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550B1 - 편석을 이용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 - Google Patents

편석을 이용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550B1
KR101093550B1 KR1020090032910A KR20090032910A KR101093550B1 KR 101093550 B1 KR101093550 B1 KR 101093550B1 KR 1020090032910 A KR1020090032910 A KR 1020090032910A KR 20090032910 A KR20090032910 A KR 20090032910A KR 101093550 B1 KR101093550 B1 KR 101093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regation
conductive film
carbon nanotubes
induc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397A (ko
Inventor
이현정
오경아
박민
김준경
임순호
김희숙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3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55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05Reinforced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nanosized materials, e.g. nanoparticles, nanofibres, nanotubes, nanowires, nanorods or nanolayer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용매에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편석을 유도하는 편석유도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편석유도 물질이 혼합된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기판상에 코팅하여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표면의 전기전도도가 균일하고, 광투과성의 정도가 우수한 전도성필름을 구현한다.
전도성필름, 광투과성, 편석유도

Description

편석을 이용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METHOD FOR FABRICATION OF CONDUCTIVE FILM USING SEGREGATION AND CONDUCTIVE FILM}
본 발명은 광투과성을 구비하는 전도성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도성필름에 관한 것이다.
전도성필름(Conductive film)은 기능성 광학필름의 일종으로 가정용 기기, 산업용 기기 및 사무용 기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 광투과성을 띠는 투명 전도성필름(Transparent conductive film)은 태양전지 및 각종 디스플레이(PDP, LCD, OLED) 등 투명성과 저항이 낮은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필요로 하는 소자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 전도성필름으로 산화인듐주석(Indium Tin Oxide: ITO)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고가일 뿐 아니라, 작은 외부 충격이나 응력에도 부서지기 쉽고, 막을 휘거나 접을 때 기계적인 안정성이 취약하며, 기판과의 열팽창계수 차에 의한 열변형으로 인해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전기전도도 및 광투과성의 정도(이하 '투명도'라 한다)가 우수한 전도성필름의 제조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균일한 전기전도도 및 투명도를 구비하는 전도성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은 분산 단계, 혼합 단계 및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분산 단계는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킨다. 혼합 단계는 용매에 탄소나노튜브의 편석을 유도하는 편석유도 물질을 혼합한다. 형성 단계는 편석유도 물질이 혼합된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기판상에 코팅하여 전극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은 초음파에 의한 절단 및 산과 화학반응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은 기판이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 되도록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엔-메틸피롤리돈(NMP, N-methyl-2-pyrrolidone), 에틸알콜, 물 및 클로로벤젠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코팅은 스핀코팅, 화학기상증착, 전기화학 증착, 전기영동 침 전(electro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담금 코팅 (dip-coating), 진공 여과(vacuum filtration), 에어브뤄싱(airbrushing) 및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편석유도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을 포함한다. 편석유도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이 1:100 내지 100:1 중 적어도 하나의 부피비로 혼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 물질은 페돗(PEDOT,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폴리피롤(Polypyrrole)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온성 액상 물질은 1-butyl-3-methyl imidazolium, 1-hexyl-3-methyl imidazolium 및 1-methyl-3-methyl imidazolium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는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은 분산 단계, 유도 단계 및 코팅 단계를 포함한다. 분산 단계는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킨다. 유도 단계는 편석유도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편석을 유도한다. 코팅 단계는 탄소나노튜브 및 편석유도 물질을 기판상에 코팅한다. 