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36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 to talk service on group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 to talk service on group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366B1
KR101092366B1 KR1020090018843A KR20090018843A KR101092366B1 KR 101092366 B1 KR101092366 B1 KR 101092366B1 KR 1020090018843 A KR1020090018843 A KR 1020090018843A KR 20090018843 A KR20090018843 A KR 20090018843A KR 101092366 B1 KR101092366 B1 KR 10109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talk
client terminal
side client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2779A (en
Inventor
김형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6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7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3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3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 H04M3/566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relating to a participants right to spea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TT(Push To Talk) 방식을 이용한 그룹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로 구성된 인프라 환경에서 PTT 단말을 사용하여 작업자간의 의사 소통을 진행하면서 발언자가 자신의 발언 내용의 수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발언 청취자는 발언자로부터 보다 정확한 발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룹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PTT 버튼을 누르고 발언을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발언 내용이 상대방에게 어느 정도의 수신 상태로 전달되는지를 확인하면서 발언을 진행할 수 있으며, 발언 내용 청취자는 열악한 환경에서 음성 신호에 의한 불분명한 의사전달 청취를 보완하기 위해서 단말에 표시되는 중요 판단 문자를 함께 보고 판단함으로써 보다 더 안전한 의사 전달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p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a push-to-talk (PTT) method, while communicating between workers using a PTT terminal in an infrastructure configured as a network, a speaker can check a reception state of his or her contents. In this regard, the speech listener is directed to a group communication technique that enables the speaker to grasp more accurate statements from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who presses the PTT button and speaks can proceed to speak while checking how much the contents of his speech are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and the listeners of the speech contents are unclear by the voice signal in a poor environment. In order to complement one communication hearing, by viewing and determining important judgment characters displayed on the terminal together, more secure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reby increasing user safety.

Description

그룹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USH TO TALK SERVICE ON GROUP COMMUNICATION}METHOD AND APPARATUS FOR PUSH TO TALK SERVICE ON GROUP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다자간 통화를 제공하는 푸시 투 토크(Push To Talk) 기반의 그룹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푸시 투 토크 서비스 방식을 사용하여 발언자의 음성을 청취자들에게 보다 명확하게 의사 전달할 수 있고 발언자가 자신의 발언이 청취자에게 수신되는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적합한 그룹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ush-to-talk-based group communication for providing a multi-party call.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clearly communicate a speaker's voice to listeners using a push-to-talk service method in a network environment. And a speaker suitable for monitoring a state in which his or her speech is received by a listener.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2008-S-038-01, IT 기반 선박용 토탈 솔루션 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a study conducted as part of the IT growth engin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ICT. [2008-S-038-01, Development of IT-based Total Solution for Ship]

푸시 투 토크(Push To Talk, 이하 PTT라 함)는, 워키토키형(walkie-talkie type) 무전기에서 사용되는 통화 방식으로, 사용자가 무전기, TRS(Trunked Radio System) 또는 PoC(Push-to-talk over Cellular) 단말기에서 신속하게 상대방에게 전달할 사항이 있을 때 PTT 버튼을 누르고 말을 하고 PTT 버튼을 떼고 상대방의 말 하는 것을 들을 수 있도록 한 방식이다. 이러한 PTT 서비스 방식은 1:1 또는 1:N 간 별다른 접속 절차 없이 PTT 버튼을 누르는 즉시 간단한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한다.Push To Tal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TT) is a call method used in walkie-talkie type walkie-talkie type radios. over Cellular) When a terminal needs to deliver something quickly to the other party, the user presses the PTT button, speaks, releases the PTT button, and listens to the other party. This PTT service method enables simple communication immediately after pressing the PTT button without any connection procedure between 1: 1 or 1: N.

