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020B1 - 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with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7020B1 KR101097020B1 KR1020090101458A KR20090101458A KR101097020B1 KR 101097020 B1 KR101097020 B1 KR 101097020B1 KR 1020090101458 A KR1020090101458 A KR 1020090101458A KR 20090101458 A KR20090101458 A KR 20090101458A KR 101097020 B1 KR101097020 B1 KR 1010970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knob
- housing
- disposed
- sl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 상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 스위치 노브부와, 상기 버튼 스위치 노브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버튼 스위치를 포함하는 버튼 스위치부; 상기 버튼 스위치부에 배치되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와, 상기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커넥터를 포함하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ortion;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housing part; A button switch part including a button switch knob part movab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nd a button switch operated by the button switch knob part; A button switch display unit including a button switch display disposed in the button switch unit and a button switch display connector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button switch display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장치에 대한 다양한 작동 모드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방향 디렉셔널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tch devic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directional operation to enable a variety of operating mode selection for the device.
스위치 장치는 차량, 공작 기계,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기 및 게임기 등의 장치들에 선택 및 조작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장치들의 다양한 기능적 선택을 위하여 스위치 장치도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단순한 푸시 스위치 타입의 버튼 스위치 이외에도 축방향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로터 리 스위치 들도 있고, 로터리 스위치는 촉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자기 흡입력을 이용한 구조에 대하여도 다양한 연구 및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Switch devices are used as devices for selection and operation in devices such as vehicles, machine tools, terminals, multimedia devices and game machines. However, variou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of switch devices are being conducted for various functional selection of devices. In addition to the simple push switch type button switch, there are also rotary switches that enable axial rotation,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structure using magnetic suction force to enable tactile perception.
한편, 스위치 장치에 의하여 조작되는 대상이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요구되므로, 스위치 장치에도 복합적인 계층적 작동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경우 단계적인 동작을 통하여 계층적 작동 기능이 가능하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스위치 노브에 배치 되는 아이콘에 조명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이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뿐, 다양한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능동적 표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응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스위치 장치를 조작하기 위하여 스위치 장치의 스위치 노브와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주시하여야 하므로 조작이 번거롭거나 또는 차량 등에 장착되는 스위치 장치의 경우 전방 주의력이 분산되어 차량 주행 안전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스위치 장치의 또 다른 유형의 경우 정전 용량 타입의 스위치 구조를 취하여 디스플레이와 스위치 장치를 일체화시키는 구성을 취하기도 하였으나, 터치 스위치의 경우 조작 응답성이 약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적인 조작감을 느끼도록 하지 못하였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bject operated by the switch device is complicated and requires various functions, the switch device also requires a function for selecting a complex hierarchical operation func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ierarchical oper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stepwise operation, but the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the illumination light to the icon disposed on the switch knob of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may be configured. In addition, the user may not be able to perform an active display function corresponding to various operation modes, and the user may have to stare at a separate display. That is, in order to operate the switch device, the switch knob and the display of the switch device must be simultaneously looked at, so that the operation is cumbersome or when the switch device is mounted on a vehicle, the front attention is distributed, thereby deteriorating vehicle driving safety.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other type of switch device of the prior ar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splay device and the switch device are integrated by taking a capacitive type switch structure is used, but in the case of the touch switch, the operation responsiveness is weak and the user feels a direct operation feeling. I could not.
본 발명은 버튼 스위치부에 장착되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시각적으로 신속하게 인지 가능한 구조의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switch unit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visually and quickly recognized while providing a feeling of operation to a user through a button switch display unit mounted to a button switch unit, and a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the sam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 상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 스위치 노브부와, 상기 버튼 스위치 노브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버튼 스위치를 포함하는 버튼 스위치부; 상기 버튼 스위치부에 배치되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와, 상기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커넥터를 포함하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ousing portion;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housing part; A button switch part including a button switch knob part movab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nd a button switch operated by the button switch knob part; A button switch display unit including a button switch display disposed in the button switch unit and a button switch display connector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button switch display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는 LCD, OLED 중 하나일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button switch display may be one of LCD and OLED.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를 포함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composite switch unit comprising: a switch knob part having one end disposed above the housing part and the other end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A slide par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witch knob part to enable directional movement of the switch knob part; And a directional switch unit including a directional switch movable unit disposed on the slide unit and a directional switch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operated by the directional switch movable unit during directional movement of the switch knob unit. have.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슬라이드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과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가 배치되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가동 블록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slide unit includes: a slide housing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witch knob part, a slide movable block connected to the slide housing and having the directional switch movable part disposed at an end thereof, the slide housing and the slide A slide guid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ovable blocks to allow the slide housing to slide.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일면이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가 상대 운동 가능하게 접하고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관통을 허용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바 디의 타면과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를 상대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slide guide may include: a slide guide body havi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lide housing to allow relative movement and allowing penetration of the slide housing, and formed in the housing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slide guide body; A slide guide support for supporting the slide guide body in a relative motion may be provided.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의 일면에는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 대응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의 타면에는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의 상기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 대응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서로 직교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a guide body first guide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lide guide body, and a guide body movably engaged with the guide body first guide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guide body first guide of the slide housing. A guide body having a guide corresponding part, a guide body having a second guid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lide guide body, and a guide body movably engaged with the guide body second guide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guide body of the slide guide support; A second guide counterpart may be provided, and the guide body first guide and the guide body second guide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part.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가동 블록의 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드 스톱퍼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slid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lide stoppe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movable block.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스톱퍼는 상기 슬라이드 가동 블록의 대응 위치로 상기 하우징부 또는 상기 슬라이드 가동 블록에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slide stopper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portion or the slide movable block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lide movable block.