편석유도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성 액상 물질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1:100 내지 100:1 중 적어도 하나의 부피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도성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전도성필름은 광투과성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전극층을 포함한 다. 전극층은 탄소나노튜브 및 편석유도 물질을 포함한다. 탄소나노튜브는 기판상에 편석되도록 배치된다. 편석유도 물질은 탄소나노튜브를 편석시키고 탄소나노튜브와 혼재된다. 탄소나노튜브는 단층벽(single wall), 이중층벽(double wall) 및 다층벽(multi wall) 나노튜브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은 편석유도 물질이 혼합된 분산액을 코팅함에 따라 보다 간단한 공정으로 전도성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을 이용함에 따라 전도성필름의 표면에 이온 전도성 망상 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통하여 표면을 따라 균일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전도성필름이 구현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한 전도성필름(100)을 나타내는 개념도이 다.
전도성필름(100)은 광투과성 기판(110) 및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전극층(12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광투과성을 구비하고, 유리, 수정(quartz),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10)은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층(120)은 탄소나노튜브(121) 및 편석유도 물질(122)을 포함한다.
탄소나노튜브(121)는 상기 기판(110)상에 편석되도록 배치된다. 탄소나노튜브(121)는 단층벽(single wall), 이중층벽(double wall) 및 다층벽(multi wall) 나노튜브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층벽 나노튜브는 얇은 다층벽(thin multiwall) 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편석유도 물질(122)은 탄소나노튜브(121)를 편석시키도록 형성된다. 편석유도 물질(122)은 탄소나노튜브(121)를 부분적으로 편석시켜 전도성 망상 구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편석유도 물질(122)은 전극층(120)에서 탄소나노튜브(121)와 혼재된다.
편석된 탄소나노튜브(121)는 편석유도 물질에 의해 도전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를 통하여, 보다 적은 양의 탄소나노튜브(121)를 이용하여 전기전도도가 향상되고, 표면을 따라서 균일한 전기전도성을 구비하는 전도성필름이 구현된다.
편석유도 물질(122)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을 포함한다
전도성 고분자 물질은 페돗(PEDOT,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폴리피롤(Polypyrrole)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온성 액상 물질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1:100 내지 100:1 중 적어도 하나의 부피비를 형성한다. 이온성 액상 물질은 1-butyl-3-methyl imidazolium, 1-hexyl-3-methyl imidazolium 및 1-methyl-3-methyl imidazolium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1의 전도성필름(100)을 구현할 수 있는 전도성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에 의하여 이온성 망상 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은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S10)하고 탄소나노튜브를 전처리(S20)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단계(S10)는 기판이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 되도록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기판이 친수성이 되도록 기판을 피라나(piranha) 세척한다.
이하, 상기 처리 단계(S1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약 1.5 x 1.5 cm2의 크기로 자른 유리기판을 황산(H2SO4)과 과산화수소(H2O2)을 7:3으로 혼합한 용액에 담그고 약 30분 정도 세척한다. 다음은 유리기판을 물로 다시 세척해준다. 마지막으로 유리기판을 약 70℃의 오븐에 건조시킨다. 이를 통하여 유리기판은 친수성이 될 수 있다.
전처리 단계(S20)는 초음파에 의한 절단 및 산과 화학반응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전처리한다. 초음파에 의한 절단 및 산과 화학반응 중 적어도 하나는 용매, 전도성 고분자 물질 및 이온성 액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 행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초음파 처리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1mg/1ml의 부피비로 약 400mg의 탄소나노튜브를 약 400ml의 디메틸 포름아마이드(DMF) 용액에 분산시킨다.
상기 분산액에 초음파기기로 초음파를 가해준다. 초음파기기는 뿔형 초음파기기이고, 출력은 약 330W가 될 수 있다. 절단된 탄소나노튜브는 약 8000rpm의 속도로 약 20분간 원심분리를 한다. 마지막으로, 분산액을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구체적으로, 유기용매 동결건조기에서 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증발시켜서 탄소나노튜브를 회수한다. 상기와 같이, 길이가 짧게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는 보다 향상된 분산성을 구비한다.
탄소나노튜브의 산과 화학반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약 400mg의 탄소나노튜브를 황산(H2SO4)과 질산(H2O2)을 3:1의 비율로 혼합된 용액에 담근다. 약 1시간 산처리를 거친 탄소나노튜브를 물로 중화시킨다.
중화가 된 용액을 인공 불소 중합체(PTFE, polytetrafluoroethylene) 멤브레인에 필터링 시킨 후 PH7까지 다시 중화시킨다. 멤브레인 필터 페이퍼 위에 남은 탄소나노튜브를 수거하여 동결건조기에 건조시킨다
산처리를 거친 탄소나노튜브들은 말단과 옆면의 적어도 일부에 -COOH의 화학적 작용기를 가지게 된다. 상기 화학적 작용기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는 친수성이 될 수 있다.
