완구용 로봇이 엔진이나 프로펠러와 같은 별도의 추진력을 갖추어 비행하는 콘텐츠이다.The sports game mode is content that a toy robot plays as a player in sports games such as robot soccer. The driving mode is a content in which a toy robot moves a certain path by walking on a bridge or using a wheel, and the flying mode is content in which a toy robot such as an airplane has a separate propulsion force such as an engine or a propeller.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모드는 완구용 로봇이 특정한 시나리오의 캐릭터가 되는 콘텐츠이다.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공되는 스토리를 완구용 로봇을 통해 현실에서 역할을 재현한 롤플레잉(Roleplaying) 게임 콘텐츠라고 할 수도 있다.Storytelling animation mode is the content where a toy robot becomes a character in a specific scenario. The story provided on the display screen may be referred to as role playing game content that reproduces the role in reality through a toy robot.

도 2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중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이 표시되는 화면 및 이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완구용 로봇을 도시한다.2 illustrates a screen displaying a storytelling animation among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oy robot operating in association with the same.

도 2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완구용 로봇과 같은 영상이 도시되어 있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완구용 로봇(120)이 동일한 동작을 취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애플레케이션에서는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특정 스토리가 텍스트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이를 해석한 동작 신호 데이터가 완구용 로봇(120)에 수신되어 완구용 로봇이 동작할 수도 있다.2 shows an image such as a toy robot on the display pan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oy robot 120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the same operat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pecific story may be provided as text, not a video or an animation, and motion signal data obtained from the analysis may be received by the toy robot 120 and the toy robot may operate.

도 3은 본 발명의 완구용 로봇(120)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y robo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완구용 로봇(120)은 인터페이스 장치(130)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121), 완구용 로봇(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25), 완구용 로봇(120)의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모듈(123), 완구용 로봇(120)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122) 및 신호수신모듈(12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완구용 로봇(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2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점선은 전원모듈(125)이 전력을 공급하는 경로를 표시한다.The toy robot 120 may include a signal receiving module 121 for receiving control signal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device 130, a power module 125 for supplying power to the toy robot 120, and a toy robot (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123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120, the at least one drive motor 122 and the signal receiving module 121 for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120 toy robot 12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trol module 12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In FIG. 3, a dotted line indicates a path through which the power module 125 supplies power.

완구용 로봇(120)의 구동 모터(122)는 초음파모터를 사용하여 초소형 완구용 로봇(120)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텐츠 내용 등 필요에 따라서 모양이나 크기가 다양한 로봇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drive motor 122 of the toy robot 120 is preferably made of a miniature toy robot 120 using an ultrasonic motor. Robot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may be used as necessary, such as content contents.

도 4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완구용 로봇이 신호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4 is a structur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th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data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oy robot.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근거리 데이터 통신기술을 통해 완구용 로봇(120)과 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장 대중적인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가 있으나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에서는 하단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수신모듈(111,112) 과 완구용 로봇의 신호 송수신모듈(121,123) 간에 신호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로가 도시되어 있다.Through the short-range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 data with the toy robot 120. The most popular technology is Bluetooth,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pparent that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used. In FIG. 4, path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data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s 111 and 1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s 121 and 123 of the toy robot are shown at the bottom.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130)는 블루투스 장치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블루투스 송수신기와 완구용 로봇에 포함된 블루투스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신호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representative air interface device 130 may transmit signal data using a Bluetooth transceiver inclu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luetooth transceiver included in a toy robot as a Bluetooth device.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문자메시지 전송이나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여 완구용 로봇(120)을 제어할 수도 있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송신하는 동작 제어 신호 데이터를 기지국을 통해 완구용 로봇(12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거리에 있는 완구용 로봇(120)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Alternatively, the toy robot 120 may be controlled by transmitting a text message or a voice messag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tion control signal data transmitted from an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toy robot 120 through the base station. You can also pass it. In this case, the toy robot 120 can be remotely controlled.

