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146B1 -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146B1
KR101094146B1 KR1020100117222A KR20100117222A KR101094146B1 KR 101094146 B1 KR101094146 B1 KR 101094146B1 KR 1020100117222 A KR1020100117222 A KR 1020100117222A KR 20100117222 A KR20100117222 A KR 20100117222A KR 101094146 B1 KR101094146 B1 KR 10109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ole
ruminant
coil spr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호
Original Assignee
(주)티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티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0011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추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정전용량값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면서 버튼을 탄성 복원시켜 간단한 구조로 가속 신호의 발생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도체뿐만 아니라 부도체에 의한 버튼 작동도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버튼 어셈블리는 중앙에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제1 통공에 대응하여 중앙에 제2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부착되며, 접지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의 상면에 하단이 접촉되고, 하부가 좁고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의 반추형 코일 스프링과;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의 상부에 구비되고, 하단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통공 및 제2 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면 중앙에 돌기가 형성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돌기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터치 패드와; 상기 버튼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하단이 부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CAPACITANCE TYPE ACCELERATING BUTTON ASSEMBLY}
본 발명은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추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정전용량값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면서 버튼을 탄성 복원시켜 간단한 구조로 가속 신호의 발생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도체뿐만 아니라 부도체에 의한 버튼 작동도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에는 해당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버튼이 구비되는데, 전자 기기의 용도 및 모양에 따라 고전적인 기계 버튼 어셈블리에서 전자식 원터치 푸쉬 버튼 어셈블리, 멤브러트 버튼 어셈블리 등의 다양한 형태의 버튼 어셈블리가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전자 기기의 기능뿐만 아니라 그 디자인도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함에 따라 보다 심플하고 고품격의 디자인을 갖는 전자 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정전용량식 버튼 어셈블리, 일명 터치 버튼 어셈블리이다.
정전용량식 버튼 어셈블리는 인체의 접촉에 따라 접촉면과 유전체 사이에 생성되는 정전용량의 값이 변화한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착안된 것으로, 전자 기기의 외장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장 프레임 외부의 설치되는 터치 패드에서 손가락과 같은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고, 이 접촉된 면적의 증가에 따라 정전용량값이 증가하게 되며, 일정하게 설정된 정전용량값을 초과하면 버튼이 온작동을 하게 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정전용량식 버튼 어셈블리는 기준 정전용량값의 초과에 따른 온/오프 작동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른 가속 신호의 발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정전용량식 버튼 어셈블리는 손가락이나 금속 등과 같은 도체에만 작동을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장갑을 낀 손이나 비금속 등의 부도체에 의한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추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정전용량값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면서 버튼을 탄성 복원시켜 간단한 구조로 가속 신호의 발생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도체뿐만 아니라 부도체에 의한 버튼 작동도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로 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버튼의 탄성 복원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버튼에 대한 반추형 코일 스프링의 지지력이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는 중앙에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제1 통공에 대응하여 중앙에 제2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부착되며, 접지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의 상면에 하단이 접촉되고, 하부가 좁고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의 반추형 코일 스프링과;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의 상부에 구비되고, 하단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통공과 제2 통공에 끼워지는 돌기가 하면 중앙에 형성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돌기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의 누름에 의해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의 상단이 순차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가변하는 정전용량값을 검출하여 가속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패드와;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버튼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하단이 부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의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접지판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통공의 둘레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하부로 상기 돌기의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면서 그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통공의 둘레로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상단이 부착되는 원통형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는 중앙에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통공에 대응하여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순차적인 접촉에 따라 가변하는 정전용량값을 검출하여 가속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패드와; 상기 터치 패드의 상면에 하단이 접촉되고, 하부가 넓고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의 반추형 코일 스프링과;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의 상부에 구비되고, 하단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의 중앙과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통공에 끼워지는 돌기가 하면 중앙에 형성되고, 누름에 의해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의 하단을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 패드에 접촉시키는 버튼과; 상기 돌기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1 통공에 대응하여 중앙에 