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843B1 - Fixing type axle we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ccurately of wrong entrance of overload vehicle - Google Patents

Fixing type axle we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ccurately of wrong entrance of overload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843B1
KR101095843B1 KR1020110097208A KR20110097208A KR101095843B1 KR 101095843 B1 KR101095843 B1 KR 101095843B1 KR 1020110097208 A KR1020110097208 A KR 1020110097208A KR 20110097208 A KR20110097208 A KR 20110097208A KR 101095843 B1 KR101095843 B1 KR 101095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ile
underground frame
weight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2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준기
김창원
조덕화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5065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9584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8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2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in mo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Abstract

PURPOSE: A fixed type axle weighing device for accurately measuring the weight of a vehicle wrongly entered is provided to prevent an axial load applied to each wheel from being reduced even if a vehicle is eccentrically entered. CONSTITUTION: A fixed type axle weighing device(100) for accurately measuring the weight of a vehicle wrongly entered comprises a underground fram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20,30), a center dummy(50), and left and right auxiliary dummies(60,70).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are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of the underground frame and detect the wheel load of a vehicle. The center dummy is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on the underground frame.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are formed in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Description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FIXING TYPE AXLE WE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CCURATELY OF WRONG ENTRANCE OF OVERLOAD VEHICLE} FIXING TYPE AXLE WE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CCURATELY OF WRONG ENTRANCE OF OVERLOAD VEHICLE}

본 발명은 과적 화물 차량의 중량을 검출하기 위한 고정식 축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적검문소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된 고정식 축중기에 차량이 좌우 측으로 편중하여 진입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중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축중기 구조물을 개선한 고정식 축중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scale lifte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n overloaded cargo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ccurately detect the weight of a vehicle even when the vehicle is bias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t a fixed scale lifter installed at an overload checkpoint or a highway toll g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onary crane that has improved the crane structure.

일반적으로 축중기는 도로나 교량을 보호하기 위하여 과적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즉 차량이 진행 상태에서 각 차량의 축중량을 검측, 합산하여 차량의 총중량을 검측하여 차량의 과적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weight lifter is a device for detecting an overload vehicle to protect a road or a bridge. Device.

이러한 축중기는 도로에 매설되어 상시로 측정하는 고정식 축중기와, 이동이 가능하도록 무게를 경량화하여 이곳저곳에서 옮겨가며 측정이 가능토록 한 이동식 축중기가 있다.Such a scaler is a fixed scaler that is always buried on the road and a movable scaler that can be measured while moving from place to place by lightening the weight to move.

여기서, 고정식 축중기란 과적검문소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된 형태로 물동량이 많은 곳에 설치되며 동적(다이나믹) 계량이 가능한 장치이다. 동적계량이란 차량이 10km 이하 저속으로 축중판을 통과하면서 측정하는 방식이다.In this case, the fixed scale lifter is a device installed at an overload checkpoint or a highway toll gate, and is installed in a large amount of traffic and is capable of dynamic (dynamic) metering. Dynamic weighing is a method in which a vehicle passes through an axle plate at a low speed of 10 km or less.

이러한 고정식 축중기는 차량의 중량을 검측하기 위해 크게 차로 설비와 사무실 설비로 나뉘어진다. 차로 설비는 과적검문소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차량이 통과하는 차도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검측부에 차량 바퀴의 중량이 인가되면서 내부의 힘을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로드 셀의 변형으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설비이고, 사무실 설비는 차도 상에 설치된 검측부에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중량으로 환산하여 처리하고, 임계값 이상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DB)화 구축 후 주변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운전자 또는 근무자에게 통보하는 제어부 등이 마련된다. These stationary scalers are largely divided into car and office equipment to detect the weight of the vehicle. The lane facility is installed on the roadway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at the overload checkpoint or highway toll gate, and the weight of the vehicle wheel is applied to the detection unit to output the internal signal by deformation of the strain gauge or load cell. The facility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a detection unit installed on a roadway into a weight, processes it, and provides a controller for notifying a driver or a worker through a peripheral input / output device after constructing a database (DB).

한편, 이러한 고정식 축중기 구조물은 운행 중인 차량의 속도에 따른 오차 및 축 조작 방지 등 오차율을 줄이기 위해 그 구조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such a fixed axle structure is a situation that is continuously improving the structure to reduce the error rate, such as the error and the prevention of the shaft operation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running vehicle.