또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13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기능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 신호 송수신기, 완구용 로봇의 통신 신호 송수신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와 완구용 로봇 간의 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4의 상단에 기지국을 통한 신호 송수신 경로를 도시되어 있다.Another radio interface device 130 uses a communication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es a base station for relaying a communication signal trans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signal transceiver of a toy robot, and a communication signa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oy robot. It is to include. 4 shows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through a base station.

전술한 대전 모드 콘텐츠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완구용 로봇 간의 대전을 개최하는 경기장이 원거리에 있고,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본 통신 기능을 사용하여 타인과 대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기장의 대전 장면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별도로 필요할 것이다. 이 경우 완구용 로봇을 개인이 소유하지 않아도, 원하는 시기에 완구용 로봇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aking the above-described content of the war mode as an example, there is a stadium that holds a game between toy robots at a distance, and a plurality of users who want to use the game are at a distance using a basic communication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lay a battle with others. can do. To this e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competitive game scene of the stadium so that the user can view it separately is required.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oy robot can be used at a desired time without having to own the toy robot for the individual.

다른 실시예로서, 완구용 로봇(120)에 카메라를 장착하면 완구용 로봇이 바라보는 시야(화면)만을 제공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훨씬 각종 콘텐츠에 몰입할 수 있다. 카메라 촬영된 화면을 이용하는 콘텐츠로는 대전 모드, 주행 모드 등이 바람직할 것이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camera is mounted on the toy robot 120, only a view (screen) viewed by the toy robot may be provided, and in this case, the user may be more immersed in various contents. As the content using the camera-photographed screen, a charging mode, a driving mode, or the like may be preferab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100)과 공통된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고 완구용 로봇(120)에 핵심적인 내용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oy robot controll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Parts common to the above-described toy robot control system 100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essential contents of the toy robot 120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120)은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121), 신호수신모듈(121)에서 수신되는 제어 신호 데이터를 기준으로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122), 구동 모터(122)에 의해 동작하는 완구용 로봇의 동작 신호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송신하는 신호송신모듈(123), 신호수신모듈(12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24) 및 신호수신모듈(121), 구동 모터(122), 신호송신모듈(123) 및 제어모듈(12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25)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toy robot 120 controll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receiving module 121 for receiving control signal data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ontrol application is driven, and receiving a signal.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operation signal data of at least one driving motor 122 operating based on the control signal data received from the module 121 and a toy robot operated by the driving motor 122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123, the control module 124 and the signal receiving module 121, the drive motor 122, the signal transmitting module 123 and the control modu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ignal receiving module 121 And a power supply module 125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124.

본 발명의 완구용 로봇은 거리감지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모듈(126)을 추가로 구비하여 주변 물체를 탐지하거나, 완구용 로봇의 위치, 이동하는 방향, 이동하는 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모듈(126)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전술한 제어모듈(124)로 전달되어 완구용 로봇이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toy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nsor module 126 including a distance sensor,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ike to detect surrounding objects, the position of the toy robot, a moving direction, a moving speed, and the like. Can be measured. Data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126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24 described above to allow the toy robot to perform a stable operation.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완구용 로봇(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완구용 로봇 간의 대전 모드, 완구용 로봇이 참여하는 스포츠 게임 모드, 완구용 로봇이 말로 참여하는 보드게임 모드, 완구용 로봇의 주행, 완구용 로봇의 비행 또는 완구용 로봇이 캐릭터가 되는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모드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완구용 로봇(120) 제어 시스템(100)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Control application i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120, play mode between toy robots, sports game mode in which the toy robot participates, board game mode in which the toy robot participates in words, driving of the toy robot, The toy robot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storytelling animation modes in which the toy robot or the toy robot becomes a character. Details are as described above in the toy robot 120 control system 100.

신호수신모듈(121)은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완구용 로봇(120)이 제어된다.The signal receiving module 121 receives the control signal data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application, and the toy robot 12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신호수신모듈(121)은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신호송신모듈(123)은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동작 신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signal receiving module 121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Bluetooth method, and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123 may transmit the operation signal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Bluetooth method.