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는 복수 개의 방향을 감지하는 다방향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combined switch unit, the directional switch may include a multi-directional switch for sensing a plurality of directions.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의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일면에는 가동부 요홈이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a movable part recess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directional switch movable par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directional switch.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 요홈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a plurality of movable part recesses may be provided.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가해지는 외력 제거시 원위치 복귀를 위한 노브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틸팅부는: 기 하우징부에 상기 스위치 노브부를 향하여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틸팅 플런저와, 상기 노브 틸팅 플런저와 접하고 상기 노브 틸팅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노브 틸팅 탄성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틸팅 플런저의 단부와 접촉 가능한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switch knob portion has a knob tilting portion for returning to the home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witch knob portion is removed, and the knob tilting portion is: a housing portion is movably disposed toward the switch knob portion. And a knob tilting plunger, a knob tilting elastic member in contact with the knob tilting plunger and providing elasticity to the knob tilting plunger, and a knob tilting plunger counterpart disposed on the slide and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knob tilting plunger. .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는 상기 노브 바디의 회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로터리 스위치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switch knob portion: a knob housing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lide portion, and a knob body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portion and disposed relative to the knob housing. In addition, the knob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rotary switch unit that is op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knob body.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노브 바디와 함께 회동하는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와,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의 대응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rotary switch unit may include a rotary switch encoder rotating together with the knob body, and a rotary switch optical sensor dispose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otary switch encoder inside the knob housing.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노브 바디와 함께 회동하는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와,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의 대응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자기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rotary switch unit may include a rotary switch magnet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knob body, and a rotary switch magnetic sensor dispose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otary switch magnet inside the knob housing.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는 상기 노브 바디와 연결되는 햅틱 액츄에이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switch knob portion: a knob housing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lide portion, and a knob body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portion and disposed relative to the knob housing. The knob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haptic actuator connected to the knob body.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햅틱 액츄에이터는 전자석 타입일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haptic actuator may be an electromagnet type.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햅틱 액츄에이터는: 상기 노브 바디와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가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와, 상기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주에 코일이 권취되는 햅틱 액츄에이터 보빈과,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의 단부와 접촉 가능한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haptic actuator includes: a shaft connected to the knob body, a haptic actuator core disposed inside the knob housing and movably disposed through the shaft, and inside the haptic actuator core. A haptic actuator bobbin disposed and coiled around the periphery, and a haptic actuator disk mounted to the shaft and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haptic actuator core.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바디에 배치되는 디텐트 로테이터와, 상기 디텐트 로테이터에 수용되는 디텐트 볼과, 상기 디텐트 로테이터에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디텐트 볼을 탄성 지지하는 디텐트 탄성 부재와,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위치 고정되 어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볼과 접하는 디텐트 돌기를 구비하는 디텐트 바디를 포함하는 디텐트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switch knob portion: a knob housing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lide portion, and a knob body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portion and disposed relative to the knob housing. A detent rotator disposed on the knob body, a detent ball housed in the detent rotator, a detent elastic member housed in the detent rotator, and one end of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detent rotator, It may be provided with a detent portion comprising a detent body having a detent protrusion disposed in positionally fixed relative to the knob housing and in contact with the detent ball.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바디가 상기 노브 하우징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가동 가능한 푸시 스위치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the switch knob portion: a knob housing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lide portion, and a knob body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portion and disposed relative to the knob housing. And a push switch unit disposed in the knob housing and movable when the knob body moves toward the knob housing.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출력 기판 및 상기 광출력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광출력 램프를 구비하는 광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composite switch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output unit including an optical output substrate disposed on the housing part and an optical output lamp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optical output substrate.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 상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 스위치 노브부와, 상기 버튼 스위치 노브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버튼 스위치를 포함하는 버튼 스위치부; 상기 버튼 스위치부에 배치되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와, 상기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커넥터를 포함하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부;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를 포함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소정의 작동 모드에 대한 사전 설정 데이터가 사전 설정되어 저장된 저장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housing portion;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housing part; A button switch part including a button switch knob part movab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nd a button switch operated by the button switch knob part; A button switch display unit including a button switch display disposed on the button switch unit, and a button switch display connector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button switch display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 switch knob part having one end disposed above the housing part and the other end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A slide par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witch knob part to enable directional movement of the switch knob part; And a directional switch unit including a directional switch movable unit disposed on the slide unit and a directional switch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operated by the directional switch movable unit during directional movement of the switch knob uni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a switch unit, a control unit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composite switch unit, and a storage unit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and preset data stored for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composite switch unit and the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버튼 스위치부와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감을 유지함과 동시에 버튼 스위치 노브에 직접적인 화상 표시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작동 모드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First, the composite switch unit and the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button switch unit and a button switch display unit to allow a user to maintain a feeling of operation and to display an image directly on the button switch knob. Allows quick recognition of the operating mode selected.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차량 등의 한정된 공간 내에 장착되는 경우 컴팩트한 구성에 복합적인 기능의 단일 스위치 장치로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여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Secondly, the composite switch unit and the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ted into a single switch device having a complex function in a compact configuration when mounted in a limited space such as a vehicle, thereby increasing design freedom. It may be.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슬라이드부를 통하여 다방향 제어가 가능하되 안정적인 디렉셔널 운동을 이루어 사용자에 의하여 보다 원활하고 정확한 조작 운동을 이룰 수 있다. Third, the composite switch unit and the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multi-directional control is possible through the slide portion to achieve a stable directional motion can achieve a smoother and more accurate operation movement by the user.