그러나 이러한 고정식 축중기 구조를 개선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축중기 구조물은 차량 운전자가 축중기 구조물 통과 시에 차량을 축중기 구조물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하여 차량 후륜 바퀴의 일부를 검측부로터 벗어나게 해서 차량의 실제 중량보다 중량 검측값이 낮게 검출되도록 부정 진입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However, despite the improvement of the fixed crane structure, to date, the crane structure has been used by the vehicle driver to bias the vehicle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rane structure when passing through the crane structure so that a part of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may be removed from the detection roto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ubstantially prevent unauthorized entry so that the weight detection value is lower than the actual weight of the vehicle.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고정식 축중기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 상에 좌우 측으로 길게 매설되는 지중 프레임(11)과, 지중 프레임(11) 상부 좌우 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좌우 바퀴가 통과되면서 차륜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내부에 로드셀이 구비된 좌우 측정패드(12)(13)와, 좌우 측정패드(12)913) 사이의 지중 프레임(11)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더미(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stationary condenser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underground frame 11, which is long embedd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n the roadway, and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ground frame 11, respectively.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iddle of the underground frame 11 between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12 and 13 and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12 and 913 provided with a load cell therein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whee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ummy (14).

여기서, 중앙더미(14)는 차륜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 아니라 지중 프레임에서 한 쌍의 좌우 측정패드(12)(13) 사이의 공간을 메우기 위한 보조적인 구성으로 그 상면은 평편한 형상으로 측정패드(12)(13)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Here, the center pile 14 is not a configuration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wheel, but an auxiliary configuration for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12 and 13 in the underground frame. It is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as the measurement pads 12 and 13.

그런데, 차량 운전자는 도로 상에 설치된 축중기로 차량 진입 시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좌우 측 후륜 바퀴 모두가 측정패드(12)(13)를 통과하도록 운전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종래의 고정식 축중기의 구조를 악용하여 의도적으로 차량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되게 진입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 후륜 바퀴에서 안쪽 바퀴(A1)가 중앙더미(14)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진입함으로써 차량의 후륜으로 가해지는 중량이 중앙더미(14)를 통해 일부가 검출되지 않게 분산되어 차량 실제 중량보다 낮게 검출되도록 편중 진입을 하고 있다. However, the vehicle driver does not drive both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of the pair of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measurement pads 12 and 13 when the vehicle enters the vehicle with a concentrator installed on the road, but the conventional fixed shaft described above. The weight applied to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by intentionally entering the vehicle to the left or right side by exploiting the structure of the heavy machinery and entering the inner wheel A1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pile 14 in the pair of rear wheels. Some of these are distributed undetected through the central pile 14 so that the vehicle can enter the vehicle so as to be detected to be lower than the actual weight of the vehicle.

이는 사람의 체중 측정 시에 한쪽 발은 지면에 놓고 나머지 한쪽 발만 체중 측정기에 올려놓고 체중을 측정하는 경우에 체중 측정기에 올려진 체중이 지면에 놓인 한쪽 발에 분산되어 실제 체중보다 적게 측정되는 것과 동일한 원리이다. This is the same as weighing a person's weight on the ground with only one foot on the ground and placing only one foot on the weight scale. It is a principle.

이와 같이, 종래의 축중기 구조물은 차량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차량을 축중기 구조물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함으로써 각 차륜에 걸리는 축하중(윤중)을 줄이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As such, there is a problem in the conventional gearbox structure that a vehicle driver cannot prevent a vehicle driver from deliberately shifting the vehicle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gearbox structure so as to reduce the congratulations on the wheels.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측정패드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Of course,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measuring pad can be considered to solve this problem, but in this case, the cost increas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차량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차량을 축중기 구조물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을 하더라도 측정패드의 길이를 증가시킴 없이 각 차륜에 걸리는 축하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실제의 축하중이 검출될 수 있도록 한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even if the vehicle driver intentionally biases the vehicle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ax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elebration on each wheel without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measuring pa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ed weight lifter capable of detecting the correct weight of a fraudulent vehicle so that it can be prevented and the actual agitation can be detected.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fixed weight lifter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the weight of an illegally entered vehicle is as follows.