PTT 서비스는 그룹에 속한 사용자 중 발언권, 즉 음성 데이터 송신 기회를 획득한 사용자만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단방향 서비스이다. 즉, 그룹 참가자 중 임의의 사용자가 발언권을 얻기 위해 그룹 통신 서버에 발언권을 요청하면, 상기 서버는 발언권을 요청한 사용자에게 발언권을 부여하고, 발언권을 획득한 사용자는 발언을 진행한다. 그리고,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은 그룹 통신 서버를 통해 그룹에 소속되어 발언을 청취할 수 있는 단말들에게만 발언 내용을 전달한다.The PTT service is a one-way service in which only users who have a voice, that is, a voice data transmission opportunity among the users belonging to the group, may transmit voice data. That is, when any user of the group participant requests a talk right to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to obtain a talk right, the server grants a talk right to the user who requested the talk right, and the user who has obtained the talk right proceeds. The terminal that has obtained the speaking right transmits the contents of the speech only to the terminals belonging to the group and listening to the speaking through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현재의 PTT 서비스는, 여러 작업자가 공동으로 작업하는 그룹 통신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PTT 서비스에서는 발언한 내용을 상대방에게 전달만 할 뿐, 전달된 상태 또는 결과에 관해서는 알지 못하므로 상대방이 말해주기 전까지는 발언 내용이 그룹에 속한 구성원들에게 잘 전달되고 있는지는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The current PTT service is widely used for group communication where several workers work together, but the PTT service only delivers what is said to the other party, and does not know the status or result of the delivery. Until now, there is no way to ensure that the remarks are well communicated to the members of the group.

또한, 열악한 현장, 예를 들면 공사 현장, 선박 등에서 PTT 서비스를 이용하여 작업할 때는 주변의 소음 등에 의해 발언자의 음성이 청취자에게 정확히 전달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작업을 진행할 때 의사 전달이 명확히 되지 않는 경우 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working with a PTT service on a poor site, such as a construction site or a ship, a situation in which the speaker's voice cannot be accurately delivered to the listener due to ambient noise, etc., causes communication to be clarified during the work. May occur frequently.

이에 본 발명은, 발언자가 청취자에게 전달한 발언 내용의 전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발언 내용 중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되는 단어들을 그룹 통신 서버에서 음성 인식을 통하여 음성과 함께 문자로 함께 전송함으로써, 발언자와 청취자 사이의 보다 명확한 의사 전달을 구현할 수 있는 그룹 통신 기술을 마련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state of delivery of the contents of the speech delivered by the speaker to the listener, and transmits the words which are important judgment grounds of the contents of the speech together with the text through voice recognition in a group communication server, thereby communicating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e aim of this group is to establish a group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enables clearer communication.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관점에 따르면,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과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 간의 푸시 투 토크 호가 연결되면,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푸시 투 토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푸시 투 토크 메시지에서 발언 음성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발언 음성 정보에서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발언 음성 정보와 키워드 정보를 발신용 푸시 투 토크 메시지로 믹싱하여 상기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발언 음성 수신율을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한 발언 음성 수신율에 대응하는 발언 음성 수신 상태 정보를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그룹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push-to-talk call between a speaker-side client terminal and a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is connected, receiving a push-to-talk message of the speaker-side client terminal, and the received push Recognizing spoken speech information in a two-talk message, extracting keyword information from the recognized spoken speech information, mixing the spoken speech inform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into a push-to-talk message for transmission, and delivering the same to a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Monitoring a speech voice reception rate of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according to a process, and a response message from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and transmitting speech voice reception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nitored speech voice reception rate to the speaker-side client terminal. Includ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Provides a group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푸시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에서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과 청취자측 클라이어트 단말 간의 발언 음성 정보 및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투 토크 메시지를 호 처리하는 그룹 통신 서버를 포함하는 그룹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terminal group for receiving the push-to-talk service through the network, and the speech voice inform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between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and the listener side client terminal in the client terminal group It provides a group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group communication server for processing a call to push message including a.

본 발명에 의하면, PTT 방식에 의한 그룹 통신 시스템에서 발언자가 자신의 발언 내용 전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청취자가 발언자의 음성 내용을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중요한 키워드 단어들과 함께 판단함으로써 작업 그룹을 구성하여 PTT 방식으로 그룹 통신하는 사용자 상호간의 보다 정확하고 명료한 의사전달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group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TT method, a speaker monitors his or her content delivery state, and a listener configures a work group by judging the voice content of the speaker with important keyword word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user by enabling more accurate and clear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s who communicate with the group by the PTT metho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통신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 네트워크(200), 그룹통신 서버(300), 클라이언트 정보 DB(40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roup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client terminal group 100, a network 200, a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and a client information DB 400.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통신 서비스, 예컨대 푸시 투 토크(Push To Talk, 이하 PTT라 함)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100/1~100/N)을 포함하며, 후술하는 네트워크(200)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PTT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 을 PTT 서비스를 위한 단말 그룹으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징짓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PTT 서비스 기능외에 CDMA 방식을 지원하는 2세대 클라이언트 단말, WCDMA 방식을 지원하는 3세대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그 이상의 이동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클라이언트 단말 환경과, 유선통신 클라이언트 단말 환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The client terminal group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100/1 to 100 / N for receiving a communication servic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 push to talk (PTT) service. It includes, and connects to the network 200 to be described later to provide a PTT service to the us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ient terminal group 100 is limited to the terminal group for the PTT service,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for the description of the exemplary embodiment and does not characterize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lient terminal group 100 may include a second generation client terminal supporting a CDMA scheme in addition to a PTT service function, a third generation client terminal supporting a WCDMA schem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lient terminal environment suppor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chnique; It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client terminal environment.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사용자가 PTT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1(100/1) 상의 PTT 버튼(도시 생략됨)을 눌러서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발신자 단말일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2(100/2)는 PTT 버튼을 누르지 않고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청취자 단말일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client terminal 1 (100/1) in the client terminal group 100, the user can deliver a voice by pressing the PTT button (not shown) on the client terminal 1 (100/1) to receive the PTT service It may be a caller terminal, the client terminal 2 (100/2) may be a listener terminal that can receive voice without pressing the PTT button.

