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746B1 -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 - Google Patents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746B1
KR101093746B1 KR1020110073142A KR20110073142A KR101093746B1 KR 101093746 B1 KR101093746 B1 KR 101093746B1 KR 1020110073142 A KR1020110073142 A KR 1020110073142A KR 20110073142 A KR20110073142 A KR 20110073142A KR 101093746 B1 KR101093746 B1 KR 101093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rack
communication equipment
hous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빌텍
Priority to KR1020110073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장비용 랙이 설치된 건물 또는 구조물이 바닥면의 손상이나 외부의 충격으로 수평 상태에 변형이 생길 경우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 조립체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판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평 감지센서와, 상기 수평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를 데이터가 포함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기와, 상기 신호변환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신장비용 랙의 수평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 표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HORIZONTAL SENSOR}
본 발명은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장비용 랙이 설치된 건물 또는 구조물이 바닥면의 손상이나 외부의 충격으로 수평 상태에 변형이 생길 경우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에 관한 것이다.
통신장비용 랙은 건물의 배전실이나 설비실 또는 규모가 큰 데이터 센서(Internet Data Center, IDC) 등에 설치되는데, 설치된 통신장비용 랙의 자체 결함이나, 랙의 상부 또는 측부에 연결된 많은 수 케이블의 하중이나, 건물이나 구조물에 지진 등의 외력으로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통신장비용 랙이 수평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상기 통신장비용 랙에 설치된 장비가 손상되거나, 데이터 프로세싱 또는 네트워킹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장비용 랙의 결함이나 건물이나 구조물에 외력으로 변형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육안으로 쉽게 감지해 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장치가 아닌 단순한 기계적 원리에 따르는 수평 감지센서를 사용하여 통신장비용 랙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통신장비용 랙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센서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여 통신장비용 랙이 기울어지는 정도인 유효 범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통신장비용 랙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인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은 프레임 조립체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판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평 감지센서와, 상기 수평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를 데이터가 포함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기와, 상기 신호변환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신장비용 랙의 수평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 표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장치가 아닌 단순한 기계적 원리에 따르는 수평 감지센서를 사용하여 통신장비용 랙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센서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여 통신장비용 랙이 기울어지는 정도인 유효 범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평 감지센서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평 감지센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평 감지센서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도.
도 5는 이중마루에 설치된 본 발명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평 감지센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인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장비는 통신장비용 랙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에 직접 세우거나 이중마루의 상부면에 설치한다.
통신장비용 랙은 설치되는 통신장비의 수량이나 무게에 따라 설계되고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통신장비의 평균 무게를 감안하여 설계하기 때문에 특별히 무거운 장비가 장착되는 랙은 변형이 일어날 소지가 크다.
또한 통신장비용 랙에 통신장비를 모두 실장시키면 관련 케이블이 상부 및 측부에 많이 포설되고 이로 인하여 케이블 장력에 의해 통신장비용 랙의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이중마루 위에 통신장비용 랙을 설치하게 되면 이중마루 지지대의 노후 및 불량과 이중마루 자체의 틀어짐으로 인해 통신장비용 랙이 기울어지게 될 수 있고, 특히 우드 타입의 이중마루는 습기에 따른 틀어짐 현상이 잦아 이러한 문제점이 자주 발생된다.
또한 건물이나 구조물의 지진 등에 의한 외력으로 변형이 발생될 경우에도 통신장비용 랙이 변형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일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이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평 감지센서(200)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측단면도 및 도 3은 평단면도이고, 도 4는 콘크리트 바닥면 등과 같이 일반 바닥면(10)에 설치된 본 발명의 구성도이며, 5도는 다른 실시예로서 이중마루(20)에 설치된 본 발명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은 프레임 조립체로 이루어진 하우징과(100), 하우징(10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00)의 상판(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평 감지센서(200)와, 수평 감지 센서(200)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를 데이터가 포함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기(300)와, 신호변환기(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신장비용 랙의 수평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 표시부(4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프레임의 조립체로서 상·하판과 측부 및 통신장비를 넣고 빼낼 수 있도록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평 감지센서(200)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210)와, 케이스(210)를 하우징(100)의 상판(120)에 볼트(222)와 너트(224)로 고정시키는 고정부(220)와, 케이스(210)의 측부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게 형성된 두 쌍의 감지센서(230)와, 케이스(210)의 상부 내측으로부터 내려온 와이어(250)에 연결된 감지구(2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210)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감지센서(230)는 도체인 전극(240)으로 씌워져 신호변환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와이어(250) 및 감지구(260)는 도체로 이루어져 신호변환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극(240)으로 씌워진 감지센서(230)는 신호변환기(300)와 음극(-)으로 연결되고, 와이어(250) 및 감지구(260)는 신호변환기(300)와 양극(+)으로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랙 자체의 결함 또는 외력에 의해 기울어짐이 발생되어 하우징(100)이 수평 상태가 아닐 경우 감지구(260)가 움직여서 두 쌍의 감지센서(230) 중 어느 한 개 이상의 감지센서(230)에 접촉됨에 따라 감지구(260)와 감지센서(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변환기(300)로 전기 신호가 보내지게 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기울어짐에 의한 감지구(260)의 움직임 범위는 감지센서(230)의 돌출된 길이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감지센서(230)의 돌출된 길이를 길게 하면 감지구(260)의 움직임 범위가 좁게 되어 하우징(100)의 기울어짐이 작은 경우에도 감지구(260)가 감지센서(230)에 접촉됨에 따라 기울어짐이 감지되고, 감지센서(230)의 돌출된 길이를 짧게 하면 감지구(260)의 움직임 범위가 넓게 되어 하우징(100)의 기울어짐이 큰 경우에 감지구(260)가 감지센서(230)에 접촉됨에 따라 기울어짐이 감지된다.
상기 와이어(250)에 연결된 감지구(260)의 움직임 범위는 중심부로부터 1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구(206)의 움직임 범위는 하우징(100)의 기울어지는 정도인 유효 범위와 동일하다.
통신장비용 랙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상기 통신장비용 랙에 구비된 상기 수평 감지센서(200)를 각각 직렬 또는 병렬 형태로 연결하면 상기 통신장비용 랙의 수와 관계없이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신호변환기(300)와 모니터링 표시부(4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거나 하우징(100) 외부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된 외부 공간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 표시부(400)는 다른 일실시예로 모니터와 입력장치가 구비된 퍼스널 컴퓨터(PC)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장치가 아닌 단순한 기계적 원리에 따르는 수평 감지센서를 사용하여 통신장비용 랙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고, 감지센서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여 통신장비용 랙이 기울어지는 정도인 유효 범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바닥면 20 : 이중마루
100 : 하우징 120 : 상판
200 : 수평 감지센서 210 : 케이스
220 : 고정부 230 : 감지센서
240 : 전극 250 : 와이어
260 : 감지구 300 : 신호변환기
400 : 모니터링 표시부