차도 상에 길게 매설되는 지중 프레임과, 상기 지중 프레임의 좌우 측에 길게 설치되고 내부에 측정부가 마련되어 차량의 통과시에 차량의 윤중을 검출하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사이의 지중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설치면을 갖도록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가 각각 형성된 중앙더미 및 상기 지중 프레임의 양측 가장자리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양 끝단 측에는 상기 각 측정패드와 이웃하는 상면 일부가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설치면을 갖도록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좌측 보조더미와 우측 보조더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Underground frame which is long embedded on the roadwa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nderground frame and provided with a measuring unit therein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for detecting the lubrication of the vehicle during the passage of the vehicle, and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It is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frame between, the center pile and the bottom edge of each of the underground fram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each recessed to a certain depth so as to have an installation surface lower tha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on both sides of the center relative to the center The left and right dummy piles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and recesses are formed in recesses such tha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djacent to each of the measuring pads has an installation surface lower tha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Characterized in that.

여기서, 상기 중앙더미 및 각 보조더미는 상기 지중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를 따라 지중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를 통해 상기 지중프레임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entral pile and each auxiliary pi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is coupled to the underground frame through a connection frame that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derground frame alo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nderground frame.

한편, 상기 중앙더미 및 각 보조더미와 상기 측정패드의 사이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더미가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central pile and each auxiliary pile and the measuring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pile made of a rubber material each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는 종래의 측정패드의 길이를 증가함이 없이 차량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차량을 축중기 구조물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을 하여 각 차륜에 걸리는 축하중이 줄어드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weight scaler capable of detecting the accurate weight of the ingress vehicle is a celebration that the vehicle driver intentionally biases the vehicle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weight scale structure and increases the weight of each wheel without increasing the length of a conventional measuring pa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in advance to reduce the weight.

이는 결국 고정식 축중기의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지게 된다.This will eventually lead to the effect of securing the product reliability of the stationary crane.

도 1은 종래의 고정식 축중기 구조에서 차량이 좌측으로 편중 진입한 상태에서 축중기에 차량 후륜 바퀴가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기 구조의 전체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기 구조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고정식 축중기에 설치되는 중앙더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고정식 축중기에 설치되는 좌측 또는 우측 보조더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기 구조에서 차량이 좌측으로 편중 진입한 상태에서 축중기에 후륜 바퀴가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도 6에서 차량의 우측 후륜 바퀴가 중앙더미 및 우측 측정패드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ar wheel of a vehicle is positioned on a scaler in a state in which a vehicle is biased to the left in a conventional fixed scaler structur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rall coupling of the fixed lift tru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veral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xed shaft lift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ntral pile installed in the stationary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ft or right auxiliary pile installed in a stationary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ar wheel is positioned on the axle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biased to the left in a stationary ax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ight rear wheel of the vehicle is in contact with the center pile and the right measuring pad in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축중'이란 차량의 바퀴 좌우 측을 동시에 계측한 무게값을 의미하며, '윤중'이란 바퀴 한쪽만 계측한 무게값을 의미하며, '윤거리'는 좌측 및 우측 바퀴의 중심과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And, in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xe weight' means the weight value measured at the same tim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heel of the vehicle, 'lubricated weight' means the weight value measured only one side of the wheel, 'drift dist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and the center of the right wheel.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기는 4.5톤 이상의 화물 차량의 축중을 검출하는 축중기에 관한 것으로, 보통 4.5톤(5톤) 화물 차량의 차량 윤거리는 1.60 m 이다. In addition, the stationary sca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lates to a scaler that detects the load of a cargo vehicle of 4.5 tons or more, and the vehicle wheeling distance of a 4.5 ton (5 ton) freight vehicle is 1.60 m. .

한편, 차량 윤거리 1.60m 이상의 화물 차량은 대부분 차량 후륜의 좌우 측 바퀴가 각각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텐덤형으로 이루어지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텐덤형으로 이루어진 화물 차량의 윤중 및 축중을 측정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freight vehicles with a vehicle mileage of 1.60 m or more are mostly made of a tandem type, in which a pair of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rear wheels of the vehicle are two pairs. This will be described.

도 2 내지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의 전체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2 to 3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combin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xed weight lifter capable of accurate weight detection of the wrong entr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100)는 크게 지중 프레임(10)과,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와,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더미(50)와,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보조더미(50)(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2 to 3, the fixed weight scaler 100 capable of detecting the accurate weight of the illegally enter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based on the underground frame 10 and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20 ( 30 and the central pile 50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20 and 30, and the auxiliary piles 50 and 60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20 and 30, respectivel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지중 프레임(10)은 과적검문소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차량이 통과하는 차도 상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으며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상하 공간이 비어 있는 프레임 형태를 갖는 철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The underground frame 10 is installed to be long embed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roadway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at the overload checkpoint or the highway toll gate, and has an overall shape having a constant height and a long rectangular frame having an empty upper and lower space. Consists of structures.