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 치는, 슬라이드부의 직교 배치되는 가이드 바디 제1 및 2 가이드부/대응부 구조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드 운동, 궁극적으로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을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Fourth, the composite switch unit and the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guide body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 / counterpart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slide portion, more stable slide movement, ultimately the directional movement of the switch knob portion Through the user's operation state can be achieved accurately and stably.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다방향 조작이 가능한 다방향 스위치로 디렉셔널 스위치가 구현됨으로써 조작 과정 상에서의 사용자의 방향 전환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도 있다. Fifth, the composite switch unit and the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accurately sense the user's direction change in the operation process by implementing the directional switch as a multi-directional switch capable of multi-directional operation.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로터리 스위치부, 푸시 스위치부 및/또는 버튼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여 해당 작동 장치에 대하여 보다 복합적이며 다양한 메뉴 및 작동 선택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Sixth, the composite switch unit and the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 a rotary switch unit, a push switch unit and / or a button switch unit to enable a more complex and various menu and operation selection for the corresponding operation device. You may.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광출력부를 통한 시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및 강도에 따라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또는 이를 통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으로서의 작동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보다 신속하게 인지할 수도 있다. Seventh, the composit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the same, to enable the visual recognition through the optical output unit to control the user through the composite switch unit and / or the same according to the color and intensity of the light output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ng unit as the control target to be more quickl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이하에서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composite switch unit.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a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도 1의 선 Ⅰ-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3b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도 1의 선 Ⅱ-Ⅱ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3c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일부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d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버튼 스위치부 및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하우징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푸시 스위치부(500)에 대한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슬라이드부(6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슬라이드부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디렉셔널 스위치부(700)의 디렉셔널 스위치(710)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 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 의 디렉셔널 스위치부(700)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의 변형예가 도시되고, 도 13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디렉셔널 스위치부(7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1)의 제어 구성을 위한 개략적인 블록 선도가 도시되고, 도 17 및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다른 예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된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부(100)와, 인쇄회로기판(200)과, 스위치 노브부(300)와, 슬라이드부(600)와, 그리고 디렉셔널 스위치부(700)를 구비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의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슬라이드부(600)는 스위치 노브부(300)와 연결되어 스위치 노브부(300)가 디렉셔널 운동을 하는 경우 평면 슬라이딩 운동을 실행하고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운동에 의하여 디렉셔널 스위치부(700)가 가동되어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에 대응하는 소정의 신호를 생성 출력한다. The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는 서로 체결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110)는 하우징 노브 커버(1110)와 하우징 가이드 커버(112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가이드 커버(1120)는 "ㄷ"자 형상을 구비하고 하우징 노브 커버(1110)는 하우징 가이드 커버(1120)의 홈 부위에 배치된다. 하우징 노브 커 버(1110)는 하기되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하우징부 내부로의 안정적인 장착을 안내하고 이물의 하우징부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한다. 하우징 노브 커버(1100)의 중앙에는 노브 커버 관통구(1111)가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부(300)의 단부는 노브 커버 관통구(1111)를 관통하여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진입한다. The
하우징 가이드 커버(1120)의 외측에는 가이드 커버 장착부(1121)가 배치되는데, 가이드 커버 장착부(1121)는 하기되는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커버 장착부(121)와 맞물리어 체결 구조를 이룬다. 하우징 가이드 커버(120)의 중앙 영역에는 가이드 커버 노브 장착부(1123)가 형성되는데, 가이드 커버 노브 장착부(1123)는 "ㄷ"자 형상의 홈 부위를 구성한다. 가이드 커버 노브 장착부(1123)에는 상기한 하우징 노브 커버(1110)가 배치된다. 하우징 노브 커버(1110)가 배치되는 가이드 커버 노브 장착부(1123)의 외측에는 가이드 커버 버튼 장착부(1125)가 배치되는데, 가이드 커버 버튼 장착부(1125)에는 하기되는 버튼 스위치부(1000)가 배치된다. A guide
하우징 바디(120)는 하우징 커버(11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커버(110)와는 상기한 가이드 커버 노브 장착부(1123)와 하우징 바디 커버 장착부(121) 간의 맞물림에 의하여 결합된다. 하우징 바디(120)의 중앙에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단부의 관통을 허용하는 하우징 바디 노브 관통구(123)가 배치되고 하우징 바디 노브 관통구(123)의 외측에는 버튼 스위치부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우징 바디 버튼 장착부(125)가 구비된다. 하우징 바디 버튼 장착부(125)의 내측에는 하우징 바디 버튼 가이드(126)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바디 버튼 가이 드(126)에 의하여 하기되는 버튼 스위치부(1000)가 하우징 바디 버튼 장착부(125)에서 안정적으로 가동되도록 한다. 하우징 바디 버튼 장착부(125)의 하단에는 하우징 바디 버튼 관통구(124)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바디 버튼 관통구(124)를 통하여 버튼 스위치부(1000)가 가동된다. The
하우징 베이스(130)는 하우징 바디(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130)에는 하우징 베이스 체결부(131)가 배치되는데, 볼트와 같은 하우징 체결부(132)를 통하여 하우징 베이스(130)는 하우징 바디(120)와 함께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부에는 베이스 리브(133)가 배치되어 하우징 베이스(130)의 강도를 유지한다. 또한, 하우징 베이스(130)에는 베이스 기판 지지부(135)가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00)에는 각종 회로배선과 전기 소자가 배치되어 하기되는 로터리 스위치부(400), 디렉셔널 스위치부(700), 푸시 스위치부(500) 및 버튼 스위치부(1000) 들과 제어부(미도시) 또는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인쇄회로기판(200)의 중앙에는 기판 관통구(201)가 배치되고 기판 관통구(201)를 통하여 스위치 노브부(300)의 단부가 하우징 베이스(130)를 향하여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00)의 단부에는 커넥터(210)가 배치되는데, 커넥터(210)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 및/또는 제어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The printed
본 발명의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버튼 스위치부(1000)와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부(1050)를 구비한다. 버튼 스위치부(1000)는 사용자에 의하여 가동되는 데, 버튼 스위치부(1000)는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와 버튼 스위치(1020)를 포함한다.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는 하우징부(100)의 일면 상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버튼 스위치(1020)는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에 의하여 가동되고, 버튼 스위치(102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으로 스위치 노브부(300)의 배치 위치 외곽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The
버튼 스위치(1020)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고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는 하우징부(10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수직 가동됨으로써 버튼 스위치(720)를 가동시킨다. 하우징부(100)에는 가이드 커버 버튼 장착부(1125)가 배치되는데, 가이드 커버 버튼 장착부(1125)에는 하기되는 버튼 스위치부(1000)의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가 배치된다. The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는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부(1011)와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1013)를 구비하는데, 양자는 서로 맞물리어 블록 구조를 형성한다.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부(1011)의 외주에는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 장착부(1012)가 배치되고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1013)의 외주에는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장착부(1014)가 배치되는데,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 장착부(1012)와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장착부(1014)는 서로 맞물린다.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1013)의 하단 외주에는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가이드(1016)가 형성되고 이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바디(120)의 내측에는 하우징 바디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121-1)가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가이드(1016)과 하우징 바디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121-1)는 서로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어 버튼 스위치 노브부의 원 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하면서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의 수직 가동을 허용한다. The button