제2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의 하면에 부착되며, 접지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지판과;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버튼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하단이 부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반추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정전용량값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면서 버튼을 탄성 복원시켜, 간단한 구조로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하고, 가속 신호의 발생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도체뿐만 아니라 부도체에 의한 버튼 작동도 원활히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버튼의 탄성 복원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버튼에 대한 반추형 코일 스프링의 지지력이 분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버튼의 수명이 현저히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결합 종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버튼 어셈블리의 버튼을 누르는 힘에 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결합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결합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는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접지판(20)과, 상기 접지판(20)의 상면에 구비되는 반추형 코일 스프링(30)과,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상단에 구비되는 버튼(40)과, 상기 버튼(40)의 하면에 부착되는 터치 패드(50)와, 상기 버튼(40)의 둘레를 둘러싸는 하우징(6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10)은 중앙에 제1 통공(11)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전체 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통공(11)은 상기 버튼(40)의 하면에 형성되는 돌기(42)가 상하로 이동되는 통로로서 상기 돌기(4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판(10)은 상기 접지판(20)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통공(11)의 둘레로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설치홈(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설치홈(12)은 상기 접지판(20)이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원활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접지판(20)은 상기 제1 통공(11)에 대응하여 중앙에 제2 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부착되며 접지되게 구비되고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지판(20)은 어스 즉, 그라운드(GND)되어 터치 패드(50)와의 사이에 도전성 전극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통공(21)은 상기 돌기(42)가 관통되는 통로이다.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은 상기 접지판(20)의 상면에 하단이 접촉되고 하부가 좁고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지판(20)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 상태로 상기 버튼(40)의 누름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50)에 접촉되는 부분이 점차 증가되어 정전용량값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은 상기 버튼(40)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버튼(40)이 누린 후에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은 상기 터치 패드(50)와 접촉되면서 정전용량값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버튼(4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버튼(40)이 원활히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버튼(40)은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상부에 구비되고 하단 둘레에 걸림턱(41)이 형성되며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통공(11) 및 제2 통공(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면 중앙에 상기 돌기(4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40)은 그 상면을 사용자가 눌러 가속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턱(41)은 상기 버튼(40)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6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돌기(42)는 상기 제1 통공(11)과 제2 통공(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버튼(4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치 패드(50)는 상기 버튼(40)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돌기(42)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공(5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40)의 누름에 의해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상단이 순차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가변하는 정전용량값을 검출하여 가속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터치 패드(50)에서 발생된 가속 신호는 컨트롤러로 전달되어 전자 기기의 가속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관통공(51)은 상기 돌기(42)가 관통되는 통로이다.
상기 하우징(60)은 상기 걸림턱(41)에 걸리도록 상기 버튼(40)이 끼워지는 끼움공(61)이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하단이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40)을 지지하면서 기타 부품들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가속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 패드(50)에 대한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접촉 면적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정전용량값이 변하여 가속 신호를 손쉽게 발생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터치 패드(50)와 접지판(20)에 의해 정전용량값이 발생하므로 부도체로 상기 버튼(40)을 눌러도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즉 정전용량값이 가변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가속시키기기 위해 상기 하우징(6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버튼(40)의 상면을 누르면 상기 버튼(40)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상단을 하부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지판(20)에 의해 접지된 상태의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상단이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 패드(50)에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상기 터치 패드(50)에 대한 접촉 면적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즉, 도 3a에서 도 3b로 갈수록, 즉 사용자에 의한 상기 버튼(40)의 가압력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50)에 대한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접촉 면적이 점차 증가하여 정전용량값이 점차 증가되고, 그에 따라 정전용량값의 증가에 따른 가속 신호가 안정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40)을 가압하는 힘을 변경시킴에 따라 가속 또는 감속 신호가 컨트롤러에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버튼(40)을 계속 가압하면 가속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버튼(40)을 감압하면 감속 신호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버튼(4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은 압축된 상태가 되고, 이 압축력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40)을 누르지 않을 때 상기 버튼(40)에 작용하여 상기 버튼(4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복원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버튼 어셈블리의 버튼을 누르는 힘에 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버튼(40)을 눌려 그 가압력을 증가시키면 버튼(40)의 변위(x축)가 점차 커지면서 상기 터치 패드(50)에 대한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접촉 면적이 점차 증가되어 정전용량값의 변화(y축)가 점차 커지면서 가속하게 된다.