이때, 지중 프레임(10)은 길이 방향 상부 및 하부를 이루는 가장자리 철 구조물에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 중앙더미(50),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 및 다수의 완충더미(80)가 볼트 체결로 조립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체결 구멍(10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underground frame 10 has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20, 30, the center pile 50, the left and right auxiliary piles 60, 70 and a plurality of edge steel structures forming the upper and lower length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0a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hock absorbing pile 80 can be fastened by bolt fastening.

또한, 지중 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를 이루는 가장자리 철 구조물 사이의 터진 공간에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 중앙더미(50), 좌측 및 우측 보조 더미(60)(70) 및 다수의 완충더미(80)의 하면을 받칠 수 있는 받침대(11)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다수 개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20 and 30, the center pile 50, and the left and right auxiliary dummy 60 and 70 are formed in the popped space between the edge steel structures form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nderground frame 10. And a plurality of pedestals 11 capable of supporting the low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uffer piles 8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는 지중 프레임(10)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길게 설치되어 차량의 좌우 바퀴가 통과되면서 각 바퀴의 윤중을 검출한다.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20 and 3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nderground frame 10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underground frame 10 so as to detect the wheel rotation of each wheel as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vehicle pass.

이를 위해,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는 차륜의 중량을 실질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측정 프레임(10)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에 다수 개 설치되는 로드셀(미도시)과, 다수 설치된 로드셀의 전체를 덮어주면서 차량의 바퀴와 직접 접촉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20 and 3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ad cells (not shown), which are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asuring frame 10 in order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wheel substantially. Covering the entire load cell is installed made of a rubber material in direct contact with the wheel of the vehicle and comprises a pa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이러한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는 축중을 실시하기 위한 차량이 가로질러 진입하여 차량의 좌우 측 차륜이 동시에 올라설 수 있을 정도의 폭을 지닌다.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20 and 30 have a width such that the vehicle for carrying out the load enters and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vehicle can rise at the same time.

여기서,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지중 프레임(10)의 체결구멍(10a)에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구멍(20a)(30a)이 마련되어 있으며, 지중 프레임(10)의 체결 시에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연결철판(40)을 매개로 하여 지중 프레임(10)에 볼트 체결된다. Her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0a and 30a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20 and 30 so as to be fastened by bolts to the fastening holes 10a of the underground frame 10. In addition, when the underground frame 10 is fastened, the ground frame 10 is bolted to the underground frame 10 via a connecting iron plate 4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20 and 30.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지중 프레임에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않고, 즉 종래의 지중 프레임에 설치된 길이와 동일한 측정패드를 사용하더라도 축중기 구조물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차량이 의도적으로 편중 진입하는 경우에 각 차륜에 걸리는 축하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실제의 축하중이 검출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is intentionally biased to the left or right of the heavy lifting structure without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installed on the underground frame, i.e., using the same measuring pad as the conventional length installed on the underground fram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eduction in the amount of celebration on each wheel and improve the structure so that the actual celebration is detect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더미(50)의 길이를 종래보다 줄이는 대신에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양쪽에는 종래에 설치되지 않은 보조더미(60)(70)를 추가로 설치한 것이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reducing the length of the center dummy 50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20 and 30,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20 and 30 are conventionally used on both sides. Auxiliary piles 60 and 70 that are not installed are additionally installed.

특히, 차륜의 바퀴 측을 향하는 방향의 중앙더미(50)의 상면 형상을 종래 평편한 형상 대신에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52)와 돌출부(51)의 형상을 갖도록 하였으며, 보조더미(60)(70)의 상면부 형상 역시 함몰부(62)(72)와 돌출부(61)(71)의 형상을 갖도록 개선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top surface shape of the central pile 50 in the direction toward the wheel side of the wheel has a shape of the recess 52 and the protrusion 51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stead of the conventional flat shape, and the auxiliary pile 60 The upper surface of the (70) is also improved to have the shape of the recesses 62, 72 and the protrusions 61, 7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고정식 축중기에 설치되는 중앙더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고정식 축중기에 설치되는 좌측 또는 우측 보조더미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ntral pile installed in the stationary accu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ft or right auxiliary pile installed in the stationary accu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더미(50)는 측정 프레임(10) 상에 설치된 좌측 및 우측패드(20)(30) 사이의 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철판으로 제작된다. As shown in FIG. 4, the center pile 50 is made of a rectangular iron plate installed between the spaces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ds 20 and 30 installed on the measurement frame 1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중앙더미(50)의 전체 길이는 종래의 동일 사양의 축중기에 설치된 중앙더미의 전체 길이보다 작게 제작된다. At this time, the total length of the central pil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small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central pile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condenser.