또한 신호수신모듈(121)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전달받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신호송신모듈(123)은 이동통신단말기로 신호를 전달하는 기지국으로 동작 신호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receiving module 121 receives the control signal data from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123 to transmit the operation signal data to the base station that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may be.

구동 모터(122)는 고토크의 초음파모터를 사용하면, 종전의 DC 모터로 구현이 어려운 초소형 완구용 로봇을 제작할 수 있다. 구동 모터(122)는 로봇의 관절 부위, 바퀴 부위, 프로펠러 등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는 다양한 부위에 회전력을 전달한다.When the drive motor 122 uses a high torque ultrasonic motor,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iniature toy robot that is difficult to implement with a conventional DC motor. The driving motor 122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various parts of the robot, such as a joint part, a wheel part, and a propeller, which perform a predetermined motion.

신호송신모듈(123)은 완구용 로봇(120)의 동작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콘텐츠와 연동되는 완구용 로봇(120)에 관한 것으로, 애플리케이션(사용자)과 완구용 로봇(120) 간 상효작용(interactive)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어된 로봇이 어떤 동작 결과를 나타냈는지 애플리케이션이 확인하기 위해 신호송신모듈(123)이 사용된다. 예컨대, 보드게임 모드에서 일종의 말(chessmen)로 동작하는 완구용 로봇(120)은 일정 영역을 이동한 후 이동한 위치를 신호송신모듈(123)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해야 한다.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123 is used to transmit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toy robot 120 to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robot 120 that is linked to various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n interactive operation between the application (user) and the toy robot 120. Do. To this end,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123 is used for the application to check what operation result the controlled robot has shown. For example, the toy robot 120 operating as a kind of horses (chessmen) in the board game mode should transmit the moved position to the application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123 after moving a certain area.

제어모듈(124)은 완구용 로봇(120)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MCU(Main Control Unit)에 해당한다. 수신된 제어 신호 데이터를 기준으로 로봇이 동작하도록 구동 모터(122)를 제어하고, 동작을 마친 완구용 로봇(120)의 동작 신호 데이터를 신호송신모듈(123)을 통해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센서모듈(126)이 있는 경우 제어모듈(124)이 센서모듈(126)을 제어하여 안정적인 움직임이나 특정 목적에 사용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control module 124 corresponds to a main control unit (MCU) for controlling the entire toy robot 120. It controls the driving motor 122 to operate the robot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data, and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data of the finished toy robot 120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123. When the sensor module 126 is present, the control module 124 controls the sensor module 126 to be used for a stable movement or a specific purpose as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to clearly show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nfer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that can be made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hat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110 : 이동통신단말기
111 : 송신모듈 112 : 수신모듈
113 : 명령입력모듈 114 : 디스플레이모듈
120 : 완구용 로봇 121 : 신호수신모듈
122 : 구동 모터 123 : 신호송신모듈
124 : 제어모듈 125 : 전원모듈
126 : 센서모듈 130 : 인터페이스 장치
100: toy robot control system 1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1: transmitting module 112: receiving module
113: command input module 114: display module
120: toy robot 121: signal receiving module
122: drive motor 123: signal transmission module
124: control module 125: power module
126: sensor module 130: interface device

