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862B1 -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862B1
KR101092862B1 KR1020090094754A KR20090094754A KR101092862B1 KR 101092862 B1 KR101092862 B1 KR 101092862B1 KR 1020090094754 A KR1020090094754 A KR 1020090094754A KR 20090094754 A KR20090094754 A KR 20090094754A KR 101092862 B1 KR101092862 B1 KR 101092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pe
support bracket
bracke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349A (ko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이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09009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8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가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가설되도록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를 안착시키기 위한 파이프 안착부가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터 이격되게 절곡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지지 브래킷에 나사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기 지지 브래킷의 파이프 안착부에 잡아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 체결구는 상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지지 브래킷에 형성된 체결공들을 관통하여 끼워진 체결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지지 브래킷 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공에 연통되는 고정되는 체결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너트는 상기 지지 브래킷 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공에 끼워져 리벳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체결 너트를 용접 방식으로 고정하는 종래 파이프 고정 장치와 비교하여 장치의 외관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파이프 고정 장치의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파이프, 고정 장치, 지지 브래킷, 고정 브래킷, 나사 체결구, 리벳 너트

Description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EVICE FOR FIXING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나사 체결구를 리벳 방식으로 고정시켜 제품의 외관상 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및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켜 생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파이프는 대부분 액체, 기체 등과 같이 유체를 압력차를 이용해 어떤 한 장소에서 다른 한 장소로 이송 공급할 수 있도록 배관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외부로 노출시켜 설치하는 경우 오염이나 부식 등을 피하기 위하여 바닥이나 벽면 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을 이격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파이프를 바닥면이나 벽면 등으로부터 이격시켜 고정 설치하기 위해 파이프 고정 장치가 사용된다.
종래 파이프 고정 장치(500)는, 도 16 및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부를 갖는 지지 브래킷(Bracket; 510)를 배관하고자 하는 바닥 또는 벽면에 고정 설치하고, 이 지지 브래킷(510)의 상측에 U자형의 고정 브래킷(520)을 나사 체결구(530)를 이용해 나사 체결하여 지지 브래킷(510)의 굴곡부에 안착된 파이프를 잡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파이프 고정 장치(500)는 파이프를 잡아 고정하도록 조이는 나사 체결구(530)중 체결 볼트(531)가 고정 브래킷(520) 제1 체결공(521) 및 지지 브래킷(510)의 제2 체결공(511)을 관통한 후 체결되는 체결 너트(532)가 지지 브래킷(510)에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어 제작되었다.
따라서, 파이프 고정 장치(500)의 지지 브래킷(51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절삭 공정을 통해 기설정된 크기로 금속판을 절단한 후, 천공 과정을 통해 절삭된 금속판에 체결공(511)을 천공하고, 굽힘 공정을 통해 체결공(511)이 형성된 금속판을 굽혀 지지 브래킷(510) 형상을 갖도록 하며, 용접 공정을 통해 체결 너트(532)를 체결공(511)이 형성된 지지 브래킷(510)의 하부면에 위치시킨 후 용접기를 이용해 용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체결 너트(532)의 용접 과정에서, 체결 너트(532)가 고정 위치를 이탈하거나 또는 체결 너트(532) 구멍이 체결공(511)과 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532)를 지지 브래킷(510)에 용접하는 동안 체결공(511)과 체결 너트(532) 구멍이 연통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용접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저하시켜 결국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용접 공정을 통해 체결 너트(532)를 지지 브래킷(510)에 고정시키는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체결 너트(532)에 대한 용접 부착 강도가 상이하여 일정한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용접 부위에서 열변형 및 강도 저하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용접을 통해 체결 너트(532)를 지지 브래킷(510)에 고정시키는 경우 불균일하게 돌출되는 용접비드(535)가 발생하게 되어 제품의 외관상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 체결구를 리벳 방식으로 고정시켜 장치의 외관상 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및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켜 생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이프 고정 장치는, 파이프가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가설되도록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를 안착시키기 위한 파이프 안착부가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터 이격되게 절곡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지지 브래킷에 나사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기 지지 브래킷의 파이프 안착부에 잡아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 체결구는 상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지지 브래킷에 형성된 체결공들을 관통하여 끼워진 체결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지지 브래킷 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공에 연통되는 고정되는 체결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너트는 상기 지지 브래킷 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공에 