이러한 중앙더미(50)는 상면 중앙과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 돌출된 돌출부(51)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5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는 돌출부(51)에 비해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52)를 갖는 형상이다. The central pile 5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51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and lower edges, and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relative to the protrusion 51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51. It is a shape which has the part 52.

즉, 중앙더미(5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전체적으로 'Ⅰ' 형상의 돌출된 돌출부(51)가 마련되며, 나머지 공간에는 돌출부(51)에 비해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52)가 중앙 돌출부(51)를 기준으로 좌우 측에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That is, the central pile 50 is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a whole,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rotrusion 51 having a 'I' shape as a whole, the depression 52 recessed to a certain depth compared to the protrusion 51 in the remaining space. ) Has a structu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rotrusion (51), respectively.

이로 인해, 중앙더미(50)를 지중 프레임(10)에 설치 시에 돌출부(51)는 각 측정패드(20)(30)의 설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함몰부(52)는 각 측정패드(20)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이룬다. Therefore, when the central pile 50 is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frame 10, the protrusions 51 maintain the same height as the installation height of each measuring pad 20, 30, and the depressions 52 measure each angle. A height lower tha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pad 20 is achieved.

이때, 중앙더미(50)의 상부 및 하측 돌출부(51)에는 지중 프레임(10)의 체결 구멍(10a)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구멍(50a)(60a)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50a and 60a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51 of the central pile 50 so as to be fastened by bolts to the fastening holes 10a of the underground frame 10.

이러한 함몰부(52)에 의해 축중기로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차량 좌우 후륜 바퀴에서 안쪽 바퀴가 중앙더미(52)의 상부를 통과시에 안쪽 바퀴가 함몰부(52) 내에 위치하여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되어 중앙더미(52)에 윤중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The depression 52 allows the vehicle to enter the vehicle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accumulator and the inner wheel is recessed 52 when the inner wheel passe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pile 52 in a pair of vehicle left and right rear wheels. ) And floating in the air is not applied to the center pile (52).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의 측정 프레임(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left and right auxiliary piles 60 and 70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dges of the measuring frame 10 opposite to each other of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20 and 30. do.

이러한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차량의 바퀴와 접촉되는 상면으로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와 접하는 단부측에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62)(72)가 형성되며, 나머지 측면 단부와 상부 및 하부에는 함몰부(62)(72)에 비해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61)(71)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left and right auxiliary piles 60 and 70 are recessed portion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an end side contacting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20 and 30 to the upper surface contacting the wheels of the vehicle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62 and 72 are formed, and protruding portions 61 and 71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emaining side ends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ormed in a 'c' shape.

이로 인해,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를 지중 프레임(10)에 설치 시에 돌출부(61)(71)는 각 측정패드(20)(30)의 설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함몰부(62)(72)는 각 측정패드(20)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이룬다. Therefore, when the left and right auxiliary piles 60 and 70 are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frame 10, the protrusions 61 and 71 maintain the same height as the installation height of each measuring pad 20 and 30. The depressions 62 and 72 form a height lower than the installation height of each measurement pad 20.

이때, 돌출부(61)(71)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에는 지중 프레임(10)의 체결구멍(10a)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구멍(60a)(70a)이 각각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s 60a and 70a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where the protrusions 61 and 71 are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10a of the underground frame 10 with bolts, respectively.

이러한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의 함몰부(62)(72)에 의해 축중기로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차량 좌우 후륜 바퀴에서 바깥쪽 바퀴가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의 상부를 통과시에 바깥쪽 바퀴가 함몰부(62)(72) 내에 위치하여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에 윤중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The depressions 62 and 72 of the left and right auxiliary piles 60 and 70 allow the vehicle to enter the accumulator to the left or right side by side, so that the outer wheel is left and right in a pair of vehicle left and right rear wheels. As the outer wheels are positioned in the recesses 62 and 72 and float in the air as they pass through the upper portions of the right auxiliary piles 60 and 70, they are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auxiliary piles 60 and 70. No wheeling is appli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중기 구조물은 차량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축중을 줄이기 위해 차량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차량 좌우 후륜 바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바퀴를 측정패드가 아닌 중앙더미 또는 보조 더미에 위치하더라도 측정패드에 놓이지 않은 바퀴가 공중에 떠있는 상태가 되어 각 바퀴의 윤중이 분산되어 전체 축중이 줄어들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ccumula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nter pile instead of a measurement pad, which is one of the pair of vehicle left and right rear wheels, in which a vehicle driver intentionally enters the vehicle to the left or right to reduce the load. Even if they are located in the auxiliary pile, the wheels that are not placed on the measuring pad are floating in the air, so that the wheels are dispersed in the wheels so that the entire load is not reduced.

