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190B1 -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 Google Patents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190B1
KR101094190B1 KR1020090099524A KR20090099524A KR101094190B1 KR 101094190 B1 KR101094190 B1 KR 101094190B1 KR 1020090099524 A KR1020090099524 A KR 1020090099524A KR 20090099524 A KR20090099524 A KR 20090099524A KR 101094190 B1 KR101094190 B1 KR 101094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le
radar
tracking
uplink data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724A (ko
Inventor
이성용
오선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99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1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2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based on continuous observation of target position
    • F41G7/30Command link guidanc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66Radar-tracking systems; Analogou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은, 사격통제소에 의해 유도탄의 발사신호를 수신하고, 유도탄과 표적과의 예상 조우점에 해당하는 궤적 세트를 로딩한 후, 기준 궤적을 이용하여 유도탄의 포착 위치를 다기능 레이더로 전송하는 단계; 사격통제소로부터 전송된 유도탄의 포착 위치를 바탕으로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유도탄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유도탄의 위치를 이용하여 사격통제소에 의해 궤적 세트 중에서 선택된 가장 근접한 두 개의 궤적을 이용하여 새로운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 사격통제소에 의해 새로 생성된 궤적을 기준으로, 다기능 레이더의 다음 회전에서의 유도탄의 위치를 계산하여 다기능 레이더로 전송하는 단계; 계산된 유도탄의 위치를 바탕으로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유도탄 추적초기화 과정을 완료하고, 유도탄 추적정보를 사격통제소로 전송하는 단계; 사격통제소에 의해 유도탄 추적정보와 표적정보를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링크 데이터를 다기능 레이더로 전송하는 단계;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를 유도탄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자체 추적필터를 이용하여 유도탄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격통제소로 전송하고, 사격통제소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유도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Method for tracking a missile by rotary multifunctional radar}
본 발명은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이더의 주 빔을 통해 유도탄을 직접 포착/추적하여 교신거리를 확장시키고, 유도탄의 위치좌표를 비행중인 유도탄에 전송하여 초기 정렬오차 및 관성항법장치의 드리프트에 의한 영향을 줄임으로써, 유도탄의 탐색기의 포착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기능 레이더는 빔을 전자적으로 조향하는 한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시분할 방식을 통해 공간 탐색, 표적 추적 및 유도탄과의 통신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레이더를 말하며, 안테나 특성상 전자적 빔 조향 범위가 제한(일반적으로 ±45°)되므로 특정구역 감시를 위해 안테나가 정지된 상태로 운용되거나 또는 전방향 감시를 위해 안테나를 일정 속도(일반적으로 40∼60RPM)로 회전시키면서 운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지대공 유도무기 체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대공 유도무기 체계는 사격통제소(110), 다기능 레이더 (120), 발사대(140), 유도탄(130)으로 구성되며, 유도탄(130)은 표적(150)과의 교 전을 위해 능동 호밍(homing)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능동 호밍 방식은 유도탄 (130) 내에 레이더 송/수신기(탐색기)(134)를 장착하여 독자적으로 표적(150)을 탐지/추적하는 방식으로서 최종 단계에서 지상레이더보다 높은 SNR(signal to noise ratio:신호대 잡음비)을 얻을 수 있어 높은 추적 정확도를 얻을 수 있으며, ECM(electronic countermeasures)에도 강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지대공 유도탄은 크기, 배터리 용량의 제한으로 송신전력이 낮아 탐지거리가 제한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탐색기(134)가 표적을 탐지/추적하기 위한 충분한 거리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관성항법장치(133)에 의한 유도탄 좌표를 이용하여 예상 조우점으로 비행하는 유도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표적기동에 의한 조우점 변경을 위해 다기능 레이더(120)는 유도탄(130)과의 데이터 링크 형성을 통해 주기적으로 표적정보를 송신한다. 전술한 데이터 링크 형성을 위해 다기능 레이더는 회전모드에서 별도의 유도탄 추적과정 없이 넓은 빔폭을 갖는 안테나(121)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업 링크)을 수행한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31은 다기능 레이더(120)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132는 유도탄을 유도조종하기 위한 유도 조종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데이터 링크 형성시 유도탄(130)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어 큰 빔폭의 빔을 사용함에 따라 안테나 이득이 작아 통신거리에 제한을 받는다.