끼워져 리벳팅되어 고정되는 제1 리벳 너트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브래킷은 중심부에 상기 파이프 안착부가 반원형으로 하향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안착부 양측에 제1 체결공이 형성된 제1 수평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양측 수평 연장부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며 제1 수직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 연장부 하단부에서 수평 절곡되며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공이 형성된 제2 수평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파이프 안착부에 대응되는 파이프 고정부가 중심부에 반원형으로 상향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 양측에 상기 제1 체결공에 대응되게 제2 체결공이 형성된 제3 수평 연장부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벳 너트가 상기 지지 브래킷의 제1 체결공에 끼워져 리벳팅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제2 체결공은 상기 제3 수평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공은 상기 제2 수평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브래킷은 중심부에 상기 파이프 안착부가 반원형으로 하향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안착부의 양측에 제3 체결공이 형성된 제4 수평 연장부의 일측을 관통하며 높이 조절 너트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파이프 안착부에 대응되게 파이프 고정부가 중심부에서 반원형으로 상향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의 양측에 상기 제3 체결공과 대응되게 제4 체결공이 형성된 제5 수평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 브래킷의 양측 제4 연장부에서 각각 상기 높이 조절 너트를 관통하는 높이 조절 볼트가 피치당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다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벳 너트가 상기 제3 체결공에 끼워져 리벳팅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제4 체결공은 상기 제5 수직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다리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 연장부; 상기 제2 수직 연장부의 상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내향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 볼트가 체결되도록 제2 리벳 너트가 리벳팅되어 고정되도록 제5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6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제2 수직 연장부의 하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외향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공이 형성된 제7 수평 연장부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공은 상기 제7수평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래킷의 파이프 안착부 및 상기 고정 브래킷의 파이프 고정부는, 적어도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하는 내주면을 감싸며 고정되는 고무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파이프 고정 장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지 브래킷 및 고정 브래킷의 펼침 형상으로 금속 판재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상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용 판재에 상기 체결공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용 판재를 각각 상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 형상으로 절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지 브래킷 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공에 연통되게 상기 나사 체결구의 상기 체결 너트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너트 고정 단계에서, 상기 지지 브래킷 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공에 제1 리벳 너트를 끼워 리벳팅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리벳 너트는 너트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리벳 절곡부를 상기 지지 브래킷의 체결공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워 리벳시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체결 볼트를 이용해 파이프를 지지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 사이에 잡아 고정하기 위한 체결 너트를 리벳 방식으로 압착 고정시킴으로써, 종래 체결 너트를 용접 방식으로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와 비교하여 장치의 외관상 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파이프 고정 장치(100)는 지지 브래킷(110), 고정 브래킷(120), 나사 체결구(130) 및 고무 패킹(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브래킷(110)은 파이프 안착부(111), 제1 수평 연장부(112), 제1 수직 연장부(113), 및 제2 수평 연장부(114)을 갖도록 절곡 형성된다.
파이프 안착부(111)는 파이프(1)가 올려 안착되도록 파이프(1)의 반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고 반원형으로 하향 굴곡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파이프 안착부(111)의 반경은 고정하고자 하는 파이프(1)의 외부 반경(외경)과 같거나, 또는 후술하는 고무 패킹(150)의 두께 만큼의 여유를 더 가지 고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평 연장부(112)는 파이프 안착부(11)의 양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대략 중심부에 고정 브래킷(120)을 나사 체결구(130)를 이용해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공(115)이 형성된다.
제1 수직 연장부(113)는 양측의 제1 수평 연장부(112)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수직 하방으로 기설정된 높이 만큼 연장 형성되어, 파이프(1)가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가설되도록 한다.
제2 수평 연장부(114)는 제1 수직 연장부(113)의 하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외향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대략 중심부에는 지지 브래킷(110)을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공(116)이 형성된다.
고정 브래킷(120)은 파이프 고정부(121) 및 제3 수평 연장부(122)로 이루어진다.
파이프 고정부(120)는 지지 브래킷(110)의 파이프 안착부(111)에 대응되게 반원형으로 상향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3 수평 연장부(122)는 파이프 고정부(121)의 양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대략 중심부에 제1 체결공(115)에 대응되게 제2 체결공(123)이 형성된다.