또한,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1013)의 측면에는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의 원활한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슬라이딩 가이드(1019)가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1013)의 슬라이딩 가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슬라이딩 가이드(1019)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바디(120)의 내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 버튼 가이드(126)가 배치된다. 따라서,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슬라이딩 가이드(1019)와 하우징 바디 버튼 가이드(126)는 서로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구조를 형성하여 양자의 안정적인 상호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장착부(1013)의 하단은 개방된 구조를 이루고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장착부(1013)의 하면으로부터 버튼 스위치 가동부(1015)가 연장 형성되는데, 버튼 스위치 가동부(1015)는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의 수직 가동시 버튼 스위치(1020)를 가동시킨다. 또한, 버튼 스위치부(1000)는 복수 개(1030,1040)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on the side of the butt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부(1050)을 구비하는데,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부(1050)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1051)와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커넥터(1053)을 포함한다.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1051)는 LCD 또는 OLED와 같은 박형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현되고,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커넥터(1053)는 일단이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1051)와 연결되고 타단이 인쇄회로기판(200)과 연결된다.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1051)와 연결되고 타단이 인쇄회로기판(200)과 연결된다. 이때,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1013)에는 노브 베이스 커넥터 관통구(1017,1017a, 도 3d 참조)가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200)에는 기판 커넥터 관통구(203, 도 2 및 도 3b 참조)가 배치되는데,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커넥터(1053)는 노브 베이스 커넥터 관통구(1017,1017a)와 기판 커넥터 관통구(203, 도 2 및 도 3b 참조)를 관통하여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1051)와 인쇄회로기판(200) 간의 전기적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노브 베이스 커넥터 관통구(1017,1017a)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데,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커넥터(1053)은 복수 개의 노브 베이스 커넥터 관통구(1017,1017a)를 모두 관통하여 배치된다. 즉, 어느 하나의 노브 베이스 커넥터 관통구(1017a)의 단부에는 노브 베이스 커넥터 관통구 리브(1017b)가 배치되는데,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커넥터(1053)가 노브 베이스 커넥터 관통구(1017a)를 통하여 노브 베이스 커넥터 관통구 리브(1017b)를 감싸는 형상을 통해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커넥터(1053)을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커넥터(1053)와 다른 구성요소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Meanwhile, the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1051)는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부(1011)와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1013)의 사이에 배치된다.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1013)의 일면 상에는 노브 베이스 디스플레이 장착부(1018)이 배치되는데, 노브 베이스 디스플레이 장착부(1018)는 노브 베이스 디스플레이 장착부(1018)의 외주에 배치되는 노브 베이스 디스플레이 장착부 가이드(1018a)에 의하여 구획된다. 노브 베이스 디스플레이 장착부(1018)에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1051)가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노브 베이스 디스플레이 장착부 가이드(1018a)에 의하여 위치 고정되도록 가이드되어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가 가동되더라도 위치 변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1051)은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 커넥터(1053)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00)과 소통을 이루고 하기되는 제어부(20)를 통한 제어 신호를 통하여 소정의 화상 표시를 실행한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작동 모드에 따라 복수 개의 버튼 스위치 노브부에 배치되는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부의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에는 각각의 소정의 선택 가능한 아이템을 글자 또는 소정의 아이콘이 화상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에는 각각 "DVD", "네비게이션", "라디오", "MP3", "에어컨" 등과 같은 글자가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어 버튼 스위치 노브부 및 버튼 스위치가 가동되는 경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20, 도 16 참조)로 전달되고 제어부(20)는 제어 신호를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로 전달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작동 아이템의 화상을 반전시키거나 글자 색상을 변경시켜 사용자의 신속한 시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작동 아이템에 대하여 소정의 하부 선택 메뉴가 존재할 경우 각각의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글자 또는 화상 표시 사항을 변동시켜 세부적인 선택 기능을 명확하게 진행할 수도 있다.The
스위치 노브부(300)는 일단이 하우징부(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단은 하우징 바디(120) 및 하우징 베이스(130)에 배치되고 타단은 하우징 커버(110)의 상단에 노출되어 배치된다. 즉, 스위치 노브부(300)의 일단은 하우징 커버(110)의 하우징 노브 커버 관통 구(1111),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관통구(123)를 관통하여 하우징 베이스(130)를 향하여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부(300)는 노브 커버(310)와 노브 바디(330)와 노브 하우징(340)을 구비하는데, 노브 하우징(34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기되는 슬라이드부(600)와 연결되고,노브 바디(330)는 하우징부(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노브 하우징(340)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노브 바디(330)의 일단은 개방된 구조를 취하는데, 노브 바디(330)의 개방된 단부에는 노브 커버(310)와 노브 커버 스트립(320)이 배치된다. 노브 커버 스트립(320)은 링 타입으로 구현되고 노브 커버(310)는 디스크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디스크 타입의 노브 커버(310)는 노브 커버 스트립(320)의 일단에 배치된다. 노브 커버 스트립(320)에는 스트립 장착부(321)가 형성되는데, 스트립 장착부(321)는 하기되는 노브 바디(320)의 노브 바디 스트립 장착부(3301)과 연결되어 노브 바디(330)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다. One end of the
노브 바디(330)의 외주에는 노브 바디 그립 홈(3302)가 형성되는데, 노브 바디 그립 홈(3302)을 통하여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하고, 스위치 노브부(300)의 조작시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노브 바디(330)의 중앙에는 노브 바디 관통구(3303)가 구비되는데, 노브 바디 관통구(3303)는 노브 샤프트(360)가 배치된다. 노브 샤프트(3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브 바디(330)와 노브 샤프트(360)는 상대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다. 노브 바디 관통구(3303)의 내부에는 노브 바디 관통구(33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브 바디 관통구 가이드(3304)가 배치되고 노브 샤프트(360)에는 이에 대응하는 대응부가 구비됨으로써 노브 샤프트(360)는 노브 바디 관통구 가 이드(3304)에 의하여 안내되어 노브 바디 관통구(3303)를 관통하여 가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하기되는 푸시 스위치부(500)의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노브 바디(330)의 하부에는 노브 푸시 가동부(370)가 더 구비되는데, 노브 바디(330)는 노브 샤프트(360)와 함께 회동되어 하기되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에 외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취하나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에 외력을 제공하나 노브 푸시 가동부(370)는 노브 바디(330)의 하부에 배치되어 노브 샤프트(36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축방향 운동만을 허용하고 축방향 회동 운동은 제한될 수 있다. A knob
노브 하우징(340)은 노브 바디(33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노브 하우징(340)은 하기되는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연결된다. 노브 하우징(340)은 노브 하우징 탑부(4310)와 노브 하우징 바텀부(3420)를 구비하고 노브 하우징 탑부(3410)와 노브 하우징 바텀부(3420)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노브 하우징(340)은 노브 바디(33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을 슬라이드부(600) 및 디렉셔널 스위치부(700)로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 하우징(340)은 슬라이드부(600) 및 하우징부(100)에 삽입 장착되는 유니트 구조를 취함으로서 조립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로터리 스위치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노브 바디(330)와 연결되어 노브 바디(330)의 회동에 의하여 가동된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광센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와 로터리 스위치(420)를 구비하는데,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는 노브 하우 징(34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와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연결부(413)와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를 구비하는데,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를 사이에 두고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연결부(413)와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가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는 노브 하우징(340)의 내부에서 안정적인 축회동을 이루도록 지지되는데,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연결부(413)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의 상단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연결부(413)는 돌기 구조를 취하고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연결부(413)는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고, 노브 샤프트(360)의 하단에 배치되는 노브 샤프트 연결부(361)는 요홈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연결부(413)는 외주가 각형상을 구비하고 노브 샤프트 연결부(361)와 맞물리어 노브 샤프트(360)와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의 동축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의 타단에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가 배치되는데,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는 하기되는 햅틱 액츄에이터(800)의 중심 샤프트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와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는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예일뿐 서로 별개품으로 구성되고 서로 동축 회동을 이루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로터리 스위치(420)는 광센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스위치(420)는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와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423)를 구비한다.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는 노브 바디(410)와 함께 회동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와 함께 회동한다.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는 노브 하우징(340)의 내부로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423)의 대응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 하우징(340)의 내부에는 노브 인쇄 기판(200-1)이 배치되고,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은 스위치 노브부(300)의 노브부 커넥터(301)와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200),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은 노브 하우징(340)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는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423)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와 함께 회동하도록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423)는 하기되는 햅틱 액츄에이터(800)의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의 단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가 배치되는데, 햅틱 액츄에이터(800)의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 즉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가 축회동하는 경우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도 함께 축회동을 이루고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423)는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의 일면으로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를 향한 일면 상에 배치되어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와 함께 궁극적으로 노브 바디(330)와 함께 축 회동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노브 바디(330)의 축 회동에 의하여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423) 가 회동하는 경우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는 광신호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 및 인쇄회로기판(200)을 거쳐 제어부(미도시) 또는 외부 전기 장치로 변화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푸시 스위치부(5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푸시 스위치부(500)는 노브 하우징(340)에 배치되고 노브 바디(330)가 노브 하우징(340)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가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푸시 스위치부(500)는 러버 돔(rubber dome) 스위치 구조를 취하는데,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부(500)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푸시 스위치부(500)는 푸시 스위치(510)와 푸시 스위치 가동부(520)를 구비하는데, 푸시 스위치(510)는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푸시 스위치 가동부(520)는 노브 푸시 가동부(370, 도 3a 참조)의 단부에 배치된다. 노브 푸시 가동부(3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노브 바디(330)와 별개물로 노브 바디(3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축방향 상하 이동만이 허용된다. 노브 푸시 가동부(370)의 일단으로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을 향한 일단에 푸시 스위치 가동부(520)가 구비되는데, 푸시 스위치 가동부(520)는 푸시 스위치 가동 돌기(521)와 푸시 스위치 가동 홈(523)을 구비한다. 푸시 스위치(510)는 푸시 스위치 러버 돔부(5110)와 푸시 스위치 접점부(5120)를 포함한다. 