Claims (12)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및 상기 완구용 로봇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신호 데이터를 전달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스토리를 제공하고 상기 스토리에 대한 동작 신호 데이터에 의해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완구용 로봇이 캐릭터가 되는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기능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 신호 송수신기, 상기 완구용 로봇의 통신 신호 송수신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완구용 로봇 간의 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which a control application is driven; A toy robot controlled by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interface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 data between the toy robo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applica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by providing a story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by the operation signal data for the story by the toy robot Perform a storytelling animation mode to become a character,
The wireless interface device uses a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relays a communication signal trans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signal transceiver of the toy robot and a communication signa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oy robot. Robot control system for toy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완구용 로봇에 제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모듈,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상기 완구용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입력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 data to the toy robot, a reception module for receiving operation signal data of the toy robot, a command input module for controlling the toy robot, and an application screen. Robot control system for a toy comprising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입력 모듈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터치 패널,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ommand input module toy robot control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keypad, a touch panel, a tilt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완구용 로봇의 조립 과정 또는 구동동작이 3D 시뮬레이션으로 표시되는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이 더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toy robo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driving the simulation application in which the assembly process or driving operation of the toy robot is displayed in 3D sim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완구용 로봇 간의 대전 모드, 완구용 로봇의 스포츠 게임 모드, 완구용 로봇을 이용한 보드게임 모드, 완구용 로봇의 주행 모드 또는 완구용 로봇의 비행 모드 중 하나 이상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application i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play mode between toy robots, sports game mode of the toy robot, board game mode using the toy robot, driving mode of the toy robot or toy robot A toy robot control system for performing one or more of the flight mod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 제어는 상기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 신호 데이터를 상기 완구용 로봇이 수신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Operation control of the toy robot is a toy robo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oy robo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data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appl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로봇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 완구용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완구용 로봇의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모듈,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 및 상기 신호수신모듈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oy robot may include a signal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control signal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device, a power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toy robot,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toy robot, and a toy robot. Toy control system for a toy comprising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receives a signal from the at least one drive motor for operation and the signal receiving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로봇의 상기 구동 모터는 초음파모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rive motor of the toy robot is a toy robo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n ultrasonic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는 블루투스 장치로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블루투스 송수신기와 상기 완구용 로봇에 포함된 블루투스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신호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interface device is a Bluetooth device, a toy robot control system for transmitting signal data using a Bluetooth transceiver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luetooth transceiver included in the toy robot.
삭제delete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에 있어서,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 상기 신호수신모듈에서 수신되는 제어 신호 데이터를 기준으로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완구용 로봇의 동작 신호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송신하는 신호송신모듈; 상기 신호수신모듈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신호수신모듈, 상기 구동 모터, 상기 신호송신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스토리를 제공하고 상기 스토리에 대한 동작 신호 데이터에 의해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완구용 로봇이 캐릭터가 되는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In the toy robot controlled by wireless communication,
A signal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control signal data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ontrol application is driven; At least one driving motor operating based on control signal data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module;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operation signal data of the toy robot operated by the driving motor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module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signal receiving modul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And a power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ignal receiving module, the driving motor, the signal transmitting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The control applica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by providing a story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by the operation signal data for the story by the toy robot Toy robot controll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a storytelling animation mode to be a charac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완구용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완구용 로봇 간의 대전 모드, 완구용 로봇의 스포츠 게임 모드, 완구용 로봇을 이용한 보드게임 모드, 완구용 로봇의 주행 모드 또는 완구용 로봇의 비행 모드 중 하나 이상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application i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play mode between toy robots, sports game mode of the toy robot, board game mode using the toy robot, driving mode of the toy robot or toy robot Toy robot controll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one or more of the flight mode.
KR1020110013313A 2011-02-15 2011-02-15 System for controlling toy robot and toy robot controll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97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313A KR101097761B1 (en) 2011-02-15 2011-02-15 System for controlling toy robot and toy robot controll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313A KR101097761B1 (en) 2011-02-15 2011-02-15 System for controlling toy robot and toy robot controll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761B1 true KR101097761B1 (en) 2011-12-22