따라서, 파이프(1)는 지지 브래킷(110)의 제1 체결공(115) 및 고정 브래킷(120)의 제2 체결공(123)을 관통하며 체결되는 나사 체결구(130)에 의해, 지지 브래킷(110)과 그 상측에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120) 사이에 잡혀 고정된다.
그리고, 나사 체결구(130)는 지지 브래킷(110)의 제1 체결공(115)과 고정 브래킷(120)의 제2 체결공(123)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제1 체결 볼트(131)와, 체결 볼트(131)를 체결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 너트(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도 3의 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체결 너트(132)는 지지 브래킷(110) 및 고정 브래킷(120)에 형성된 제1 및 제2 체결공들(115, 123)을 관통하여 끼워진 제1 체결 볼트(131)가 체결되도록, 제1 체결공(115) 또는 제2 체결공(123)에 너트 헤드부(132a)로부터 연장되는 끼워진 상태로 리벳 절곡부(132b)를 가압하여 리벳 고정되는 제1 리벳 너트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리벳 너트(132)가 지지 브래킷(110)의 제1 체결공(115)에 끼워진 상태로 리벳 고정되어, 지지 브래킷(110)의 제1 체결공(115)과 고정 브래킷(120)의 제2 체결공(123)을 관통하는 제1 체결 볼트(131)의 단부가 제1 리벳 너트(132)에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리벳 너트(132)가 고정 브래킷(120)의 제2 체결공(123)에 끼워져 리벳 고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고정 브래킷(120)의 제2 체결공(123)은 제3 수평 연장부(1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을 이루어져, 지지 브래킷(110) 상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120)의 고정 위치를 지지 브래킷(120)의 길이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여유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무 패킹(150)은 파이프(1)가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 브래킷(110)의 파이프 안착부(111)와 고정 브래킷(120)의 파이프 고정부(121)에는 파이프(1)의 외주면과 접하는 내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고무 패킹(150)은 지지 브래킷(110)의 파이프 안착부(111)와 고정 브래킷(120)의 파이프 고정부(121) 사이에 파이프(1)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파이프(1)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지지 브래킷(110)를 통해 벽면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지지 브래킷의 제조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고정 브래킷(120)의 제조 과정에 대한 설명을 대신한다.
도 5는 도 1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지지 브래킷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제조 과정은 재단 단계(ST1), 천공 단계(ST2), 절곡 단계(ST3), 및 체결구 고정 단계(ST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재단 단계(ST1)에서는 상기 지지 브래킷(110) 및 고정 브래킷(120)의 펼쳐진 형상으로 기설정 두께의 금속 판재를 재단한다.
천공 단계(ST2)에서는 재단된 지지 브래킷(110) 및 고정 브래킷(120)용 판재에 체결공(115) 및 고정공(116)을 천공한다.
절곡 단계(ST3)에서는 지지 브래킷(110) 및 고정 브래킷(120)용 판재를 각각 상기한 지지 브래킷(110) 및 상기 고정 브래킷(120)의 형상을 갖도록 절곡시킨다.
그리고, 체결구 고정 단계(ST4)에서는 지지 브래킷(110)의 제1 체결공(또는, 고정 브래킷(120)의 제2 체결공(123))에 연통되게 나사 체결구(130)의 체결 너트(132)를 고정킨다.
특히, 체결구 고정 단계(ST4)에서는 지지 브래킷(110)의 제1 체결공(115, 123)에 제1 리벳 너트(132)가 끼워진 상태로 리벳 고정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리벳 너트(132)는 너트 헤드부(132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리벳 절곡부(132b)를 지지 브래킷(110)의 제1 체결공(115)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워 상태에서 가압하여 리벳 절곡부(132b)를 변형시켜 걸림턱을 형성해 리벳 고정되도록 한다.