푸시 스위치 러버 돔부(5110)는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5113)와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 연결부(5115)와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 지지부(5117)를 구비하는데,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 지지부(5117)는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의 일면 상에 접촉하여 지지되고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 연결부(5115)는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5113)와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 지지부(5117)를 연결한다.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5113)의 일면 상에는 푸시 스위치 러버 돌기(5111)가 배치되어 푸시 스위치 가동 홈(523)과 맞물리어 푸시 스위치(520)의 안정적인 상하 가동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푸시 스위치 접점부(5120)는 푸시 스위치 가동 접점(5121)과 푸시 스위치 고정 접점(5123)를 구비하는데, 푸시 스위치 가동 접점(5121)은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5113)의 하단에 배치되고 푸시 스위치 고정 접점(5123)은 푸시 스위치 가동 접접(5121)의 대응되는 위치로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부(300)에 수직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노브 바디(330)는 노브 샤프트(360)와 상대 수직 운동을 이루며 하부로 이동하여 노브 푸시 가동부(370)에 외력이 전달되고 노브 푸시 가동부(370)는 수직 운동함으로써 푸시 스위치 가동부(520)는 푸시 스위치(510)의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5113)를 하부로 탄성 이동시킨다. 이때, 푸시 스위치 가동 접점(5121)과 푸시 스위치 고정 접점(5123)은 서로 접촉 상태를 이루어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하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 및/또는 인쇄회로기판(200)을 통하여 제어부(미도시) 및/또는 외부 전기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푸시 스위치 바디 지지부(5117) 및 푸시 스위치 바디 연결부(5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푸시 스위치 바디(5113)는 원위치 복귀되고 푸시 스위치 가동 접점(5121)과 푸시 스위치 고정 접점(5123)은 분리되어 접속 상태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햅틱 액츄에이터(800)를 더 구비 할 수도 있다. 햅틱 액츄에이터(800)는 스위치 노브부(300)에 사용자에 의한 노브 바디(330) 조작시 소정의 반력을 생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촉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여 현재 복합 스위치 유니트(10) 내지 이를 통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작동 유니트의 현재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햅틱 액츄에이터(800)는 노브 하우징(34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은 노브 바디(33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햅틱 액츄에이터(800)는 전자석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이는 일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햅틱 액츄에이터는 전기 모터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타입의 햅틱 액츄에이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햅틱 액츄에이터(800)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와,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와, 햅틱 액츄에이터 보빈(810)과,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햅틱 액츄에이터 프릭션 링(8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510)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물로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는 일체로 형성되고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는 햅틱 액츄에이터(800)의 중심축을 이루는 샤프트로 작동한다. 햅틱 액츄에이터의 샤프트로서의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는 노브 바디(330)와 함께 축회동을 이룬다.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는 노브 하우징(34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는 단면이 중심축으로부터 양측으로 "U"자 형상을 구비하고 중앙에는 코어 관통구가 구비되어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의 관통을 허용한다. 햅틱 액츄에이터 보빈(810)은 햅틱 액츄에 이터 코어(82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햅틱 액츄에이터 보빈(81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비하여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의 "U"자형 홈 내측에 배치된다. 햅틱 액츄에이터 보빈(810)의 외주에는 코일이 권취되는데, 코일(미도시)은 노브부 커넥터(301)를 통하여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의 외주로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와 함께 축회동하고,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는 강자성체로 형성되어 전자기력에 의한 영향을 받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코일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전자기력에 의하여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는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 측으로 이동하여 양자 간의 접촉력이 강화되어 마찰력에 의하여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의 회동을 구속, 궁극적으로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 및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 및 노브 바디(330)의 축회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전기적 신호의 인가에 의하여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와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 간의 접촉 상태를 단속시켜 소정의 충격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발생된 충력력이 노브 바디(3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소정의 촉각적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켜 소정의 원하는 진동 패턴의 촉각적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또는 제어 대상으로서의 작동 유니트의 작동 상태에 대한 신속한 인지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 한편, 햅틱 액츄에이터 코 어(820)와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의 접촉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에는 햅틱 액츄에이터 프릭션 링(84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햅틱 액츄에이터 프릭션 링(840)은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의 일면 상으로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의 단부와 접촉이 가장 빈번한 곳에 배치됨으로써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와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 간의 접촉을 인한 과도한 마모를 방지할 수도 있다. 햅틱 액츄에이터 프릭션 링(840)은 소모성 구성요소로서 마모시 교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햅틱 액츄에이터는 전자석 타입을 취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햅틱 액츄에이터는 전기 모터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을 안정적으로 이루고 정확한 가동 동작을 이루기 위하여 슬라이드부와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슬라이드부(60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위치 노브부(300)의 타단과 연결되어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디렉셔널 스위치부(700)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와 디렉셔널 스위치(710)를 포함한다.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는 슬라이드부(600)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71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배치되고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시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에 의하여 가동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은 스위치 노브부(300)의 축에 수직한 평면, 즉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00)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의 병진 운 동(translational movement)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e unit and a directional switch unit in order to achieve the directional movement of the switch knob unit stably and to achieve the correct operation. The
슬라이드부(600)는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슬라이드 가이드(620)와,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슬라이드 하우징(610)은 스위치 노브부(300)의 일단과 연결되고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은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연결되고 단부에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가 배치되고, 슬라이드 가이드(620)는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하우징(610)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슬라이드부(6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시도가 도시된다. 슬라이드 하우징(610)은 중앙부에 슬라이드 하우징 관통구(611)가 구비되는데, 슬라이드 하우징 관통구(611)에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 노브 하우징(340)의 노브 하우징 바텀부(3420)가 삽입 관통 배치된다. 이때, 슬라이드 하우징 관통구(611)의 직경과 노브 하우징 바텀부(3420)의 외경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하우징 관통구(611)에 노브 하우징 바텀부(3420)이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노브 하우징 바텀부(3420)의 외주에 노브 하우징 바텀부 가이드(3421)가 배치되고 슬라이드 하우징(61)의 슬라이드 하우징 관통구(611)의 내측에 슬라이드 하우징 관통구 가이드(613)가 배치되는데, 노브 하우징 바텀부 가이드(3421)와 슬라이드 하우징 관통구 가이드(613)는 서로 맞물림으로써 양자의 정확한 장착 위치를 확보하고 원활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The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하단 측부에는 슬라이드 하우징 블록 장착부(615)가 구비되고, 이는 하기되는 슬라이딩 가동 블록(630)의 슬라이드 가동 블록 하우징 장착부(635)와 맞물림 내지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슬라이딩 가동 블록(630) 간의 정확한 위치 상태 확보 및 장착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lower side of the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은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맞물리어 슬라이딩 하우징(610)과 함께 가동된다.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중앙에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 관통구(631)이 형성되는데, 슬라이드 가동 블록 관통구(631)를 통하여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하면 및 하우징 베이스(130)에 형성되고 하기되는 노브 틸팅부(350)의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은 하우징 베이스(130)의 일면 상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은 슬라이드 하우징(610)에 맞물리어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함께 가동된다. 상기한 스위치 노브부(300)는 노브 틸팅부(3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노브 틸팅부(350)는 스위치 노브부(3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스위치 노브부(300) 및 슬라이드 하우징(610) 및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를 원위치 복귀시킨다. 노브 틸팅부(350)는 노브 틸팅 플런저(3510)와 노브 틸팅 탄성 부재(3520)와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3530)를 구비하는데, 노브 틸팅 플런저(3510)는 하우징부(100)에 스위치 노브부(300)를 향하여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노브 틸팅 탄성 부재(3520)는 노브 틸팅 플런저와 접하고 노브 틸팅 플런저(3510)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3530)는 슬라이드부(600),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노브 틸팅 플런저(3510)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노브 틸팅 플런저(3510)는 로드 타입으로 구성되고 하우징부(100)에 형성되는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부(3550)에 수용된다.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부(3550)는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3551)와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 관통구(3553)을 구비하는데,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3551)는 요홈 타입으로 형성되고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 관통구(3553)은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부(3550)의 스위치 노브부(300)를 향한 단부에 형성된다. 노브 틸팅 플런저(3510)는 노브 틸팅 플런저 바디(3511)와 노브 틸팅 플런저 돌기(3513)와 노브 틸팅 플런저 탄성 부재 수용구(3515)를 구비하는데, 노브 틸팅 플런저 돌기(3513)는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 관통구(3553)를 통하여 스위치 노브부(300)를 향하여 배치되고 노브 틸팅 플런저 탄성 부재 수용구(3513)은 노브 틸팅 플런저 돌기(3513)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3551)에는 노브 틸팅 플런저 탄성 부재(3520)이 배치된다.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 플레이트(3540)가 더 구비되는데,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 플레이트(3540)는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부(3550)의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3551)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한다. 노브 틸팅 플런저 탄성 부재(3520)의 일단은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3551)의 내측 단부에 의하여 그리고 노브 틸팅 플런저 탄성 부재(3520)의 타단은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 플레이트(3540)에 의하여 지지되고 노브 틸팅 플런저(3510)는 노브 틸팅 플런저 탄성 부재(352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The slide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3530)은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35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 틸팅점(3531)과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 경사부(3533)을 구비한다. 노브 틸팅 플런저(3510)의 노브 틸팅 플런저 돌기(3513)가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3530)와 접촉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3530), 궁극적으로 슬라이드 하우징(610), 보다 궁극적으로 스위치 유니트부(300)에 소정의 원위치 유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고 외력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부(300)가 디렉셔널 운동을 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스위치 노브부(30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슬라이드 하우징과 슬라이드 가동 블록은 원위치 유지 내지 디렉셔널 운동 후 원위치 복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knob tilting