Family

ID=4550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313A KR101097761B1 (en) 2011-02-15 2011-02-15 System for controlling toy robot and toy robot controll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761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222B1 (en) 2012-04-24 2013-07-15 주식회사 소이웍스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ducational science-kit apparatus
KR101423320B1 (en) 2013-07-15 2014-07-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Block automatic separation system using smart phones
KR101473422B1 (en) * 2012-08-01 2014-12-18 주식회사 하이로시 Toy driving system and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oy
CN105643632A (en) * 2016-03-24 2016-06-08 彭泽宸 Remote real person simulation interaction robot
KR101706507B1 (en) 2016-07-11 2017-02-27 송수한 Robot Interlocking With Mobile, Robot Operating System Interlocking With Mobi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44674B1 (en) * 2015-03-19 2017-06-09 모젼스랩(주)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ents creation using synchronization between virtual avatar and real avatar
KR101832742B1 (en) * 2016-03-17 2018-03-02 (주)로보와이즈 System for learning languages program using smart toy
KR20180089727A (en) 2017-02-01 2018-08-09 송수한 System for controlling toy robot and toy robot controll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9004742A1 (en) * 2017-06-30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system including moving robot and mobile terminal
KR101966914B1 (en) 2017-12-04 2019-04-08 주식회사 로시 Toy robot control system for coding education
KR20200019298A (en) * 2018-08-10 2020-02-24 백으뜸 IoT doll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contents
US20210276186A1 (en) * 2019-01-25 2021-09-09 Beijing Magic Pal Technology Co., Ltd. Robot and operating system,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222B1 (en) 2012-04-24 2013-07-15 주식회사 소이웍스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ducational science-kit apparatus
KR101473422B1 (en) * 2012-08-01 2014-12-18 주식회사 하이로시 Toy driving system and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oy
KR101423320B1 (en) 2013-07-15 2014-07-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Block automatic separation system using smart phones
KR101744674B1 (en) * 2015-03-19 2017-06-09 모젼스랩(주)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ents creation using synchronization between virtual avatar and real avatar
KR101832742B1 (en) * 2016-03-17 2018-03-02 (주)로보와이즈 System for learning languages program using smart toy
CN105643632A (en) * 2016-03-24 2016-06-08 彭泽宸 Remote real person simulation interaction robot
KR101706507B1 (en) 2016-07-11 2017-02-27 송수한 Robot Interlocking With Mobile, Robot Operating System Interlocking With Mobi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89727A (en) 2017-02-01 2018-08-09 송수한 System for controlling toy robot and toy robot controll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9004742A1 (en) * 2017-06-30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system including moving robot and mobile terminal
KR101966914B1 (en) 2017-12-04 2019-04-08 주식회사 로시 Toy robot control system for coding education
KR20200019298A (en) * 2018-08-10 2020-02-24 백으뜸 IoT doll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contents
KR102106905B1 (en) * 2018-08-10 2020-05-06 백으뜸 IoT doll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contents
US20210276186A1 (en) * 2019-01-25 2021-09-09 Beijing Magic Pal Technology Co., Ltd. Robot and operating system,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11904475B2 (en) * 2019-01-25 2024-02-20 Beijing Magic Pal Technology Co., Ltd. Robot and operating system,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761B1 (en) System for controlling toy robot and toy robot controll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0874952B2 (en) Virtual representation of physical agent
US10561950B2 (en) Mutually attachable physical pieces of multiple states transforming digital characters and vehicles
Tezza et al. The state-of-the-art of human–drone interaction: A survey
KR101793189B1 (en) Integration of a robotic system with one or more mobile computing devices
US9067145B2 (en) Virtual representations of physical agents
US20090005167A1 (en) Mobile Gaming with External Devices in Single and Multiplayer Games
JP5526334B2 (en) Game image generation method in remote radio controlled online battle game system
EP2693284A2 (en) Systems and method for haptic remote control gaming
CN104759095A (en) Virtual reality head wearing display system
JP201012312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US20170197146A1 (en) Remote control with relative directional sense to a controlled object
KR101929826B1 (en) Multiplatform gaming system
CN106914017A (en) Secret room escapes the scene system of class true man game
JP2022520016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s, devices,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s
CN111819520A (en) Spatialized haptic device force feedback
CN105641947A (en) Interactive entertain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102221A (en) Intelligent track racing car to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12052A (en) Vr multiple fire training systems
Lamberti et al. Robotquest: A robotic game based on projected mixed reality and proximity interaction
US201900389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rious Model Train Actions
KR101473422B1 (en) Toy driving system and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oy
Dang et al. Tabletopcars: Interaction with active tangible remote controlled cars
US10242241B1 (en) Advanc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gameplay system
CN110732145A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to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