네트워크(200)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과 그룹 통신 서버(300) 사이에서 통신 환경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유선 인프라로 구성되는 유선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인프라로 구성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The network 200 serves to support a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client terminal group 100 and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and comprise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composed of a wired infrastructure and /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mposed of a wireless infrastructure. Can be.

여기서, 유선통신 네트워크는, 예컨대 인터넷(Internet)으로서,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임의 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이 그룹 통신 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Here,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s, for example, the Internet, and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the TCP / IP protocol and its upper layers, namely,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Telnet, File Transfer Protocol (FTP), and Domain Name System (DNS). ), An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that provides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Network File Service (NFS), and Network Information Service (NIS). The client terminal of, for example, the client terminal 1 (100/1)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또한,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 오버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 등을 한다. 이러한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노드 B(Node B),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가 아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및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rves to provide a PT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le ensuring mobility of the client terminal group 100, and performs handover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functions.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and supports bo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Here, in the case of synchronous, the base station will be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the base station controller will be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in the case of asynchronous, the base station is a Node B (Node B),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is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Will be. Of cour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limited to this, but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network,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ireless fidelity (WiFi), and all future mobile communication, not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 It may include the access network of the system.

한편, 그룹 통신 서버(300)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그룹 통신 호 처리 서비스와 그룹 음성 전달, 그리고 PTT 기능을 통한 음성 전달 상태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performs a group communication call processing service, a group voice transmission, and a voice transmission state monitoring function of the PTT function of the client terminal group 100.

구체적으로, 그룹 통신 서버(300)는, PTT 서비스 방식을 사용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발언 음성을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2(100/2))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detail,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uses the PTT service method to listen to the voice of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eg, client terminal 1 (100/1)) through the network 200. For example, it performs a function of delivering to the client terminal 2 (100/2).

또한, 그룹 통신 서버(300)는, 음성 인식 기법을 적용하여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발언 음성의 내용을 인식하며, 인식된 발언 음성의 내용 중 키워드(key-word)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발언 음성과 함께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키워드의 전송은, 예컨대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recognizes the contents of the speech of the speaker side of the speaker by applying a speech recognition technique, extracts a keyword from the contents of the recognized speech, and extracts the extracted keyword. Along with the spoken voice, it transmits to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of the keyword may be implemented using, for example, a Short Message Service (SMS).

또한, 그룹 통신 서버(300)는,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발언 음성이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수신되는 상태를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serves to enable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to monitor the state in which the voice of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is received by the listener side client terminal.

또한, 그룹 통신 서버(300)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사용자 정보, 즉 클라이언트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관리되는 클라이언트 정보는 클라이언트 정보 DB(400)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serves to manage user information, that is, client information, of the client terminal group 100, and the managed cli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client information DB 400.

도 2는 도 1의 그룹 통신 장치에서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사용자의 서비스 기능 선택에 따라 발언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될 수 있고, 청취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FIG. 2 illustrate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rbitrary client terminal, for example, client terminal 1 (100/1) in the group communication device of FIG. In this case, the client terminal 1 (100/1) may be the speaker terminal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user's service function selection, or may be the client terminal of the listener.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PTT 송수신부(102), 제어부(104), 오디오 처리부(106), 화면 표시부(108), 입력부(11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client terminal 1 (100/1) includes a PTT transceiver 102, a controller 104, an audio processor 106, a screen display unit 108, and an input unit 110.