슬라이드 가이드(620)는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슬라이드 가이드(620)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슬라이드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드 가이드(6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와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6220)을 구비하는데, 하우징 바디(120)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6220)에 의하여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시 스위치 노브부(300)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의 슬라이드 운동이 허용된다.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6220)는 하우징 바디(120)의 중앙 영역으로 하우징 바디 노브 관통구(123)가 형성되는 영역의 외곽에는 인쇄회로기판(200)에 평행한 평면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를 수평 지지한다.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는 링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이는 일예로서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의 형상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의 중앙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 관통구(6211)가 형성되는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 관통구(6211)는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하단이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을 향하여 관통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에는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슬라이드 운동, 궁극적으로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의 일면, 즉 슬라이드 하우징(610)을 향한 일면에는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6213)이 배치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의 타면, 즉 슬라이드 하우징(610)을 향한 타면에는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6215)가 배치된다. 또한,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6213)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 대응부(617)가 배치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6220)의 일면으로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6215)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 대응부(6221)가 배치된다.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6213)와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 대응부(617)은 서로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6215)와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 대응부(6221)은 서로 가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바디 제 1 및 제 2 가이드(6213,6215)은 돌기 구조를 이루고 가이드 바디 제 1 및 제 2 가이드 대응부(617,6221)은 요홈 구조를 이루는데, 이는 일예로서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이때,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6213)와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6215)는 서로 직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6213)와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6215)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축방 향에 수직한 평면,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00)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서로 직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스위치 노브부(300)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의 어떠한 위치 확보를 이루되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운동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guide body
또한,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운동시 슬라이드부(600)와 과도한 작동을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슬라이드부(600)는 슬라이드 스톱퍼(640,65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데, 슬라이드 스톱퍼(640,650)는 슬라이드부(600),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과도한 위치 변동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드 운동을 제한한다. 도면 부호 650으로 지시되는 슬라이드 스톱퍼(650)는 하우징 베이스(130)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베이스(13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슬라이드 스톱퍼(650)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슬라이드 운동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드 스톱퍼(650)의 내측에는 슬라이드 스톱퍼 탄성부(651)가 더 구비되어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과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 부호 640으로 지시되는 다른 슬라이드 스톱퍼(640)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하단 외주면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하단 외주면에 슬라이드 스톱퍼(640)가 링 타입으로 삽입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는데,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하단부에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 스톱퍼 지지부(637)가 구비되어 슬라이드 스톱퍼(640)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mponent for preventing damage due to excessive operation with the
한편, 디렉셔널 스위치부(700)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 및 디렉셔널 스위치(710)를 구비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는 슬라이드부(600),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외주에 연장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71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시, 즉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슬라이드 운동시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도 함께 가동되어 복수 개가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710)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디렉셔널 스위치(710)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 가동시키기 이위하여 복수 개의 방향을 감지하는 다방향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로 구현되는 디렉셔널 스위치(71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 작동 상태도가 도시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710)의 단부에는 가동 가능한 디렉셔널 스위치 돌기(711)가 배치되고 이에 가해지는 외력 P에 의하여 디렉셔널 스위치 돌기(711)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압입 가동될 수도 있다. 도 10에는 디렉셔널 스위치의 일에에 대한 부분 상세도가 도시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의 하우징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는 단부가 삼각형 돌기 형상을 구비하고 일면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회동 돌기(713)가 구비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의 하단측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부(7110)와 디렉셔널 스위치 연장부(717)가 배치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부(7110)의 일단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 요홈(7111)이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부(7110)의 대응되는 위치로 디 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 볼(7120)이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 볼(7120)은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 탄성 부재(7130)에 의하여 지지된다. 디렉셔널 시소 탄성 부재(7130)의 일단은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 볼(7120)을 지지하고 디렉셔널 시소 탄성 부재(7130)의 타단은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7130)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디렉셔널 스위치 연장부(717)의 일면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장착부(718)가 형성되고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장착부(718)에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부(7120)가 배치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부(7120)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7121)와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탄성부(7125)가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7121)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탄성부(7125)를 사이에 두고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장착부(718)에 가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된다.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7121)의 양단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장착부(718)의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한다.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7121)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인쇄회로기판에는 복수 개의 고정 단자(TD,TR,TL)가 배치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7121)의 일면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돌기(7121)가 구비되어 고정 단자와의 접촉이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디렉셔널 스위치(710)의 디렉셔널 스위치 회동 돌기(713)는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이드(715)를 통하여 가이드된다. 즉, 디렉셔널 스위치 회동 돌기(713)는 디렉셔널 스위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회동 돌기(713)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이드(715)에서 θ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A)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다.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외주에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는 본 실시예에서 4개가 구비되고 각각은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 및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디렉셔널 스위치(710)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에 대응하여 인쇄회로기판(200)의 인쇄회로기판 관통구(201)의 주위에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시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은 슬라이드 운동을 수행하고,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슬라이드 운동에 의한 위치 변동으로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과 함께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는 각각의 디렉셔널 스위치(710)는 선택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Meanwhile, the