둘째, 유도탄 내의 탐색기(134)는 최종단계시 표적 포착을 위해 레이더(120)에서 측정된 표적좌표와 관성항법장치(133)의 유도탄 좌표정보를 사용하는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시의 지상레이더(120)와 발사대(140)의 초기 정렬오차 및 비행시의 관성항법장치(133)의 드리프트(drift)에 의해 오차가 유발되어 교전거리가 감소된다. 이와 같은 교전거리 감소는 탐색기(134)의 표적 포착방법에 기인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표적 포착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첫째는 지정모드로 다기능 레이더(120)에서 송신한 표적좌표와 관성항법장치(133)의 유도탄 좌표를 이용하여 빔을 일정방향으로 지향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자체탐색 모드로 일정한 패턴으로 공간을 탐색하여 표적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탐색공간을 순차적으로 탐색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시간이 소비되고 이 시간동안 유도탄과 표적간 거리가 짧아져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레이더의 주 빔을 통해 유도탄을 직접 포착/추적하여 교신거리를 확장시키고, 유도탄의 위치좌표를 비행중인 유도탄에 전송함으로써 초기 정렬오차 및 관성항법장치의 드리프트에 의한 영향을 줄임으로써, 유도탄의 탐색기가 지정모드로 동작시 표적의 포착확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은,
사격통제소,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 발사대, 유도탄을 포함하는 지대공 유도무기체계에 기반한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으로서,
a) 상기 사격통제소에 의해 유도탄의 발사신호를 수신하고, 유도탄과 표적과의 예상 조우점에 해당하는 궤적 세트를 로딩한 후, 기준 궤적을 이용하여 유도탄의 포착 위치를 상기 다기능 레이더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격통제소로부터 전송된 유도탄의 포착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유도탄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결정된 유도탄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격통제소에 의해 상기 궤적 세트 중 가장 근접한 두 개의 궤적을 선택한 후, 선택된 두 개의 궤적을 이용하여 새로운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한 유도탄 추적초기화 과정을 위해 상기 사격통제소에 의해 새로 생성된 궤적을 기준으로, 상기 다기능 레이더의 다음 회전에서의 유도탄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다기능 레이더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계산된 유도탄의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유도탄의 좌표를 얻은 후, 유도탄 추적초기화 과정을 완료하고, 유도탄 추적정보를 상기 사격통제소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사격통제소에 의해 상기 유도탄 추적정보와 표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다기능 레이더로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링 크 데이터를 유도탄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자체 추적필터를 이용하여 유도탄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사격통제소로 전송하고, 상기 사격통제소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유도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탄에는 상기 다기능 레이더와의 통신을 위해 트랜스폰더 (transponder)가 장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에서의 유도탄의 위치 결정은, 매트릭스 형태의 빔을 구성하여 1차 탐색을 수행하여 개략적인 위치를 결정한 후, 주빔을 1차 탐색시 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범위의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하여 유도탄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탐색의 경우 탐색공간이 넓어 탐색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빔의 폭보다 3배 정도 큰 폭의 빔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선택된 두 개의 궤적을 내삽(interpolation)하여 새로운 궤적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단계 b), e), h)에서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빔을 순차적으로 구성하여 유도탄을 추적하고, 유도탄에 장착된 상기 트랜스폰더로부터의 수신신호 중 가장 큰 빔의 모노펄스 정보를 이용하여 유도탄의 좌표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매트릭스 형태의 빔 구성은 탐색 소요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단위 빔을 빔폭의 간격으로 배치한다.
또한, 상기 사격통제소는 유도탄의 각 조우점에 대해 유도탄 궤적(비행시간에 따른 유도탄의 거리, 고도)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는 상기 유도탄의 각 조우점에 대해 온도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레이더와 트랜스폰더 간의 통신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동기화신호, 유도탄의 고유번호,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트랜스폰더로 송신되면, 트랜스폰더에 의해 동기화신호, 유도탄의 고유번호가 확인된 후 응답펄스가 송신되고, 일정시간 후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기능 레이더는 포착/추적 단계시에 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없이 상기 동기화신호와 유도탄의 고유번호만을 송신하는 모드를 가지며, 상기 트랜스폰더는 언제든지 상기 동기화신호 및 유도탄의 고유번호를 인식시 상기 업링크 데이터 수신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응답펄스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기능 레이더가 유도탄을 직접 추적함으로써 유도탄과의 교신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고, 유도탄의 추적정보를 업링크함으로써 다기능 레이더와 발사대 간의 배치시의 초기 정렬오차 및 관성항법장치의 드리프트에 의한 유도탄의 탐색기의 포착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지대공 유도무기체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지대공 유도무기체계는 사격통제소(310),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320), 발사대(340), 유도탄(33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유도탄(330)에는 다기능 레이더(320)와의 통신을 위해 트랜스폰더(transponder)(331)가 장착된다. 도 3에서 참조번호 332는 유도조종장치, 333은 관성항법장치, 334는 탐색기를 각각 나타낸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지대공 유도무기체계에 기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의 실행 과정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격통제소(310),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320), 발사대(340), 유도탄(330)을 포함하는 지대공 유도무기체계에 기반한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으로서, 먼저 사격통제소(310)에 의해 유도탄(330)의 발사신호를 수신하고, 도 6에서와 같이 유도탄(330)과 표적(350)과의 예상 조우점에 해당하는 궤적 세트를 로딩한 후, 기준 궤적(예컨대, 중간 온도에 해당하는 E℃일 때의 비행궤적인 "614")을 이용하여 유도탄(330)의 포착 위치(631)를 다기능 레이더 (320)로 전송한다(단계 S401).