한편, 중앙더미(50)와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는 지중 프레임(10)을 향하는 저면의 상부 및 하부 측에 지중 프레임(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상부 및 하부 연결프레임(90)에 의해 각각 지지 되면서 지중 프레임(10)에 볼트 체결된다.(도 3 참조)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ile 50 and the left and right auxiliary piles 60 and 70 have upper and lower portions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underground frame 10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ttom facing the underground frame 10. The bolts are fastened to the underground frame 1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connecting frames 90 (see FIG. 3).

그리고,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를 기준으로 각각의 측정패드(20)(30)의 좌우 측에 각각 설치되는 중앙더미(30) 및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와 각각의 측정패드(20)(30) 사이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고무 재질의 완충더미(80)가 다수 개 설치된다.(도 2 및 도 3 참조) And, based on th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20 (30) and the center pile 30 and the left and right auxiliary piles 60 and 7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of the measuring pads 20 and 30, Between each of the measuring pads 20 and 30, a plurality of buffer piles 80 of rubb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re installed. (See FIGS. 2 and 3)

이러한 다수의 완충더미(80)는 서로 다른 재질의 부재로 이루어진 각 측정패드(20)(30)와 중앙더미(50) 및 각 보조더미(60)(70) 사이의 공간을 틈새 없이 기밀하게 메우기 위한 것이다. The plurality of buffer piles 80 fill the space between the measuring pads 20 and 30 and the center pile 50 and the auxiliary piles 60 and 70 airtightly without gaps. It is for.

또한 이러한 완충더미(8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각 측정패드(20)(30)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중앙더미(50) 및 각 보조더미(60)(70)가 열 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이 생기는 경우에도 각 부재 사이에 틈새 없이 완전하게 밀착되게 연결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buffer pile 80 is each measuring pad 20, 30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the central pile 50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each auxiliary pile 60, 70 expands and contracts as the heat changes. Even if this occurs, it plays a role of being able to be completely intimately connected without a gap between each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로폭 3.2m에서 차량의 윤거리 1.8 m의 축중을 측정하기 위한 고정식 축중기의 사양(제원)은 지중 프레임의 전체 길이가 3.30m 이고, 좌측 및 우측패드의 전체 길이가 각각 1.25m 이고, 중앙더미의 길이가 0.40m 이고,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의 길이가 0.15m이며, 완충더미의 길이는 0.25m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ation (specification) of the stationary axle for measuring a wheelbase of a vehicle with a wheel width of 1.8 m at a road width of 3.2 m has a total length of the underground frame of 3.30 m, and a total of left and right pads. The length is 1.25m, the length of the center pile is 0.40m,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auxiliary piles is 0.15m, and the length of the buffer pile is 0.25m.