또한,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의 단부로 디렉셔널 스위치(710)의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와 접촉 가능한 일면에는 가동부 요홈(721)이 배치된다. 따라서,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가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와 수직방향으로 접촉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와 가동부 요홈(721)의 접촉 상태를 통하여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의 A방향(도 10 참조)으로의 압입 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따라서,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의 단부와 디렉셔널 스위치(710)의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 방향의 변화 가 발생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는 가동부 요홈(721)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가동 방향이 변화하고 이로 인하여 디렉셔널 스위치의 고정 단자의 접촉 위치를 변화시켜 소정의 변화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의 변화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외주에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 720R,L,F,B)가 배치되고 이의 대응되는 위치에 디렉셔널 스위치(710;710R,L,F,B)가 배치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의 일면으로 디렉셔널 스위치(710)를 향한 단부에 가동부 요홈(721)이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부(3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스위치 노브부(300) 및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은 정위치를 구비한다. 스위치 노브부(3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예를 들어 도 14에서와 같이 좌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위치 노브부(300)와 연결되는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도 좌측으로 가동된다. 이때,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L)는 좌측의 디렉셔널 스위치(710L)를 압입 가동시킨다. 도면 부호 710L으로 지시되는 디렉셔널 스위치(710L)로부터의 변화된 전기적 신호는 인쇄회로기판(200)을 통하여 제어부(미도시) 및/또는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된다. 또한, 도 15에는 전후좌우 일방향이 아닌 전방 좌측 대각선 방향으로 스위치 노브부(300)가 가동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F,L)은 각각 디렉셔널 스위치(710F,L)과 접촉하여 가동된다. 이때, 접촉 초기에 각가의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부(720F,L)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동부 요홈(721)과 디렉셔널 스위치(710F,L)의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F,L)이 맞물리어 접촉되고 대각선 방향으로 스위치 노브부(300)가 디렉셔널 운동을 이루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710F,L)의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F,L)는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의 접촉 상태 변화로 소정의 변화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In FIG. 13, a directional switch movable unit 720 (720R, L, F, B) is dispos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a slide
또한, 가동부 요홈(721)이 복수 개(722,723)가 구비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와의 접촉 상태 변화를 보다 원활하게 유도할 수도 있다. 즉,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의 단부에 복수 개가 일렬로 형성됨으로써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 방향이 전화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와 복수 개의 가동부 요홈 간의 접촉 상태로 인하여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는 접촉 상태가 전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스위치 노브부의 작동 상태 변화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vable part recesses 721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슬라이드부와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통하여 제어되는 제어 대상으로서의 작동 유니트의 작동 상태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광출력부(11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광출력부(1100)는 광출력 기판(200b) 및 광출력 램프(11300)을 구비한다. 광출력 기판(200b)은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커 버(110)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광출력 기판(200b)의 중앙에는 광출력 기판 관통구(201b)가 형성되어 스위치 노브부(300)의 관통 배치를 형성한다. 광출력 램프(11300)는 광출력 기판(200b)의 일면으로 상부를 향하여 배치된다. 광출력 램프(11300)는 LED 램프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인쇄회로기판 등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광출력 기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광출력 램프(11300)가 가동될 수 있다. 광출력부(1100)는 광출력 램프(11300)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보다 적절하게 출사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광출력 광전달부(11100,11200)를 구비할 수 있는데, 광출력 광전달부(11100,11200)는 광출력 광전달 바디(11100)와 광출력 광전달 링(11200)를 구비하고 경우에 따라 광출력 광전달 바디와 광출력 광전달 링은 서로 상이한 자체적 색상을 갖는 투명 내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들은 광출력 램프(11300)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보다 적절하게 분산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빛의 직사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하고 사용자에 의한 신속한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광출력 램프(1130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색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출력되는 빛의 색상 내지 강도를 통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게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또는 이를 통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으로서의 작동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보다 신속하게 인지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a range including a slide unit and a directional switch unit. As shown in FIGS. 2 and 3A, a component may be further provided to enable a user's visual percep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mposite switch unit and the operating unit as a control object controlled therethrough. That is, the composite switch unit may further include an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사용자로 하여금 스위치 노브부의 로터리 동작시 촉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능동적 소자로서의 햅틱 액츄에이터를 구비할 수도 있고, 수동적 소자로서 디텐트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광센서 타입 이외에 자기 센서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예에 따른 스위치 노브부(300-1)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18에는 도 17의 스위치 노브부(300-1)에 대한 선 Ⅱ-Ⅱ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switch unit may include a haptic actuator as an active element or a detent unit as a passive element in order to enable a user to sense tactilely during rotary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unit. In addition, the rotary switch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magnetic sensor type in addition to the optical sensor type as described above. FIG. 17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switch knob 30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taken along line II-II of the switch knob 300-1 of FIG. A schematic cross section is shown.
노브 커버(310-1)는 노브 바디(330-1)와 체결되어 노브 바디(330-1)의 상단을 폐쇄한다. 노브 바디(330-1)의 외주에는 노브 바디 그립부(333-1)가 배치된다. 노브 바디(330-1)의 중앙에는 노브 바디 관통구(3303-1)가 형성되는데, 노브 바디 관통구(3303-1)를 통하여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1)가 관통 배치되고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1)의 일단은 노브 하우징(340-1;3410-1,3420-1)의 내부로 배치된다. 푸시 스위치 가동부(520-1)가 스위치 노브부(30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수직 가도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푸시 가동부(520-1)의 일단은 노브 바디(330-1)와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노브 바디(330-1)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수직력은 푸시 가동부(520-1)로 전달된다. 푸시 가동부(520-1)의 외주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푸시 가동부 연장부(521-1)가 배치되고 푸시 가동부 연장부(521-1)의 수직 방향 가동에 의하여 푸시 스위치(510-1)가 가동된다. 푸시 가동부(520-1)의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1)는 이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1)의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1)의 외주에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 돌기(412-1)가 배치되어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1)의 편심으로 인하여 푸시 가동부의 관통구와의 접촉으로 인한 회동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1) 의 하단에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 스톱퍼(416-1)가 배치되고 푸시 가동부 관통구의 하단에 단턱이 형성되는데, 이에 의하여 로터리 스위치의 상방향으로의 과도한 인출이 방지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1)의 상단에도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 상단 스톱퍼(413-1)가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브 바디의 단턱으로 인하여 양자는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1)의 상단에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 장착부(414-1)가 배치되고 노브 샤프트(360-1)를 통하여 노브 바디(330-1)와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1)는 서로 맞물리어 축방향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1)의 하단에는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 장착부(415-1)가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420-1)는 로터리 스위치 자기 센서(421-1)와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423-1)를 구비하는데,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423-1)는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 장착부(415-1)에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노브 인쇄회로기판(200a-1)에는 로터리 스위치 자기 센서(421-1)가 배치된다. 즉, 노브 바디(330-1)의 회동에 의하여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1)도 함께 회동하고 이에 배치된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423-1)의 회동에 한 자기장의 변화로 로터리 스위치 자기 센서(421-1)의 전기적 신호가 변화되고 이는 인쇄회로기판 등을 통하여 제어부 및/또는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The knob cover 310-1 is engaged with the knob body 330-1 to close the upper end of the knob body 330-1. A knob body grip part 333-1 is dispos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knob body 330-1. A knob body through hole 3303-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knob body 330-1, and a rotary switch shaft 410-1 is disposed through the knob body through hole 3303-1 and a rotary switch shaft ( One end of the 410-1 is disposed inside the knob housings 340-1; 3410-1, 3420-1. The push switch movable part 520-1 is disposed to be vertically penetr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part 300-1, and one end of the push movable part 520-1 contacts the knob body 330-1. Form a state. Therefore, when the knob body 330-1 is vertically operated, the vertic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ush movable part 520-1.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ush movable portion 520-1, a push movable portion extending portion 521-1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is disposed, and the push switch 510-1 is moved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ush movable portion extending portion 521-1. Is activate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ush movable portion 520-1 and the rotary switch shaft 410-1 is disposed therethrough.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ry switch shaft body 411-1 of the rotary switch shaft 410-1, a rotary switch shaft body protrusion 412-1 is disposed, and due to the eccentricity of the rotary switch shaft body 411-1, Rotational resistance due to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a rotary switch shaft body stopper 416-1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witch shaft body 411-1, and a stepped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ush movable part through-hole, whereby excessive withdrawal of the rotary switch upwards is prevented. Is prevented. A rotary switch shaft body upper stopper 413-1 is also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rotary switch shaft body 411-1, and both of them form a contact state due to the step of the knob body in a corresponding position. The rotary switch shaft body mounting portion 414-1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witch shaft body 411-1, and the knob body 330-1 and the rotary switch shaft 410-1 through the knob shaft 360-1. Are mounted so as to mesh with each other and to rotate in an axial direction. The rotary switch magnet mounting portion 415-1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witch shaft body 411-1. The rotary switch 420-1 includes a rotary switch magnetic sensor 421-1 and a rotary switch magnet 423-1, and the rotary switch magnet 423-1 is disposed at the rotary switch magnet mounting portion 415-1. The rotary switch magnetic sensor 421-1 is disposed on the knob printed