그러면, 다기능 레이더(320)는 상기 사격통제소(310)로부터 전송된 유도탄 (330)의 포착 위치(631)를 수신하고, 그를 바탕으로 유도탄의 위치(좌표)를 결정(측정)한다(단계 S402).
이후, 다기능 레이더(320)에 의해 결정(측정)된 상기 유도탄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사격통제소(310)는 상기 궤적 세트(도 6 참조) 중 가장 근접한 두 개의 궤적(예를 들면, A℃일 때의 비행궤적인 "610"과 B℃일 때의 비행궤적인 "611")을 선택한 후, 선택된 두 개의 궤적을 이용하여 새로운 궤적(620)을 생성한다(단계 S403).
그리고, 상기 다기능 레이더(320)에 의한 유도탄 추적초기화 과정을 위해 상기 사격통제소(310)는 새로 생성된 궤적(620)을 기준으로, 상기 다기능 레이더 (320)의 다음 회전에서의 유도탄(330)의 위치(633)를 계산하여 상기 다기능 레이더(320)로 전송한다(단계 S404). 여기서, 이와 같이 사격통제소(310)가 유도탄 추적초기화 과정을 위해 다기능 레이더(320)의 다음 회전에서의 유도탄(330)의 위치 (633)를 계산하는 것은 후술되는 다기능 레이더(320)의 자체 유도탄 추적을 위한 것이며, 다기능 레이더(320)가 자체적으로 유도탄(330)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추적초기화 과정을 통해 속도를 얻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계산된 다기능 레이더(320)의 다음 회전에서의 유도탄의 위치 (633)가 다기능 레이더(320)로 전송되면, 다기능 레이더(320)는 그 계산된 유도탄의 위치를 바탕으로 주빔을 "373"(도 3 참조)과 같은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하여 유도탄(330)의 좌표를 얻은 후, 유도탄 추적초기화 과정을 완료하고, 유도탄 추적정 보를 상기 사격통제소(310)로 전송한다(단계 S405).
그러면, 사격통제소(310)는 상기 유도탄 추적정보와 표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업링크(uplink)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다기능 레이더(320)로 전송한다(단계 S406). 여기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는 다음의 수식 관계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9064032244-pat00001
여기서, t:업링크 시간,
Figure 112009064032244-pat00002
:데이터 업링크 시 유도탄 좌표,
Figure 112009064032244-pat00003
: 유도탄 추적 좌표,
Figure 112009064032244-pat00004
:유도탄 추적 속도,
Figure 112009064032244-pat00005
:유도탄 추적 시간,
Figure 112009064032244-pat00006
: 데이터 업링크 시 표적 좌표,
Figure 112009064032244-pat00007
:표적 추적 좌표,
Figure 112009064032244-pat00008
:표적 추적 속도,
Figure 112009064032244-pat00009
:표적 추적 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이상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면, 다기능 레이더(320)는 그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를 유도탄(330)으로 전송(업링크"374")한다(단계 S407).
이후부터는 상기 다기능 레이더(320)는 자체 추적필터를 이용하여 유도탄 (330)의 위치를 추적("375","377")하여 상기 사격통제소(310)로 전송하고, 상기 사격통제소(310)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유도탄(330)으로 전송(업링크 "376","378")한다(단계 S408). 이때, 다기능 레이더(320)는 유도탄(330)의 기동특성을 고려하여 매트릭스 형태(375,377)로 빔을 순차적으로 구성하여 추적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단계 S402에서의 유도탄의 위치 결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의 빔(371)을 구성하여 1차 탐색을 수행하여 개략적인 위치를 결정한 후, 주빔을 1차 탐색시 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범위의 매트릭스 형태(372)로 구성하여 유도탄(330)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1차 탐색의 경우 탐색 공간이 넓어 탐색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빔의 폭보다 3배 정도 큰 폭의 빔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단계 S403에서 상기 선택된 두 개의 궤적(610,611)(도 6 참조)을 내삽(interpolation)하여 새로운 궤적(620)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단계 S408에서 상기 다기능 레이더(320)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빔을 순차적으로 구성하여 유도탄(330)을 추적하고, 유도탄(330)에 장착된 트랜스폰더(transponder)(331)로부터의 수신신호 중 가장 큰 빔의 모노펄스 정보를 이용하여 유도탄(330)의 좌표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매트릭스 형태의 빔 구성은 탐색 소요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단위 빔을 빔폭의 간격으로 배치한다.
