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840B1 -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840B1
KR101093840B1 KR1020040068247A KR20040068247A KR101093840B1 KR 101093840 B1 KR101093840 B1 KR 101093840B1 KR 1020040068247 A KR1020040068247 A KR 1020040068247A KR 20040068247 A KR20040068247 A KR 20040068247A KR 101093840 B1 KR101093840 B1 KR 101093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disk
disk drive
drive
sea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742A (ko
Inventor
강래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8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84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7Mounting of fixed and removable disk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부(20)를 구성하는 케이스(21)의 표면에 요입되게 형성되고 일측에 본체커넥터(34)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커넥터(34)와 커넥터(52)를 통해 연결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가 안착되고 그 양측벽에 걸이홀(28)이 형성되는 안착요홈(22)과, 상기 안착요홈(22)에 안착되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21)에 체결되어 안착요홈(22) 내부에서의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와의 체결을 위한 측면나사(46)의 일측이 상기 걸이홀(28)에 걸어져 상하방향 유동이 방지되는 드라이브브라켓(40)과, 상기 안착요홈(22)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21)에 일단부가 걸어지고 타단부가 상기 드라이브브라켓(40)과 함께 상기 케이스(21)에 체결되는 드라이브커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에 의하면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안착요홈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고, 하드디스크드라이브와 이를 차폐하는 커버의 장착이 보다 용이하게 되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안착요홈에 착탈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휴대, 컴퓨터, 하드디스크, 장착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A hard-disk drive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의 하면을 상부로 하여 외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안착요홈의 일측벽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드라이브브라켓이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라이브커버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드라이브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본체부 21: 바텀케이스
22: 안착요홈 24: 안착단
25: 보정돌기 26: 가이드홈
28: 걸이홀 30: 걸이슬롯
32: 공용체결공 34: 본체커넥터
36: 핑거걸이홈 40: 드라이브브라켓
42: 상판부 43: 통공
44: 측판부 45: 체결공
46: 측면나사 48: 공용체결편
49: 체결공 50: 하드디스크드라이브
52: 커넥터 54: 체결공
60: 절연시트 62: 파지편
70: 드라이브커버 72: 걸이돌기
74: 단차부 76: 체결공
77: 누름리브 78: 공용체결나사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본체부에 장착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일명 노트북 컴퓨터라 불리우는 것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의 본체부 하면 외관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노트북 컴퓨터는 크게 본체부(1)와 디스 플레이부(3)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의 판상으로, 그 상면에는 키보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본체부(1)의 내부에는 메인보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7) 등 노트북 컴퓨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일반적으로 액정패널을 사용하는데, 상기 본체부(1)의 후단부에 힌지조립체(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펼쳐지도록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도 상기 본체부(1)와 같이 대략 납작한 육면체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참고로 실제 노트북 컴퓨터가 사용될 때에는, 도 1에서 보이는 본체부(1)의 하면 부분이 바닥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본체부(1)의 하면 일측에는 안착요홈(5)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요홈(5)은 상기 본체부(1)의 하면에 장방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7)가 안착된다. 하드디스크드라이브(7)는 내부에 다수개의 하드디스크를 구비하여 정보를 기록하여 둘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7)의 일측에는 커넥터(8)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8)는 본체부(1)의 메인보드에 구비된 별도의 커넥터와 결합되어 하드디스크드라이브(7)를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안착요홈(5)은 커버(9)에 의해 차폐된다. 즉, 상기 안착요홈(5)에 안착된 하드디스크드라이브(7)는 상기 커버(9)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에서 임의로 접근할 수 없게 한다. 상기 커버(9)는 상기 안착요홈(5)의 가장자리에 나사(10)로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9)에는 다수개의 체결공(9)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7)가 안착되는 안착요홈(5)은 상기 커넥터(8)의 결합을 위한 이동방향으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7)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일단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7)가 상기 안착요홈(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8)와 메인보드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도록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7)와 안착요홈(5)의 일단부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7)가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즉, 노트북컴퓨터에 불의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7)가 상기 안착요홈(5)내에서 움직여 커넥터(8)의 결합이 분리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7)는 상기 안착요홈(5)의 내부에서 커넥터(8)의 결합력 외에는 별도의 고정을 위한 구조가 없다. 따라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7)는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9)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상기 커넥터(8)와 메인보드의 커넥터의 결합이 분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커버(9)가 상기 안착요홈(5)을 차폐하도록 고정하기 위해서는 조립라인에서 많은 수의 나사체결작업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노트북컴퓨터의 조립작업공수가 많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마지막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안착요홈(5)의 내부에 안착된 하드디스크드라이브(7)를 꺼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다. 