이처럼, 체결 너트(131)를 제1 리벳 너트를 이용해 지지 브래킷(110)의 제1 체결공(115)에 끼워 리벳 방식으로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용접 방식을 통해 체결 너트를 고정하는 방식과 비교해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결국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용접 방식을 통해 체결 너트를 고정시 발생하는 용접 비드를 제거하여 외관상 품질 즉,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용접 시 발생하는 열변형 및 강도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유사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파이프 고정 장치(200)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파이프 고정 장치와 비교하여, 지지 브래킷(210)에 연장되게 고정되는 양측 고정 다리(240)가 높이 조절 볼트(251)에 의해 피치당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파이프 고정 장치(200)는 지지 브래킷(210), 고정 브래킷(20), 고정 다리(240), 나사 체결구(230, 250) 및 고무 패킹(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 브래킷(210)은 파이프 안착부(211) 및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연장부는 다시 제4 수평 연장부(212)와 제3 수직 연장부(213)로 이루어진다.
연장부는 파이프 안착부(211)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한 고정 브래킷(220) 및 고정 다리(24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제4 수평 연장부(212)는 파이프 안착부(211)의 양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3 수직 연장부(213)는 수평 연장부(212)의 단부에서 높이 방향(Z축 방향) 하측으로 절곡되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특히, 제4 수평 연장부(212)에는 고정 브래킷(220)를 체결하기 위한 제3 체결공(214)과, 고정 다리(240)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제6 체결공(215)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도 9의 도 8의 Ⅸ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수평 연장부(212)의 제3 체결공(214)에는 고정 브래킷(220)를 지지 브래킷(210) 상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체결구(230)의 체결 볼트(231)를 이용해 체결하기 위한 체결 너트(232)가 끼워져 고정된다.
물론, 체결 너트(2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리벳 너트를 이용해 후술하는 고정 브래킷(220)의 제4 체결공(223)에 끼워져 리벳 고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4 수평 연장부(212)의 제6 체결공(215)에는 높이 조절 너트(252)가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 너트(252)는 일단부에 걸림 헤드가 형성된 중공 원통 형상의 부싱(252a)의 타일단부를 제6 체결공(215)에 통과시킨 후, 제2 체결공(215)을 통과한 부싱(252a)의 타일단부를 너트(252b)에 압입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다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 브래킷(220)는 파이프 고정부(221), 및 제5 수평 연장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이프 고정부(221)는 지지 브래킷(210)의 파이프 안착부(211)에 안착된 파이프(1) 상부를 감싸 고정하도록 중심부에서 상기한 파이프 안착부(211)에 대응되게 반원형으로 하향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5 수평 연장부(222)는 파이프 고정부(221)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고정 브래킷(220)이 지지 브래킷(210)의 상측에 올려져 제2 나사 체결구(230) 의 체결 볼트(23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5 수평 연장부(222)는 지지 브래킷(210)의 제3 체결공(214)에 대응하는 제4 체결공(223)이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의 지지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 사이에 파이프가 고정 및 해지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체결 볼트(231)가 고정 브래킷(220)는 제4 체결공(223) 및 지지 브래킷(210)의 제3 체결공(214)을 관통한 후, 제3 체결공(214)에 끼워져 리벳 고정되는 제1 리벳 너트(232)에 체결되어, 지지 브래킷(210) 상측에 고정 브래킷(220)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파이프(1)는 상기한 고정 다리(240)에 의해 바닥 또는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지지 브래킷(210)의 파이프 안착부(211)에 올려져 안착된 후, 지지 브래킷(210) 상측에서 제2 체결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220)의 파이프 고정부(221)로 감싸 고정된다.
다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 다리(240)는 제2 수직 연장부(241), 제6 수평 연장부(242), 및 제7 수평 연장부(2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수직 연장부(241)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6 수평 연장부(242)와 제7 수평 연장부(243)는 제2 수직 연장부(241)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된다.
제6 수평 연장부(242)는 제2 수직 연장부(241)의 상측 단부에서 양측 고정 다리(240)가 서로 마주하는 내측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절곡되며, 상기 지 지 브래킷(210)의 제4 수평 연장부(212)에 형성되는 제6 체결공(215)에 대응하는 제5 체결공(244)이 형성된다.
도 11은 도 8의 ⅩⅠ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6 수평 연장부(242)의 제 5 체결공(244)에는 높이 조절 볼트(251)가 체결되는 제1 체결 너트(253) 즉, 제2 리벳 너트가 전술한 제1 리벳 너트(232)와 마찬가지로 리벳 고정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의 고정 다리 높이 조절 과정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 브래킷(210)에 고정 다리(240)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지 브래킷(210)의 제6 체결공(215)과 고정 다리(240)의 제5 체결공(244)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위치시킨 후, 높이 조절 볼트(251)를 높이 조절 너트(252) 및 제2 리벳 너트(253)에 통과해 체결되도록 한다.