Claims (6)

  1. 프레임 조립체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판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평 감지센서와,
    상기 수평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를 데이터가 포함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기와,
    상기 신호변환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신장비용 랙의 수평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 표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 감지센서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상기 하우징의 상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케이스의 측부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게 형성된 두 쌍의 감지센서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으로부터 내려온 와이어에 연결된 감지구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센서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는 정도인 기울어짐 유효 범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센서는 도체인 전극으로 씌워져 상기 신호변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지구 및 와이어는 도체로 이루어져 신호변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수평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하우징의 기울어짐에 의해 상기 감지구가 상기 두 쌍의 감지센서 중 어느 한 개 이상의 감지센서에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변환기로 전기 신호가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기울어짐 유효 범위는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
KR1020110073142A 2011-07-22 2011-07-22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 KR10109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142A KR101093746B1 (ko) 2011-07-22 2011-07-22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142A KR101093746B1 (ko) 2011-07-22 2011-07-22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3746B1 true KR101093746B1 (ko) 2011-12-19

Family

ID=4550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142A KR101093746B1 (ko) 2011-07-22 2011-07-22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7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559A (ja) 1996-12-25 1998-07-14 Taiyo Kogyo Kk 被検出物体の過傾斜検出装置
JPH116732A (ja) * 1997-06-14 1999-01-12 Makoto Haneda 傾斜振動センサ、傾斜振動感知装置及び携帯警報装置
KR200270189Y1 (ko) * 2001-12-26 2002-03-28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와이어 로우프 기울림 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559A (ja) 1996-12-25 1998-07-14 Taiyo Kogyo Kk 被検出物体の過傾斜検出装置
JPH116732A (ja) * 1997-06-14 1999-01-12 Makoto Haneda 傾斜振動センサ、傾斜振動感知装置及び携帯警報装置
KR200270189Y1 (ko) * 2001-12-26 2002-03-28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와이어 로우프 기울림 확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4420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an electric isolation in an stm fix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dernizing an existing elevator arrangement
WO2008063835A3 (en) Detector head proximity sensing and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es and methods
JP5759580B2 (ja) 原料のレベル及び温度検出用ケーブル方式センサ
KR101898126B1 (ko)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형 전선 트레이
KR101093746B1 (ko) 수평 감지센서가 구비된 통신장비용 랙
US11821949B2 (en) Contact monitoring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and vacuum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KR101590440B1 (ko)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의 스마트 내진센싱 장치
US20170131136A1 (en) Water-proof electronic scale device
JP550036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CN211236077U (zh) 一种数据对比式电力过载预警装置
KR20130070233A (ko) 복합형 다축센서
KR102214964B1 (ko) 열화상 사각지대를 없앤 열화 진단시스템을 가지는 수배전반
US20210172823A1 (en) Self-powered water leakage detector
CN108657896A (zh) 电梯缆索的安全监测装置
CN210143067U (zh) 一种安全生产物联感知终端
KR101497107B1 (ko) 건물 안전도 측정시스템
WO2019227558A1 (zh) 一种电子秤
CN105621097A (zh) 一种具有检测功能的机械手挂钩装置
KR101552801B1 (ko) 촉각 센서
KR102485452B1 (ko) 무선 압력 감지 장치, 무선 압력 측정 시스템, 및 압력 측정 방법
JP3212058U (ja) 昇降機のモニタ装置
KR20140064745A (ko) 초정밀 장비용 기울어짐 감시 장치
WO2021029538A1 (ko) 진동신호를 이용한 제어반 모니터링 장치
KR102130848B1 (ko) 내진 건전성 판단장치를 가지는 수배전반
CN214097348U (zh) 一种多功能变电站五箱运维监测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