참고로, 종래 도로폭 3.2m에서 차량의 윤거리 1.8 m의 축중을 측정하기 위한 고정식 축중기의 사양(제원)은 지중 프레임의 전체 길이가 3.24m 이고, 좌측 및 우측패드의 전체 길이가 각각 1.25m 이고, 중앙더미의 길이가 0.60m 이다. For reference, the specification (specification) of the fixed scale lifter for measuring the wheel load of the vehicle 1.8m at 3.2m width of the road is 3.24m in total length of the underground frame, and 1.25m in total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pads, respectively. m, the length of the center pile is 0.60m.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고정식 축중기에서 차량이 좌측으로 편법 진입하는 경우에 차량의 운중 및 축중을 검출하기 위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effect for detecting the driving and the load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left side in the fixed sca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기 구조에서 차량이 좌측으로 편중 진입한 상태에서 축중기에 후륜 바퀴가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차량의 우측 후륜 바퀴가 중앙더미 및 우측 측정패드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Here, FIG. 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ar wheel is positioned in the accumulator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biased to the left side in a stationary accumulat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right side of the vehicle in FIG. 6.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rear wheel contact | connected the center pile and the right measurement pad.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중기 구조물에 차량의 진입 시에 차량 운전자가 차량의 운중을 분산시킬 의도로 차량의 우측 후륜 바퀴에서 안쪽 바퀴(A1)를 중앙더미(50) 측에 놓이도록 우측으로 편중되게 진입하는 경우에, 우측 후륜 바퀴에서 바깥쪽 바퀴(A2)는 우측 측정패드(30)와 접촉하고 안쪽 바퀴(A1)는 중앙더미(50)의 우측 함몰부(52)의 상부에 위치하고, 좌측 후륜 바퀴에서 바깥쪽 바퀴(A1)는 좌측 보조더미(60)의 함몰부(62)의 상부에 위치하고 안쪽 바퀴(A2)는 좌측 측정패드(20)와 접촉되게 위치한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vehicle driver enters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of the vehicle disperses the traffic of the vehicle, and the right side of the inner wheel A1 is placed on the center pile 50 at the right rear wheel of the vehicle. In the case of entering the vehicle in a biased manner, in the right rear wheel, the outer wheel A2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measuring pad 30 and the inner wheel A1 is located above the right depression 52 of the center pile 50. In the left rear wheel, the outer wheel A1 is positioned above the depression 62 of the left auxiliary pile 60 and the inner wheel A2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left measuring pad 20.

이와 같이, 차량의 편중 진입에 의해 차량의 좌우 한 쌍의 후륜 바퀴에서 어느 하나의 바퀴가 중앙더미(50) 및 보조더미(60)(70)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패드(30)에 접촉하지 않는 나머지 바퀴(A1)는 중앙더미(50) 또는 보조더미(60)(70)의 각 함몰부(52)((62)(72)에 의해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 In this way, even if one of the wheels in the left and right pair of rear wheels of the vehicle due to the unbalanced entry of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center pile 50 and the auxiliary pile 60, 70, as shown in FIG. The remaining wheels A1 that do not contact the pads 30 are suspended in the air by the respective recesses 52 (62, 72) of the central pile 50 or the auxiliary piles 60, 70. do.

이와 같이, 차량의 편중 진입시에 측정패드(30)에 한쪽 바퀴만 접촉한 상태에서 나머지 바퀴는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측정패드(30)에 접한 한쪽 바퀴에 각 운중이 집중되어 실제 차량의 전체 중량대로 측정할 수 있다.As such, when only one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measuring pad 30 when the vehicle is entering the vehicle, the other wheels are in a floating state in the air, so that each cloud is concentrated on one of the wheels in contact with the measuring pad 30. It can be measured by weight.

이는 사람의 체중 측정 시에 두 발을 모두 체중 측정기에 올려놓고 체중을 측정하는 경우와 한쪽 발은 공중에 놓은 상태에서 나머지 한쪽 발만 체중 측정기에 올려놓고 체중을 측정하는 경우에 양자 모두 동일하게 실제 체중이 측정되는 것과 동일한 원리이다. This is true when weighing a person's weight with both feet on the weight scale and when weighing with only one foot in the air with only one foot in the air. This is the same principle as being measured.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10 : 지중 프레임 11 : 받침대
20 : 좌측 측정패드 30 : 우측 측정패드
40 : 연결철판 50 : 중앙더미
51 : 중앙더미 돌출부 52 : 중앙더미 함몰부
60 : 좌측 보조더미 70 : 우측 보조더미
80 : 완충패드 90 : 연결 프레임
10 underground frame 11: pedestal
20: left measuring pad 30: right measuring pad
40: connecting iron plate 50: center pile
51: center pile protrusion 52: center pile depression
60: left auxiliary pile 70: right auxiliary pile
80: buffer pad 90: connecting frame

Claims (3)