PTT 송수신부(102)는 안테나(10)를 통해 네트워크(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그룹 통신 서버(300)로 PTT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그룹 통신 서버(300)로부터의 PTT 메시지를 안테나(10)를 통해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PTT 송수신부(102) 는, 수신되는 PTT 메시지에 발언 음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발언 음성 정보의 수신된 상태를 그룹 통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PTT transceiver 102 communicates with the network 200 through the antenna 10 to transmit a PTT message to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or transmits a PTT message from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to the antenna 10. It serves to receive through. At this time, the PTT transceiver 102 may transmit the received state of the spoken voice information to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at regular time intervals if the received PTT message includes the spoken voice information.

제어부(104)는 입력부(1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화면 표시부(108)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동작 상태, 사용자 입력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PTT 송수신부(102)와 오디오 처리부(106)를 제어하여 PTT 서비스 방식으로 PTT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게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troller 104 controls to display an operation state, user input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client terminal 1 (100/1)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108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and the PTT transceiver unit 102 ) And the audio processor 106 to control the PTT messag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the PTT service method.

여기서, 제어부(104)는 입력부(110)를 통해 PTT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PTT 송수신부(102)가 PTT 송신 모드로 동작하게 하고, PTT 버튼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PTT 송수신부(102)가 PTT 수신 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할 수 있다.Herein, when the PTT butt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controller 104 causes the PTT transceiver 102 to operate in the PTT transmission mode, and when the PTT button is not input, the PTT transceiver 102 is input. 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PTT reception mode.

또한, 제어부(104)는 PTT 송수신부(102)로부터 전달받은 발언 음성 정보와 키워드 정보가 혼합하여 수신된 PTT 메시지로부터 발언 음성 정보와 키워드 정보를 분리할 수 있는데, 분리된 발언 음성 정보는 오디오 처리부(106)를 통해 소리로 출력될 수 있게 하고, 키워드 정보는 화면 표시부(108)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며, 청취자에 대한 PTT 음성 수신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부(108)를 통해 표시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4 may separate the speech voice information and the keyword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TT message by mixing the speech voice information and the keywor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T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2. The separated speech voice information may be an audio processor. Sound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106, keywor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108, and PTT voice reception status information for the listener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108.

오디오 처리부(106)는 제어부(104)의 제어하에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을 통해 발생되는 음성 정보, 예컨대 발언 음성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The audio processor 106 outputs the voic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lient terminal 1 (100/1), for example, the spoken voice information,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4.

화면 표시부(108)는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입력 정보, 작동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화면 표시부(108)는, 본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PTT 메시지에서 키워드 정보를 표시하거나, 청취자에 대한 PTT 음성 수신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The screen display unit 108 serves to display input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etc. of the client terminal 1 (100/1) on the screen. In particular, the screen display unit 108 serves to display keyword information in the received PTT message or to display PTT voice reception status information for the listener.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4)로 인가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PTT 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PTT 버튼을 누를 경우에 해당 키신호가 제어부(104)로 인가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serves to generate a key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action and apply it to the control unit 104. In particular, a PTT button is provided so that the corresponding ke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4 when the user presses the PTT button. Can be applied.

도 3은 도 1의 그룹 통신 서버(300)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PTT 수신부(302), PTT 호 처리부(304), PTT 음성 처리부(306), 스피치 투 텍스트(speech to text) 목록 DB(308), PTT 음성 수신 상태 처리부(310), 믹싱부(312), PTT 송신부(314)를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of FIG. 1, which includes a PTT receiver 302, a PTT call processor 304, a PTT voice processor 306, and speech to text. The list DB 308 includes a PTT voice reception state processor 310, a mixer 312, and a PTT transmitter 314.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PTT 수신부(302)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1)로부터의 PTT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PTT receiving unit 302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PTT message from a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of the client terminal group 100, for example, the client terminal 100/1.

PTT 호 처리부(304)는 PTT 수신부(302)를 통해 수신된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PTT 메시지,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PTT 메시지에서 발언 음성 정보에 대한 PTT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The PTT call processing unit 304 performs a PTT call processing function for the speech voice information in the PTT message of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PTT receiving unit 302, for example, the PTT message of the client terminal 1 (100/1).

PTT 음성 처리부(306)는 PTT 수신부(302)를 통해 수신된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PTT 메시지로부터 발언 음성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발언 음성 정보로부터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키워드 정보의 추출은, 예컨대 스피치 투 텍스트 목록 DB(308)에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 즉 주요 단어를 믹싱부(312)를 통해 맵핑 처리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The PTT voice processing unit 306 recognizes speech voice information from the PTT message of the client terminal 1 (100/1) received through the PTT receiving unit 302 and extracts keyword information from the recognized speech voice information. Extraction of the keyword information at this time may include, for example, a function of mapping a keyword registered in the speech-to-text list DB 308, that is, a key word, through the mixing unit 312.