높이 조절 볼트(251) 의해 지지 브래킷(210)에 체결된 고정 다리(240)는 높이 조절 너트(251)를 회전시켜 높이 조절 너트(252)와 함께 높이 조절 볼트(251)가 회전하면서 제2 리벳 너트(253)가 높이 조절 볼트(251)의 나사산을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수직 이송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정 다리(240)는 높이 조절 볼트(251)에 형성된 나사산의 피치당 이송 거리 만큼씩 높이거나 줄일 수 있어 파이프(1)를 배관하기 위한 천정, 바닥면 또는 벽면의 평활도에 따라 좀더 정밀하게 수평을 유지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 다리(240)의 제7 수평 연장부(243)는 제2 수직 연장부(241)의 하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고, 파이프(1)를 배관하기 위한 천정, 바닥면 또는 벽면에 제2 고정 볼트(260)를 이용해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공(245)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고정공(245)은 제 7 수평 연장부(243)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공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고정 볼트(260)를 이용해 양측 고정 다리(240)를 천정, 바닥면 또는 벽면에 고정시킨 후, 고정 다리(240)와 지지 브래킷(210)을 체결시 양측 고정 다리(2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여유를 갖도록 한다.
또한, 지지 브래킷(210)의 파이프 안착부(211) 및 고정 브래킷(220)의 파이프 고정부(22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1)의 외주면과 접하는 내주면을 감싸며 고정되는 고무 패킹(250)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를 이용해 양측이 높이 차를 갖는 바닥면 상에 파이프가 배관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이프 고정 장치(1)를 이용해 양측 고정 다리(240)가 각각 고정되는 바닥면이 서로 높이 차를 가지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너트(251)를 회전시켜 고정 다리(2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파이프(1)가 올려져 안착 고정되는 지지 브래킷(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 고정 장치(200)은 제조 과정에서 지지 브래 킷(210)의 제3 체결공(214)과, 고정 다리(244)의 제5 체결공에 고정되는 체결 너트들을 각각 제1 리벳 너트(232)와 제2 리벳 너트(253)를 이용해 리벳 방식으로 끼워 고정함으로써, 종래 용접 방식을 통해 체결 너트를 고정하는 방식과 비교해 체결 너트를 고정시 발생하는 용접 비드를 제거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용접시 발생하는 열변형 및 강도 저하 등이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결국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지지 브래킷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9의 도 8의 Ⅸ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의 지지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 사이에 파이프가 고정 및 해지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ⅩⅠ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의 고정 다리 높이 조절 과정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를 이용해 양측이 높 이 차를 갖는 바닥면 상에 파이프가 배관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6는 종래 파이프 고정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ⅩⅦ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 파이프 100: 파이프 고정 장치
110: 지지 브래킷 120: 고정 브래킷
130: 나사 체결구 131: 체결 볼트
132: 체결 너트(리벳 너트) 140: 고무 패킹
200: 파이프 고정 장치 210: 지지 브래킷
220: 고정ㅇ 브래킷 230, 250: 나사 체결구
231: 체결 볼트 232:체결 너트(리벳 너트)
240: 고정 다리 250: 고무 패킹
251: 높이 조절 볼트 252: 높이 조절 너트
253: 체결 너트(제2 리벳 너트)

Claims (10)

  1. 파이프가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가설되도록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를 안착시키기 위한 파이프 안착부가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터 이격되게 절곡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지지 브래킷에 나사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기 지지 브래킷의 파이프 안착부에 잡아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 체결구는,
    상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지지 브래킷에 형성된 체결공들을 관통하여 끼워진 체결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지지 브래킷 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공에 연통되는 고정되는 체결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너트는,
    상기 지지 브래킷 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공에 끼워져 리벳팅되어 고정되는 제1 리벳 너트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브래킷은,
    중심부에 상기 파이프 안착부가 반원형으로 하향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안착부의 양측에 제3 체결공이 형성된 제4 수평 연장부의 일측을 관통하며 높이 조절 너트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파이프 안착부에 대응되게 파이프 고정부가 중심부에서 반원형으로 상향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의 양측에 상기 제3 체결공과 대응되게 제4 체결공이 형성된 제5 수평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 브래킷의 양측 제4 수평 연장부에서 각각 상기 높이 조절 너트를 관통하는 높이 조절 볼트가 피치당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다리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1 리벳 너트가 상기 제3 체결공에 끼워져 리벳팅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제4 체결공은 상기 제3 수평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고정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고정 다리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 연장부;