이때, 노브 바디(330-1) 측에는 디텐트부(900)가 배치되는데, 디텐트부(900)는 디텐트 로테이터(940)와 디텐트 볼(920)과 디텐트 탄성 부재(930)와 디텐트 바디(910)를 구비하는데, 디텐트 로테이터(940)는 노브 바디(330-1)와 일체로 형성된 다. 디텐트 로테이터(940)는 요홈 타입으로 구성되고 이에 코일 스프링 타입의 디텐트 탄성 부재(930)가 배치된다. 디텐트 탄성 부재(930)의 일단은 디텐트 로테이터(940)의 내측 단부로 지지되고 타단은 디텐트 볼(920)과 접하여 디텐트 볼(920)을 탄성 지지한다. 디텐트 바디(910)는 푸시 가동부(520-1)와 함께 축방향 회동이 제한되도록 배치되는데, 디텐트 바디(910)는 푸시 가동부(520-1)와 연결되는 디텐트 바디 샤프트(911)와, 디텐트 바디 샤프트(91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디텐트 바디 연장부(913)를 구비한다. 디텐트 바디 연장부(913)의 일면에는 디텐트 돌기(915)가 형성되는데, 디텐트 돌기(915)는 디텐트 볼(920)과 접한다. 따라서, 스위치 노브부(300-1)의 노브 바디(330-1)가 회동하는 경우 디텐트 로테이터(940)에 수용되는 디텐트 탄성 부재(93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디텐트 볼(920)은 회동 운동을 이루며 축방향 회동이 제한되는 디텐트 바디(910)의 디텐트 돌기(915)와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디텐트 돌기(915)는 소정의 설계 각도의 산을 이루는 구조를 취하여 사용자가 노브 바디(330-1)를 회동하는 경우 소정의 디텐트 감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회동량을 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통합적 구현 상태로서의 복합 스위치 장치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스위치 장치(1)는 로터리 스위치부(400), 푸시 스위치부(500), 디렉셔널 스위치부(700) 및 버튼 스위치부(1000)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와, 제어부(20)와, 저장부(30)를 구비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연산부(40)를 더 포함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스위치부들로부터 입 력되는 신호들은 제어부(20)로 전달되고 제어부(20)는 이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저장부(30)에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통하여 선택하고 조작하여 작동시키고자 하는 작동 유니트에 대한 소정의 작동 모드 구현, 예를 들어 공조 장치의 작동 온도 조절 모드, 시트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시트 위치 조절 모드 등과 같은 작동 모드에 대한 사전 설정된 사전 설정 데이터와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부(40)에서의 소정의 연산 과정을 거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산출하고 이를 출력부로 전달한다. 출력부로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구비되는 햅틱 액츄에이터(800)를 포함할 수도 있고, 별도의 화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50) 및/또는 음향 출력을 위한 음향 출력부(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직접 제어 대상으로서의 대상 작동 유니트(70), 예를 들어 자동차의 공조 장치, 네비게이션, 자동차 시트 액츄에이터 등과 같은 작동 유니트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mposit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take a composite switch device as an integrated implementation state with other components. That is, as shown in FIG. 16, the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구비되는 햅틱 액츄에이터는 전기 모터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합 스위치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별도의 CAN 통신과 같은 통신 수단을 더 구비하여 차량의 ECU와 통신을 이루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haptic actuator provided in the composit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ic motor type, and when the composite switch device is mounted in the vehicle,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means such as separate CAN communication.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taking a configur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system.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에 대한 도 1의 선 Ⅰ-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for a composite switch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도 1의 선 Ⅱ-Ⅱ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3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for a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일부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3C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버튼 스위치부 및 버튼 스위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3D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switch unit and a button switch display unit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하우징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4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part of a composit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푸시 스위치부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sh switch unit of the composit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슬라이드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lide unit of the composit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슬라이드부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7 and 8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some components of a slide part of a composit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디렉셔널 스위치부의 디렉셔널 스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 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9 to 11 are schematic state diagrams, cross-sectional views and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the directional switch of the directional switch unit of the composit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디렉셔널 스위치부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의 변형예이다. 12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directional switch unit of the directional switch unit of the composit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디렉셔널 스위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13 to 15 are stat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directional switch unit of a composite swit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의 제어 구성을 위한 개략적인 블록 선도이다. 1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a composit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다른 예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17 and 18 are schematic front and cross-sectional views of another example of a switch knob portion of a composite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복합 스위치 장치 10...복합 스위치 유니트1 ....
100...하우징부 200...인쇄회로기판100 ...
300...스위치 노브부 400...로터리 스위치부300 ... switch
500...푸시 스위치부 600...슬라이드부500
700...디렉셔널 스위치부 800...햅틱 액츄에이터700 ...
900...디텐트부 1000...버튼 스위치부900 ...
1100...광출력부 1100 ... light output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1458A KR101097020B1 (en) | 2009-10-23 | 2009-10-23 | 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with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1458A KR101097020B1 (en) | 2009-10-23 | 2009-10-23 | 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with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4661A KR20110044661A (en) | 2011-04-29 |
KR101097020B1 true KR101097020B1 (en) | 2011-12-20 |
Family
ID=4404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1458A KR101097020B1 (en) | 2009-10-23 | 2009-10-23 | 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with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702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10097B2 (en) | 2011-10-19 | 2019-12-17 | Firstface Co., Ltd. |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24656B (en) * | 2018-11-12 | 2024-06-25 | 深圳市思通汽车电子有限公司 | Intelligent control knob |
US20220023141A1 (en) * | 2020-07-23 | 2022-01-27 | Hyper Ice, Inc. |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Smart Exercise Recovery Device and Mitigation of Damage from Vibrations |
-
2009
- 2009-10-23 KR KR1020090101458A patent/KR101097020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10097B2 (en) | 2011-10-19 | 2019-12-17 | Firstface Co., Ltd. |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
US10896442B2 (en) | 2011-10-19 | 2021-01-19 | Firstface Co., Ltd. |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
US11551263B2 (en) | 2011-10-19 | 2023-01-10 | Firstface Co., Ltd. |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4661A (en) | 2011-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6925B1 (en) | 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with the same | |
US8809716B2 (en) | Haptic steering wheel switch apparatus and haptic steering wheel swtich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101151161B1 (en) | Switching unit module and switching unit device | |
KR101094034B1 (en) | 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with the same | |
EP1524680B1 (en) | Joystick input device | |
EP3752382B1 (en) | A multifunctional switch device | |
EP2590196A1 (en) |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 |
KR102603759B1 (en) |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 |
EP1524579A2 (en) | Joystick switching device | |
KR101097020B1 (en) | 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with the same | |
KR101189026B1 (en) | Haptic Switch Mounted on Steering Wheel | |
KR101706426B1 (en) |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 |
EP1708220A1 (en) | Multi-operational input device | |
KR20100083984A (en) | Vehicular transmission range switching device | |
KR101171454B1 (en) | Integrated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arting of a vehicular engine | |
KR102674728B1 (en) | Multi functional knob | |
JP2013171377A (en) | Input device | |
KR20190046215A (en) | Power seat switch unit for vehicle and power seat switch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2161486B1 (en) | A switch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
KR101155221B1 (en) | Haptic Switch for Vehicle | |
KR101190381B1 (en) | Haptic switching apparatus | |
JP2006012695A (en) |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 |
JP4209300B2 (en) | Joystick type input device | |
KR20120120581A (en) | Steering wheel switching haptical unit and apparatus with the same unit | |
JPH11162299A (en) | Multifunctional operating el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