다음은,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키고(S100), 용매에 탄소나노튜브의 편석을 유도하는 편석유도 물질을 혼합한다(S200).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엔-메틸피롤리돈(NMP, N-methyl-2-pyrrolidone), 에틸알콜, 물 및 클로로벤젠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편석유도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의 혼합 부피비는 1:100 내지 100:1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 물질은 페돗(PEDOT,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폴리피롤(Polypyrrole)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 중 적어도 하나가 되고, 이온성 액상 물질은 1-butyl-3-methyl imidazolium, 1-hexyl-3-methyl imidazolium 및 1-methyl-3-methyl imidazolium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분산 단계(S100)는, 예를 들어 전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각각 3mg 정량하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넣고 수조형 초음파기기 등에서 3시간이상 분산시킨다.
혼합 단계(S200)는, 예를 들어 상기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용매에 페돗 약 3 ml을 혼합하고, 1-hexyl-3-methyl imidazolium을 첨가한 후 초음파기기에서 약 30분간 분산시킨다.
상기 분산 단계(S100) 및 혼합 단계(S200)는 시간적 순차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 단계(S100) 및 혼합 단계(S200)는 탄소나노튜브 및 편석유도 물질을 먼저 혼합하고, 이를 용매에 분산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편석유도 물질이 혼합된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기판상에 코팅하여 전극층을 형성한다(S300).
편석유도 물질에 의하여 탄소나노튜브는 기판의 표면에 편석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는 편석된 가닥들이 서로 연결되는 네트워트 형태를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랜덤하게 배치되었던 탄소나노튜브(121)는 편석유도 물질(122)에 의하여 편석되어 망상 구조를 형성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코팅은, 예를 들어 스핀코팅, 전기화학 증착, 전기영동 침전(electro deposition),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담금 코팅 (dip-coating), 진공 여과(vacuum filtration), 에어브뤄싱(airbrushing) 및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형성 단계(S300)는 예를 들어, 유리기판 위에 편석유도 물질이 혼합된 분산액을 정량으로 떨어뜨린 후 약 1500 rpm의 속도로 약 40초 동안 스핀코팅한다. 스틴코팅의 반복에 의하여 전도성필름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은 분산 단계(A100), 유도 단계(A200) 및 코팅 단계(A300)을 포함한다.
분산 단계(A100)는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키고, 유도 단계(A200)는 편석유도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편석을 유도한다. 용매의 이온성 전도도를 향상시키고, 탄소나노튜브의 편석을 유도하도록 용매에 편석유도 물질이 혼합된다.
편석유도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을 포함한다. 편석 유도 물질은 이온성 액상 물질에 의하여 용매의 이온성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액상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1:100 내지 100:1 중 적어도 하나의 부피비를 형성할 수 있다.
코팅 단계(A300)는 탄소나노튜브 및 편석유도 물질을 기판상에 코팅한다. 코팅 단계(A300)는, 예를 들어 편석유도 물질이 혼합된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기판상에 코팅한다. 이온성 액상 물질에 의하여 기판상에는 탄소나노튜브 및 편석유도 물질이 이온성 망상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도 1의 전도성필름(100)의 표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전도성필름의 면저항 및 투명도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5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이용하여 촬영한 전도성필름의 표면을 나타낸다. 전도성필름의 표면에는 탄소나노튜브, 전도성 고분자 물질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이 혼재되어 망상 구조가 형성된다.
도 6a는 4단자 저항측정기로 면저항(Surface resistance)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6b는 UV로 투명도(Transmittance)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SWNT/PEDOT/Ionic liquid는 단층 탄소나노튜브(single wall nanotube; SWNT), 페돗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을 혼합한 분산액을 이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혼합 분산액의 코팅 횟수가 10회에서, 면저항은 약 1500 ohm/square가 되고, 투명도는 약 83 % 정도가 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은 코팅 횟수로도 낮은 면저항 및 높은 투명도를 구비하는 전도성필름이 구현 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한 전도성필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도 2의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에 의하여 이온성 망상 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한 도 1의 전도성필름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전도성필름의 면저항 및 투명도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