즉, 상기 안착요홈(5)과 하드디스크드라이브(7)의 사이에는 상기 커넥터(8)의 결합을 위한 틈외에는 여 유공간이 없다. 따라서, 하드디스크드라이브(7)를 안착요홈(5)에서부터 꺼내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안착요홈의 내부에서 움직임이 없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조립을 위한 조립작업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본체부의 안착요홈에 착탈하는 것이 간단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부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표면에 요입되게 형성되고 일측에 본체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커넥터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안착되고 그 양측벽에 걸이홀이 형성되는 안착요홈과, 기 안착요홈에 안착되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어 안착요홈 내부에서의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와의 체결을 위한 측면나사의 일측이 상기 걸이홀에 걸어져 상하방향 유동이 방지되는 드라이브브라켓과, 기 안착요홈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에 일단부가 걸어지고 타단부가 상기 드라이브브라켓과 함께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는 드라이브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요홈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드라이브커버가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단에서 시작해서 상기 걸이홀과 연통되게 상기 안착요홈의 측벽에는 상기 측면나사가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커넥터가 구비된 반대쪽 안착단 하부에는 걸이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커넥터가 구비된 쪽의 안착단에는 공용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브브라켓은 금속재질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상대적으로 넓은 면과 대응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절곡형성되고 양단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측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체결공이 천공된 체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라이브커버에는 상기 걸이슬롯에 삽입되는 걸이돌기가 하면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상기 안착단의 공용체결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천공되어 공용체결나사가 상기 드라이브브라켓의 체결편에 형성된 체결공과 드라이브커버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안착단의 공용체결공에 체결되게 한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에는 일단부에 파지부가 형성되는 절연시트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안착요홈의 가장자리 일측에 해당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핑거걸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브커버를 케이스에서 원활하게 분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에 의하면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안착요홈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고, 하드디스크드라이브와 이를 차폐하는 커버의 장착이 보다 용이하게 되며, 하드디스 크드라이브를 안착요홈에 착탈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안착요홈의 일측벽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드라이브브라켓이 체결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라이브커버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부(20)의 하면 외관을 바텀케이스(21)가 형성한다. 상기 바텀케이스(21)의 하면 일측에는 안착요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요홈(22)은 상기 바텀케이스(21)의 하면에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20)의 내부로 함몰된다. 상기 안착요홈(22)은 아래에서 설명될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가 안착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안착요홈(22)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요홈(22)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안착단(2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4)은 상기 바텀케이스(21)의 하면보다는 상대적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드라이브커버(70)의 두께만큼 요입된다. 상기 안착단(24)은 그 형성위치에 따라 그 폭이 달리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4)중 일측에는 다수개의 보정돌기(25)가 형성된다. 상기 보정돌기(25)는 드라이브커버(70)중 단차부(74)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안착단(24)과 단차부(74)사이의 높이차를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요홈(22)의 양측면의 양단에는 가이드홈(2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6)은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홈(26)은 상기 안착단(24)에서부터 시작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본체커넥터(34)방향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6)의 끝부분에는 걸이홀(28)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홀(28)은 상기 안착요홈(22)의 내측벽에서 안착요홈(22)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걸이홀(28)은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가 안착요홈(22)의 상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요홈(22)중 상기 가이드홈(26)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중 어느 일측에는 걸이슬롯(30)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30)은 상기 안착단(24)의 바로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드라이브커버(70)의 걸이돌기(72)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슬롯(30)이 형성된 안착요홈(22)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안착단(24)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단(24)의 양단에는 공용체결공(32)이 형성된다. 상기 공용체결공(32)은 아래에서 설명될 드라이브브라켓(40)과 드라이브커버(70)를 동시에 체결하는 공용체결나사(77)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공용체결공(32)에는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금속재질의 인서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용체결공(32)이 구비된 쪽의 안착요홈(22)에는 본체커넥터(34)가 구 비된다. 