PTT 음성 수신 상태 처리부(310)는 PTT 수신부(302)를 통해 수신된 클라이언 트 단말1(100/1)의 PTT 메시지의 음성 신호 수신 상태 정보에 관한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부터의 PTT 메시지 수신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PTT 메시지 수신 상태 정보를 PTT 송신부(314)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PTT 메시지 수신 상태 정보는, 후술하는 설명에서와 같이, 발언자의 발언 음성이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수신되는 상태를 발언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TT voice reception state processor 310 performs a processing function on voice signal recep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PTT message of the client terminal 1 (100/1) received through the PTT receiver 302. That is, the PTT message reception state from the client terminal 1 (100/1) is identified, and the PTT message reception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TT transmitter 314. The PTT message reception state information may be used as information for monitoring the state in which the speaker's speech is received at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in the speaker terminal as described below.

PTT 송신부(314)는 PTT 호 처리부(304)로부터의 발언 음성 정보, PTT 음성 처리부(306)를 통과하여 믹싱부(312)를 통한 키워드 정보, PTT 음성 수신 상태 처리부(310)의 PTT 메시지 수신 상태 정보를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2(100/2)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키워드 정보의 전송은, 예컨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The PTT transmitter 314 receives speech voice information from the PTT call processor 304, keyword information through the mixer 312 through the PTT voice processor 306, and the PTT message reception state of the PTT voice reception state processor 310. It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for example, client terminal 2 (100/2).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of the keyword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for example, a short message service (SMS).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통신 방법에 대해 첨부한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group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4.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100/1)에 의해 PTT 버튼 입력 등에 의해 PTT 발언권이 요청되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부터 그룹 통신 서버(300)로 PTT 발언권 요청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S400).As shown in FIG. 4, when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of the client terminal group 100, for example, the client terminal 1 (100/1) is requested for the PTT speaking right by a PTT button input or the like, the client terminal 1 (100 /). The PTT speak right request message may be transmitted from 1) to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S400).

PTT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은 그룹 통신 서버(300)는 PTT 발언권 상태 관리 기능에 의해 PTT 발언권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S402), PTT 발언권이 아이들(idle) 상태이면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 예컨대 PTT 발언권 획득 신호를 클라이 언트 단말1(100/1)에게 전달한다(S404).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receiving the PTT talk right request message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PTT talk right by the PTT talk state management function (S402), and if the PTT talk right is in an idle state, a response message thereto, for example, a PTT talk right acquisition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1 (100/1) (S404).

PTT 발언권 획득 신호를 획득한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2(100/2)에 대한 PTT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그룹 통신 서버(300)로 전달한다(S406).The client terminal 1 (100/1) acquiring the PTT speaking right acquisition signal transmits a PTT call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of the client terminal group 100, for example, the client terminal 2 (100/2). In step (S406).

PTT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은 그룹 통신 서버(300)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 속한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 즉 클라이언트 단말2(100/2)로 PTT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S408).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receiving the PTT call connection request message transmits the PTT call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belonging to the client terminal group 100, that is, the client terminal 2 (100/2) (S408).

PTT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받은 클라이언트 단말2(100/2)가 이러한 PTT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100/2)는 PTT 호 연결 메시지를 그룹 통신 서버(300)에 전달하게 된다(S410).When the client terminal 2 (100/2) receiving the PTT call connection request message responds to the PTT call connection request message, the client terminal 2 (100/2) transmits the PTT call connection message to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It becomes (S410).

클라이언트 단말2(100/2)로부터 PTT 호 연결 메시지를 전달받은 그룹 통신 서버(300)는 PTT 호 연결 요청을 했던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 PTT 호 연결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1(100/1)과 클라이언트 단말2(100/2) 사이의 PTT 호가 연결된다(S412).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receiving the PTT call connection message from the client terminal 2 (100/2) transmits the PTT call connection message to the client terminal 1 (100/1) that has made the PTT call connection request. The PTT call between the 100/1) and the client terminal 2 (100/2) is connected (S412).