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은 금속선이 나선형으로 꼬인 상태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 구조에 의해 상기 터치 패드(50)에 대한 접촉 면적이 연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연속적 증가에 의해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값의 변화가 곡선형으로 증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버튼(4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판(10)의 하부로 상기 돌기(42)의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는 탄성부재(70)와, 상기 탄성부재(70)를 수용하면서 그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통공(11)의 둘레로 상기 지지판(10)의 하면에 상단이 부착되는 원통형 케이싱(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 이외에 탄성 복원력을 일으키는 다양한 부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부재(70)는 상기 버튼(40)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탄성부재(70)는 버튼(4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에 의한 상기 버튼(40)의 지지력을 해소하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70)가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버튼(40)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본 버튼 어셈블리의 전체 수명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싱(80)은 상기 탄성부재(70)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탄성부재(7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결합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는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설치되는 터치 패드(50)와, 상기 터치 패드(50)의 상면에 구비되는 반추형 코일 스프링(30)과,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상단에 구비되는 버튼(40)과, 상기 버튼(4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접지판(20)과, 상기 버튼(40)의 둘레를 둘러싸는 하우징(6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10)은 중앙에 제1 통공(11)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전체 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통공(11)은 상기 버튼(40)의 하면에 형성되는 돌기(42)가 상하로 이동되는 통로로서 상기 돌기(4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치 패드(50)는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통공(11)에 대응하여 중앙에 관통공(5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40)의 누름에 의해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하단이 순차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가변하는 정전용량값을 검출하여 가속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터치 패드(50)에서 발생된 가속 신호는 컨트롤러로 전달되어 전자 기기의 가속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관통공(51)은 상기 돌기(42)가 관통되는 통로이다.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은 상기 터치 패드(50)의 상면에 하단이 접촉되고 하부가 넓고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터치 패드(50)와 접촉되면서 정전용량값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버튼(4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버튼(40)이 원활히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은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구조를 가져 상기 버튼(40)과 지지판(10)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버튼(40)은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상부에 구비되고 하단 둘레에 걸림턱(41)이 형성되며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중앙과 상기 관통공(51)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통공(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면 중앙에 상기 돌기(42)가 형성되는 것으로, 누름에 의해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하단을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 패드(50)에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41)은 상기 버튼(40)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6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돌기(42)는 상기 제1 통공(11)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버튼(4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지판(20)은 상기 돌기(42)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1 통공(11)에 대응하여 중앙에 제2 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40)의 하면에 부착되며 접지되게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어스 즉, 그라운드(GND)되어 터치 패드(50)와의 사이에 도전성 전극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통공(21)은 상기 돌기(42)가 관통되는 통로이다.
상기 하우징(60)은 상기 걸림턱(41)에 걸리도록 상기 버튼(40)이 끼워지는 끼움공(61)이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하단이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40)을 지지하면서 기타 부품들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가속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 패드(50)에 대한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접촉 면적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정전용량값이 변하여 가속 신호를 손쉽게 발생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터치 패드(50)와 접지판(20)에 의해 정전용량값이 발생하므로 부도체로 상기 버튼(40)을 눌러도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즉 정전용량값이 가변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지지판
11 : 제1 통공 12 : 설치홈
20 : 접지판
21 : 제2 통공
30 : 반추형 코일 스프링
40 : 버튼
41 : 걸림턱 42 : 돌기
50 : 터치 패드
51 : 관통공
60 : 하우징
61 : 끼움공
70 : 탄성부재
80 : 케이싱

Claims (4)

  1. 중앙에 제1 통공(11)이 형성되는 지지판(10)과;
    상기 제1 통공(11)에 대응하여 중앙에 제2 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부착되며, 접지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지판(20)과;
    상기 접지판(20)의 상면에 하단이 접촉되고, 하부가 좁고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의 반추형 코일 스프링(30)과;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상부에 구비되고, 하단 둘레에 걸림턱(41)이 형성되며,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통공(11)과 제2 통공(21)에 끼워지는 돌기(42)가 하면 중앙에 형성되는 버튼(40)과;