또한, 상기 사격통제소(310)는 유도탄(330)의 각 조우점에 대해 유도탄 궤적 (360)(비행시간에 따른 유도탄의 거리, 고도)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화는 상기 유도탄(330)의 각 조우점(예컨대, 1km 단위)에 대해 온 도별(예를 들면, 10℃ 단위)로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이와 같이 온도별로 데이터베이화하는 이유는 온도에 따른 유도탄 추력 특성으로 인해 유도탄 궤적이 동일 비행시간에 대해 위치 편차를 가지기 때문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에 따른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기능 레이더와 트랜스폰더 간의 데이터 링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기능 레이더(320)가 동기화신호(510), 유도탄의 고유번호(511), 업링크 데이터(514)를 트랜스폰더(331)로 송신하면, 트랜스폰더(331)는 동기화신호(510), 유도탄의 고유번호(511)를 확인한 후, 응답펄스(512)를 송신하고, 업링크 데이터(514)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기본운용에 있어서 다기능 레이더(320)는 포착/추적 단계시에 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업링크 데이터(514)의 전송없이 동기화신호(510)와 유도탄의 고유번호(511)만을 송신하는 모드를 가지며, 따라서 트랜스폰더(331)는 언제든지 동기화신호(510) 및 유도탄의 고유번호(511)를 인식시 상기 업링크 데이터(514)의 수신 대기 모드를 해제하고 응답펄스(512)를 송신한다. 다기능 레이더(320)는 트랜스폰더(331)에서 송신한 응답펄스를 모노펄스처리하여 유도탄의 좌표를 측정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은 다기능 레이더가 유도탄을 직접 추적함으로써 유도탄과의 교신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고, 유도탄의 추적정보를 업링크함으로써 다기능 레이더와 발사대 간의 배치시의 초기 정렬오차 및 관성항법장치의 드리프트에 의한 유도탄의 탐색기의 포착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지대공 유도무기 체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지대공 유도무기 체계에서의 정렬오차 및 관성항법장치 드리프트에 따른 탐색기의 빔 조향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지대공 유도무기체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의 전체적인 실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에 따른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기능 레이더와 트랜스폰더 간의 데이터 링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에 있어서, 사격통제소에 의해 유도탄 궤적을 갱신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310...사격통제소 120,320...다기능 레이더
130,330...유도탄 131...수신기
132,332...유도조정장치 133,333...관성항법장치
134,334...탐색기 140,340...발사대
150,350...표적 331...트랜스폰더

Claims (10)

  1. 사격통제소,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 발사대, 유도탄을 포함하는 지대공 유도무기체계에 기반한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으로서,
    a) 상기 사격통제소에 의해 유도탄의 발사신호를 수신하고, 유도탄과 표적과의 예상 조우점에 해당하는 궤적 세트를 로딩한 후, 기준 궤적을 이용하여 유도탄의 포착 위치를 상기 다기능 레이더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격통제소로부터 전송된 유도탄의 포착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유도탄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결정된 유도탄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격통제소에 의해 상기 궤적 세트 중 가장 근접한 두 개의 궤적을 선택한 후, 선택된 두 개의 궤적을 이용하여 새로운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한 유도탄 추적초기화 과정을 위해 상기 사격통제소에 의해 새로 생성된 궤적을 기준으로, 상기 다기능 레이더의 다음 회전에서의 유도탄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다기능 레이더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계산된 유도탄의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유도탄의 좌표를 얻은 후, 유도탄 추적초기화 과정을 완료하고, 유도탄 추적정보를 상기 사격통제소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사격통제소에 의해 상기 유도탄 추적정보와 표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다기능 레이더로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를 유도탄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자체 추적필터를 이용하여 유도탄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사격통제소로 전송하고, 상기 사격통제소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유도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의 유도탄의 위치 결정은, 매트릭스 형태의 빔을 구성하여 1차 탐색을 수행하여 개략적인 위치를 결정한 후, 주빔을 1차 탐색시 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범위의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하여 유도탄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탐색의 경우 탐색공간이 넓어 탐색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빔의 폭보다 3배 정도 큰 폭의 빔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선택된 두 개의 궤적을 내삽(interpolation)하여 새로운 궤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e), h)에서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빔을 순차적으로 구성하여 유도탄을 추적하고, 유도탄에 장착된 트랜스폰더로부터의 수신신호 중 가장 큰 빔의 모노펄스 정보를 이용하여 유도탄의 좌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형태의 빔 구성은 탐색 소요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단위 빔을 빔폭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격통제소는 유도탄의 