상기 본체커넥터(34)는 본체부(20) 내부에 구비된 메인보드에 실장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요홈(22)의 내부로 그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착요홈(22)중 일측에는 핑거걸이홈(36)이 형성된다. 상기 핑거걸이홈(36)은 드라이브커버(70)를 안착단(24)에서 쉽게 분리하여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커넥터(34)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인접한 걸이홀(28) 근처에 핑거걸이홈(36)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핑거걸이홈(36)의 위치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드라이브브라켓(40)은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의 상대적으로 넓은 면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상판부(42)와 상기 상판부(42)의 상대적으로 긴변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판부(44)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42)에는 다수개의 통공(43)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43)은 살빼기의 역할도 한다. 상기 측판부(44)의 일단에는 각각 스토퍼(45)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5)는 상기 측판부(44)의 일단에 형성되어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의 일단에 안착되어 드라이브브라켓(40)과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사이의 결합위치를 안내한다.
상기 상판부(42)와 측판부(44)에는 다수개의 체결공(45)이 천공된다. 상기 체결공(45)은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공(45)은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에 제공되는 체결공(5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판부(44)의 양단에 각각 천공된 체결공(45)을 관통하여 측면나사(46)가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와 체결된다. 상기 측면나사(46)는 그 머리부가 상기 가이드홈(26)을 따라 안내되어 걸이홀(28)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스토퍼(45)가 구비된 쪽의 상기 상판부(42) 양단에는 체결편(4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48)에는 각각 체결공(49)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9)은 상기 공용체결공(42)과 대응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편(48)은 상기 상판부(4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는 육면체로서 납작한 판상의 외관을 가진다.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는 대용량 저장장치로 내부에 다수개의 하드디스크가 구비되어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커넥터(34)와 결합되는 커넥터(52)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52)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와 메인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5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4)은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의 외면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체결공(54)은 모두가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의 체결을 위해 사용되지는 않는다.
한편, 절연시트(60)는 절연재질로 된 것으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에 구비된 기판과 외부와의 절연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절연시트(60)는 본 발명에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를 상기 안착요홈(22)에서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절연시트(6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에 드라이브브라켓(40)이 체결됨에 의해 이들 사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절연시트(60)를 다른 방식으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 (50)나 드라이브브라켓(40)에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절연시트(60)의 일측,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커넥터(52)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파지편(62)이 구비된다. 상기 파지편(62)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를 안착요홈(22)의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드라이브커버(70)는 상기 안착요홈(22)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라이브커버(70)의 커버몸체(71)는 상기 안착요홈(22)과 대응되는 장방형상이고, 상기 바텀케이스(2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몸체(71)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요홈(22)의 안착단(24)에 안착되고, 상기 바텀케이스(21)에 체결된다.
상기 커버몸체(71)의 하면 일단에는 걸이돌기(72)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72)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몸체(71)의 하단으로 돌출되고, 그 선단에서는 상기 커버몸체(71)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커버몸체(71)와 평행하게 연장된 걸이돌기(72)의 선단 부분이 상기 걸이슬롯(30)에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커버몸체(71)의 일측변을 따라서는 단차부(74)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74)는 바텀케이스(21)의 하면 형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바텀케이스(21)의 하면 형상에 따라서는, 단차부(74)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상기 커버몸체(71)에는 상기 공용체결공(32)과 대응되는 체결공(76)이 천공된다. 상기 체결공(76)은 상기 걸이돌기(72)가 구비되는 반대쪽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76)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커버몸체(71)의 하면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리브(77)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리브(77)는 상기 커버몸체(71)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드라이브커버(70)가 체결될 때, 상기 공용체결편(48)은 상기 공용체결공(32)이 형성된 안착단(24)에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78은 상기 드라이브커버(70)와 공용체결편(48)을 관통하여 공용체결공(32)에 체결되는 공용체결나사(78)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는 휴대용 컴퓨터의 조립라인에 투입되기에 앞서, 상기 드라이브브라켓(40)과 절연시트(60)가 체결된 상태로 된다. 즉, 모두 4개의 측면나사(46)가 상기 드라이브브라켓(40)의 측판부(44)에 형성된 체결공(45)을 관통하여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54)에 체결된다.