    상기 제2 수직 연장부의 상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내향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 볼트가 체결되도록 제2 리벳 너트가 리벳팅되어 고정되도록 제5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6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제2 수직 연장부의 하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외향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공이 형성된 제7 수평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는 파이프 고정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2 고정공은 상기 제7수평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고정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지지 브래킷의 파이프 안착부 및 상기 고정 브래킷의 파이프 고정부는,
    적어도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하는 내주면을 감싸며 고정되는 고무 패킹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
  9. 제1항의 파이프 고정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파이프 고정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래킷 및 고정 브래킷의 펼침 형상으로 금속 판재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상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용 판재에 상기 체결공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용 판재를 각각 상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 형상으로 절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지 브래킷 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공에 연통되게 상기 나사 체결구의 상기 체결 너트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너트 고정 단계에서,
    상기 지지 브래킷 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공에 제1 리벳 너트를 끼워 리벳팅시켜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 제조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리벳 너트는,
    너트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리벳 절곡부를 상기 지지 브래킷의 체결공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워 리벳팅시켜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 제조 방법.
KR1020090094754A 2009-10-06 2009-10-06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754A KR101092862B1 (ko) 2009-10-06 2009-10-06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754A KR101092862B1 (ko) 2009-10-06 2009-10-06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349A KR20110037349A (ko) 2011-04-13
KR101092862B1 true KR101092862B1 (ko) 2011-12-14

Family

ID=4404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754A KR101092862B1 (ko) 2009-10-06 2009-10-06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952B1 (ko) * 2012-06-27 2014-06-10 이재윤 도시가스 배관용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124B1 (ko) * 2014-12-03 2016-09-26 이영호 덕트 고정 장치
CN108202308A (zh) * 2016-12-19 2018-06-26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一种三维可调圆形波导管支架结构
CN107269935A (zh) * 2017-06-02 2017-10-20 安徽奥睿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管道穿墙支撑机构
CN109869530A (zh) * 2017-12-01 2019-06-11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烘丝机筒内蒸汽管道稳固架装置
CN109237129B (zh) * 2018-11-16 2024-01-12 芜湖新兴新材料产业园有限公司 球墨铸铁管廊支撑装置
EP4242472A1 (en) * 2022-03-07 2023-09-13 ALSTOM Holdings Nut,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 for fastening a lo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952B1 (ko) * 2012-06-27 2014-06-10 이재윤 도시가스 배관용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349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862B1 (ko) 파이프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903524B2 (en) Hanger system
KR101622663B1 (ko) 파이프 용접용 회전 균형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용접방법
US7588222B1 (en) Mounting bracket assembly
US7967272B2 (en) Industrial hangers for fram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20029180A (ko) 파이프 고정 장치
CN100443746C (zh) 快速紧固螺帽
US5667328A (en) Attachment member
KR20140006148U (ko) 파이프 고정용 지그장치
KR101592160B1 (ko) 너트의 무산 감지 장치
JP6437760B2 (ja) 建築用受具
US20130056590A1 (en) Extrusion tap top beam clamp
CN104564938A (zh) 折叠梁夹具
JP6105958B2 (ja) 組立式吊りバンド及び立てバンド
KR101067665B1 (ko) 파이프 고정 장치
KR200415828Y1 (ko) 수전용 클램프 구조
KR101399375B1 (ko) 수직조절브라켓이 구비되는 스페이스 프레임
KR100785213B1 (ko) 입상배관 지지장치
JP5476026B2 (ja) 吊り金具
KR100766228B1 (ko) 케이블 소켓지지방식 긴장장치 및 그에 따른 케이블긴장방법
KR20140006149U (ko) 파이프 고정용 지그장치
JP2008274571A (ja) 折版屋根材の固定金具
KR20130001728U (ko)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
KR100532718B1 (ko) 배관고정구
JP2020139534A (ja) 配管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