    상기 버튼(40)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돌기(42)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공(51)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40)의 누름에 의해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상단이 순차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가변하는 정전용량값을 검출하여 가속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패드(50)와;
    상기 걸림턱(41)에 걸리도록 상기 버튼(40)이 끼워지는 끼움공(61)이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하단이 부착되는 하우징(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은,
    상기 접지판(20)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통공(11)의 둘레로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설치홈(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4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판(10)의 하부로 상기 돌기(42)의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는 탄성부재(70)와;
    상기 탄성부재(70)를 수용하면서 그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통공(11)의 둘레로 상기 지지판(10)의 하면에 상단이 부착되는 원통형 케이싱(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
  4. 중앙에 제1 통공(11)이 형성되는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통공(11)에 대응하여 중앙에 관통공(51)이 형성되며, 순차적인 접촉에 따라 가변하는 정전용량값을 검출하여 가속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패드(50)와;
    상기 터치 패드(50)의 상면에 하단이 접촉되고, 하부가 넓고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의 반추형 코일 스프링(30)과;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상부에 구비되고, 하단 둘레에 걸림턱(41)이 형성되며,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중앙과 상기 관통공(51)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통공(11)에 끼워지는 돌기(42)가 하면 중앙에 형성되고, 누름에 의해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의 하단을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 패드(50)에 접촉시키는 버튼(40)과;
    상기 돌기(42)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1 통공(11)에 대응하여 중앙에 제2 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40)의 하면에 부착되며, 접지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지판(20)과;
    상기 걸림턱(41)에 걸리도록 상기 버튼(40)이 끼워지는 끼움공(61)이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반추형 코일 스프링(30)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하단이 부착되는 하우징(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
KR1020100117222A 2010-11-24 2010-11-24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 KR10109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222A KR101094146B1 (ko) 2010-11-24 2010-11-24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222A KR101094146B1 (ko) 2010-11-24 2010-11-24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146B1 true KR101094146B1 (ko) 2011-12-20

Family

ID=4550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222A KR101094146B1 (ko) 2010-11-24 2010-11-24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1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614B1 (ko) * 2016-08-17 2017-11-1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포브 키
WO2022139173A1 (ko) * 2020-12-24 2022-06-30 (주)코텍 전자기기용 버튼장치
WO2022139174A1 (ko) * 2020-12-24 2022-06-30 (주)코텍 전자기기용 버튼장치
WO2023090639A1 (ko) * 2021-11-18 2023-05-25 (주)코텍 터치스크린 부착 버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WO2023090638A1 (ko) * 2021-11-18 2023-05-25 (주)코텍 터치스크린 부착 버튼 장치
WO2024105782A1 (ja) * 2022-11-15 2024-05-23 任天堂株式会社 キー組立体、コントローラ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3068A (ja) 2005-12-22 2007-07-05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3068A (ja) 2005-12-22 2007-07-05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614B1 (ko) * 2016-08-17 2017-11-1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포브 키
WO2022139173A1 (ko) * 2020-12-24 2022-06-30 (주)코텍 전자기기용 버튼장치
WO2022139174A1 (ko) * 2020-12-24 2022-06-30 (주)코텍 전자기기용 버튼장치
KR20220092677A (ko) * 2020-12-24 2022-07-04 (주)코텍 전자기기용 버튼장치
KR20220092678A (ko) * 2020-12-24 2022-07-04 (주)코텍 전자기기용 버튼장치
KR102440326B1 (ko) * 2020-12-24 2022-09-06 (주)코텍 전자기기용 버튼장치
KR102440325B1 (ko) * 2020-12-24 2022-09-06 (주)코텍 전자기기용 버튼장치
WO2023090639A1 (ko) * 2021-11-18 2023-05-25 (주)코텍 터치스크린 부착 버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WO2023090638A1 (ko) * 2021-11-18 2023-05-25 (주)코텍 터치스크린 부착 버튼 장치
KR20230073410A (ko) * 2021-11-18 2023-05-26 (주)코텍 터치스크린 부착 버튼 장치
KR20230073409A (ko) * 2021-11-18 2023-05-26 (주)코텍 터치스크린 부착 버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2578347B1 (ko) * 2021-11-18 2023-09-18 (주)코텍 터치스크린 부착 버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2578348B1 (ko) * 2021-11-18 2023-09-18 (주)코텍 터치스크린 부착 버튼 장치
WO2024105782A1 (ja) * 2022-11-15 2024-05-23 任天堂株式会社 キー組立体、コントローラ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146B1 (ko)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
CN110506317B (zh) 触摸面板用按钮结构、触摸面板用按钮以及电子设备
US10297405B2 (en) Keyswitch and keyboard capable of showing movement depth
US7294795B1 (en) Slide switch
US9292104B2 (en) Fixed mouse
JP2011146297A (ja) スイッチ機構並びに入力装置
WO2012111631A1 (ja) 操作入力装置
CN111800691B (zh) 耳机组件及耳机的控制方法
KR20060129942A (ko) 압축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터치식 스위치
CN214956522U (zh) 输入装置
US9627161B2 (en) Operating switch
KR101835672B1 (ko) 정전용량 무접점 키보드의 교환식 키모듈
TWI335603B (en) Keypad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I731568B (zh) 用於電子裝置之觸控板總成
JP6075615B2 (ja) 入力装置
CN108091513B (zh) 能够反馈按压深度的按键及其键盘
KR200459462Y1 (ko)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CN106298301B (zh) 一种弹性按键及其终端设备
JP6399963B2 (ja) 多方向入力装置
US9996169B2 (en) Capacitive joystick device
KR102550768B1 (ko) 자기 유변 탄성체 기반 정전용량 센서 및 진동 액츄에이터 통합 시스템
JP7366706B2 (ja) 静電容量式スイッチ
KR101977055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CN101009167A (zh) 按钮开关
WO2018193857A1 (ja) 操作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