PTT 호가 연결된 후에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발언 음성 정보가 포함된 PTT 메시지를 그룹 통신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S414).After the PTT call is connected, the client terminal 1 (100/1) can transmit the PTT message including the spoken voice information to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S414).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부터 PTT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룹 통신 서버(300)는 수신된 PTT 메시지에서 발언 음성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발언 음성 정보에서 주요 단어, 즉 키워드 정보를 추출한다(S416).When the PT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1 (100/1),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recognizes the speech voice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TT message, and extracts a key word, that is, keyword information from the recognized speech voice information ( S416).

이와 같이 인식된 발언 음성 정보와 키워드 정보는 PTT 메시지로 함께 믹싱 되어 클라이언트 단말2(100/2)로 전달될 수 있다(S418).The recognized speech voice information and the keyword information may be mixed together in a PTT message and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2 (100/2) (S418).

PTT 메시지를 수신한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 즉 클라이언트 단말2(100/2)는 수신된 PTT 메시지에서 발언 음성 정보와 키워드 정보를 수신 및 출력 처리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응답 메시지로서 그룹 통신 서버(300)로 전달한다(S420).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100/2)를 통해서는, 수신된 PTT 메시지에서 발언 음성 정보를 음성 출력하고, 그에 상응하는 키워드 정보를 화면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S422).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receiving the PTT message, that is, client terminal 2 (100/2), receives and outputs speech voice inform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TT message, and outputs the result as a response message as a response message. Transfer to step (S420). At this time, through the client terminal 2 (100/2),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speech voice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TT message, and to output the corresponding keyword information (S422).

클라이언트 단말2(100/2)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전달되면, 그룹 통신 서버(300)는 발언 음성 수신율을 모니터링한다(S424). 예컨대, 그룹 통신 서버(300)는, PTT 수신부(302)를 통해 수신한 PTT 메시지에서 발언 음성 정보를 분리하고, 분리된 발언 음성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한 결과를 PTT 음성 수신 상태 처리부(310)를 통해 발언 음성 수신 상태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response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client terminal 2 (100/2),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monitors the speech voice reception rate (S424). For example,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separates the speech voice information from the PTT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PTT receiving unit 302, monitors the separated speech voice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monitors the result of the PTT voice reception. The processor 310 may output the spoken voice reception state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or 310.

이와 같이 발언 음성 수신율을 모니터링한 정보, 즉 발언 음성 수신 상태 정보는 그룹 통신 서버(300)에서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 즉,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S426). 이때, 발언 음성 수신 상태 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way, the information on monitoring the speech voice reception rate, that is, the speech voice reception state information may be transferred from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300 to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that is, the client terminal 1 (100/1) (S426). In this case, the spoken voice reception state information may be delivered to the client terminal 1 (100/1)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이러한 발언 음성 수신 상태 정보를 전달받은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해당 발언 음성 수신 상태 정보를 화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발언자)에게 현재의 발언 음성 수신 상태, 즉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발언 음성 수신 상태를 확인시 킬 수 있을 것이다(S428).The client terminal 1 (100/1), which has received such speech voice reception state information, displays the speech voice reception state information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speaker) receives the current speech voice reception state, that is, the speech voice of the listener side client terminal. The state may be confirmed (S42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언자가 청취자에게 전달한 발언 내용의 전달 상태, 즉 청취자의 발언 음성 수신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고, 발언 내용 중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되는 단어들을 그룹 통신 서버에서 음성 인식을 통하여 음성과 함께 문자로 함께 전송함으로써, 발언자와 청취자 사이의 보다 명확한 의사 전달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for the speaker to monitor the delivery state of the contents of the speech delivered to the listener, that is, the state of the speech speech reception of the listener, and the words which are important judgment grounds of the contents of the speech in 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By using voice recognition together with voice as text, more clear communication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can be achieved.

앞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증하는 것이며,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많은 다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청구항에서는, 괄호 안에 있는 어떤 참조 기호도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포함하는", "포함한다" 등의 표현은, 전체적으로 모든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열거된 것을 제외한 구성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 요소의 단수의 참조부는 그러한 구성 요소의 복수의 참조부를 배제하지 않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몇몇 별개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수단 및 적절히 프로그램된 컴퓨터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몇몇 수단을 열거하는 청구항에서, 이들 수단의 몇몇은 하드웨어의 같은 항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종속항에 확실한 수단이 기술되었다고 하는 단순한 사실은, 이러한 수단의 조합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ntended to illustrate, not limit, the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note that many other embodiments can be design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do. In the claims, any reference signs placed between parentheses shall not be constru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expression “comprising”, “comprising” and the like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elements or steps other than those listed in all the claims or the specification as a whole. The singular references of components do not exclude a plurality of references of such components, and vice versa.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by means of hardware comprising several distinct components and by means of suitably programmed computer means. In the claims enumerating several means, some of these means may be embodied by the same item of hardware. The simple fact that certain means are described in different dependent claims does not indicate that a combination of these means cannot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통신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1 is a schematic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 group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lient terminal of FIG. 1 in detail; FIG.