차도 상에 길게 매설되는 지중 프레임(10);
상기 지중 프레임(10)의 좌우 측에 길게 설치되고 내부에 측정부가 마련되어 차량의 통과시에 차량의 윤중을 검출하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사이의 지중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설치면을 갖도록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52)가 각각 형성된 중앙더미(50); 및
상기 지중 프레임(10)의 양측 가장자리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양 끝단 측에는 상기 각 측정패드(20)(30)와 이웃하는 상면 일부가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설치면을 갖도록 함몰된 함몰부(62)(72)가 형성된 좌측 보조더미(60)와 우측 보조더미(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An underground frame 10 embedded in the driveway for a long time;
Left and right measuring pads 20 and 30 which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nderground frame 10 and provided with a measuring unit therein to detect the wheel lap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passes;
It is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frame 10 between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20 and 30, and is lower tha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20 and 30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n the upper surface. A center pile 50 each having recesses 52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to have an installation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djacent to each of the measurement pads 20 and 30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pads 20 and 30 at both edges of the underground frame 10. A left auxiliary pile 60 and a right auxiliary pile 70 formed with recesses 62 and 72 recessed to have an installation surface lower tha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30;
Fixed weight lifter capable of detecting the correct weight of the vehicle, the wrong entr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더미(50) 및 각 보조더미(60)(70)는 상기 지중 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를 따라 지중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90)를 통해 상기 지중 프레임(10)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The connection frame 90 of claim 1, wherein the center pile 50 and the auxiliary piles 60 and 70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derground frame 10 alo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nderground frame 10. Fixed weight lifter capable of detecting the correct weight of the illegally enter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fixed to the underground frame (10) through a bolt fastening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더미(50) 및 각 보조더미(60)(70)와 상기 각 측정패드(20)(30)의 사이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더미(80)가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ffer pile 80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between the central pile 50, each auxiliary pile 60, 70 and each of the measuring pads 20, 30, respectively A fixed weight lifter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the weight of a non-entry vehicle, further comprising.
KR1020110097208A 2011-09-26 2011-09-26 Fixing type axle we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ccurately of wrong entrance of overload vehicle KR1010958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208A KR101095843B1 (en) 2011-09-26 2011-09-26 Fixing type axle we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ccurately of wrong entrance of overloa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208A KR101095843B1 (en) 2011-09-26 2011-09-26 Fixing type axle we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ccurately of wrong entrance of overload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843B1 true KR101095843B1 (en) 2011-12-21

Family

ID=4550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208A KR101095843B1 (en) 2011-09-26 2011-09-26 Fixing type axle we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ccurately of wrong entrance of overload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84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7007A (en) * 2013-03-05 2013-07-17 广西南宁市共展科控称重设备有限公司 Intelligent electronic vehicle weigher and method for weighing vehicle weigh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03B1 (en) 2007-03-13 2008-03-19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Weight scale for the cargo vehicl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0985734B1 (en) 2009-06-24 2010-10-06 (주)뉴컨스텍 System for measuring weight of a traveling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03B1 (en) 2007-03-13 2008-03-19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Weight scale for the cargo vehicl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0985734B1 (en) 2009-06-24 2010-10-06 (주)뉴컨스텍 System for measuring weight of a traveling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7007A (en) * 2013-03-05 2013-07-17 广西南宁市共展科控称重设备有限公司 Intelligent electronic vehicle weigher and method for weighing vehicle weigh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2681A (en) Arrangement for measuring the tire pressure of moving vehicles from the tire contact surface
US3746111A (en) Short scale for weighing railway vehicles
CN109855711B (en) Vehicle overload overrun dynamic weighing system
KR100985734B1 (en) System for measuring weight of a traveling vehicle
CN104303027A (en) Sensor module of a wim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US10203241B2 (en) Slow speed weigh-in-motion system with flexure
JP2013174481A (en) Vehicle axle load measurement system and bridg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095843B1 (en) Fixing type axle we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ccurately of wrong entrance of overload vehicle
KR101366103B1 (en) Bridge weigh in motion system using reaction force of supporting poi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2050920B (en) Multi-point combined dynamic weighing detection equipment
JP2003270029A (en) Vehicle-weight measuring method, axle load measuring system and overloaded vehicle warning system
CN100592058C (en) Impact force measuring apparatus of traveling tire
KR101860325B1 (en) A Measuring Machine of Vehicle Load using Axis Weighting Machine Weight Scale
CN114067568B (en) Comprehensive overweight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N214224320U (en) Dynamic vehicle overrun judging system
CN112697248B (en) Dynamic vehicle overrun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system
KR101950343B1 (en) Method for detecting overload vehicle in smart load system
KR20170052973A (en) Multi-function pad sensor for the measurement of freight vehicle axle distance and over weight enforcement system using thereof
CN112816044A (en) Dynamic vehicle overrun determination system and determination method
CN1102682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weight for the load being moved on scale
KR101562182B1 (en) Loading weight detective apparatus in truck
KR101831242B1 (en) Over-detection pad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traveling vehic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830578B1 (en) Inspection of unbalanced loaded truck and safty driving guidenc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KR101950344B1 (en) Smart road system
CN218994503U (en) Dynamic vehicle overrun jud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