Claims (14)

  1.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용매에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편석을 유도하는 편석유도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편석유도 물질이 혼합된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기판상에 코팅하여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편석유도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의 혼합물이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 물질은 페돗(PEDOT,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폴리피롤(Polypyrrole)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이온성 액상 물질은 1-butyl-3-methyl imidazolium, 1-hexyl-3-methyl imidazolium 및 1-methyl-3-methyl imidazolium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초음파에 의한 절단 및 산과 화학반응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엔-메틸피롤리돈(NMP, N-methyl-2-pyrrolidone), 물, 에틸알콜 및 클로로벤젠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석유도 물질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이 1:100 내지 100:1 중 적어도 하나의 부피비로 혼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 되도록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스핀코팅, 전기화학 증착, 전기영동 침전(electro deposition),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담금 코팅 (dip-coating), 진공 여과(vacuum filtration), 에어브뤄싱(airbrushing) 및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10. 광투과성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기판상에 편석되도록 배치되는 탄소나노튜브;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혼재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편석시키는 편석유도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편석유도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 및 이온성 액상 물질의 혼합물이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 물질은 페돗(PEDOT,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폴리피롤(Polypyrrole)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이온성 액상 물질은 1-butyl-3-methyl imidazolium, 1-hexyl-3-methyl imidazolium 및 1-methyl-3-methyl imidazolium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층벽(single wall), 이중층벽(double wall) 및 다층벽(multi wall) 나노튜브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필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석유도 물질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상기 이온성 액상 물질은 1:100 내지 100:1 중 적어도 하나의 부피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필름.
  13. 기판이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 되도록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편석유도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편석을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및 편석유도 물질을 상기 기판상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석유도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 및
    상기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1:100 내지 100:1 중 적어도 하나의 부피비를 형성하는 이온성 액상 물질을 포함하는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KR1020090032910A 2009-04-15 2009-04-15 편석을 이용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 KR10109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910A KR101093550B1 (ko) 2009-04-15 2009-04-15 편석을 이용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910A KR101093550B1 (ko) 2009-04-15 2009-04-15 편석을 이용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97A KR20100114397A (ko) 2010-10-25
KR101093550B1 true KR101093550B1 (ko) 2011-12-14

Family

ID=4313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910A KR101093550B1 (ko) 2009-04-15 2009-04-15 편석을 이용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5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595B1 (ko) * 2006-11-09 2008-02-05 제일모직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595B1 (ko) * 2006-11-09 2008-02-05 제일모직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97A (ko) 201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744B1 (ko) 메탈와이어를 이용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
Baker et al. Polyaniline nanofibers: broadening applications for conducting polymers
Lee et al. Carbon nanotube/cellulose papers with high performance in electric heating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Lee et al. Layer-by-layer assembly for graphene-based multilayer nanocomposites: synthesis and applications
CN101165883B (zh) 利用导电分散剂的透明碳纳米管电极及其制造方法
Prasad et al. Development of strain sensor using conductive poly (vinylidene fluoride)(PVDF) nanocomposite membrane reinforced with ionic liquid (IL) & carbon nanofiber (CNF)
Gómez et al. Carbon nanomaterials embedded in conductive polymers: A state of the art
Zhou et al. 4D printing of stretchable supercapacitors via hybrid composite materials
KR20140044895A (ko) 투명 전도성 다층 전극 및 관련된 제조 방법
CN105788754B (zh) 碳纳米管透明导电薄膜及其制备方法
Yang et al. Composite films of poly (3-hexylthiophene) graft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for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metal ions
Akhmadishina et al. Fabrication of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s based on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Wang et al. Miniaturized flexible piezoresistive pressure sensors: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 copolymers blended with graphene oxide for biomedical applications
KR20130133766A (ko) 전도성 투명 필름용 신규 조성물
Kim et al. Flexible, highly durable, and thermally stable SWCNT/polyimide transparent electrodes
JP6371769B2 (ja) 透明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Wang et al. Percolating conductive networks in multiwall carbon nanotube-filled polymeric nanocomposites: towards scalable high-conductivity applications of disordered systems
Cha et al. Fabrication of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poly (vinylidene fluoride) nanofiber-web-based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for dye-sensitized photovoltaic textiles
Kim et al. Transparent and Multi‐Foldable Nanocellulose Paper Microsupercapacitors
KR101093550B1 (ko) 편석을 이용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
Kim et al. Robust and Highly Conductive PEDOT: PSS: Ag Nanowires/Polyethyleneimine Multilayers Based on Ionic Layer-by-Layer Assembly for E-Textiles and 3D Electronics
Lee et al. A Quick and Facile Solution-Processed Method for PEDOT: PSS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Yun et al. Fabrication of conductive and transpare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films with PEDOT
KR101006456B1 (ko) 금속 스퍼터링을 이용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
Son et al. Stretchable and conductive Li-complexed poly (3-hexylthiophene) nanofibrils/elastomer composites for printed electronic sk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