도 3은 도 1의 그룹 통신 서버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roup communication server of FIG. 1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roup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2 : PTT 송수신부 104 : 제어부102: PTT transceiver 104: control unit

106 : 오디오 처리부 108 : 화면 표시부106: audio processing unit 108: screen display unit

110 : 입력부 302 : PTT 수신부110: input unit 302: PTT receiving unit

304 : PTT 호처리부 306 : PTT 음성 처리부304: PTT call processing unit 306: PTT voice processing unit

308 : 스피치 투 텍스트(speech to text) 목록부308: Speech to text list portion

310 : PTT 음성 수신 상태 처리부310: PTT voice reception state processing unit

312 : 믹싱부 314 : PTT 송신부312 mixing unit 314 PTT transmission unit

Claims (11)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과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 간의 푸시 투 토크 호가 연결되면,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푸시 투 토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a push-to-talk message of the speaker-side client terminal when a push-to-talk call between the speaker-side client terminal and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is connected; 상기 수신된 푸시 투 토크 메시지에서 발언 음성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발언 음성 정보에서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Recognizing speech voice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ush-to-talk message and extracting keyword information from the recognized speech voice information; 상기 발언 음성 정보와 키워드 정보를 발신용 푸시 투 토크 메시지로 믹싱하여 상기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과,Mixing the spoken voice information and the keyword information into a push-to-talk message for transmiss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상기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발언 음성 수신율을 모니터링하는 과정과,Monitoring a speech voice reception rate of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according to a response message from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상기 모니터링한 발언 음성 수신율에 대응하는 발언 음성 수신 상태 정보를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Transmitting speech voice reception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nitored speech voice reception rate to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을 포함하는 그룹 통신 방법.Group communi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법은,The method,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푸시 투 토크 호 연결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면 상기 푸시 투 토크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 말로 전달하는 과정과,Transmitting a push-to-talk call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when the push-to-talk call connection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상기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푸시 투 토크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경우에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과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 간의 푸시 투 토크 호를 연결하는 과정Connecting the push-to-talk call between the speaker-side client terminal and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when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responds to the push-to-talk call connection request message. 을 더 포함하는 그룹 통신 방법.Group communic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달 과정은,The delivery process,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푸시 투 토크 발언권이 요청되는 경우에,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푸시 투 토크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a push-to-talk speaking right request message from the speaker-side client terminal when a push-to-talk speaking right is requested by the speaker-side client terminal; 상기 수신된 상기 푸시 투 토크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푸시 투 토크 발언권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o use the push-to-talk speaking right of the speaker-side clien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ceived push-to-talk speaking right request message; 상기 푸시 투 토크 발언권이 아이들(idle) 상태이면 푸시 투 토크 발언권 획득 신호를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Transmitting a push-to-talk speaking right acquisition signal to the speaker-side client terminal when the push-to-talk speaking right is in an idle state. 을 포함하는 그룹 통신 방법.Group communi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수신된 푸시 투 토크 메시지에서 상기 발언 음성 정보를 음성 출력하고, 상기 키워드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그룹 통신 방법.And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voice outputs the speech voice information in the received push-to-talk message, and outputs the keyword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언 음성 수신 상태 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되는 그룹 통신 방법.The speech voice reception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네트워크를 통해 푸시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과,A client terminal group for receiving push-to-talk service through a network;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에서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과 청취자측 클라이어트 단말 간의 발언 음성 정보 및 상기 발언 음성 정보에 대한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투 토크 메시지를 호 처리하는 그룹 통신 서버A group communication server for processing a call-to-talk message including speech voice information between a speaker-side client terminal and a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and keyword information on the speech-voice information in the client terminal group 를 포함하는 그룹 통신 장치.Group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은,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상기 푸시 투 토크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푸시 투 토크 송수신부와,A push-to-talk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push-to-talk message; 상기 푸시 투 토크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푸시 투 토크 메시지에서 상기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발언 음성 정보 수신율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화면 표시부와,A screen display unit configured to screen-out speech voice information reception ratio information of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in a push-to-talk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push-to-talk transceiver; 상기 푸시 투 토크 송수신부를 송신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화면 표시부를 화면 출력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perate the push-to-talk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n a transmission mode and to control screen output of the screen display unit 를 포함하는 그룹 통신 장치.Group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은,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상기 푸시 투 토크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푸시 투 토크 송수신부와,A push-to-talk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push-to-talk message; 상기 푸시 투 토크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푸시 투 토크 메시지에서 발언 음성 정보를 오디오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와,An audio processor for audio outputting speech voice information in a push-to-talk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push-to-talk transceiver; 상기 푸시 투 토크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푸시 투 토크 메시지에서 키워드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화면 표시부와,A screen display unit which outputs keyword information in a push-to-talk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push-to-talk transceiver; 상기 푸시 투 토크 송수신부를 수신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오디오 처리부 및 화면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which operates the push-to-talk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n a reception mode and controls the audio processor and the screen display unit 를 포함하는 그룹 통신 장치.Group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그룹 통신 서버는,The group communication server,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푸시 투 토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푸시 투 토크 수신부와,A push-to-talk receiver which receives a push-to-talk message from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상기 푸시 투 토크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푸시 투 토크 메시지에서 발언 음성 정보에 대한 푸시 투 토크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푸시 투 토크 호 처리부와,A push-to-talk call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 push-to-talk call processing function for speech voice information in a push-to-talk message of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push-to-talk receiver; 상기 푸시 투 토크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푸시 투 토크 메시지로부터 발언 음성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발언 음성 정보로부터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는 푸시 투 토크 음성 처리부와,A push-to-talk voice processing unit for recognizing speech voice information from the push-to-talk message of the speaker side client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push-to-talk receiving unit, and extracting keyword information from the recognized speech voice information; 상기 푸시 투 토크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발언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푸시 투 토크 메시지의 발언 음성 신호 수신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푸시 투 토크 음성 수신 상태 처리부와,A push-to-talk voice reception state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speech voice signal reception state information of a push-to-talk message of the speaker-side client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push-to-talk reception unit; 상기 발언 음성 정보 및 상기 키워드 정보, 상기 발언 음성 신호 수신 상태 정보를 상기 청취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하는 푸시 투 토크 송신부A push-to-talk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speech voice information, the keyword information, and the speech voice signal recep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listener-side client terminal. 를 포함하는 그룹 통신 장치.Group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키워드 정보는, 스피치 투 텍스트(speech to text)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단어 정보를 맵핑 처리하여 추출되는 그룹 통신 장치.And the keyword information is extracted by mapping word information of a speech to text list database.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키워드 정보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그룹 통신 장치.And the keyword information is transmitted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KR1020090018843A 2008-12-01 2009-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 to talk service on group communication KR10109236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0803 2008-12-01
KR1020080120803 2008-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779A KR20100062779A (en) 2010-06-10
KR101092366B1 true KR101092366B1 (en) 2011-12-09