상기 절연시트(60)는 상기 드라이브브라켓(40)이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와 드라이브브라켓(40)의 사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파지편(62)은 상기 커넥터(52)의 반대쪽으로 돌출되게 절연시트(60)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에 절연시트(60)와 드라이브브라켓(40)이 체결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측면나사(46)의 머리부는 상기 드라이브브라켓(40)의 측판부(44)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드라이브브라켓(40)이 체결된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를 상기 안착요홈(22)에 안착시킨다. 이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측면나사(46)의 머리부는 각각 상기 가이드홈(26)에 위치시킨다. 즉, 4개의 측면나사(46)의 머리부를 각각 가이드홈(26)에 위치시키면, 측면나사(46)의 머리부는 상기 가이드홈(26)을 따라 하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는 상기 안착요홈(22)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의 커넥터(52)와 본체커넥터(34)는 서로 마주보기는 하나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측면나사(46)의 머리부가 상기 걸이홀(28)로 이동하도록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를 이동시킨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가 상기 안착요홈(22)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커넥터(52)와 본체커넥터(34)가 서로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52)와 본체커넥터(34)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측면나사(46)의 머리부가 상기 걸이홀(28)에 걸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나사(46)가 상기 걸이홀(28)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는 안착요홈(22)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드라이브커버(70)를 바텀케이스(21)에 결합한다. 즉, 상기 드라이브커버(70)의 걸이돌기(72)를 상기 안착요홈(22)의 안착단(24) 직하부에 형성된 걸이슬롯(30)에 삽입한다. 상기 걸이슬롯(30)에 상기 걸이돌기(72)를 삽입하고, 상기 걸이돌기(72)를 중심으로 커버몸체(71)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공(76)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공용체결공(32)이 천공된 안착단(24)에 안착되게 한다. 물론, 상기 공용체결공(32)에는 상기 체결공(49)이 일치하게 상기 드라이브브라켓(40)의 공용체결편(4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용체결나사(78)를 상기 체결공(76,49)을 관통하여 상기 공용 체결공(32)에 체결한다. 상기 공용체결나사(78)가 체결되면, 상기 드라이브커버(70)와 드라이브브라켓(40)(실질적으로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이 상기 바텀케이스(21)에 체결된다. 상기 드라이브브라켓(40)의 공용체결편(48)이 바텀케이스(21)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가 상기 안착요홈(22)에서 상기 커넥터(52,34)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를 안착요홈(22)에서 분리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용체결나사(78)를 푼다. 상기 공용체결나사(78)를 풀어줌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브라켓(40)과 드라이브커버(70)가 바텀케이스(21)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라이브커버(70)를 바텀케이스(21)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핑거걸이홈(36)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 상기 드라이브커버(70)를 당겨내면 된다. 상기 드라이브커버(70)가 제거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라이브브라켓(40)이 체결된 상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가 보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를 안착요홈(22)에서 분리하여 내기 위해서는, 상기 파지편(62)을 잡아 당기면 된다. 상기 파지편(62)을 잡아 당김에 의해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0)는 상기 안착요홈(22)에서 쉽게 빠져나오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안착요홈의 내부에서 어떤 방향으로도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휴대용 컴퓨터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안착요홈 내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아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내구성이 좋아지고, 커넥터의 연결상태가 나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안착되는 안착요홈을 차폐하는 드라이브커버를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체결된 드라이브브라켓과 함께 바텀케이스에 체결한다. 결국,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작업시에 단지 2개의 공용체결나사만 체결하면 된다. 따라서,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이 착탈작업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파지부를 구비하는 절연시트를 설치하였으므로, 안착요홈에 안착된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안착요홈을 차폐하는 드라이브커버 또한 핑거걸이홈을 이용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다.