각 조우점에 대해 유도탄 궤적(비행시간에 따른 유도탄의 거리, 고도)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는 상기 유도탄의 각 조우점에 대해 온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레이더와 트랜스폰더 간의 통신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레이더에 의해 동기화신호, 유도탄의 고유번호,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트랜스폰더로 송신되면, 트랜스폰더에 의해 동기화신호, 유도탄의 고유번호가 확인된 후 응답펄스가 송신되고, 일정시간 후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레이더는 포착/추적 단계시에 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없이 상기 동기화신호와 유도탄의 고유번호만을 송신하는 모드를 가지며, 상기 트랜스폰더는 언제든지 상기 동기화신호 및 유도탄의 고유번호를 인식시 상기 업링크 데이터 수신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응답펄스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KR1020090099524A 2009-10-20 2009-10-20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KR101094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24A KR101094190B1 (ko) 2009-10-20 2009-10-20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24A KR101094190B1 (ko) 2009-10-20 2009-10-20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24A KR20110042724A (ko) 2011-04-27
KR101094190B1 true KR101094190B1 (ko) 2011-12-14

Family

ID=4404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24A KR101094190B1 (ko) 2009-10-20 2009-10-20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099B1 (ko) * 2011-10-14 2013-11-19 국방과학연구소 Hawk유도탄 체계 비행성능 분석을 위한 계측시스템 및 그 시험계측방법
KR102085603B1 (ko) * 2017-11-08 2020-03-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중모드 레이다를 이용한 발사체 단 분리 탐지와 낙하점 예측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9068A (ko) 1997-09-30 2000-11-25 글렌 에이치. 렌젠, 주니어 유도 발사체용 임펄스 레이더 유도 장치 및 방법
JP2000346594A (ja) 1999-06-10 2000-12-15 Mitsubishi Heavy Ind Ltd 飛翔体の誘導方法
JP2006284120A (ja) 2005-04-01 2006-10-19 Mitsubishi Electric Corp 飛しょう体誘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9068A (ko) 1997-09-30 2000-11-25 글렌 에이치. 렌젠, 주니어 유도 발사체용 임펄스 레이더 유도 장치 및 방법
JP2000346594A (ja) 1999-06-10 2000-12-15 Mitsubishi Heavy Ind Ltd 飛翔体の誘導方法
JP2006284120A (ja) 2005-04-01 2006-10-19 Mitsubishi Electric Corp 飛しょう体誘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24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50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enhanced location-based information to guide munitions
EP16293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target and guiding a vehicle toward the target
EP2802838B1 (en) Anti-rocket system
EP2869479B1 (en) Airplane antenna control device, airplane, airplane antenna selection program, and airplane antenna control method
US4315609A (en) Target locating and missile guidance system
US73127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on of a radio direction finder
US11199380B1 (en) Radio frequency / orthogonal interferometry projectile flight navigation
WO2020117934A1 (en) Fusion between aoa and tdoa
US961232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on system having fusion of radar and audio data
US9234963B2 (en) Optically augmented weapon locat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KR101094190B1 (ko) 회전형 다기능 레이더의 유도탄 추적방법
KR101062335B1 (ko) 이동체 신호 추적 장치 및 방법
JP2000193741A (ja) 目標追跡装置
WO2007063537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n unknown emitter
CN109029126B (zh) 一种智能全自动武器站
RU2504725C2 (ru) Способ пуска ракет для подвижных пусковых установок
US11385024B1 (en) Orthogonal interferometry artillery guidance and navigation
KR101790123B1 (ko) 비행체 요격용 반능동 유도 비행체
KR101790124B1 (ko) 반능동 비행체 요격 시스템 및 방법
CN111966117A (zh) 控制无人机降落的方法及系统
US11740055B1 (en) Radio frequency/orthogonal interferometry projectile flight management to terminal guidance with electro-optical handoff
US11859949B1 (en) Grid munition pattern utilizing orthogonal interferometry reference frame and range radio frequency code determination
KR102183792B1 (ko) 자동 추적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U2483272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начальных условий нелинейной траектории воздушной цели
EP37227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gbad-plat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