Family

ID=4236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843A KR101092366B1 (en) 2008-12-01 2009-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 to talk service on group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36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779A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75493C (en) Push to talk for the internet of things
JP4559484B2 (en) Conference communication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s
US8331971B2 (en) Group call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0575978B1 (en) Method for display an image of a speaker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KR1009167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playing alert tones in a push-to-talk system
WO2006055280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ng push-to-talk services to non-push-to-talk enabled networks
US10341824B1 (en) Method for real-time authorization within a push to talk for the internet of things system
US20080220728A1 (en) Ptt-enabled mobile terminal, ptt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nder location display method
KR100992332B1 (en) Prepackaging call messages for each target iteration in setting up a push-to-talk call
US20090017842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lephone Calling Method and Program Software for The Same
KR100651431B1 (en) Method for ptt servic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WO2006002681A1 (en) Methods and terminal devices
KR101222132B1 (en) method and system of one-to-one and group communication simultaneously in wireless IP network
KR1010923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 to talk service on group communication
CN103200591A (en) Method for processing mobile network call requests
WO20120280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instant information during call
KR100724928B1 (en) Device and method of informing communication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12723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 talkgroup icon
US8233930B1 (en) Dual-channel conferencing with connection-based floor control
US10440526B1 (en) Method for real-time talk-group creation within a push to talk for the internet of things system
KR20180018271A (en) Apparatus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ptt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user information in real time using the apparatus
KR100619905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ush to talk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0613096B1 (en) Method for requiring additonal buddies in a system proffering push to talk service
CN103139407A (en) Internet telephone system and device thereof
CN110691333A (en) Public network talkback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