Claims (7)

  1. 본체부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표면에 요입되게 형성되고 일측에 본체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커넥터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안착되고 그 양측벽에 걸이홀이 형성되는 안착요홈과,
    상기 안착요홈에 안착되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어 안착요홈 내부에서의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와의 체결을 위한 측면나사의 일측이 상기 걸이홀에 걸어져 상하방향 유동이 방지되는 드라이브브라켓과,
    상기 안착요홈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에 일단부가 걸어지고 타단부가 상기 드라이브브라켓과 함께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는 드라이브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요홈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드라이브커버가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단에서 시작해서 상기 걸이홀과 연통되게 상기 안착요홈의 측벽에는 상기 측면나사가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커넥터가 구비된 반대쪽 안착단 하부에는 걸이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커넥터가 구비된 쪽의 안착단에는 공용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브브라켓은 금속재질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상대적으로 넓은 면과 대응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절곡형성되고 양단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측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체결공이 천공된 체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브커버에는 상기 걸이슬롯에 삽입되는 걸이돌기가 하면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상기 안착단의 공용체결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천공되어 공용체결나사가 상기 드라이브브라켓의 체결편에 형성된 체결공과 드라이브커버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안착단의 공용체결공에 체결되게 하고,
    상기 체결공의 가장자리에는 누름리브가 하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브커버 체결시에 상기 체결편이 상기 공용체결공이 형성된 안착단을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에는 일단부에 파지부가 형성되는 절연시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요홈의 가장자리 일측에 해당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핑거걸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브커버를 케이스에서 원활하게 분리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
KR1020040068247A 2004-08-28 2004-08-28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 KR101093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247A KR101093840B1 (ko) 2004-08-28 2004-08-28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247A KR101093840B1 (ko) 2004-08-28 2004-08-28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742A KR20060020742A (ko) 2006-03-07
KR101093840B1 true KR101093840B1 (ko) 2011-12-13

Family

ID=3712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247A KR101093840B1 (ko) 2004-08-28 2004-08-28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7414B2 (ja) 2007-08-09 2011-12-2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部品取付用部品および電子機器
KR102406829B1 (ko) * 2016-04-20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스에스디 하우징 및 에스에스디 하우징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4887A (en) 1989-11-30 1992-06-23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computer including a bottom surface having a recess and a storage unit removably stored therein
US6487081B2 (en) 2000-12-29 2002-11-26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Hard disk drive mount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4887A (en) 1989-11-30 1992-06-23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computer including a bottom surface having a recess and a storage unit removably stored therein
US6487081B2 (en) 2000-12-29 2002-11-26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Hard disk drive mount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742A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4013B2 (en) Computer cabinet with mounted hard disk casing and hard disks
US7576984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6667880B2 (en) Fix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s
US6862174B2 (en) Drive bracket assembly with fastener
US20060262494A1 (en) Computer enclosure with fastener
US20060285287A1 (en) Protect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
US6693800B1 (en) Expansion card mounting apparatus
US5098175A (en) Removable guide apparatus for a rail-mounted device employed in a computer
US20070210684A1 (en) Computer enclosure
JPH0542004B2 (ko)
US6386656B1 (en) Computer enclosure incorporating pivotable drive bracket
US6704205B1 (en) Expansion card mounting apparatus
US20040190266A1 (en) Carrier for a peripheral device rack
US6819551B2 (en) Computer enclosure with pivotable hood
US6721177B1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7295432B2 (en) Rail assembly for a data storage device
KR101093840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
KR100299592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US6829775B2 (en) Protecting device for CD-ROM drive
US7136279B2 (en) Keyboard mounting system
JPH11175186A (ja) 取り外し可能なキーボードを有する携帯形情報機器
US6741452B1 (en) Retaining device for switch
US7450374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JP2005157834A (ja) スタンド
US7489506B2 (en) Computer enclosure with drive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